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12 18:39:59
Name 질보승천수
Subject [일반] 결제 방법-새로운 시장
네이버 메인에 들어갔더니 내 정보란에 새로운 카테고리가 생겼더군요.

네이버 페이라는 것인데 카드나 계좌를 등록해야 사용할 수 있고요.

크롬의 NPAPI 지원 중단이 점화 장치가 된 것 같습니다.

카카오 페이도 생긴지 좀 됐죠.

NPAPI 중단 이후 결제 해 보니까 이런게 한두개가 생긴게 아니더라고요.

엑티브X 가 중단되자 한국의 특수성이 정상화되는게 아니라 뭔가 또다른 기형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카드 결제도 엑티브 X가 사라지니까 이젠 각종 앱을 깔라고 하는데 앱을 까는 과정에서도 PC에 또 뭐를 깔더라고요. 결과적으로는 PC에 깔아야 하는 그 무언가가 제대로 작동을 안 해서 결국 그냥 핸드폰 결제를.........ㅡㅡ
이제 크롬으로는 핸드폰 결제도 안 돼서 이것도 결국 파이어폭스 깔아서 했습니다. 정말 귀찮게 해주시는군..........

순간 빡쳐서 카카오 페이 버튼을 눌러볼까 생각 들더군요.

아마도 카드사와 사용자 중간에 카톡이나 네이버가 껴서 뭔가 더 가져가는 형태겠죠.

든 생각이 3개가 있었는데........

1. 엑티브X와 NPAPI 에서 벗어나 정상화 되는게 아니라 해외와 고립된 또다른 방식으로 가겠구나.

2. 이 또다른 방식이 엄청난 시장이 돼서 한국을 장악할테고 이걸 안 쓰면 한국에선 온라인으로 결제하는게 거의 불가능해 지겠구나.

3. 정보 털리면 어떡하지?


선뜻 누르기가 힘든게 네이버가 이미 회원정보 대량으로 털린 경력이 있다보니...........
이런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기업이 사용자를 잠재적 사기꾼으로 보기 때문에 발생한 건데 과거의 선례를 생각해보니까 사용자인 제가 기업을 믿을 수가 없어서 선뜻 누르기가 힘들더군요.
요즘엔 기업들은 개인 정보를 대놓고 갖다 팔기도 하니까요. 유출 된 것도 유출된건지 갖다 판건지 알 수도 없는 거고.

물론 우리의 개인 정보는 이미 중국 동포들의 공공재이기는 합니다만 이건 또 다른게 내 경제 생활과 직결되는 것이다보니...........

그래도 결국은 어쩔 수 없이 써야 되겠죠.

엑티브 X도 안 깔면 아무것도 할 수 없으니 결국 깔았어야 했듯이..........

누구나 피곤하고 귀찮아지면 될대로 되라며 그냥 하게 됩니다. 설마 전국민이 다 그거 쓰는데 그거 가지고 별로 특별할 것도 없는 나를 털겠어?

뭐 털려도 전국민이 함께 다 털릴테니 나만 억울할 건 아닐테고 말입니다. ㅡㅡ




PS.
크롬이 NPAPI 를 지원 중단한다고 했을 때 저는 얼마 시간이 지나면 한국의 웹페이지와 온라인 거래 시스템이 크롬을 포섭하는 방식으로 수정될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근데 요즘 몇몇 사이트 돌아다녀 보면 아예 크롬을 포기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나마 은행이라던가 몇몇 큰 사이트는 '곧 크롬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 라는 멘트가 뜨기도 합니다.

근데 꽤 많은 사이트들이 '파이어폭스 IE 오페라 써라' 로 끝나요.
어쩌면 특정 국가의 기형적 시스템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상당한 지분율을 차지하는 웹브라우져를 특정 국가 내에서 완전히 고사시키는게 실제로 벌어질 수 있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리마스
15/09/12 18:49
수정 아이콘
당장 지우네 마네 하고있는 flash도 당당히 쓰고있으니
소시탱구^^*
15/09/12 18:50
수정 아이콘
네이버 개인정보 대량유출은 언제 일어난 일인가요? 네이트와 착각하신거 아닐지...
질보승천수
15/09/12 19:01
수정 아이콘
네이버 유출 뉴스가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검색해보니 뉴스가 나오긴 했었습니다.
근데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네이버 해명 내용도 나오는군요.
그에 대한 언론사의 해명이나 오보 뉴스도 없긴 한데 요즘은 뭐 오보 냈어도 그냥 아몰랑 하고 끝나는게 언론사라.......ㅡㅡ
솔직히 어느쪽이 확실히 맞다고 생각하기도 힘든거 같습니다. 검색 하는 과정에서도 각종 개인정보 유출 관련 뉴스가 너무 많이 뜨다보니.
요즘은 어느 정보가 진짜인가가 진짜 정보 같습니다.
arq.Gstar
15/09/13 00:14
수정 아이콘
네이버가 털린적은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워낙 가입자가 많다보니 다른사이트랑 동일id 동일비번으로 설정해서 털리는경우가 있을뿐이죠
15/09/12 19:02
수정 아이콘
은행이나 공인인증서나 진짜 미친것들 ..
15/09/12 19:03
수정 아이콘
페이팔이 썼던 그 옛날의 방식을 이제서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간편결제들이 난립하고 있는데, 결국에는 쌍두마차 정도가 될 듯 하구요.
하루빨리
15/09/12 19:05
수정 아이콘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같은건 딱히 기형적 방식이 아닙니다. 이미 해외에선 Paypal이 있죠. 또 구글에서도 구글월렛이란 서비스가 있고, 이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 확대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 결제 서비스인 안드로이드페이를 내놓는다고 발표 했죠.

위의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들을 모아서 굳이 신용카드를 들고 다니지 않더라도 쉽게 결제할 수 있게 도와주거나 은행계좌를 등록하여 해당 서비스 사용자들끼리의 금전거래를 좀 더 편하게 하도록 하는걸 목표로 하는 서비스지 딱히 HTML표준을 우회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이 아닙니다.
질보승천수
15/09/12 19:17
수정 아이콘
해외에서도 널리 쓰는 정상적인 방식이라면 다행입니다만 워낙에 요즘은 불신이 자리잡다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NPAPI 지원 끊긴다고 했을 때 처음 생각했던건 해외 쇼핑몰 같은 식이었는데 또 뭔가를 깔거나 등록해야 한다고 하니. 그 패턴은 엑티브X 때가 생각나니 말이죠.
15/09/12 19:33
수정 아이콘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돼야 결제 문제도 해결이 돼죠...
쉽게 말해서, 결제 사고가 터졌을때가 제일 큰 사안인데, 외국 쇼핑몰의 방식은 솔직히 그 쪽에 있어서는 완전 무방비에 가깝습니다.
제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카드번호, CVC 번호까지만 알면 맘대로 결제할 수 있는데다가, 그걸 또 그냥 쿠키에 저장해놔서,
어떤곳은, 자동 로그인 -> 결제버튼 클릭 만으로 그냥 결제가 됩니다. 즉, 누군가 제 컴퓨터를 켜고, 클릭 몇번이면 결제가 된다는 얘기죠.
게다가, 어떤 곳은... 서버에다가 저장해놨다가 그걸 가지고 몰래 결제사기를 치기도 합니다.
예전에, 해외 사이트 하나를 가입을 했는데, 1달러를 결제했더니 며칠 간격으로 2, 3달러씩 결제가 되는겁니다;;
알고봤더니, 제가 한번 입력한 카드번호를 가지고 이놈들이 장난질을...;; 적어도 우리나라에선 이런건 못하죠.

그렇다면, 이걸 어떻게 방지할 것이냐가 관건인데...
외국의 경우에는, 이걸 막기 위한 시스템... 공인인증서니, 간편결제니, 보안카드니.. 그런걸 만들어서 2중, 3중으로 막는것보다,
결제 사고가 났을때, 사용자가 신고만 하면 쿨하게 결제취소해주고, 카드 재발급을 해줍니다.
그러니까... 그런 일이 있을때마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물어주는 쪽이, 보안시스템을 빡빡하게 만드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든다는 개념이죠.

근데, 우리나라는... 이걸 금융사/카드사가 책임지지 않으려 합니다.
즉, 공인인증서, 액티브X... 이런거 자체가 나쁜게 아닙니다. 솔직히 공인인증서의 보안기능 자체는 상당히 훌륭하고요,
아직까지 공인인증서 자체가 해킹당해서 털렸다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럼 뭐가 문제냐... 이 공인인증서니, 무슨무슨 결제시스템이니... 하는 것들이 전부 다 [면피용]이라는 점이죠.
"우리(금융회사)쪽에서 공인인증서에, 키보드 보안에, 네트워크 방화벽까지 해 줬는데 털렸다면, 그건 니 잘못이다." 가 요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애먼 기술(ActiveX, NPAPI) 탓을 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는거죠...
15/09/12 19:51
수정 아이콘
그 페이들은 세계적으로 지금 핫한... 차세대 먹거리죠

누가 이길지는 나라별로 몇년 지나면 결판 날거긴 합니다만..
15/09/12 20:15
수정 아이콘
다른 사이트 가입이 필요없어서 네이버 페이
편하게 쓰고있네요
15/09/12 20:32
수정 아이콘
친구가 관련 업종 종사중인데
애초에 사업 시작 할때는 메리트가 분명히 있었는데
각 카드사에서 모바일 결제 시작하면서 메리트가 좀 사라진거 같다고 말하더군요.
이미 레드오션인거 같습니다 이쪽 시장은.....
페이 어쩌고 하는 서비스만 서너개 인거 같고
거기에 카카오, 네이버, 옐로페이라는거도 있고...
15/09/12 22:35
수정 아이콘
삼성페이 모바일 사용이 혁신인 듯 합니다.

카드등록 인증도 편리하고..
보안도 핸드폰내에서 지문인증이니 현재로선
가장 안전한 편에 속하죠

삼성페이 가능한 폰들이 아직은 적어서 그렇지
조만간 결제시장은 삼성페이가 잡아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15/09/12 23:20
수정 아이콘
핀테크라고 다 퉁쳐서 부르는데 사실 그 안을 까보면 조금씩 다릅니다. 간편결제는 정말 그냥 결제 과정을 간편하게 해주는 정도고 (네이버페이) 애플페이,네이버엔터에서 페이코 같은 경우는 다르죠. 자신들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그 안에서 카드사와 이익을 나눕니다.

삼성페이는 지금 현재는 삼성이 가져가는게 없습니다. 그냥 폰의 추가기능정도고 삼성이 정말 이득보려면 수수료를 챙기던지 해야죠.
ArcanumToss
15/09/13 00:50
수정 아이콘
음... 진짜 우리나라 국민 중 자신의 정보가 중국으로 안 넘어간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주변 사람들이랑 농담 따먹기 하다가 '그러면 차라리 100원 짜리 1인 법인 만들어서 법인 카드를 사용하며 사는 게 낫겠다!!!' 했더니 다들 박장대소. 크크
하지만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었다능~
쏭사리
15/09/13 01:27
수정 아이콘
개인정보 생각하면 인터넷을 끊지 않고서야 뭘해도 마음이 불편하죠. 아무래도 이런 결제시스템들은 카드나 계좌 관련되서 더 마음이 불편하긴 하지만요... 전 그냥 마음 비우고 편하게 잘 쓰고 있네요!
그리고 네이버페이 지금 25% 할인 쿠폰 이벤트해요~ 최대 2만원까지 할인 가능합니다 9월30일까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114 [일반] [1][우왕] 아내의 건강 [25] 글곰5800 15/09/23 5800 41
61076 [일반] 아시아에서 금융 경쟁력이 가장 높은 도시 Top10 [2] 김치찌개3435 15/09/22 3435 0
61065 [일반] 아시아에서 기본자기자본 규모가 가장 큰 은행 Top10 김치찌개3308 15/09/21 3308 0
61046 [일반] 전 세계에서 기본자기자본 규모가 가장 큰 은행 Top10 [8] 김치찌개4201 15/09/20 4201 1
61029 [일반] [1][우왕]도서정가제.. 살려주세요.. (책 가격은 왜 안 내려가는가?) [112] 스테비아156442 15/09/19 156442 73
60976 [일반] 9월 미국 FOMC 미팅 드디어 하루 앞으로! [12] Elvenblood4909 15/09/17 4909 7
60887 [일반] 결제 방법-새로운 시장 [16] 질보승천수5868 15/09/12 5868 1
60828 [일반] 오늘 개봉한 노트5 후기 및 3시간만에 펜이 거꾸로 끼인 이야기.. [46] 피부미남9415 15/09/09 9415 1
60726 [일반] [클래식] 듣기 쉬운 피아노 독주곡 10선 - 1 [19] 김연아5507 15/09/03 5507 6
60709 [일반] 김무성 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 전문 [111] 어강됴리11184 15/09/02 11184 16
60704 [일반] 최근에 본 몇가지 관심있는 뉴스 몇개 [19] Tiny5895 15/09/02 5895 2
60597 [일반] [영어 동영상] 버니 샌더스, 사민주의를 미국에! [51] OrBef9356 15/08/28 9356 30
60596 [일반] 토막 사회상식, 법인과 대표이사와의 관계 [34] 불타는밀밭16996 15/08/28 16996 93
60553 [일반] 질문게시판에 질문올리다가 알게된 안드로이드 순정 핸드폰 배터리 소모 줄이는 방법. [18] Secundo13317 15/08/26 13317 14
60500 [일반] [영화소식] 장동건 차기작 확정, '7년의 밤' [30] 여자친구11150 15/08/23 11150 1
60468 [일반] [시사] 유럽의 분열과 독일의 부상 [15] aurelius6717 15/08/21 6717 22
60367 [일반] 주변에 낙하산들 많으시나요?? [69] 카시우스.18439 15/08/14 18439 4
60247 [일반] 통장 개설이 엄격해진거 알고 계셨나요? [63] PENTAX19355 15/08/07 19355 2
60218 [일반] 나의 왕따 이야기 - 2 [9] leeve4015 15/08/05 4015 1
60204 [일반] 나의 왕따 이야기 - 1 [13] leeve4497 15/08/05 4497 1
60199 [일반] [잡담] 비법공개-가난 탈출법 [6] 언뜻 유재석6737 15/08/05 6737 8
59987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및 선수이동 [23] pioren4561 15/07/24 4561 0
59809 [일반] 역대 채무액이 가장 많았던 국가 부도를 선언한 국가 Top10 [3] 김치찌개5499 15/07/15 54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