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28 13:14:52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도서추천] 남중국해를 둘러싼 지정학


발칸반도의 혼란스럽고 비극적인 현대사에 대한 리포타쥬인 발칸 고스트(Balkan Ghosts)


걸프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통해 볼 수 있듯이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미국 군대를 일반 군인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제국의 최전선(Imperial Grunts)


인도양을 둘러싼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다룬 몬순(Monsoon: The Indian Ocean and the Future of American Power)


급변하는 21세기의 정치, 경제, 최첨단 기술에도 불구하고, 지리적인 조건의 불변성에 대해서 역설하고 있는 지리의 복수(The revenge of Geography)


등의 저서를 저술한 로버트 D. 캐플란의 신작입니다.


요즘 핫한 주제인 <남중국해>를 지정학적(geopolitical), 지경학적(geo-economic)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책인데요,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 책을 읽다보니 우리가 동북아라는 공간에 너무 사로잡혀 있어서 정말 중요한 큰 그림을 놓치고 있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직 읽고 있지만, 21세기 아시아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 아닐까 하네요.


특히 저자는 리포타쥬에 있어서만큼은 정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작가이기 때문에, 남중국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아주 재미있고 밀도 있게 풀어쓰고 있습니다. 


본 저서에서 인상적인 몇 구절을 인용하는 것으로 이 책에 대한 소개를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동아시아는 크게 두 지역으로 나뉜다. 한반도가 지배하는 동북아시아와 남중국해가 지배하는 동남아시아이다.(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two general areas: Northeast Asia dominated by the Korean Peninsula, and Southeast Asia dominated by the South China Sea.)"


"중국은 지금 당장의 필요 때문에 대만과 한반도에 집중하고 있지만, 진짜 중국의 지정학적인 미래는 남중국해에 있다.China must focus on Taiwan and the Korean Peninsula only because of challenges of the moment, but the South China Sea beckons as the key to China’s geostrategic future)"


"유럽은 토지풍경이지만, 아시아는 바다풍경이다(Europe is a landscape; East Asia a seascape.)."   

***유럽은 땅과 관련된 지정학적 투쟁의 장이지만, 아시아는 해양영토와 관련된 분쟁이 주가 되는 장소라는 걸 설명하면서 한 말입니다. 


"말라카 해협을 지나는 원유 수송량의 규모는 수에즈 운하를 지나는 것의 3배에 달하며, 파나마 운하의 15배에 달한다. 대한민국 에너지 공급의 2/3가, 일본과 대만에 필요한 에너지의 60%, 그리고 중국의 석유수입의 80%가 남중국해를 통과한다.(The oil transported through the Malacca Strait from the Indian Ocean, en route to East Asia through the South China Sea, is triple the amount that passes through the Suez Canal and fifteen times the amount that transits the Panama Canal. Roughly two thirds of South Korea’s energy supplies, nearly 60 percent of Japan’s and Taiwan’s energy supplies, and 80 percent of China’s crude oil imports come through the South China Sea)"




한편 저자가 국제사회에서 나름 상당한 유명세를 갖춘 인물이다 보니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의 주요 정치인, 관료 들의 인터뷰도 상당히 많고, 또 기자 특유의 현장감과 직관을 갖추고 있어 저자의 책을 읽다보면 마치 세계일주를 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상당히 재미있어요.


강력 추천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암증기광
15/09/28 13:51
수정 아이콘
예 14.55달러 결제되었습니다 아마존 직원분. 직장에서 맨날 영어에 둘러싸여 살다보니 딴 시간에 읽는 책은 업무상 읽어야 하는 재무/투자 관련 책들 말고는 전부 한역만 읽는데 ㅡㅡ 아 이건 저항할 수가 없네요
최강삼성돌중일
15/09/28 13:58
수정 아이콘
한반도 통일 이후에 유라시아 철도와 송유관이 설치되면 토지의 중요성이 재편되지 않을까요?
DarkSide
15/09/28 14:12
수정 아이콘
저도 한반도종단철도 (TKR) - 중국횡단철도 (TCR) - 몽골횡단철도 (TMGR) - 시베리아횡단철도 (TSR) - 유럽철도 (EU Rail) 이 연결되면
한반도 - 중국(몽골) - 러시아 - 유럽을 잇는 거대한 육로 수송 수단이 생성되기 때문에 굳이 남중국해에만 연연하지 않을 것 같기는 합니다.

(왠지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 대박론' 언급한 게 이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긴 들었습니다.
TKR와 유라시아 대륙철도 연결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 이거 때문에 그래서 남북통일 이야기가 나오는건지도;;)

관련 기사 첨부합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53597.html
“박 대통령의 ‘유라시아 구상’ 한반도~대륙 철도연결이 우선”

http://news.donga.com/Main/3/all/20150526/71459103/1#
“유라시아철도 연결땐 경제영토 확장… OSJD가입 필수적”

http://www.mofa.go.kr/image/main/0707_eurasia.pdf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대한민국 외교부 (July 23, 2015)
지하생활자
15/09/28 16:05
수정 아이콘
이런 비슷한 글을 옛날에 어디선가 읽었는데.. 그곳에서는 이렇게 말하더라구요

바다로 나를 수 있는 물자의 양과 철도로 나를 수 있는 물자의 양은 천지차이라구요

중국이 대륙횡단 철도를 부설했지만 이게 메인이 아니라, 그네들이 생각하는 석유 공급은 파키스탄을 따라 올라오는 송유관이 메인이라 하더군요.
냉면과열무
15/09/28 14:47
수정 아이콘
번역이 되어있나요?
15/09/29 16:40
수정 아이콘
번역판이 안 보이는게 너무 아쉽네요. 그렇다고 원서 들고 끙끙거릴 여유도 없는 회사원이 만용을 부릴수도 없구요.
그럼에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중국 관련 다른 좋은 책들도 알려 주심 좋을 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261 [일반] [KBO] 순위싸움 간단한 정리 [111] 솔로10년차11183 15/10/01 11183 4
61260 [일반] [영화] 마션 - 유쾌하고 낙천적인 재난 영화 [33] 쭈구리9798 15/10/01 9798 0
61259 [일반] [에이핑크팬 계층?]결정적 순간 [4] 좋아요3312 15/10/01 3312 6
61258 [일반] [책추천] 키신저 제1권( 1923-1969): 한 이상주의자의 이야기 [2] aurelius9913 15/09/30 9913 3
61256 [일반] 꿈, 그리고 꿈해몽 [7] 서쪽으로 gogo~3573 15/09/30 3573 1
61255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추신수 시즌 21호 2점 홈런,클레이튼 커쇼 완봉승) [4] 김치찌개3714 15/09/30 3714 0
61254 [일반] 2015년 상반기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기업 등기이사 Top10 [15] 김치찌개4565 15/09/30 4565 1
61253 [일반] 역대 우리나라에서 낮 최고기온이 가장 높았던 지역 Top10 [5] 김치찌개4619 15/09/30 4619 1
61252 [일반] 김성근 "조정원, 채기영을 2차 드래프트서 데려갈 팀이 있겠나" [116] Perfume10971 15/09/30 10971 6
61251 [일반] 애플의 아이폰 뽑기 실재하는가?? [60] 그래프12227 15/09/30 12227 0
61250 [일반] 피교동해 - 폭주개시 [2] 후추통4573 15/09/30 4573 3
61249 [일반] 무섭기만한데 움츠려들지않아야해? [45] 달인7135 15/09/30 7135 9
61248 [일반] 증조할아버지의 낡은 집 이야기 [19] 퐁퐁퐁퐁7523 15/09/30 7523 51
61247 [일반] 개인적인 위로를 위한 선곡리스트 [11] 사과씨4305 15/09/30 4305 12
61246 [일반] 저도 평범한 호구인가 봅니다. [111] 저그네버다��12497 15/09/30 12497 9
61245 [일반] 실체 없는 것들의 소란 - 청년희망펀드 [46] MoveCrowd7328 15/09/30 7328 17
61244 [일반] 두 형제 이야기 - 황형의 유산 [24] 눈시BBand7934 15/09/30 7934 6
61243 [일반] [야구] 예비역 김상수와 김용주 무엇이 달랐나 [24] 이홍기5946 15/09/30 5946 1
61242 [일반] 헤어진 여친의 심리와 제가 해야할일.. [26] arigato10155 15/09/30 10155 0
61240 [일반] 특정학과 전공에 대한 타과생의 수강신청제한 옳다고 보시나요? [88] 수원9901 15/09/30 9901 0
61239 [일반] 뒷담화 다메, 오지랖 야메떼 [23] 삭제됨5768 15/09/30 5768 4
61238 [일반] 조형우/마마무/쿨/GOT7/2PM/월간 윤종신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6] 효연광팬세우실4426 15/09/29 4426 0
61237 [일반] FNC의 수지마케팅은 과연 성공할 것인가 [92] 좋아요16093 15/09/29 16093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