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7/25 13:33:45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1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7/25 13:42
수정 아이콘
저도 보고왔는데 가볍게 보고 오기 좋은 영화 같습니다.
브라운
15/07/25 13:47
수정 아이콘
지금 보러 왔습니다. 오늘 10시쯤 메이플2 월드채팅으로 스포당했는데 그게 정말인지 확인하고 올게요ㅠㅠ
맥주귀신
15/07/25 13:55
수정 아이콘
아 그래요?
저도 글쓴님과 똑같은 생각(너무 무겁지나 않을까)을 햇었어서 안보려고 했는데
딱 제가 원하던 바였네요. 꼭 보러가야겠습니다. 감사용~
회전목마
15/07/25 14:01
수정 아이콘
무게감을 따지면 안무거워서 보기 편해요
무언가
15/07/25 14:04
수정 아이콘
전 재밌게 보고왔습니다~
마스터충달
15/07/25 14:08
수정 아이콘
이 영화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역사극으로서 부족하다거나 무게감이 없다고 혹평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장르적 재미가 엉성하다는 비판이 많아요. 이야기의 개연성이 부족하다거나 캐릭터가 약하다고 하고 있지요.

오히려 역사극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습니다. 김원봉이 등장했다는 것 만으로도 역사극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으니까요.

평론가들이 독립운동을 가볍게 다뤘다고 혹평하는 것은 아닙니다. 차라리 재미에 더 꼼꼼히 신경썼다면 평론가들의 평가가 더 높아졌을 겁니다.

전 볼만했습니다. 이야기가 더 엉성한 영화도 많은데다가, 2시간 20분을 지루하지 않게 보낼 정도면 잘 보고 나온 거라고 생각해서요. 아무래도 최동훈에 대한 기대 때문에 여론의 평가가 더 박한 게 아닐까 싶어요.
ridewitme
15/07/25 14:22
수정 아이콘
222.
15/07/25 16:45
수정 아이콘
전 이 영화를 보지 못했지만 메이저 상업 영화에서 조금이라도 김원봉 선생님에 대해 알려질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5/07/25 14:23
수정 아이콘
무거운 내용을 가볍게 접근한건 좋은 시도라고 봅니다만, 치밀하지 못한 시나리오와 밋밋한 캐릭터가 그 재미를 반감시키고 있습니다.

킬링타임용으로는 좋은 영화입니다.
ridewitme
15/07/25 14:24
수정 아이콘
하정우피부... 정말 아쉬워요 나홍진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ㅜㅜ
정 주지 마!
15/07/25 16:43
수정 아이콘
하정우 피부가 나홍진과 무슨 관계가 있나요?
하야로비
15/07/25 23:38
수정 아이콘
하정우 피부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게 나홍진 감독과 함께 "황해" 찍을때였거든요.
하정우는 나름 시술도 받고 관리 한다고 했는데 촬영 당시 나홍진 감독이 리얼리티 살려야 한다고 로션도 못바르고 칼바람 맞아가며 촬영하다가 이제는 그만...
불대가리
15/07/25 15:06
수정 아이콘
선택을 망설이는 분들께

최동훈이어서 보러간다 -> 대실망
장르가 액션이어서 보러간다 -> 실망
훌륭한 배우들 때문에 보러간다 -> 실망

딱히 볼게 없어서 들어갔다 -> 돈은 아깝지 않을 정도

더 혹평하고 싶지만 상업 영화에서 약산을 조명했다는 점을 감안해 여기까지만...


약산 김원봉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다면

http://www.podbbang.com/ch/4362?e=21200210 (팟캐스트 라디오 입니다.)
착한 외계인
15/07/25 17:00
수정 아이콘
222.
회자정리
15/07/25 15:12
수정 아이콘
개인적 평가로는
볼만한가? 예 // 기대치를 충족하는가? 아니요.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 영화 보면서 계속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가 생각 났습니다. 다시 한 번 읽고픈데 고향집에 있어서 읽지를 못하네요...
송파사랑
15/07/25 15:13
수정 아이콘
되도않는 개그코드가 정말 눈쌀을 찌푸리게 하더군요
singlemind
15/07/25 16:14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습니다 여론의 혹평이라는게 보고난 관객의 설문조사인지 아니면 시사회를봤던 기자와 평론가들의 평의 위주인지 궁금하네요 무조건 재미있을꺼 같은 영화인데 피지알 평이 박한거 같아서요 엥간하면 관대하게 보는 스타일이고 범죄의재구성 타짜는 한국영화중 최고로 치기에 무조건 볼것이지만요
Physiallergy
15/07/25 16:55
수정 아이콘
평론가들의 평 위주일 겁니다. 평론가들의 평은 6점 정도인데 관람객들의 평점은 9점 정도를 찍고 있어서요
네이버 평점인 점은 감안해야겠지만..
개인적인 감상으로는 웰메이드 오락영화였습니다.
주본좌
15/07/25 16:50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의 각종 반응을 본다면 충분히 '재밌는영화'라는게
지금까지의 암살관련글들을 보면서 제가 내린 결론이네요

꼭 봐야겠당~
AD Reverse Carry
15/07/25 17:03
수정 아이콘
만족스러운 기대이하라고 해야할까요. 최동훈 감독 특유의 경쾌한 리듬감이나 매력적인 캐릭터가 사라진데 아쉬움이 많이 남더라고요. 다만 2시간 20분 동안 킬링타임용 오락영화론 충분하긴 합니다.
InSomNia
15/07/25 17:52
수정 아이콘
최근 지대넓얕에 홀릭중이라 지난2주간 업데이트 된 내용을 듣고 어제 영화를 봤습니다.
역시 적당한 사전지식이 영화를 더 재밌게 만들어 주더라구요. 물론 팟캐스트 안듣고 봤어도 영화는 재밌게 봤을거같네요.
의열단, 그리고 김원봉선생님이 나왔다는것만으로도 이 영화는 시간되면 보라고 주변에 권할거 같습니다.
ImpactTheWorld
15/07/25 18:34
수정 아이콘
보러갈까 생각중인데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지루한 영화라 하더라도 극장에서 핸드폰 시계는 안보시는게...
i_terran
15/07/25 18:45
수정 아이콘
최동훈 감독은 우리나라 감독중에서 저아는한 유일하게 제대로된 상업영화 감독이라고 생각해요. 화제성이나 우연이 아니라 정말 장르 영화를 장르영화답게 만들어요. 다만 일제시대란 소재가 100%장르영화으로 수용될 수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마요라
15/07/25 18:48
수정 아이콘
내용과 별도로 전지현씨가 너무예뻐요... 아직도 머릿속에 남아있네요
15/07/25 20:52
수정 아이콘
단체 관람했는데 다들 기대 이상이라는 평입니다
15/07/25 21:21
수정 아이콘
우리 나라 상업영화에서 뽑아낼수 있는 재미는 거의 뽑아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평이 박하군요;;
브라운
15/07/26 00:21
수정 아이콘
보고 왔습니다.
괜찮게 봤는데 여기선 평가가 되게 박하군요 흐흐..
뭔가 이야기가 살짝 부자연스러운 느낌은 들었는데, 배우들이 다 좋은 배우들이라 그런지 그런 점은 그냥 아 이게 단점이구나 하면서 봤네요.
개인적으론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이었습니다.
Computer
15/07/26 01: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킬링타임으로만 따지면 올해 한국영화중 최고였습니다 2시간동안 시간가는줄모르고 봤습니다
백곰사마
15/07/26 07:3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좀 엉망이였네요...
뻔한 플롯 뻔한 내용....다만 전개가 빠른 것 정도는
괜찮을려나..마지막 씬도 너무 작위적이라
헛웃음이 나오던데..진짜.최동훈도 이제 다.됐나
봅니다...어휴
블랙탄_진도
15/07/26 22:57
수정 아이콘
재미있었어요.

2시간넘게 흘러가는 러닝타임동안 지루함이 없었어요.
15/07/27 11:07
수정 아이콘
영화가 가벼워서 재미있게 보고왔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080 [일반] 섹스의 자서전 -1- [63] 리듬파워근성23032 15/07/30 23032 40
60079 [일반] 극단적으로 치닫는 남혐과 여혐을 보며 [81] La_vie11132 15/07/30 11132 7
60078 [일반] 새롭게 바뀐 윈도우10, 다들 어떠신가요? [34] 삭제됨9641 15/07/30 9641 2
60077 [일반] 맥주를 가볍게 마셔보자 - 0 [69] 스트롱거9432 15/07/29 9432 11
60076 [일반] LG가 2분기에 스마트폰으로 2억의 영업이익을 거뒀습니다 [76] Leeka12524 15/07/29 12524 1
60075 [일반] 출사표를 뛰어넘는 천하제일 명문, 청태종의 대 조선 국서. [36] 우주모함10107 15/07/29 10107 5
60074 [일반] [야구]2연속 끝내기 패배의 충격 [33] 이홍기8200 15/07/29 8200 0
60073 [일반] 조공 트레이드의 대가, 서초패왕 항우 [56] 신불해11290 15/07/29 11290 7
60072 [일반] 아따따뚜겐 [6] Secundo4736 15/07/29 4736 9
60071 [일반] 혁오와 정형돈 [97] 16817 15/07/29 16817 70
60070 [일반] 한화이글스에 대한 오해. [222] 미하라14179 15/07/29 14179 12
60069 [일반] Be Dad [아빠 냥이 이야기-스압+이미지 다수첨부] [11] 종이사진4448 15/07/29 4448 13
60068 [일반] [역사] 1772년, 영국 최초의 노예해방 판례 [7] aurelius4772 15/07/29 4772 5
60067 [일반] 자게올려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남미 여행 사진입니다(사진 재업로드) [41] 사신군5023 15/07/29 5023 4
60066 [일반] 봉이 김선달 뒤통수를 때릴 제품들 4가지 소개 [80] 포켓토이13302 15/07/29 13302 10
60065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및 선수이동 [25] pioren4919 15/07/29 4919 0
60064 [일반] 안드로이드 최대 보안이슈가 터졌습니다. [95] Leeka17534 15/07/29 17534 3
60063 [일반] 與 내부문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시 과반의석 붕괴" [49] 알베르토7215 15/07/29 7215 2
60062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하- [12] sungsik5758 15/07/29 5758 7
60061 [일반] 해외 직구 때문에 정말 답답합니다. [157] 알마16505 15/07/29 16505 5
60060 [일반] 국정원 사건에 대한 짧은 생각(월요일 기사 추가 및 반박추가합니다) [39] 이순신정네거리7096 15/07/28 7096 8
60059 [일반] 한화이글스 불펜 혹사 [375] 자전거도둑18292 15/07/28 18292 1
60058 [일반] 멀티플레이어즈(3) 오마이걸 승희 [11] 좋아요4121 15/07/28 41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