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02 11:17:17
Name Tiny
Subject [일반] 최근에 본 몇가지 관심있는 뉴스 몇개
최근에 읽은 몇가지 관심사와 뉴스들 보다가 나눠볼까 해서 글쓰기를 해보네요..


1. 5대 재벌이 ‘앞다퉈’ 밝힌 청년고용계획의 진실

저는 민중의소리라는 언론을 딱히 좋아하지는 않는 편입니다. 뭐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이지만 천천히 곱씹어보며 읽어볼만한 기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어찌보면 딱히 이 부분을 짚고 넘어가는 언론사도 없는 느낌이네요. 비슷한 형태로 긁고 지나간 일요서울의 다른 기사가 있긴 합니다만 결론적으로 보면 손안대고 코풀기를 참으로 잘하는 재벌가입니다.

숫자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나 딱히 뭔가 엄청난 획기적인것은 없다는게 기사를 읽은 후의 소감입니다. 시간을 놓고 천천히 다 읽어보며 생각을 해봐야 하는게 쉽지 않은 세상인만큼 여러모로 따져보고 알아봐서 알려주는 언론의 순기능을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http://www.vop.co.kr/A00000924100.html




2. KB국민은행이 제대로된 오픈뱅킹을 지원합니다.

ActiveX및 기타 애드온이 필요 없이 브라우저 자체가 지원하는 기능을 이용해 인증서를 관리하고 뱅킹을 할 수 있는 Html5기반의 뱅킹을 어제부터 지원합니다. Chrome이나 Windows10의 Edge 브라우저등에서 이용 가능

인증서를 여전히 쓰냐라고 하시겠지만 이정도면 정말 놀라운 변화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보안대책이 꽤 많이 개선 됩니다. 스마트OTP를 도입해서 별도의 NFC인증이 가능한 카드를 발급받아 스마트폰 상에서 NFC로 물리적 인증을 받는 형태로 가는 것 같습니다.

기존의 보안카드 번호 입력하라고 해서 낚는 경우의 보안사고로부터도 꽤나 안전해질것으로 보입니다. KB에서는 10만개를 우선 무료 배포(9월 30일까지라고 하네요)하고 이후에는 3천원의 발급비를 받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패스워드 입력을 마우스로 해야 하는 불편함 같은 부분을 해소하려면 결국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은 또 설치해야 하나 싶지만 일단 이만큼이나 발전을 해줬다는게 놀랍고 그게 다른 은행도 아니고 KB라는건 꽤 놀랍습니다 -_-;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901103020



3. Chrome 45버전 정식 업데이트가 됐습니다.

변경점:
- 새로운 자바스크립트 언어 ES2015 메이저 업데이트
- 다수의 확장 프로그램/앱 API 추가, 향상 및 수정
- 그 외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안정화 및 성능 향상
- 중요도 높음 6건을 포함한 총 29건의 보안 취약점 해결
- 이번 버전부터 NPAPI 지원 완전 중단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25046

추가적으로 Flash 광고 관련 문제가 있어서 파이어폭스에서는 이미 시행되던 Flash 자동 실행부분도 작동 안되도록 한것 같습니다.

NPAPI는 Netscape Plugin API로 관련해서 예전에 중단한것때문에 Pig toolbox의 마우스제스쳐 일부를 사용 못하게 됐고(엉엉), 이번 완전 중단으로 인해 .exe(실행파일 기반) 애드온들도 전부 중단이 되어 금융권 및 쇼핑몰 등등 크롬을 이용한 연동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 비상이 걸렸다고 합니다 -_-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0901150804466

심지어는 크롬 구버전 쓰세요, 업데이트 하지 마세요라는데 ......... 보안과 관련해서 가장 민감한 돈이 굴러가는 법과 관련한 공무원과 돈이 굴러가는 회사들의 담당자들이 정말 자신의 신념으로 그런소리를 하지는 않으실거라고 생각해봅니다.


나른한 수요일이네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무적전설
15/09/02 11:27
수정 아이콘
업무상 어쩔수 없이 액티브엑스를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몇 가지 있는데, 이게 바꾸기엔 돈과 시간이 엄청나게 들고, 참 계륵인거 같아요.
정말 바꾸고 싶은데 현실은 제 개인이 생각하는 것과는 다르기에, 새롭게 기존시스템은 갈아 엎어서 하려면 한 100억쯤 투자해야 하는데 예산은 없고..

우리나라 기업들이나 공공기관이 업그레이드 하지 말라고 하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모든게 다 돈과 시간과 인력이죠..
15/09/02 11:31
수정 아이콘
기존 시스템이 갈아 엎어지면 비용이 새지만 않고 정확하게 사업이 진행된다는 전제면 분명 작업능률이나 기대 향상 부분도 있으며 IT업계도 추가적인 사업수주효과가 있으니 내수시장에도 작게나마 도움이 될거라고 봅니다..................만.....

현실은 비용은 어디론가 새가면서 원청에 하청에 다시 하청에 하청쯤으로 가버리고, 돈들인만큼의 뭔가는 나오지도 않고...

ActiveX계열 프로그램에 바라는건 딱 하납니다. 제발 그 니들사이트 돌아갈때만 켜주세요. 하지만 그 니들 사이트 돌아갈때만 켜지는걸 확인하기 위해 모태 프로그램 하나는 컴퓨터가 켜질때부터 로드가 되고 있다는게 기가막힌 상황일 뿐이죠..
15/09/02 11:29
수정 아이콘
항상 인터넷 브라우저 보안패치랑 새 패치 나올때마다 나오는 이야기지만
특히나 보안패치관련이나 각종 api관련해서 그렇게 준비해라고해라고 해도 꼭 닥치고 나면
업데이트하지마세요 구버전 쓰세요...
국내만큼 기업들에게 보안관련해서 관대한 나라도 없구만 기본도 준비를 안하니... 사용자 입장에선 욕만나오는..
15/09/02 11:36
수정 아이콘
그만큼 기업들의 의사결정 구조가 굳어있단 반증이라고 봅니다.
실무쪽에선 분명필요하다고 의견제기를 하겠지만 그놈의 돈과 수직적 구조에서 제기가 묻혀버리거나, 제기조차 안하거나..

가끔 생각하는데 국회 출석인증 시스템을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고, 지문인식 보안기계에 지문과 연동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해서 국회 출석여부 확인을 하도록 하고 그 인증서 발급과 지문등록 과정은 국회의원 본인이 보좌관 도움없이 하는 일을 딱 한번만 시키면 ActiveX고 뭐고 전부 다 박살이 나지 않을까 하는 헛된 망상을 해봅니다.
초식성육식동물
15/09/02 11:34
수정 아이콘
1번 내용은 얼마전 이명박 정부때 체결한 해외투자가들의 MOU가 결국 공염불이었다는 기사를 읽었었는데, 비슷한 맥락이군요. 요란하지만 속빈강정..
15/09/02 11:37
수정 아이콘
정부는 이보시오 우리가 이만큼 경기부양책을 썼소, 그러니 사면이나 증여관련한 문제는 좋게 넘어가는거 인정해줍시다.
재벌은 우리가 이만큼 경기부양안을 내놓았소. 그러니 우리 나쁜짓 해도 이해해주십셔(사면, 증여 문제 등등)
NLostPsiki
15/09/02 11:44
수정 아이콘
크롬은 구버전 쓰고 싶다고 쓸수 있는게 아니지 않나요?
15/09/02 11:46
수정 아이콘
자동 업데이트 막고, 구버전 설치하면 사용 가능 합니다.

저도 과거 Pig Toolbox때문에 억지로 크롬 구버전을 강제로 몇달 써보기도 했습니다.
NLostPsiki
15/09/02 11:57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하지만 제 크롬은 이미 45!
꾱밖에모르는바보
15/09/02 12:04
수정 아이콘
네이버 스트리밍은 NPAPI에 대응했습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통해서 스트리밍 프로그램으로 우회하는거라 달라진게 없지만요,. 크크크크
15/09/02 13:33
수정 아이콘
유연(?!) 꼼수(!?)대처라도 할 수 있는게 어디겠습니까 크크크..
지나가다...
15/09/02 12:20
수정 아이콘
국민은 전부터 나름 열린 금융기관이었던 게, 그전에도 BC카드와 함께 아이패드로 들어가서 뭘 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었습니다.
15/09/02 13:33
수정 아이콘
오픈뱅킹쪽은 우리가 제법 빠르게 오는듯 했는데 포문은 엉뚱한곳이 열었단게 신기하긴 하네요 크크..
CoMbI CoLa
15/09/02 12:22
수정 아이콘
국민은행 이야기는 처음 듣네요.
오늘 집에 가면 써봐야겠습니다.
15/09/02 13:34
수정 아이콘
기존인증서 변환툴 받는것 빼고는 딱히 거슬림이......... 패스워드 입력할때 좀 귀찮긴 합니다;
메리프
15/09/02 13:21
수정 아이콘
저는 "이번 (대회/투자/...)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총 X원에 달하며 약 Y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만들 것" 이라고 발표할 때는 그 숫자가 어떻게 나왔는지에 대한 자료와 그거 계산한 사람 이름을 공개하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럴 리 없겠지만)
15/09/02 13:35
수정 아이콘
그 숫자가 정말 근거가 제대로 된 데이터면 보고서 쓸 사람이 주식하든지 다른걸 해서 돈을 더 많이 벌거라고 봅니다.

추정 혹은 기대수치는 참고자료지 절대적 신뢰를 보낼 자료라고 보기는 어려운데, 일반적인 경우에 해당 수치가 나오면 그게 절대수치라고 생각하고 맹신하게 되는 묘한 효과가 있더군요.
WeakandPowerless
15/09/02 15:01
수정 아이콘
첫 기사는 참 열받는군요;; 뭐 재벌들 저러는 게 하루이틀이겠냐만 그냥 가만히라도 있지 왜 뻥카를 쳐서 마음을 더 아프게 하는지 ㅠㅠ
여담으로 말씀대로 제대로 된 기사네요 앞으로 저 기자 주목해 봐야 겠네요
애패는 엄마
15/09/02 16:56
수정 아이콘
채용 인원 최대라고 지상파 뉴스도 덩달아 엄청나게 때리더니 저런 비밀이 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114 [일반] [1][우왕] 아내의 건강 [25] 글곰5800 15/09/23 5800 41
61076 [일반] 아시아에서 금융 경쟁력이 가장 높은 도시 Top10 [2] 김치찌개3435 15/09/22 3435 0
61065 [일반] 아시아에서 기본자기자본 규모가 가장 큰 은행 Top10 김치찌개3307 15/09/21 3307 0
61046 [일반] 전 세계에서 기본자기자본 규모가 가장 큰 은행 Top10 [8] 김치찌개4201 15/09/20 4201 1
61029 [일반] [1][우왕]도서정가제.. 살려주세요.. (책 가격은 왜 안 내려가는가?) [112] 스테비아156442 15/09/19 156442 73
60976 [일반] 9월 미국 FOMC 미팅 드디어 하루 앞으로! [12] Elvenblood4909 15/09/17 4909 7
60887 [일반] 결제 방법-새로운 시장 [16] 질보승천수5867 15/09/12 5867 1
60828 [일반] 오늘 개봉한 노트5 후기 및 3시간만에 펜이 거꾸로 끼인 이야기.. [46] 피부미남9414 15/09/09 9414 1
60726 [일반] [클래식] 듣기 쉬운 피아노 독주곡 10선 - 1 [19] 김연아5507 15/09/03 5507 6
60709 [일반] 김무성 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 전문 [111] 어강됴리11182 15/09/02 11182 16
60704 [일반] 최근에 본 몇가지 관심있는 뉴스 몇개 [19] Tiny5895 15/09/02 5895 2
60597 [일반] [영어 동영상] 버니 샌더스, 사민주의를 미국에! [51] OrBef9355 15/08/28 9355 30
60596 [일반] 토막 사회상식, 법인과 대표이사와의 관계 [34] 불타는밀밭16994 15/08/28 16994 93
60553 [일반] 질문게시판에 질문올리다가 알게된 안드로이드 순정 핸드폰 배터리 소모 줄이는 방법. [18] Secundo13316 15/08/26 13316 14
60500 [일반] [영화소식] 장동건 차기작 확정, '7년의 밤' [30] 여자친구11149 15/08/23 11149 1
60468 [일반] [시사] 유럽의 분열과 독일의 부상 [15] aurelius6717 15/08/21 6717 22
60367 [일반] 주변에 낙하산들 많으시나요?? [69] 카시우스.18437 15/08/14 18437 4
60247 [일반] 통장 개설이 엄격해진거 알고 계셨나요? [63] PENTAX19354 15/08/07 19354 2
60218 [일반] 나의 왕따 이야기 - 2 [9] leeve4013 15/08/05 4013 1
60204 [일반] 나의 왕따 이야기 - 1 [13] leeve4496 15/08/05 4496 1
60199 [일반] [잡담] 비법공개-가난 탈출법 [6] 언뜻 유재석6737 15/08/05 6737 8
59987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및 선수이동 [23] pioren4560 15/07/24 4560 0
59809 [일반] 역대 채무액이 가장 많았던 국가 부도를 선언한 국가 Top10 [3] 김치찌개5498 15/07/15 549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