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7/27 12:32:1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베르메르의 회화를 통해 보는 17세기 세계화

요하네스 베르메르, 


우리에게는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로 가장 유명한 화가이죠. 



그런데 그의 그림을 통해 17세기 세계경제사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하는 책이 있습니다. 


캐나다의 저명한 역사가 티모시 브룩(Timothy Brook)이 저술한 <Vermeer's Hat: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Dawn of the Global World >라는 제목의 책입니다..


그에 따르면 세계화라는 현상은 근대에 처음 발생한 게 아니라 17세기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이는 요즘 새로운 주장은 전혀 아니긴 하지만, 이를 베르메르의 회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는 게 흥미롭습니다. 


예컨대 <장교와 웃는 여자>라는 회화에서는 



캐나다에서 수입한 모피로 만든 모자를 볼 수 있고 또 일반 가정집에서 세계지도를 걸어놓는 등, 당시 일반인들의 세계지향성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 그림들을 보면 다른 집에서도 지도를 걸어놓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 그림에서는 중국산 도자기에 과일이 담겨있고, 그 도자기는 터키산 카페트 위에 올려놓아져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시 네덜란드인들이 수입했던 물건들이 무엇이었나를 보여주는 자료이며, 또한 그 가격이 꼭 엄청 비싸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 다른 한편 아래 그림에서는 한 여인이 은을 저울질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당대 주요 결제 수단이었던 은화의 중요성과 보편성을 말해주고 있다고 합니다. 


File:Woman-with-a-balance-by-Vermeer.jpg



저자는 이런저런 그림들을 보여주면서 그 그림 뒷배경에 숨어있는 17세기 세계경제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쓰고 있는데, 상당히 참신한 시도이며 아울러 당대인들에게 <세계화>란 무엇이었나를 보다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거 같습니다.



정말 강추하는 책이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annenbaum
15/07/27 14:5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王天君
15/07/27 15:11
수정 아이콘
오오 재미있군요. 베르메르는 정말 신비의 화가인가요 이야기 썰이 상당히 많네요
마스터충달
15/07/27 15:51
수정 아이콘
정말 재미있네요. 17세기면 대항해시대쯤이겠죠? 집집마다 세계지도라니 굉장한 유행이었나 보네요.

항상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아리아스타크
15/07/27 17:08
수정 아이콘
베르세르크의 그림체를 통한 17세기 중세의 모습으로 보고 들어왔네요..
죽기 전에 베르세르크 완결보고싶네요
Jedi Woon
15/07/27 17:23
수정 아이콘
오~~~그림 자체 화풍과 그 배경이 흥미롭네요!
Crystal Castles
15/07/27 17:53
수정 아이콘
아직 번역 안됐나 해서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오래된 책이네요.

<베르메르의 모자 : 베르메르의 그림을 통해 본 17세기 동서문명교류사>(추수밭)이 한글번역본입니다.
여자친구
15/07/27 19:43
수정 아이콘
울트라마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082 [일반] [해외축구] 맥시코 대표팀 감독, 원 투 스트레이트!그리고 경질. [8] V.serum5370 15/07/30 5370 1
60080 [일반] 섹스의 자서전 -1- [63] 리듬파워근성23032 15/07/30 23032 40
60079 [일반] 극단적으로 치닫는 남혐과 여혐을 보며 [81] La_vie11132 15/07/30 11132 7
60078 [일반] 새롭게 바뀐 윈도우10, 다들 어떠신가요? [34] 삭제됨9641 15/07/30 9641 2
60077 [일반] 맥주를 가볍게 마셔보자 - 0 [69] 스트롱거9432 15/07/29 9432 11
60076 [일반] LG가 2분기에 스마트폰으로 2억의 영업이익을 거뒀습니다 [76] Leeka12524 15/07/29 12524 1
60075 [일반] 출사표를 뛰어넘는 천하제일 명문, 청태종의 대 조선 국서. [36] 우주모함10107 15/07/29 10107 5
60074 [일반] [야구]2연속 끝내기 패배의 충격 [33] 이홍기8200 15/07/29 8200 0
60073 [일반] 조공 트레이드의 대가, 서초패왕 항우 [56] 신불해11290 15/07/29 11290 7
60072 [일반] 아따따뚜겐 [6] Secundo4736 15/07/29 4736 9
60071 [일반] 혁오와 정형돈 [97] 16817 15/07/29 16817 70
60070 [일반] 한화이글스에 대한 오해. [222] 미하라14179 15/07/29 14179 12
60069 [일반] Be Dad [아빠 냥이 이야기-스압+이미지 다수첨부] [11] 종이사진4448 15/07/29 4448 13
60068 [일반] [역사] 1772년, 영국 최초의 노예해방 판례 [7] aurelius4772 15/07/29 4772 5
60067 [일반] 자게올려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남미 여행 사진입니다(사진 재업로드) [41] 사신군5023 15/07/29 5023 4
60066 [일반] 봉이 김선달 뒤통수를 때릴 제품들 4가지 소개 [80] 포켓토이13302 15/07/29 13302 10
60065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및 선수이동 [25] pioren4920 15/07/29 4920 0
60064 [일반] 안드로이드 최대 보안이슈가 터졌습니다. [95] Leeka17534 15/07/29 17534 3
60063 [일반] 與 내부문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시 과반의석 붕괴" [49] 알베르토7215 15/07/29 7215 2
60062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하- [12] sungsik5758 15/07/29 5758 7
60061 [일반] 해외 직구 때문에 정말 답답합니다. [157] 알마16505 15/07/29 16505 5
60060 [일반] 국정원 사건에 대한 짧은 생각(월요일 기사 추가 및 반박추가합니다) [39] 이순신정네거리7096 15/07/28 7096 8
60059 [일반] 한화이글스 불펜 혹사 [375] 자전거도둑18292 15/07/28 1829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