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03 17:57:52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djulia
15/09/03 18:28
수정 아이콘
공감하는시는분 많을거같은데.. 제가 엄청 높습니다 아이큐가.. 저는 천재인줄알았습니다. 근데 공부는 하기 싫어해서.

그 머리로 공부 안하냐고 자주 맞았죠..

사회나오니까 아이큐는 개뿔.. 천재의 천천천천재들이 넘쳐나는게 세상입니다 ㅠㅠ
카서스
15/09/03 18:29
수정 아이콘
크크크 그런데 보통 편차 16으로 148이면 상위 0.5%정도라 멘사회원급은 한학년에 2~3명, 좀 큰 학교는 4명까지 있습니다.
132이상은 거의 반당 두명은 있구요.
그리고 아이큐와 공부의 상관관계는 49%정도로 알고있습니다. 요인중 가장 높긴 하지만 수치가 영 애매하죠 (...)
새벽포도
15/09/03 18:34
수정 아이콘
.
카서스
15/09/03 18:3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그떄 선생님들은 거의 2차세계대전 즈음의 구식 이론들을 배우신 분들이니까요 크크 별수없죠.
최강삼성돌중일
15/09/03 18:29
수정 아이콘
그래도 90대는 안 나오셨으니 모르실 겁니다.

똥 마려워서 대충 쳤다가 90대나와서

전 중학교때 원숭이 취급을 받았었단... ㅜㅜ
15/09/03 18:36
수정 아이콘
중학교때 풀기싫어서 찍었는데47인가....
물론 선생님하테 뒤지게 혼났죠
지직지직
15/09/03 20:08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iq테스트를 하나요?? 전 23년동안 제 iq를 모릅니다. 학교에선 성격검사밖에 안하던데..
세인트
15/09/04 09:48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에 학교에서 치룬 테스트에서 147이랑 148(인가 9였나) 나왔었습니다
그래도 머리좋다 이야기는 못 듣고 살아본 것 같네요 (우리부모님 빼고) 흑흑
15/09/04 10:44
수정 아이콘
저도 학생 때 검사하던 아이큐는 글쓴분처럼 항상 널을 뛰던데... 대부분 초딩때부터 고딩때까지 검사하면 일관성있게 나오셨나요?
15/09/04 11:21
수정 아이콘
저도 학교 때 아이큐 검사는 한 번도 해 본 적 없네요.
오히려 엄마께서 저를 영재라 생각하시고 (대부분 엄마들처럼) 테스트를 하러 간 적이 있었는데요.
뭐 되게 쉬웠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가 초등학교 입학 전이었나. 그랬는데.
100명 중에 8등이다. 라는 결과를 가지고 나왔었네요. 흐흐
다리기
15/09/04 11:38
수정 아이콘
7살때 140대 나와서 영재교육 해야한다고 막 호들갑..
초4땐가 또 140대 전교에 두명 있었는데 다른애가 진짜 천재로 유명했던 아이였던 기억이 나네요.

이 두 번의 검사가 내 인생을 망쳤다고 확신합니다. 내가 진짜로 똑똑한줄 알았어요. 남들보다 조금만 해도 성적 그까이꺼 대~충 나오는데 열심히할 이유도 없고.. 대충해서 너무 잘받으면 열심히 하는 친구한테 미안하니까 아예 안해도돼 라는 미친합리화를 하면서도 어찌어찌 운좋게 적당히 대학진학.
술과 게임으로 몇 년을 지내다보니 그나마 남은 총기도 다 날아가고 돌머리와 뼛속까지 새겨진 게으른 습관 방만한 마인드만 남았네요.

그런거 아무 의미 없다고 너도 열심히 해야한다고, 노력 없이 얻은 결과는 니 것이 아니라고 부모님이든 선생님이든 얘기해줬으면 달라졌을까요... 혹시나 자식 키우게되면 똑똑하다는 칭찬은 죽어도 안할겁니다. 애 신세 망치는 길인듯 ㅜㅜ
새벽포도
15/09/04 11:59
수정 아이콘
.
다리기
15/09/04 12:10
수정 아이콘
열심히하네 장하다! 이런 칭찬을 들으면 결과와 상관없이 열심히 하게되요. 과정 자체를 칭찬받으니까요.
이야 똑똑하네. 이런 칭찬에 익숙해지면 결과가 안좋을때 칭찬을 못받죠. 똑똑한 아이가 못되는겁니다. 이런 아이는 했던거만 또 하고 쉬운거 하려고하고 도전을 안해요. 똑똑하다는 칭찬을 들으려면 못하면 안되니까요.

아동심리학인지 교육학인지 둘다인지 다 나오는 얘긴데 이거 보자마자 내 얘기다 싶더라고요.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안주하는 성향.. 노력과 발전이 있을 수가 없는 상태로 어린시절을.. ㅜㅜ

저도 칭찬을 부담스러워 하는 타입이긴 했는데 그럼에도 인정 받고싶은 욕구는 있었어요. 근데 관심받긴 시름..크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907 [일반] 이종걸 "문재인, 유신 재신임 요구했던 박정희 떠올라" [192] 알베르토14048 15/09/13 14048 2
60906 [일반] 대도서관 다음팟 방송건과 관련된 생각 [234] Alan_Baxter23092 15/09/13 23092 3
60905 [일반] 망했다.... [21] 후추통11617 15/09/13 11617 0
60903 [일반] 자유게시판 운영위원위 활동을 재개합니다. [5] OrBef3971 15/09/13 3971 0
60902 [일반] 글 써서 남 주기 대회를 개최합니다 [36] OrBef7955 15/09/13 7955 19
60901 [일반] 기능 지상주의 시대의 정점에 섰던 무명의 제왕 '샤프아이' [8] Zelazny6971 15/09/13 6971 3
60900 [일반] [K리그] 이동국, 7시즌 연속 두자릿수 득점 달성 [22] The xian5870 15/09/13 5870 5
60899 댓글잠금 [일반] 남자는 확실히 여성보다 말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14] swift9328 15/09/13 9328 14
60898 댓글잠금 [일반] 여자는 확실히 남성보다 운전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27] 송파사랑10977 15/09/13 10977 4
60897 [일반] 오사카 3박4일 여행 후기. [43] BessaR3a9652 15/09/13 9652 6
60896 [일반] [야구] 재미로 보는 앞으로의 선발로테이션 [12] 이홍기5410 15/09/13 5410 6
60895 [일반] [재밌는 책소개] 이웃집 슈퍼 히어로 - 한국형 히어로물이란? [8] 즐겁게삽시다4463 15/09/13 4463 6
60894 [일반] 스알못의 IT 스타트업 잡담 - 1편 [18] 츄지Heart5642 15/09/13 5642 0
60893 [일반] [그것이 알고싶다] 대기업의 힘이 상상이상이네요 [23] SkPJi11399 15/09/13 11399 2
60892 [일반] [KBL] KBL 2015 - 2016 시즌프리뷰(1) [31] SaRaBia3795 15/09/12 3795 1
60890 [일반] 대격변 이후 다음팟 근황 [121] 오즈s18728 15/09/12 18728 3
60889 [일반] 오늘 무도 배달의 음식 편 감상문.. [29] 삼성전자홧팅10761 15/09/12 10761 4
60887 [일반] 결제 방법-새로운 시장 [16] 질보승천수6422 15/09/12 6422 1
60886 [일반] 추억의 싸이월드, 방명록·일촌평·쪽지 기능 종료 [41] 시나브로9220 15/09/12 9220 1
60885 [일반] [테니스] 세레나 윌리엄스. '캘린더 그랜드슬램' 도전 실패 [15] The xian6342 15/09/12 6342 0
60884 [일반] 습득물과 경찰 [10] Zelazny5031 15/09/12 5031 4
60880 [일반] 훈훈한 사진 모음2 [24] OrBef9544 15/09/12 9544 14
60879 [일반] 삼성 갤럭시노트5 예찬 [67] The Special One15222 15/09/12 15222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