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7 10:52:14
Name Dj KOZE
Subject [일반] 성당에서 자동차정비소로..

아주 예전에 SBS 에서 방영한 다큐를 통해 영국의 옛 교회건물이 나이트클럽으로 바뀐 모습을 보고 
꽤 신선한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교회로 예배를 보러가는 신자들이 10명도 채 되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내용이었죠.

근데 옛 교회, 성당건물들이 다른 용도로 바뀌는 모습은 비단 영국만의 현상이 아닌가 봅니다.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라고 말할 수 있는 나라인 이탈리아의 성당들도 얼마전 부터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랜 경기침체로 옛 교회들을 보수할 돈이 없기 때문에 개인이나 단체에게 교회들이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사진작가 안드레아 디 마르티노는 예전부터 용도가 바뀐 교회건물들을 찾아 사진을 찍었고 
작년 "미사는 끝났다." 제목의 사진집을 냈다고 하는데요, 
사진에서 보이는 옛 교회의 모습들을 보면 아이러니까지 합니다 

Photo by Andrea Di Martino
스포츠 단체의 건물로 사용되는 옛 성당 

Photo by Andrea Di Martino
은행으로 바뀐 옛 성당, 
1036년에 지어졌다고 합니다.

Photo by Andrea Di Martino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성당, 
성당은 약 1000년 경에 지어졌다고 합니다.

Photo by Andrea Di Martino
현재 멀티미디어 교육실로 사용되는 밀라노의 산타 테레사 성당
1694년에 지어졌다고 하네요.

Photo by Andrea Di Martino
현재 피자집으로 사용되는 성당 


사무실로 사용되는 성당


개인 화랑으로 바뀐 성당.


성당에서 자동차 정비소로...


BAR로 바뀐 성당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wordfish-72만세
15/06/07 11:10
수정 아이콘
돈을 내는 신도수가 주니까요
사실 유럽에서 종교가 유의미했던 시기에도 이런 교회당의 변형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이야 비일비재했죠.

사실 종교적인 면에서 중요한 건 교회 공동체지 건물 따위가 아니긴 하지만 문제는 교회 공동체가 붕괴되고 있다는게
유럽의 기독교 문제죠.
세속주의 시대에서 어떻게 살아 남을 것인가?
구들장군
15/06/07 11:19
수정 아이콘
종교문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 오래된 건물을 보존하는 게 아니라 달리 쓰겠다고 손을 댄다니....
돈이 없어서 몰린 것인지, 사고방식이 우리와 완전히 다른 것인지 모르겠네요.

저 같으면 감히 망치를 댈 생각을 못할 것 같습니다. 손 떨려서.
돈 벌겠다고 부석사 무량수전을 펜션으로 개조한다면 말이 되나요.
atRunway
15/06/07 12:08
수정 아이콘
저정도 교회는 너무 많아서 딱히 문화재로 보존하기엔 애매하다는게 함정이라면 함정일까요 ㅡ_ㅡ;

유럽국가들도 부석사 무량수전 급 문화재는 우리나라와는 비교도 안되게 잘 보전하려고 합니다. 돈줄이기도 하구요.
15/06/07 11:23
수정 아이콘
바티칸 돈 많은 기업이라고 뉴스에서 봤는데 투자가치 없어서 처분한거 같은데 말입니다.
무슨 걱정을 다 성빈센트병원 만 봐도 수녀가 사장인데 말입니다.
atRunway
15/06/07 12:17
수정 아이콘
개신교 신자입니다만 쉴드 치자면...

카톨릭 재단에서 운영하는 의료/봉사조직은 모두 신부님 수녀님들이 조직의 장으로 책임을 맡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기본적인 취지는 "민중의 구휼"이라는 원래 취지를 잊지 않기 위해서로 알고 있구요. 수녀님 신부님이라고는 하지만 그 보직을 몇십년씩 맡고 있는 분들이 있어서 전문성도 갖추신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신부님, 수녀님이 조직장을 맡으셔도 크게 문제는 안될겁니다.

물론 한동안은 '봉사조직의 자립생존'이 화두였기 때문에 수익사업도 열심히 신경을 쓰고 계신걸로 알고 있네요. 잘은 모르지만 그렇게 돈많은 사람에게 번 돈으로 불쌍한 사람들을 도와주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사람 사는데는 다 똑같아서 공무원 조직화 된 곳도 종종있긴합니다만; 그래도 경험상으로는 왠만한 기업이나 공공기관보다는 훨씬 가볍게(혁신적으로)움직이는 조직이었습니다.

이상 과거 모 카톨릭 재단에 영업하던 영업쟁이의 뻘댓글이었습니다.
호호템플러
15/06/07 11:27
수정 아이콘
몇 백년 된 유물급 건물들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니 기분이 묘하군요. 우리와 달리 저런 건물들이 흔해서 가능한건가...
최소한 다 부수고 새로 지을 줄 밖에 모르는 우리 입장에선 신선한 충격이네요.
아틸라
15/06/07 14:18
수정 아이콘
최근 유럽에서 기독교 신자가 급격하게 줄고, 대신 이민자들을 주축으로 무슬림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고 하죠.
사실 유럽의 오랜 전통인 합리주의적 세계관과, 현대의 세속주의적 세계관 속에서 종교가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는게 당연하긴 할테지만요.
그러한 이유 때문에 가톨릭이 과학을 포용하려는 시도까지 해가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변화하는 종교가 된 것 같기도 하네요.
냥냥이
15/06/07 17:42
수정 아이콘
프랑크(혹은 카롤링거)의 샤를마뉴가 피레네산맥이남의 이슬람을 막지 못했다면 이러한 현상은 약 천년전에 진행됬을 겁니다. 크크
차이라면 무력이냐 자본이냐의 차이겠지요.
Legend0fProToss
15/06/07 20:24
수정 아이콘
전 뭔가 되게 멋있게 느껴지네요
마스터충달
15/06/07 22:46
수정 아이콘
부수지 않고 남기는 것만으로도 멋진데, 이걸 이렇게 활용하다니... 정말 부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199 [일반] [잡담] 비법공개-가난 탈출법 [6] 언뜻 유재석6742 15/08/05 6742 8
59987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및 선수이동 [23] pioren4563 15/07/24 4563 0
59809 [일반] 역대 채무액이 가장 많았던 국가 부도를 선언한 국가 Top10 [3] 김치찌개5504 15/07/15 5504 0
59778 [일반] 삼국지에서 누가 진정한 2인자였을까. [27] 靑龍8568 15/07/14 8568 1
59679 [일반] 오늘부로 이름이 진짜로 개명 되었습니다. [18] 광개토태왕6647 15/07/08 6647 2
59557 [일반] CMA 우대수익을 이용하여 1달에 치킨 1마리 더 먹기 [20] style11047 15/07/03 11047 18
59467 [일반] 그리스 디폴트 위기에도 유로가 오늘 상승한 이유는? [29] Elvenblood6798 15/06/30 6798 12
59428 [일반] [추가:6/28일 업데이트]그리스 Tsipras 국무총리, 결국 국민투표 제안 [23] Elvenblood6382 15/06/28 6382 1
59261 [일반] 현 그리스 상황 요약 [41] Elvenblood12251 15/06/22 12251 7
59238 [일반] 인터넷은 당신의 모든것을 기록하고 알린다. [30] 뀨뀨7878 15/06/21 7878 0
59173 [일반] (염장주의)야간에 할 일 없어서 적는 내가 만난 편의점 특이한 손님들 [102] 이연희11102 15/06/19 11102 14
59052 [일반] [영화공간] 기억에 남는 영화 속 악역 등장씬 10선 [38] Eternity9223 15/06/14 9223 6
58857 [일반] [서평] 빅데이터 시대 : 알고리즘적 자아와 존재론적 위기, <만물의 공식> [16] Apocalypse7019 15/06/07 7019 33
58844 [일반] 성당에서 자동차정비소로.. [10] Dj KOZE4757 15/06/07 4757 2
58809 [일반] [서평] 가계부채는 왜 위험한가?, <빚으로 지은 집> [10] Apocalypse5534 15/06/06 5534 20
58423 [일반] 은행원 보수가 많기는 많은가 보네요... @.@ [136] nexon18050 15/05/25 18050 1
58333 [일반] 독일의 대공황 발발과 회복과정 [5] endogeneity8666 15/05/21 8666 1
58241 [일반] 다섯 달 동안의 영어공부 [12] 스테비아14201 15/05/16 14201 6
58099 [일반] 홍준표 “경선 자금 1억2천만원은 마누라 비자금" [71] 발롱도르9645 15/05/11 9645 2
58095 [일반] 아시아에서 순이익이 가장 높은 기업 Top10 [41] 김치찌개7075 15/05/11 7075 1
58055 [일반] 아이핀 2차 인증을 못하겠네요 [50] style14669 15/05/08 14669 1
57875 [일반] 보아 정규 8집 발매 [7] 스테비아3897 15/04/30 3897 0
57860 [일반] [데이터주의,스압] 환율도 떨어졌는데 일본 여행을 가볼까? - 1.여행준비편(後) [13] 페르디난트 3세6168 15/04/30 6168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