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07 15:48:13
Name 군디츠마라
File #1 french_mandate_syria_sykes_picot_map_02.jpg (97.1 KB), Download : 51
File #2 NISI20150904_0005861172_web_99_20150907153807.jpg (246.7 KB), Download : 9
Subject [일반] 지금 발생하는 난민들은 영국과 프랑스가 책임져야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7837472

지금 중동이 이렇게 된 근본적 원인은 위 기사에 나와 있듯이 영국과 프랑스가 민족, 종교의 차이를 무시하고 중동을 제멋대로 갈라먹었기 때문입니다.

1916년 영국 외교관인 사이크스(Skyes)와 프랑스 외교관 피코(Picot)는 1차대전 패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영토를 분할하는 비밀 협정을 맺었는데 이는 당시 오스만 제국에 거주하던 아랍 민족의 의사와 상관없이 지멋대로 분할한 것이죠.

이 협정이 낳은 가장 큰 문제, 특히 現 이라크와 시리아의 수니파 지역과 시아파 지역을 한데 묶어 한 나라로 만들었는데 종파가 다른 이들 국가는 이후 독재자의 등장 및 철권으로 억눌려져 있다 2011년 아랍의 봄으로 쌓인 게 터지면서 엄청난 혼란에 빠져들었죠.

더욱이 영국은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알려진 로렌스 경이 하심 왕가와 접선해 통일 아랍국을 만들어준다고 꼬신 뒤 끌어들였고, 정작 유대인들에게도 벨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 건설을 약속해 이들도 끌어들이고 마지막으로는 프랑스와 이 협정으로 중동을 나눠먹는 3중 플레이를 통해 중동을 지금의 막장으로 만들어놨죠.

솔직히 시리아 난민은 독일이 아니라 영국이 책임지고 모두 받아야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츠나
15/09/07 15:48
수정 아이콘
하지만 안받겠죠. 국가는 도의를 지키지 않으니까...
군디츠마라
15/09/07 16:22
수정 아이콘
실제로 영국과 프랑스는 55%이상이 난민 수용에 부정적이었습니다. 슈피겔도 이를 조롱하는 기사를 내기도 했죠.
크라쓰
15/09/08 11:01
수정 아이콘
일본은 중국과 한국에 사죄하고 앞으로도 계속 죗값을 치뤄야죠
흑마법사
15/09/07 15:52
수정 아이콘
영국과 프랑스 때문에 애꿎은 독일이...
군디츠마라
15/09/07 16:25
수정 아이콘
독일은 식민지가 적었으니 피해자라고 할 수 있긴 하죠. 홀로코스트와 중동 분할은 별개 문제니까요.
無識論者
15/09/07 15:54
수정 아이콘
자칭 신사의 나라가 싸질러놓은 똥무더기가 세계 곳곳에 퍼져있습니다.
복타르
15/09/07 15:54
수정 아이콘
당시열강들이 제멋대로 분할했기에 이런사태가 온데 책임이 있다는 점은 동감 하지만,
그것이 책임=>난민수용 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15/09/07 15:55
수정 아이콘
솔직히 미국과 러시아, 중국과 일본, 레닌과 맑스는 한국이 남북 분단으로 인해 60년간 지출한 천문학적인 유무형 손실을 책임져야죠. 음?
솔로10년차
15/09/07 15:58
수정 아이콘
지금 남북한간에 전쟁이 벌어지고, 그 전력이 엇비슷하여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대규모 난민이 발생한다면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죠.
15/09/07 16:15
수정 아이콘
60년간 인과관계가 희석될 대로 희석되었는데, 공감을 얻기 힘들고 이행을 요구할 수도 없는 책임을 묻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솔로10년차
15/09/07 16:31
수정 아이콘
책임을 질 것 같으니 책임을 묻는 것과 책임이 있다고 생각해서 책임을 묻는 것의 차이겠죠.
희석될대로 희석됐다고해서 없어지지 않고, 시간이 오래 흘렀다고 마냥 많이 희석되는 것도 아니구요.
방구차야
15/09/07 23:41
수정 아이콘
중동은 강대국의 영향보다 지들끼리 종파로 니편내편 죽이는 상황이 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아닐까요. 한국의 분단이 미.중 양측의 헤게모니에 근거했고 현재는 북의 왕조체제화에 더 큰 분단의 책임이 있는 상황에 일본식민시대를 분단의 책임으로 돌리는것이 말이 안되듯이요
솔로10년차
15/09/08 00:27
수정 아이콘
모든 책임을 다 돌려야한다는게 아닙니다.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거죠. 당연히 해당 국가들 그 자체의 책임이 훨씬 크죠. 가장 큰 책임이 당사국들에 있다는 것과 그 원인을 제공했기에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은 서로 상충하지 않습니다.
방구차야
15/09/08 01:04
수정 아이콘
일부 책임론을 들이대기에도 원인과 현재상황이 너무 동떨어진 일이라, 차라리 선진국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이들에게 인도적인 도움을 보다 적극적으로 줘야 한다는 인류애적인 요구를 하는게 더 맞지 않을까 합니다. 정작 더 큰 도움을 줘야할 주변 중동의 부국들이 서구의 과거사를 억지연계시키며 책임론을 회피하려는 것에 동조하는 역할이 되지 않나 염려스러운 것이고요.
솔로10년차
15/09/08 01:07
수정 아이콘
그런 의견이라면 동의합니다. 저 역시 중동의 이슬람국가들의 책임이 당연히 더 크다고 보거든요.
단지, 본문의 영국과 프랑스가 책임져야한다는 것에도 동의한다는 겁니다. 만약에 난민들을 받아들이는 것이 다른 중동의 부국들이면 모르겠는데, 유럽국가들이 난민들을 떠 앉고 있으니 이 책임은 져야한다는 거죠. 어쨌든 책임이 없지 않으니까.
여기서 책임지는 방법은 예를들어 사우디를 압박해서 난민을 받아들이도록하는 것도 '책임'의 범주라고 생각합니다.
도들도들
15/09/07 15:59
수정 아이콘
저긴 서로 다른 집단을 제멋대로 묶어서 문제.
여긴 동일한 집단을 제멋대로 나눠서 문제(정작 전범국인 일본은 그대로 두고 애꿎은..).
솔로10년차
15/09/07 16:08
수정 아이콘
오키나와를 미국이 일본에 '반환'한 것도...
어니언갈릭파스타
15/09/07 15:59
수정 아이콘
영국과 프랑스 때문에 IS가 생긴건가요?
Shandris
15/09/07 16:04
수정 아이콘
본문의 얘기는 IS 말고 정부군과 반정부군의 내전의 경우에 해당하는거 아닌가 합니다.
군디츠마라
15/09/07 16:21
수정 아이콘
정확히 말하자면 문제의 싹은 이미 100년 전부터 잠재되어 있었고 IS는 이걸 잘 이용해 먹은거죠.
방구차야
15/09/07 23:43
수정 아이콘
서구열강에 책임을 묻기엔 인과관계가 너무 멀고 내부적.내국적 종파싸움이 원인입니다. 인과관계를 따지고 올라가면 수천년전 이슬람을 창시한 마호메트가 죽일놈이겠죠
탑망하면정글책임
15/09/07 15:59
수정 아이콘
100년 무상 AS는 좀..
15/09/07 16:13
수정 아이콘
아랍쪽에서 분할해달라 하진 않았으니 AS는 아니죠.
방구차야
15/09/07 23:44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의 종파싸움 문제가 더 큽니다
결국 자기들 종교문제라는거죠
15/09/07 16:01
수정 아이콘
국제관계가 착실한 도의로 움직이는, 사랑이 넘치는 지구촌이였다면 한국이 38선에서 동강날 일도 없었을 것이고 6.25도 없었을텐데...
병주고 약주기의 체고조넘 "the 영원한 혈맹" 천조국님이 다 알아서 해 주셨을텐데...

따라서 일본을 공격한다.
Shandris
15/09/07 16:01
수정 아이콘
서구 국가들이 그런거 책임 안 질거라는거야 아프리카에서 이미 많이 봤던거니까요...
군디츠마라
15/09/07 16:23
수정 아이콘
콩고 내전, 다르푸르 학살, 르완다 학살 따지고 보면 서구 열강들의 땅따먹기가 근본 원인이죠. 중동이 부각되기 전에는 이들 아프리카에서 난민이 대거 유입되었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15/09/07 16:10
수정 아이콘
이걸 독일이 몰라서 가만 있는게 아니죠.....

말해봐야 본전도 못찾으니까 걍있는겁니다...
파란무테
15/09/07 16:16
수정 아이콘
국가간에, 근시안적인 사안에 대해서도 100%인정할 수 없는데,
100년이 지난 지금 그 책임을 묻는 다는 것이 심정적으로는 동의되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거의 100년이 되어가는 '위안부'와 관련된 일들에 대해
일본은 '미안하다'라는 1차적 표명도 안하고.
'재정적 지원'등의 2차적 노력도 하지 않습니다.
참, 이것도 우리입장에서는 억울한데,,,
일본사람들 특히 3세대가 지난 그들에게는 2차적인것까지 요구하면 난리나겠죠.. 라는 생각이 드네요.
별빛달빛
15/09/07 16:25
수정 아이콘
2차대전 후 수립된 세계질서도 아니고 1차대전기의 일은 너무 멀리 나간 것 같습니다.
15/09/07 16:2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라면, 시리아 난민 문제, 쿠르드족 독립 문제, 팔레스타인 문제... 다 해결해줘야죠.
나아가서, 이라크내 이슬람 소수 종파들, 파키스탄/이란 지역의 수니파/시아파 갈등 문제, 아프가니스탄 난민들... 다 해결해 줘야 하고요.
그게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닐겁니다. 수백, 수천명 단위라면 모를까...

서구 열강들이 잘 했다는건 아닙니다만, 이미 수 세대가 지난 일을 가지고, 지금 세대가 책임지라 하면.. 그건 좀...
15/09/07 16:29
수정 아이콘
멀쩡이 잘 살던 아프리카 사람들을 대항해시대는 거창한 이름으로 박살낸 문명화된 서구 국가들입니다. 책임질리가 없죠. 지금 아프리카에서 그 난리가 나도 뉴스꺼리나 됩니까? 하나도 안되죠. 시리아는 지금 최근 몇년이지만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가는건 수십년넘게 지속된 문제였습니다. 진짜 이기적인 국가와 국민들이네요.
물만난고기
15/09/07 16:43
수정 아이콘
죄가 있고 없고, 책임을 지고 안지고와는 무관하게 앞으로도 난민은 계속 발생할 것이며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나겠죠. 당연히 유럽으로 넘어가는 난민 숫자도 증가할 것이고요.
오래전 게르만족의 대이동처럼 중동의 사태가 악화되면 악화될 수록 수백~수천만의 동시다발적인 민족 대이동이 또 발생되지 않으리란 법이 없죠.
지금처럼 미적지근하게 난민사태를 방관하거나 자신의 일이 아닌듯하게 대처하다가는 좋든싫든 유럽은 더 큰 철퇴를 맞겠죠.
난민들은 당장 살고자하는 강한 본능에 의해 가진 것을 전부 버리고 오는 사람들입니다. 이 사람들에게 국가적 책임이니 옳고 그른 것을 묻는 것은 항상 국제관계에서 도의니 어쩌니 하는게 얼마나 멍청한 소리냐란 것과 별다를바없죠.
소위 현실세계가 힘에 의해 좌지우지된다고 하죠. 대규모의 난민들은 그 자체로 재해와 같은 힘을 지녔습니다.
실질적으로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현재 난민사태에 대해서 그 책임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만 어찌하겠습니까~ 이게 현실인데..
영국과 프랑스가 전면적으로 나서서 난민들을 수용하든 유럽전체가 좀더 적극적으로 난민문제에 개입하든 뭔가 수를 내지 않으면 통합유럽은 개뿔 예전 로마제국이 멸망했던 것 처럼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질 개연성이 충분하다고 봅니다.
arq.Gstar
15/09/07 16:54
수정 아이콘
유럽 연합차원의 대승적인 판단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100년전 일 가지고 '시간이 지났으니' 라는말을 하기엔 우리도 일본에게 책임얘기 아직도 하니까요..
15/09/07 17:00
수정 아이콘
"똥을 싼사람이 똥을 치웁시다."라는 초등학생 수준의 윤리관을 내세우는건데 댓글 반응을 보면 확실히 현실은 가혹하네요.
15/09/07 17:08
수정 아이콘
글쎄요... 엄밀히 따지면, "증조할아버지가 싼 똥을 그 증손자가 꼭 치워야만 하는가?"에 가까운 문제라...;;
네오크로우
15/09/07 17:15
수정 아이콘
더 재수 없게 말 하자면 '그 시절에는 많은 증조할아버지들이 여기저기 똥 사던 게 일반적인 시대였는데, 이제 와서 그걸 치우라고?'
이렇죠.
15/09/07 17:34
수정 아이콘
정확히 말하면 증조할아버지가 싼 똥도 아니고 증조할아버지 세대의 일부 사람들이 싼 똥이죠. 근데 이런식이면 국가가 힘만 있다면 그 어떤 일에 대해서 책임을 모두 다 회피 가능하다고 봅니다. 국가의 과거 행위에 대해서 그 책임을 그 국가의 국민에게 지울 수 없다는 논리인데 그러면 그 어떤 책임을 묻는 것 조차 불가능하니까요. 사실 복잡한 문제긴 합니다. 영국 프랑스 같은 경우는 이들을 과거의 도의적 책임을 이유로 해서 받아준다면 형평성상 다른 지역의 분쟁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책임을 느끼겠다는 말과 동치로 봐서; 문화재 반환을 안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죠. 근데 이게 세속적이고 처세적 측면에서 영국 프랑스가 이해가 가는거지 도의적 비판에 대해서는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는 사례라고 봅니다.
15/09/07 17:45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가 된 것도, 따지고 보면 가쯔라-테프트 조약에 의한 것이니 미국한테 책임을 물어야 할거고,
한국전쟁의 책임도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한 미국에 책임을 물어서 배상을 받아내야죠.
피상적으로만 따지고 들면, 1,2차 세계대전도, 연합국측이 세계를 다 갈라먹으니, 주축국측이 "야~ 니네가 다 먹으면 우리 먹을거 없잖아~!!" 해서 일어난 전쟁이라 치면, 1,2차 세계대전의 책임도 연합국측에 물어야 합니다(?)

제 얘기가 농담이라는건 당연히 아실테고... 물론 그당시 열강들이 잘했다는건 아니죠. 영국이 인도에 한 짓이나, 프랑스가 알제리에 한 짓이나, 일본이 우리나라에게 한 짓이나... 따지고 보면 도찐개찐이죠. 근데, 우리나라는 일본한테 죽어라고 사과요청 하고 배상하라고 들지만, 인도나 알제리가 지금 와서 영국이나 프랑스한테 다 책임지라고 드나요? 잔인한 얘기같지만, 역사는 결국 승자의 것이죠.
15/09/07 17:51
수정 아이콘
마지막 줄은 공감합니다. 근데 패자인 일제 의 식민지였던 대만은 오히려 일본을 찬양하죠. 결국 인과관계에 있어서 어떤 점이 강조되고 그 리즈닝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보는데 이 사례 같은 경우는 중동 관련해서 단순히 지멋대로 분할 통치 해서 이렇게 된거라고 하기에는 영국 같은 경우는 너무 깊이 개입해 있기 때문에 이런 논의까지 나오는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뭐 맨날 배상 요구하는 우리의 입장이 그렇듯 공허한 비판이 될거라는건 알지만요.
로빈팍
15/09/07 17:42
수정 아이콘
우리도 증조할아버지가 지은 죄를 그 증손자한테 사과하라고 하잖아요
15/09/07 17:46
수정 아이콘
일본도 안하잖아요 그래서.
패전국도 저렇게 뻔뻔하게 나오는데, 승전국들이 오죽할까요.
arq.Gstar
15/09/07 21:26
수정 아이콘
이건 해야한다고 비난 비판 요구할수 있느냐의 얘기인것 같습니다.
실제로 유럽이 감당하면 해야할일을 하는거고, 못하면 그냥 욕먹는것 같은데요,
뭐 욕하는것밖에 할수있는게 없기야 하죠.. 안타까운 현실이긴 하지만 그냥 쿨하게 넘어갈 일도 아닌것 같습니다.
방구차야
15/09/08 01:05
수정 아이콘
북한이 현재 못사는게 마치 일본 식민지 때문이라고 호도하는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깐풍기
15/09/07 18:36
수정 아이콘
똥싸고 튄게 아니라 남의집 금덩이 빼앗아
잘살면 증손자가 책임을 저야죠
15/09/07 18:46
수정 아이콘
거기까지 논의가 발전하면... 한도 끝도 없어집니다;;;
중동 난민만 책임지나요? 아프리카, 동남아, 남미, 호주, 중국까지.... 다 책임져야죠.

막말로(진심은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베트남 파병으로 인해서 이득을 본게 꽤 돼는데,
베트남에다가 그때 본 이득 다 돌려주고 책임져야겠네요...
arq.Gstar
15/09/07 21:24
수정 아이콘
일본과 한국의 관계도 비슷한 관계설정이 가능하겠죠;
지금 일본 국민들이 얼굴도 모르는 100년전 사람이 저지른 똥을 지들보고 치우라고 하니 공감하겠냐고 저희한테 반문하면
저희가 '예 예' 하고 받아들일리가 있겠습니까.
15/09/07 22:37
수정 아이콘
뭐... 내로남불은 동서고금의 진리 아니겠습니까(...)
애패는 엄마
15/09/07 17:09
수정 아이콘
이공계 실험도 아니고 백년이면 희석 되긴 짧은 시간입니다
저 신경쓰여요
15/09/07 17:39
수정 아이콘
단지 백 년이 지났기 때문에 영프가 저 난민에 대해 책임이 없다면 우리도 일본에 대해 책임을 지라고 하기가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네오크로우
15/09/07 17:51
수정 아이콘
책임은 분명 있는데 그 책임을 제대로 지지는 않을 거라는 의견들이죠.
저 신경쓰여요
15/09/07 17:53
수정 아이콘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해석되는 댓글도 있는 것 같습니다.
arq.Gstar
15/09/07 21:27
수정 아이콘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해석되는 댓글도 있는 것 같습니다.(2)
15/09/07 18:00
수정 아이콘
맥락의 차이도 존재할 것 같네요.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요구하는건, 과거사에 대한 사과, 그리고 직접적인 전쟁 피해자들에 대한 - 위안부 할머니들이라던지, 강제노역자들이라던지- 배상 정도지, 일제 강점기에 일어났던 모든 일들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뜻은 아니잖습니까.

그렇게 보면, 지금의 난민 문제는 영국과 프랑스가 지멋대로 국경을 그어서 일어난 일이지, 그당시에 그 나라 국민들을 강제노역을 시켰다거나, 성노예로 부렸다거나... 하는 문제가 아니니까, 책임을 진다면 난민을 받을게 아니라 민족과 종교에 따라 국경을 다시 그어줘야겠네요. 근데,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습니까...
저 신경쓰여요
15/09/07 18:01
수정 아이콘
민족과 종교에 따라 국경을 다시 그어줘야 한다는 건 일제 강점기에 일어났던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것과 같은 일이고, 난민을 수용해달라는 건 과거사에 대한 사과, 배상과 같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자는 어렵더라도 후자는 도의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일이라는 거죠. 국제 외교가 도의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은 또 다른 문제구요.
안암증기광
15/09/07 20:29
수정 아이콘
실제로 전 일본도 굳이 과거사에 대해 배상을 한다거나 책임 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arq.Gstar
15/09/07 21:28
수정 아이콘
어느시점엔가 배상 했죠. 다만 나라에 도둑놈들이 많아서 꿀꺽 한거라고 하는데요.....
로빈팍
15/09/07 17:40
수정 아이콘
독일의 경우 88%가 난민 받아들이는 것에 찬성하는데.. 확실히 오늘날 명예나 책임이라는 단어는 독일어 사전에만 남아있는듯.. 1차대전때 프랑스 대사가 했던 말처럼 영어 사전과 프랑스어 사전에 책임이라는 단어가 사라지는지 지켜볼것임
카시우스.
15/09/07 18:00
수정 아이콘
독일이 영프보다 더 인도주의적인 측면이 있는지는 잘 모르겟지만..영국과 프랑스보다 난민을 받아들일 유인이 큰건 확실하죠. 일단 경제상황도 좋고 지금까지 이민자로 인한 갈등도 덜하며 출산율도 두 나라에 비해 낮아서 난민을 받아들일 유인 내지 여력이 더 크긴하죠
열역학제2법칙
15/09/07 18:05
수정 아이콘
위기이자 기회라고 봅니다.
물론 기존의 평범하게 살던 사람들한테는 크나큰 고통이 되겠지만요. 그래도 전쟁보단 낫지 않겠습니까?
카시우스.
15/09/07 18:06
수정 아이콘
분명 어느정도 인과관계는 있지만 영프가 이 모든사태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기에 전적으로 책임지라는거는 무리한 요구라고봅니다.
애당초 누구책임은 몇프로 누구는 몇프로 이런식으로 계산도 안되기에 엄격하게 책임을 부여하거나 할당하는건 무리죠..
물론 도의적 책임과 인도주의적차원에서 일정수의 난민을 수용하는건 가능하겠지만요
Galvatron
15/09/07 18: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영국과 프랑스더러 어떻게 책임져라는건가요?
난민정도는 받아야지라는거라면 찬성합니다만, 그이상의 책임을 사실상 어떻게 질수가 없지않나요?
아름다운저그
15/09/07 18:49
수정 아이콘
난민사태의 전적인 책임을 지라는것은 무리수라고 봅니다. 그렇게 형제애가 넘치는 아랍 주요국들은 난민을 받기는 커녕 찾아오는 난민도 쫓아내고 있다지요
신예terran
15/09/07 19:13
수정 아이콘
전적으로 책임지진 못해도 주요 책임 국가로서 적극적인 모습은 보여줘야죠. 책임을 지기 어려운건 아는데 그렇다고 책임이 없어지는건 아니니까요.
15/09/07 19:33
수정 아이콘
같은 알라 믿는 나라에서 받아주는게 도리에 맞아도 한참 더 맞죠
유럽에만 인도주의를 찾는건 좀 웃기다고 봅니다 특히 좀더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사우디가 가만히 있는데요
그시기
15/09/07 19:38
수정 아이콘
먼소리죠?? 위의 행동들은 국가의 정책이었습니다. 몇몇 리플들은 무슨 개인이 사사로이 저지른 행동이라는 말 같네요.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국가가 정한 행동이고 그 책임은 국가에 있죠.
그때도 영국은 영국이었고 프랑스는 프랑스였습니다.
이거 한국에서 보는듯한 국가내의 시스템 잘못이 아닌 몇몇 개인의 잘못이라고 치부해 버리는듯한 리플들이 너무 많네요.
아니 무슨 일본에 책임을 지울수 없다뇨?
참나... 솔직히 몇몇분들 생각은 정말 이해를 못하겠네요;;;;;
아예 논점이 빗나가도 한참 빗나간 논점으로 리플들이 너무 달리네요. 국가의 행동이었습니다.
도로시-Mk2
15/09/07 20:31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국가의 책임이죠.

그러나 정작 난민들이 들어오면 국가가 아닌,

죄없는 국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다크나이트
15/09/07 21:06
수정 아이콘
국가는 똑같지만 그 국가의 구성원은 100년전 그 사람들이 아니죠.
이해도 못하겠다 식으로 그렇게 단순히 치부해버릴 수 있는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arq.Gstar
15/09/07 21:26
수정 아이콘
그게 바로 사람의 판단이라는 시각입니다.
국가는 지속되어져서 내려오고 있는걸요;;
다크나이트
15/09/07 21:54
수정 아이콘
저야 물론 좋든 싫든 그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윗 세대의 허물까지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지만,
많은 수의 저런 사람들-'도덕적 개인주의자'라고 하죠-까지 비이성적인 사람들로 몰아붙일 수 있느냐에 대해 조심스럽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쓴 거에요.
arq.Gstar
15/09/07 22:33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개인의 철학이 어떤것이든 간에 국가 구성원으로서
국가의 결정에 따른 열매를 받아먹은 사람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래서 책임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것에 대해 비판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ydney_Coleman
15/09/07 21:59
수정 아이콘
하지만 그 구성원들은 100년전부터 쌓아올려진 국가의 인프라를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기도 하죠. 이른바 선진국에 속하는 나라라면 더욱이요.
(국민 개개인이 따로 돈을 들여 난민 개개인을 받아주는 게 아니라)국가에서 받아들여 지원정책을 펼치느냐 마느냐에 대해 반대하는 것이 이해가 가는 면이 없는 건 아닙니다만 정당성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다크나이트
15/09/07 22:14
수정 아이콘
좋든 싫든 그 국가라는 공동체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이라면 윗 세대의 공과에 대해 당연히 책임 의식도 가지는 것이 맞습니다만,
(이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라는 문제는 별개로,)
그 책임 의식이 실제로 정형화되는 물질적, 정서적 손해로 현 세대에게 다가올 때,
그것을 어느 정도까지 감수해야하느냐는 어느 정도 그들간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러한 진통이 큰 국가적 분열 없이 긍정적으로 해결된다면 미래 세대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되겠지요.
Sydney_Coleman
15/09/07 22:15
수정 아이콘
넵. 좋은 말씀이라고 생각하고, 동감합니다.
요정테란마린
15/09/07 21:50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소위 몇몇 개인들이 역사 속에서 주도적으로 했던 일에 책임을 지우려면 한도 끝도 없기에 국가 차원의 책임이란 게 나오는 것이지요. 더군다나 유럽과 미국의 중동 개입은 100년 전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기도 합니다. EU나 미국 차원에서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하는 동네니깐요.
달과별
15/09/07 21:19
수정 아이콘
2차대전때 생긴 난민을 대다수 받은게 영국이죠.

당시 누구때문에 난민이 생겼는지 생각해보면..
15/09/07 22:37
수정 아이콘
언제는 노예로 써먹으려고, 아프리카에서 그렇게 흑인들을 잡아오더만...
참... 아이러니라는 생각도 문득 듭니다.
임시닉네임
15/09/09 20:45
수정 아이콘
책임져야 하는건 맞는데
책임 질 수 있느냐가 문제죠
중동, 아프리카의 내전, 난민, 빈곤
이런거 전부 서구열강들의 책임이지만
서구열강이 GDP의 100%를 매년 쏟아부어도 해결못할만큼 일이 커졌죠
영국이나 프랑스가 모든걸 쏟아부어도 해결못해요
IS하나 잡기도 버거운데 IS말고 각 테러단체들 다 때려잡는거 성공한다쳐도 그게 끝이 아니에요
당장 쿠르드족만해도 각국에 찢어진 쿠르드족들끼리도 사이가 벌어져서 지들끼리 내전합니다.
사이좋게 지내라고 말한다고 될일도 아니고 거기다가 군대 주둔시켜서 못싸우게 막는데도 한계가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166 [일반] 호주는 난민들을 미국으로 보내는데 성공할 수 있을까? [11] 달과별5936 16/12/03 5936 2
68796 [일반] 두테르테 "난민 모두 받아들이겠다. 서구는 위선자들" [36] 군디츠마라8357 16/11/20 8357 2
68520 [일반] 트럼프 당선으로 유럽에서는 난민과 무슬림에 대한 혐오가 가속화될 듯 [7] 군디츠마라5683 16/11/09 5683 0
67639 [일반] 난민 수용 인색한 일본, 유엔 압박에도 돈으로 때우기로 [39] 군디츠마라8837 16/09/20 8837 1
66231 [일반] 우간다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난민사유 [39] 사악군9134 16/07/08 9134 88
66022 [일반] 브렉시트 얘기가 나오니 갑자기 우리나라 난민, 외노자문제가 생각나네요 [69] bigname8166 16/06/28 8166 0
65932 [일반] 메르켈 난민수용정책의 나비효과... EU의 붕괴? [140] 에버그린17558 16/06/24 17558 15
65373 [일반] 호주 야당, 자국 입국 난민을 캐나다로 보내자고 주장 [28] 달과별6710 16/05/25 6710 2
63952 [일반] EU, '발칸반도 통한 난민 유입 원천봉쇄' [21] 군디츠마라6688 16/03/08 6688 1
63322 [일반] 난민에 혹독해진 유럽, 스웨덴 난민 최대 8만명 추방 [77] 군디츠마라10449 16/01/28 10449 3
63150 [일반] 독일의 난민수용 정책 이후 분열된 독일사회 [60] 에버그린11060 16/01/17 11060 2
63037 [일반] 유럽 난민 사태, 폭력과 성폭력 왜? 통계에 답이 있습니다. [18] aurelius8618 16/01/11 8618 1
62628 [일반] 덴마크, 난민의 귀중품 압수 법안 상정 [17] 달과별6581 15/12/18 6581 0
62411 [일반] 시리아 난민들, 캐나다행을 거부하다. [19] 달과별9185 15/12/07 9185 1
61658 [일반] 4600명의 마을주민과 1000명의 난민. [31] KOZE6916 15/10/24 6916 2
61220 [일반] 난민관련 보도들에 대해서 [22] 구들장군6337 15/09/28 6337 10
60946 [일반] 난민문제로 유럽연합이 분열될 조짐이 보이는 듯 [51] 군디츠마라8273 15/09/15 8273 1
60871 [일반] 유럽 가려고 기독교로 개종하는 난민들이 늘고 있다네요 [30] 군디츠마라6841 15/09/11 6841 2
60816 [일반] 최재천 "시리아 난민, 한국도 받아들여야" [100] 비토히데요시11051 15/09/08 11051 2
60800 [일반] 지금 발생하는 난민들은 영국과 프랑스가 책임져야죠 [78] 군디츠마라11476 15/09/07 11476 4
60785 [일반] 유럽이 시리아 난민들을 받아들여야 한다 생각하시나요? [62] 살랑살랑10266 15/09/06 10266 0
60732 [일반] 난민을 혐오하는 독일, 난민을 환영하는 독일 [28] Dj KOZE8420 15/09/03 8420 2
60695 [일반] 유럽의 이슬람난민 문제가 생각보다 꽤 심각하네요 [15] aurelius8467 15/09/01 84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