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7/03 15:30:40
Name 콩쥐팥쥐
Subject [일반] [규정관련 토론] 인터넷 게시물의 출처 표기에 관하여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245367

유게에서 관련공지가 있고, 논란이 있습니다. 토론을 위한 개진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제 의견 및 해당 글의 일부댓글에 대한 반박을 쓰겠습니다.

* 링크글의 댓글을 읽어야 제 글을 완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유머자료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습니다. 방송 캡쳐자료라면 캡쳐하는 수고가 있을 것이고 누가봐도 정성을 기하는 것이라면, 그 정성이 들어갑니다. 이것들 중 재밌는 것들은 여러 유머사이트를 돌아다니게 되지만 만든사람과 퍼간 사람 모두 영리목적이 아니기에 저작권적 이슈가 생기는 케이스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두 부류 모두 목적은 같습니다. 이 웃긴자료를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싶다. 입니다. 이 재밌는 자료를 보고 내가 웃었던 것처럼 다른 사람도 웃었으면 한다는 겁니다.

감사한 일입니다. 그리고 제 논리는 여기서 출발합니다.

누군가의 글을 퍼간다는 것은, '그 사람이 원 제작자이건 아니건 관계없이' 그 사람의 글로 인해 생긴 나의 기쁨을 퍼뜨리는 겁니다. 따라서 글의 출처를 표기하는 것은 그 감사를 '표현'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좋은 글 잘 봤다는 표시인거죠.

몇가지 의견에 대한 제 생각을 써 보겠습니다.

1. 원작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글은 출처표기가 의미없다.

역으로 생각해볼까요. 어떤 사람이 일베가 원글인 불편한 자료를 PGR에 퍼왔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자료에 일베출처가 되어있다고 사람들은 일베만 욕하지 않습니다. '일베 자료 퍼오지 마시죠.' 라며 퍼 온 사람에게도 책임을 묻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면, 유머자료는 원작의 출처를 표기하여 원작자에게 감사를 표시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2차출처일 경우에 그 분한테 감사표시를 하더라도 출처표기가 가지는 본래의미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펌글은 퍼 온 사람도 지분이 있는 겁니다. 좋은 것이던, 나쁜 것이던요.

2. 출처표기를 하면 글쓰기 버튼이 무거워져서 글의 양이 줄어들 것이다.

현 규정은 출처표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 입니다. 이는 출처표기를 하는것이 출처표기를 하지 않는 것보다 '좋은 행위'임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즉, 이 규정은 어떠한 사이드 이펙트를 감수하고 더 좋은 무언가를 얻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에 대한 손익은 각자의 기준에 따라 판단하기 나름이고, 다만 다수가 생각하는 방향은 있겠죠. 그걸 알아보기 위해 이 글을 쓴 것입니다. 아래에서 뭐가 더 좋은지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개진을 부탁드립니다.

사실 PGR을 보면서 저는 약간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어떠한 펌글에 글을 추가하거나, 추가 짤방을 올리거나, 닉네임을 쓰거나 하면 그 글은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 사람의 글'이 됩니다. 이미 글을 퍼오시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함을 받을 자격이 되십니다. 그런데 출처가 없으면 그 감사함을 퍼온 분과 나누지 못 합니다. 그 부분이 항상 저는 마음에 걸리고 불편했습니다. 또한 출처가 강제되면 오히려 '자작 컨텐츠'에 대해서는 더욱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만들어 올린게 다른 사이트로 퍼져서 내 것임을 인정받지 못 하는 경우도 많은데 그런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을 이유로 해당 규정을 저는 지지합니다.

- 이 글은 토론글의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제 글에 대한 의견보다는 해당 안건에 대한 의견개진을 먼저 생각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저도 글의 작성자보다는 한명의 토론자로 글의 내용에 대해서는 최소의 피드백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안건의 찬반 토론이 되어야지 이 글의 찬반 토론이 되는것은 이 글의 성격과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구밀복검
15/07/03 15:36
수정 아이콘
개개의 글이야 출처 표기만으로 원작자를 알 수 없는 사례가 무수히 있을 수 있지만, 원작자를 알 수 있든 없든 간에 무조건 2/3차 출처라도 출처표기를 하는 문화 자체가 패시브로 정착되면 그만큼 원작자를 추적하기 쉬워지고 어떤 흐름으로 게시물이 전파되곤 하는지 파악하기도 좋지요.

더불어, 출처 표기를 한다고 딱히 글이 헤비해진다고 생각하진 않네요. 그냥 한 줄만 덧붙이면 땡인 걸요. 발원지를 찾아서 명기해야하는 것도 아니고 복사해온 곳의 사이트명만 남겨도 되는 것이면 별 거 아니죠. 예컨대 [펌 : 클리앙, 출처 : 여시] 이 수준으로만 써도 된다는 것인데, 고작 저것을 덧붙이는 것 때문에 유머 자료 게시가 저어되거나 경색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만약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을 작성하는 것이 저어된다면, 그것은 출처 표기가 너무 하드한 요구라서 그렇다기보다는 '이 유머의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창의적인 사람은 내가 아니다'라는, 자신은 창조적인 원작자가 아니라 그저 타인의 아이디어를 가져온 개성 없는 유통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남들에게 명확하게 공언하는 것이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부담스러워서라고 보아야하지 않나 싶네요.
아리마스
15/07/03 15:37
수정 아이콘
퍼온 사람도 지분이 있다... 예전에 동인지 번역하면서 불펌금지 박아둔 네이버 블로그가 생각나네요
정육점쿠폰
15/07/03 15:4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출처가 일베라는 이유만으로 파이어된 글이 유게였나 자게에 있던 걸로 아는데..
지나가다...
15/07/03 15:43
수정 아이콘
저는 가급적 출처를 표기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바리미
15/07/03 15:52
수정 아이콘
자신이 만들지 않은 이상 출처 표기를 해야 된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글이 글쓴이가 만든것이라 오판할수가 있습니다.
간단한 글이라도 만든 사람의 정성과 노력이 들어가는데, 자신이 어디서 가져왔는지 정도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절름발이이리
15/07/03 15:59
수정 아이콘
논리적으로는 표기가 올바른거고
현실적으로는 그런 귀찮음 떄문에 업로더들이나 업로드가 줄 개연성은 있죠.
최종병기캐리어
15/07/03 16:10
수정 아이콘
유머 글이나 사진보면서 저 사람 참 재미있는 사람이네..라고 생각한적이 없다보니 유머게시판이 지향하는 가벼움과는 컨셉이 맞지 않아보이는 규정이네요.

점점 유머글 쓰는게 힘들어(정확히는 귀찮아)지다보니 이젠 더이상 유게에 글을 올리지 않아요. 사진안에 있는 비속어도 지우고 초성어도 지우고 정치나 종교 내용도 안되고 조금이라도 비꼼은 있어도 안되니 블랙유머나 풍자는 안되니 결국 남는건 스포츠하이라이트나 동물심쿵동영상, 연예인 짤방뿐이더라구요.
세종머앟괴꺼솟
15/07/03 19:16
수정 아이콘
출처 표기가 문제가 아니라 내용 검열이 문제죠
리듬파워근성
15/07/03 16:10
수정 아이콘
링크 중 하나를 출처 용도로 쓰면 편리할 것 같습니다
사상최악
15/07/03 16:19
수정 아이콘
최근 펌글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피지알 전체 글의 80~90% 이상이지않나 느껴질 정도로 너무 펌글이 많은데 출처 표기로 펌글이 줄어든다면 그 자체로 환영할 일이죠.
다른 사람의 글을 퍼올 때 출처를 표기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하다는 건 말해봤자 입아프고요.

추가적으로 1인당 펌글은 1일 1개로 제한했으면 좋겠네요.
도배가 너무 심해요.
15/07/03 16:19
수정 아이콘
유머글에 있어서 피지알은 사실 최신유머가 많이 생산되는 곳은 아니고, 이미 여러 커뮤니티 돌고 돌아 닳을데로 닳은, 원작자가 누군지 알기 어려운 유머가 올라오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걸 굳이 어디 사이트에서 퍼왔니 하는걸 표기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마스터충달
15/07/03 16:20
수정 아이콘
출처를 표기하는 것이 좋은 일이고, 그 표기 방식도 별로 엄격하지도 않고, 표기하는 것이 별로 힘들지도 않아서 출처표기를 하는 것에 거부감은 없네요.

그냥 출처표기 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캠페인에 동참했다는 기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좋은 자세니까요.
Monkey D. Luffy
15/07/03 16:27
수정 아이콘
FM대로 하는게 맞고 그렇게 해야하지만 대형사이트에서도 철저하게 규정대로 짜르지는 않죠. 또 유예기간 이후의 최악 상황까지 가정해본다면 "내글은 통보도 없이 짤렸는데 이글은 왜 안짜르냐." "네임드 봐주기냐." "운영자는 형평성 유지해라" 하면서 파이어 나고 업로더들 몇명 떠나고 또 운영진 성토글까지 나타날수 있습니다. [정말 규정대로 시행하려면 운영진들이 더 고생하시더라도 철저히 원칙적으로 해야될것 같습니다.]
15/07/03 16:37
수정 아이콘
정말 원칙적으로 하면 기계적으로 규정 적용한다고 비판 받을 겁니다.

적당히 하면 자기 마음대로 한다고 비판받을 거구요.

현재 상황에서는 운영진이 아주 줄타기를 잘 하는 수밖에 없어보일 정도입니다.
15/07/03 16:34
수정 아이콘
분명 공지글에도 나와있었지만 소수의 신고자가 지속적으로 출처없는글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다는 언급이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규정에 따른 절차 진행으로 삭게를 가는 글이생길 것이고, 소수의 신고자는 신고만 하고 지나가지만 운영을 하는 담당자들은 결국 삭게를 가는 글의 글쓴이와 충돌이 생길 수 밖에 없죠. 누가 충돌에서 살아남느냐보단 결국 감정싸움이 생기는데 그 과정에서 신고자는 유유히 지나갈 수 있으니 제도적인 문제점(신고자는 공개할 수 없고, 신고는 들어왔고 글은 삭제했으나 이의는 제기되고)을 해결하고자 하는 점에서도 지지합니다.

신고자가 특별히 문제없을경우 그 신고에 대한 소명을 할 수 있어야 하는 제도가 생긴점에서 운영담당과 업로더의 분쟁은 줄어들 수 있을거라고 보구요
바알키리
15/07/03 16:38
수정 아이콘
규정으로 만들어 제재하기보다는 충달님의 의견처럼 출처표기 캠페인으로 가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BravelyDefault
15/07/03 16:45
수정 아이콘
'클리앙 펌, 출처 : 내 하드'가 '출처 : 인터넷'이라고 적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 같지가 않습니다.
1일3똥
15/07/03 16:5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정확한 주소 표시가 없으면 무의미하다고 봅니다.
Love&Hate
15/07/03 17:00
수정 아이콘
안그래요. 자기 자료를 어디서 퍼가는지 알수 있거든요.
콩쥐팥쥐
15/07/03 17:00
수정 아이콘
해당 부작용에 있어서는 사실 저도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출처를 정말 모르는데 규정상 어거지로 써야 하는 경우. 또는 모든 펌글을 일단 하드에 저장하고 내 하드가 출처라 저장하는 경우. 이러한 것들에 대한 토의도 필요하다 봅니다.
The xian
15/07/03 16:48
수정 아이콘
자신이 만든 글이나 콘텐츠가 아니면 그것의 원작자 혹은 그것을 발견한 곳이 어디인지 나타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다못해 신문기사를 보고 감상을 적는 글에도 신뢰성 및 정보 출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원 신문기사의 링크 혹은 출처를 권장하는 판에,
아예 내용의 전부 혹은 거의 대부분을 퍼오는 글에 출처나 원작자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곤란한 일이지요.

글과 콘텐츠에는 만든 사람의 수고가 들어갑니다. 그런데 출처나 원작자에 대한 표현 없이 글이나 자료만 퍼나르는 것은
자료를 퍼오는 권리는 누리면서 책임에 대해서는 자유롭고자 하는 행동으로 인식될 수도 있고, 퍼온 사람을 글쓴이로 착오할 수 있는 문제도 있지요.
15/07/03 16:53
수정 아이콘
유머의 문제가 아니라 당연히 타인의 것이라면 허락과 출처표시가 당연한 것 아닌가요?
콩쥐팥쥐
15/07/03 17:03
수정 아이콘
현재까지는 의견이 다들 비슷하신데, 토론거리를 던진다는 의미에서 규정의 강제성 여부가 옳은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실제로도 1년전에 출처표기에 대한 강제성을 주지 않는다는 공지가 수립되었던 적도 있으니까요.
Love&Hate
15/07/03 17:03
수정 아이콘
펌을 당하는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저는 하나라도 쓰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그게 원작자가 올렸던 사이트를 정확히 담고 있지 않아도 좋습니다.
2차경로도 괜찮습니다
누가 어디로 퍼나르고 있는지를 파악할수 있어요.
그중에는 검색이 안되거나 폐쇄적인 사이트도 있구요.

제가 pgr에 글을 쓰지만
예를들어 pgr21에 누가 제 글을 퍼와서 출처가 아이러브싸커라고 되어있으면
아이러브사커에서 이 글을 퍼갔구나를 알수 있고
아이러브 사커에 요청을 할수 있게되는거죠.
출처는 쓸수록 원작자는 좋습니다.
토다기
15/07/03 17:14
수정 아이콘
사실 출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B 사이트를 이용하는 데 거기서 본 글을 pgr에 퍼오고 출처표시를 했는데 원본은 A 사이트인 경우도 있구요.(요 며칠 문제 일으킨 사이트가 출처인 경우도 있죠.)

100% 완벽한 출처를 쓸 수 있으면 쓰고, 아는 경우가 아니라면 또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라면 '펌'이라는 말이라도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리마스
15/07/03 17:1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유머게시판의 성격에 펌이라는 전제를 두고, 자작의 경우에만 따로 카테고리나 표시를 하는게 제일 적절합니다.
소신있는팔랑귀
15/07/03 17:39
수정 아이콘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해서 출처표기 찬성에 한 표 더합니다.
v3controller
15/07/03 18:29
수정 아이콘
출처표기하라고 하는 것 자체는 좋습니다.
문제는 출처표기 안한 펌글은 삭제하겠다는 건데, 그러자면 이렇게 규정이 바뀔 때마다 회원들이 알 수 있게 공지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거죠.

피지알에 매일 접속하지 않아서 이런 글을 못본 사람은 나중에 자기가 올린 글이 삭게 가고 벌점먹으면서 어리둥절합니다.

대부분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시겠지만 정말 기분이 상하신 분들은 건의게시판에 왜 내 글 삭제했냐고 질문올리면 운영진의 답변을 듣고 그제서야 그런 규정이 생겼다는걸 알게되겠죠.

그런 것 때문에 규정정리작업도 하는걸텐데 아직 제대로 진행도 되지 않고 있구요.
규정을 제대로 주지시켜야하는 의무는 지키지 않은채 '모르면 맞아야죠'식의 입장을 고수하는건 문제가 있습니다.
1일3똥
15/07/03 18:49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10&n=244127

이미 유머게시판 공지사항 개정판으로 상단공지가 계속 띄워져있는 사항입니다. 운영진이 얼마나 더 고지를 해야하나요? 운영진의 의무를 묻기전에 최소한의 확인은 해야하는것 아닌가요
v3controller
15/07/03 19:20
수정 아이콘
그건 현재 상황이고 시간이 지나면 공지는 내려갑니다.
출장가서 일주일쯤 피지알에 접속하지 않은 유저가 해당공지를 못봤다면 그 유저의 잘못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공지내용을 주지시키는 문제는 좀 더 본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방안은 운영진으로 부터 먼저 제시되어야 하고요.
그게 되기 이전에 규정을 신설하면서 삭제 벌점을 남발하는건 회원들에 대한 기만입니다.

최소한 하겠다고 했던 규정정리 작업을 마치고 하는게 순서상 맞습니다.
1일3똥
15/07/03 19:26
수정 아이콘
상단공지는 내려가지 않습니다. 자게 상단공지는 07년 2월 글인데도 그대로지요.
유게 개편을 하겠다고 수차례 얘기했고 잘 정리된 규정까지 상단공지로 올라와있습니다. 이렇게까자 했는데도 운영진 탓으로 돌리는 것은 그저 까고싶어 까는 수준이죠.
v3controller
15/07/03 19:38
수정 아이콘
현재 상단에 올라가있는 글이 07년 2월에 최초작성된 내용이 아닙니다. 유게 공지도 마찬가지고요.
상업사이트에서는 약관이 바뀌면 메일로 그 내용을 보내줍니다. 약관변경 고지의 의무가 있으니까요. 하지만 피지알 공지는 그런거 없이 그냥 바뀝니다.

회원이 매번 공지를 클릭해서 뭔가 새로 업데이트 된 내용이 있는지 살펴야 하는게 더 이상하지요. 그나마 유게엔 업데이트 날짜를 표시해서 개선 했지만, 그러한 표시가 무슨 의미인지 회원들에게 전달한적은 없습니다.

발전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걸 보고 운영진 까고 싶어서 까는거라고 하시니 어이가 없네요.
1일3똥
15/07/03 19:46
수정 아이콘
운영자가 의무를 지키지 않았다, 회원들에 대한 기만.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시면서 의견제시라고 하시니 저도 어이가 없습니다.
출처 명시는 현재 유게 상단에 있는 15/06/19일자 공지에 나와 있는 사항이며 유게 중간에 있는 추가 공지는 이를 더 잘 지켜달라는 내용입니다. 상업사이트 예를 왜 드신건지는 모르겠지만 공지가 변경된 것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카미너스
15/07/03 20:15
수정 아이콘
저 공지가 올라온 날은 6월 19일인데 펌글 관련 규정은 이후 2주 동안 거의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펌글 출처 표시는 이전부터 안하던 걸 계속 안했는데도 운영진은 제제를 하지 않았죠. 이것은 사실상 불펌을 허용한 것입니다.

규정이 변하지 않았더라도 안하던 단속을 갑자기 하게 되면 공지를 해서 알려주는 것이 현대사회의 상식입니다.
단속의 근본적인 목적은 회원들을 때려잡기 위함이 아니라 불펌글이 안 올라오게 하는 거니까요.

그래서 운영진은 단속 시작과 함께 공지를 하는 상식있는 행동을 보여주었습니다만,
그 공지가 자꾸 밀려나서 못 보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상단에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王天君
15/07/03 19:02
수정 아이콘
저는 이게 왜 논란이 되는지조차 이해를 못합니다. 저작권법의 개념을 유머라고 적용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데 그 출처표기가 귀찮은 이유 말고 반대하는 명분을 잘 모르겠어요.
피아니시모
15/07/03 19:14
수정 아이콘
저는 이게 왜 논란이 되는지조차 이해를 못합니다(2)
당연히 출처 표기하는 게 정상 아닌가요?-_-;
최종병기캐리어
15/07/03 19:20
수정 아이콘
기존의 유게에 글 올린분들을 죄다 비정상으로 만드는 댓글...
루헨진
15/07/03 20:19
수정 아이콘
지금 유게 들어가서 하나씩 보면 절반 이상이 삭제되어야하는 비정상적인 글입니다.
아리마스
15/07/03 19:16
수정 아이콘
저작권법의 개념을 [[제대로]] 적용한다면 대다수의 자료들은 출처표기를 하는게 아니라, 애초에 올리면 안됩니다.
직접 창작한 글/영상/그림 중에서 허락을 받은 혹은 펌질 허용이 된 자료만이 적법한 유게의 자료가 되겠지요.

피지알 유게가 2ch 유머게시판처럼 재미난 글들로 채워진다면야 상관없긴하지만

그리고, 이런저런 자료가 유머라고 펌당한 사람입장에서 가장 기분나쁜건 생뚱맞은 사이트가 출처라고 표시 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카미너스
15/07/03 20:04
수정 아이콘
저작권법은 대부분의 경우 친고죄입니다. 따라서 원저자가 시비걸지만 않으면 펌질 해도 됩니다.
인터넷에 도는 유머를 불펌했다고 고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출처표시 규정은 법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의를 지키기 위한 것에 가깝습니다.
카미너스
15/07/03 20:52
수정 아이콘
출처 표기 vs 미표기 중에 어느 쪽이 도덕적으로 우월한가는 논란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불펌좀 했다고 고소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출처 표기는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예절의 문제가 되고, 많은 피지알러들은 약간의 편안함을 위해 약간의 예의를 희생해 왔습니다. 지금까지 유게는 불펌천국이었고 이것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운영진이 결정하더라도 저는 큰 불만은 없습니다.

물론 출처 표기를 강제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예의와 도덕을 추구하는 것이 우리 사이트의 정체성이니까요.
그리고 그것이 어렵지도 않다고 생각합니다. 운영진이 한 달만 모니터링하고 분위기 조성하면 됩니다.
타 사이트의 예를 들면 http://todayhumor.co.kr/ 여기는 비방 저격 반말 욕설이 모두 허용되지만 출처 표기만큼은 철저하게 합니다.
피지알은 시스템 상으로도 글쓰기 할 때 출처 표기란이 2개나 있기 때문에 2차 출처까지 적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출처 표기 규정을 잘 지키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대로 불펌을 허용하는 것도 나름 괜찮은 차선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때는 규정에 출처 표시 의무가 없음과 거기에 시비걸면 벌점이란 것을 못박아야겠죠.

단 규정에는 불펌금지라 해놓고 실질적으로 허용하는 것은 최악입니다.
비소:D
15/07/03 21:18
수정 아이콘
저는 당연히 해야한다고 봅니다.
거믄별
15/07/03 22:00
수정 아이콘
저도 당연히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표시를 강제하면 유머게시판의 글이 줄어들거라고 이야기하지만...
몇 글자 적는 것이 힘들어서 업로드를 하지않는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지금 운영진이 요구하는 것은 원출처를 적어달라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출처를 모르면 해당 내용을 퍼온 곳이라도 적어달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자료라면... 출처없음이라고 적어달라고까지 말합니다.
이게 그렇게 힘든건가요?
자료를 퍼오고 글을 올리는 데 들어가는 수고보다 더 적을 것 같습니다.
유머게시판에 글을 올린 적은 없지만..
영상을 링크하고 사진을 업로드하는데 들어가는 시간보다 몇 글자 적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5/07/03 23:24
수정 아이콘
본문과는 좀 떨어져있는 내용이지만 이 글에 의견을 제시해주신 분들 중에 유머 게시판에 글을 올려보신 분이 몇분이나 될런지 궁금하네요. 한줄 더 쓰는게 뭐가 귀찮아? 하시는 분들 중에 말이죠. 아니, 남이 힘들게 만들거나, 혹은 쉽게 퍼온글에 출처 표현보다 '훨씬 더 쉬운' 댓글이라도 꼬박달아주시는 분들은 있는지... 유머를 퍼오시는 분들이 '기본적인 예의'도 없는 사람처럼 보여서 가슴이 아프네요.

유머라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내 글을 '무단으로 퍼간 사람을 발견했을 때'보다 '보고도 아무 반응이 없을 때' 더 신경이 쓰입니다.
반짝반짝방민아
15/07/03 23:53
수정 아이콘
직접생산이 아니라 남의 컨텐츠를 가져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는게 부끄러운건가요? 출처표기는 기본적인거 같은데...
사상최악
15/07/04 00:32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고 유게의 출처 표기를 보는데, 대부분 사이트만 표기하네요.
보통 출처를 표기한다면 사이트 / 게시판 / 작성자 / 링크 정도는 써줘야되는 거 아닌가요.
yangjyess
15/07/04 00:56
수정 아이콘
당연히 표기해야죠.
질보승천수
15/07/04 10:28
수정 아이콘
표기하면 좋기야 한데 현실적으로 자기가 어디서 퍼왔는지 기억 못할때가 많죠
며칠전에 유머 올린 거에 출처표기 요구가 들어왔길래 '하드 구석탱이'라고 썼습니다
사실이 그렇거든요
언젠가 재밌는걸 봐서 저장해놓은건데 하드 뒤지다가 튀어나온거거든요 어디서 저장한건진 까먹고
출처표기 자체야 할 수도 있는건데 이걸 강제해야겠다면 규정이 널럴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자신도 출처가 기억 안 나는걸 구글 검색까지 해가며 출처를 파악해야 한다면 차라리 그냥 안 올리고 말죠

그리고 저는 아직 그런적이 없었지만 출처를 표기하기 싫은 경우도 있을 수 있죠
본문에도 써있듯이 만약 일베가 출처면 출처 쓰는 순간 이건 일밍아웃이 됩니다
그리고이런 경우 일부 사람들에겐 퍼온 사람에게 바로 낙인을 찍는 효과가 생기겠죠
어떤 의미로는 출처 표기란 자신의 활동 영역을 공개하는 사적 영역의 공개가 될 수도 있습니다
피지왕김모낭
15/07/05 12:15
수정 아이콘
그냥 링크 주면 안되나요. 텍스트를 이미지캡쳐 한거 볼때마다 데이터가 너무 아까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520 [일반] 안떳지만 좋게 생각했던 올해의 걸그룹 노래들 [33] 좋아요8036 15/12/13 8036 2
62327 [일반] 크로스오버 작곡가 (1) 니콜라이 카푸스틴 - 소련, 클래식, 그리고 재즈 [10] Andromath10039 15/12/02 10039 5
62227 [일반] 송유근을 동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196] 소인배28201 15/11/27 28201 43
62191 [일반] 송유근씨 논문을 철회 한다는 저널의 공식입장이 발표되었습니다. [141] 곧내려갈게요19119 15/11/25 19119 1
62152 [일반] 제2차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부제 - 폭풍이 온다) 가 시작됩니다. [18] OrBef5779 15/11/20 5779 9
62122 [일반] 송유근씨의 저널 논문 표절 논란 [87] Phlying Dolphin18484 15/11/20 18484 1
62121 [일반] P2P의 역사와 세대별 P2P정리 [35] 카랑카16910 15/11/20 16910 32
61974 [일반] 첫 인사, 그리고 북텔러 이야기 [185] 북텔러리스트11031 15/11/12 11031 81
61969 [일반] [스압] 아이유는 왜 하필 제제라는 캐릭터를 소재로 섹스어필을 했을까? [368] 자유인바람36707 15/11/12 36707 21
61560 [일반] 우리가 바라보는 여론은 과연 어떤 여론일까? (1) [11] 수면왕 김수면5831 15/10/19 5831 1
61183 [일반] [1][우왕] 개인이 음원을 발매하기까지의 과정 -2부- [8] bongfka16140 15/09/25 16140 7
60890 [일반] 대격변 이후 다음팟 근황 [121] 오즈s18037 15/09/12 18037 3
60822 [일반] 다음 tv팟에 수익모델이 도입됩니다. [145] 제리드16706 15/09/08 16706 0
60566 [일반] 내가 좋아하는 EXID 노래 Best 10 [16] 리콜한방5460 15/08/27 5460 2
60403 [일반] 이번 서태지 클럽 공연 질답 정리 [19] 어리버리7686 15/08/17 7686 2
60175 [일반] [복면가왕] 현재까지 가왕 정리 [39] Anti-MAGE15168 15/08/04 15168 4
59554 [일반] [규정관련 토론] 인터넷 게시물의 출처 표기에 관하여 [49] 콩쥐팥쥐4833 15/07/03 4833 7
58764 [일반] [입축구 영상화 프로젝트] 챔피언스리그 파이널 프리뷰 2부 - 유벤투스 편 [5] 구밀복검3497 15/06/05 3497 3
58725 [일반] 초심자를 위한 챔피언스 리그 파이널 프리뷰 - 1부 바르셀로나 편 [36] 구밀복검6633 15/06/03 6633 10
58586 [일반] 아줌마들 혹은 아재들이 즐겨본 만화영화 [42] 드라고나5589 15/05/30 5589 0
58507 [일반] 리그베다 위키가 엔하위키 미러에 대한 소송에서 일부 승소했습니다 [17] 지포스26105 15/05/28 6105 0
58377 [일반] [여시 상황] 둥글게 둥글게 사랑의 윤무를 [200] buon14999 15/05/23 14999 31
58135 [일반] 여성시대가 비판(비난)받는 이유? + 내용추가 [95] 피아니시모11263 15/05/12 11263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