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7 10:39:25
Name 루비아이
Subject [일반] 슬램덩크의 최강자 논란
https://pgr21.com/?b=10&n=242691
유머게시판에 누가 슬램덩크의 최강자인지 한바탕 열띤 논란(?)이 벌어졌는데요. 이 논란을 자게에서도 이어가고자 슬램덩크 최강자 후보를 한번 나열해보겠습니다.




이정환
소속 : 해남대부속고
학년 : 고3
포지션 : PG
신장 : 184

장점 : 슬램덩크에서 가장 압도적인 모습 (북산전 1대4), 슬램덩크 내 가장 강력한 포스를 뿜어냄
단점 : 가끔씩 팀을 말아먹는 미스를 하기도 하며 은근히 굴욕이 많음 (북산전 강백호에게 파울을 범해 보너스 원샷을 허용하고 서태웅에게 더블클러치를 허용하며 능남전 마지막에 스틸을 당함)





윤대협
소속 : 능남고교
학년 : 고2
포지션 : sf
신장 : 190

장점 : 포워드부터 포인트가드까지 다 완벽히 소화하는 선수, 패싱력부터 폭발적인 득점력까지 부족한게 없음
단점 : 느긋한 성격이라 발동이 늦게 걸림







정우성
소속 : 산왕공고
학년 : 고2
포지션 : sf
신장 : 185?

장점 : 윤대협과 그래도 비등하게 싸운 서태웅을 아예 공수에서 발라버림. 1 on 1 가장 화려한 플레이 선보임
단점 : 멘탈이 약함, 서태웅보다 더 심한 볼호그 패스가 없음,






신현철
소속 : 산왕공고
학년 : 고3
포지션 : C
신장 : 195?

장점 : 슬램덩크내에서 가장 완전무결한 모습을 보임, 딱히 밀리거나 말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음. 대학에서도 3손가락안에 들 센터
단점 : ?





김판석
소속 : 명정공업
학년 : 고1
포지션 : C, PF

장점 : 슬램덩크에서 가장 압도적인 스탯 (50득점 20리바운드), 엄청난 피지컬
단점 : 플레이 장면이 많지 않음



이현수
소속 : 대영고교

장점 : 윤대협 전국대회 업그레이드 버전
단점 : 플레이 장면이 많지 않음



이정도가 최강자 후보라고 생각되네요. 마성지는 확실히 정우성에 밀리는거 같고 이명헌도 나온것만보면 이정환에 떨어져 보이고 서태웅도 역시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과연 누가 슬램덩크의 최강자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성남자
15/06/07 10:42
수정 아이콘
정우성과 김판석 정도겠죠.
보이는 실력은 상대적이지만 절대적인 실력값은 작가 설정으로 다 정해져있다고 봅니다.
Awesome Moment
15/06/07 10:43
수정 아이콘
그냥 선수 정보만 갖고 드래프트한다면
1픽 김판석 2픽 신현철 3픽 정우성or윤대협 그 이후로는 취향이 될것 같네요.
15/06/07 10:44
수정 아이콘
정우성/신현철 양강
이정환 이명헌 .5
마성지 김판석 이현수 강백호 윤대협 서태웅 정대만 초상위픽
15/06/07 10:45
수정 아이콘
한명 꼽으라면 신현철!!!!
15/06/07 10:46
수정 아이콘
디펜스라면 정평이 나있는 그선수가 압도적 1위입니다.
15/06/07 10:48
수정 아이콘
김판석 봅니다
랜드로드
15/06/07 10:49
수정 아이콘
신현철/김판석 - 정우성 - 이정환 - 윤대협 요렇게 가고싶네요. 이현수가 너무 적게 나와서...
비익조
15/06/07 10:49
수정 아이콘
정우성이 작가 공인 최강이니까 뭐... 우리가 왈가왈부해도 정우성이 최고겠죠.
그나저나 이현수가 자꾸 마음에 쓰이는데 일단 우승팀이라고 작가가 말하기도 했고, 김판석이 이현수 팀에게 패하기도 했고...
Go Lakers
15/06/07 10:50
수정 아이콘
정우성이죠
그 잘난 이명헌/신현철이 에이스로 인정해 준 선수면 뭐 말 다했죠
사상최악
15/06/07 10:50
수정 아이콘
경기 내용이 없는 김판석, 이현수 등을 같이 비교하는 건 무의미하다고 봅니다. 재미도 없고요.
포지션별 역할이 달라서 단순 비교는 힘들지만, 종합적으론 신현철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음은 이정환이지만 산왕을 못 넘는지라...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6/07 16:26
수정 아이콘
김판석의 경기내용은 간략하지만 있긴하죠. 이정환이 인정하는 전국구, 통칭 지학의 별을 들것에 실려보내고 원맨팀으로 지학을 꺽고 도내1위로 전국대회 진출. 강백호없는 북산이 고전했던 전국8강 상성을 원맨팀으로 초토화..
일단 이정환이 북산전처럼 날뛰다가 마성지처럼 실려나갈 수도 있고, 상성전을 보면 채치수+정대만+송태섭+서태웅을 혼자 메꿀 수도 있을지도...
눈뜬세르피코
15/06/07 22:10
수정 아이콘
전국 8강 상성 상대로 50득점 22리바 10블록(도중 퇴장당하고도) 샤킬 오닐을 연상시키는 가드들 못지 않은 속공 가담, 지학을 보내버린 압도감...이현수와는 다르죠.
샤르미에티미
15/06/07 10:57
수정 아이콘
신현철의 퍼포먼스로 보면 정우성이 넘버원일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이명헌은 깔아둔다고 해도 신현철은 고3에 대학가도 TOP3 센터인데
그런 선수가 에이스로 인정했다면 끝난 이야기 아닌가 싶네요. 그렇지만 작품상 표현된 것에서 산왕은 북산에게 어쨌든 졌고, 이정환이나
윤대협의 퍼포먼스도 엄청났고 김판석의 전국대회 미친 스탯은 확실히 떡밥이 될 만한 요소라고 봅니다.
번외로 같은 나이라면 김판석이 최고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네요. 설정 자체가 강백호를 넘어서는 신체에 재능이니까요.
The Last of Us
15/06/07 10:57
수정 아이콘
1픽 신현철
2픽 정우성
3픽 이정환, 이명헌

김판석은 골밑 바깥으로 밀어내면 아무것도 못할 것 같아요 -_-
울랄라세션
15/06/07 20:51
수정 아이콘
문제는 골밑밖으로 몰아낼 수가 있느냐죠
김판석 같은 피지컬 괴물을..
어제의눈물
15/06/07 10:58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내 자타공인 최강자 정우성이죠.
패스만 가르쳐주면 됩니다.
골밑을 지배하는 자가 경기를 지배하지만 스코어를 못하면 이길 수 없지요.
좋아요
15/06/07 11:01
수정 아이콘
허태환이 후보에 없군요
15/06/07 11:02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속편나오면 얼마나 많이팔릴까요
류지나
15/06/07 11:03
수정 아이콘
작가의 의도와, 독자가 보는 최강자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작가의 의도는 (물론 제가 본인이 아니니 정확히는 모르지만) 정우성이 고교 최강이지요.
일단 작중 인물들 전원이 '정우성은 최강이다' 라고 인정해 주고 있습니다. (감독부터 선수들까지)
서태웅마저도 '너를 넘고 간다'는 말을 할 정도니 나보다 위라는 걸 이미 인정하고 있는 거죠.

문제는, 결국 정우성이 주인공 팀이 아니기에 산왕이 져야하고, 완전무결한 에이스가 있는 팀이 어떻게 패배할 수 있는가를 그려내면서
정우성의 약점을 멘탈로 잡았죠. 이 때문에 독자들이 생각보다는 정우성의 포스를 덜 느끼게 됩니다.
(실제로 주인공팀을 이긴 해남의 이정환의 포스가 과대평가 되는 것처럼)

막상 북산 대 산왕의 경기 내용을 보면 정우성의 잘못이라고 할 것도 별로 없습니다.
점퍼 놓치는 1번 (강백호의 작전)과 채치수에게 당하는 블락 1번. 이게 당하는 거의 전부입니다.
오히려 중반부에 산왕이 고전할때 하드캐리하며 점수를 벌려놓은 활약과
최후의 순간에 마지막 클러치샷을 정우성에게 맡기는 산왕의 움직임을 봐도 누가 에이스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클러치샷도 넣었죠. 다만 막판에 강백호가 다시 역전샷을 넣으며 끝나서 빛이 바랬지만)


일단 그 실상이 제대로 안 드러난 마성지, 김판석, 이현수 등등은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볼 때
작중에서 최강자는 분명 정우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6/07 16:35
수정 아이콘
작품안에서 정우성은 농구선수로는 아직 미완으로 그려집니다.
주변의 평가도 신현철에게는 당장 대학가도 탑3의 "센터" 라고하지만, 정우성에게는 대학에서도 정우성을 "1on1"으로 이길 선수가 없을 것이다. 라고 하지 대학에서도 탑 포워드라고 하지는 않으니까요.
단순히 1on1으로 보면 슬램덩크 안에서 가장 강력한 선수는 정우성일 겁니다.
하지만, 농구선수로서 누가 가장 강력하냐고 본다면.. 정우성이 아닐지도 모르죠. 윤대협이 서태웅에게 전국에서 1on1으로 널 막을 선수는 많지 않다고 하지만, 농구경기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두 경우의 플레이가 똑같은게 단점이라는 말도 하니까요.
솔로10년차
15/06/07 11:05
수정 아이콘
신현철의 단점은 키죠. 포워드로 쓸 게 아니라면요.

고등학교 감독인데 드래프트로 뽑는다면 1픽으로는 신현철을 뽑겠습니다. 대체선수대비로 본다면 가장 훌륭한 것 같아요.
그 후 2,3픽으로 적당한 센터를 뽑는다면 포워드로, 적당한 포워드를 뽑는다면 센터로 활용할 수도 있겠구요.

한국의 프로 감독인데 드래프트로 뽑는다면 1픽으로는 정우성을 뽑겠습니다. 센터는 어쨌든 외국인으로 메우구요.
정우성은 설정상 좀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토너먼트 대회에서 1픽을 하기엔 부담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리그라면 그 부담은 줄어들겠죠.
파란아게하
15/06/07 11:13
수정 아이콘
이정환이지 하면서 들어왔다가
신현철 보는 순간
신현철이다 이건
하고 있습니다.
신의와배신
15/06/07 11:19
수정 아이콘
신현철과 정우성입니다

하지만 꼭 한명을 뽑아야한다면 김판석

농구야 센터 놀이니까요
사상최악
15/06/07 11:21
수정 아이콘
정우성의 장점은 1:1과 득점력인데 이건 농구에서 어떤 부분을 더 중요하게 볼 것인가에 관한 문제라...
물론 득점이 최고지만 또 단순 득점만으로 최강을 평가하기엔 뭔가 부족하다고 느껴지잖아요?
버그사자렝가
15/06/07 14:47
수정 아이콘
느바의 졸렬남 한명이 움찔하는데...
장가가야지
15/06/07 11:29
수정 아이콘
산왕의 에이스는 정우성이니까
최강은 정우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연아
15/06/07 11:30
수정 아이콘
신현철과 정우성이죠.

신현철이 정우성을 에이스로 인정하는 부분은 순전히 슬램덩크 내에 만연한 스윙맨 에이스론 때문이라고 봅니다.

사실 북산 내에서 산왕전 이후라면 모를까, 그 이전에 채치수가 서태웅이 이미 에이스라고 생각하는게 말이나 됩니까?
15/06/07 12:06
수정 아이콘
근대 해남전 전에 이미 채치수가 인정하는모습이나오죠 안경선배와대화에서 사실상 에이스라고 크
김연아
15/06/07 12:18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서태웅 득점력이야 인정하지만 체력문제로 반쪽짜리이고 채치수 득점력이 떨어질게 별로 없는데..
임시닉네임
15/06/07 15:07
수정 아이콘
아마 2차스탯 per같은거 계산하면 채치수가 서태웅보다 높게 나올거 같긴 합니다
25점정도 넣어주면서 12개정도 리바운드, 2~4개정도의 블락을 평균적으로 찍어주니까
30점정도 넣어주지만 나머지 스탯에서 그만큼 찍어주지 못하고 야투율도 채치수만 못할거 같은 서태웅이 기여도에서 채치수보다 높을거 같지는 않아요.

근데 개인의 활약상과 누가 에이스냐는 또 별개의 문제니까요

또 슬램덩크는 스윙맨 에이스론보다 그냥 빅맨은 에이스 못한다 쪽에 가깝죠
이제껏 도내 투탑이던 해남과 상양의 에이스는 둘다 포가지 스윙맨이 아니거든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6/07 16:38
수정 아이콘
해남전에서 채치수가 있을때도 발렸는데, 채치수가 실려나가고 2군선수가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오직 서태웅의 힘만으로 해남에게 역전했죠.
산왕전이 아니라 해남전때도 에이스는 서태웅이 맞습니다.
피지알누리꾼
15/06/07 11:36
수정 아이콘
이정환, 신현철, 김판석은 나이가 의심되므로, 고교최강자는 정우성이 맞습니다?
15/06/07 14:00
수정 아이콘
변덕규 어리둥절
15/06/07 14:55
수정 아이콘
채치수 어리둥절
위원장
15/06/07 11:37
수정 아이콘
신현철 봅니다. 근데 정우성이 3학년 되면 정우성이 위가 되겠죠.
톰가죽침대
15/06/07 11:48
수정 아이콘
김판석이랑 이현수는 작중내 묘사가 거의 없으니 제외한다고 하면
신현철/정우성 둘중 한명을 1픽으로 가져가는게 낫죠. 센터를 중시하나 스코어러를 중시하나 정도의 취향 차이일것 같습니다.
일단 이정환or윤대협>정우성은 말이 안되는게 당장 서태웅을 상대하는 모습만 봐도 이정환이나 윤대협은 서태웅을 완벽하게 막아내지 못했고
체력싸움으로 끌고가서야 겨우 서태웅의 폭팔력을 어느정도 억제시켰습니다.
반면에 정우성은 윤대협/이정환 뿐 아니라 작중내 누구도 하지 못했던 쌩쌩한 서태웅을 아무것도 못하게 만든 유일한 인물입니다.
공격이면 공격 수비면 수비 모든 방면에서 서태웅을 완벽하게 농락했어요.
막판에 서태웅이 패스 좀 배워서 몇개 뚫리긴 했지만 그때에도 정우성의 공격은 하나도 막아내지 못했고요.
종이사진
15/06/07 11:54
수정 아이콘
저도 신현철..살짝 작은키에 환상적인 볼핸들링에 슛거리까지.
제가 하킴 올라주원을 좋아해서 그런지..-_-;

신현철, 신현필, 채치수, 강백호가 나란히 서있는 일러스트를 보면 신현철은 190에서 193정도로 보입니다.
15/06/07 11:57
수정 아이콘
신현철의 단점은 키죠
센터치고 키가 너무 작다는거
15/06/07 12:08
수정 아이콘
신현철은 고1에 포가로 산왕에 입단했음을생각해보면 더좋은 센터가있다면3-4번으로 쓸수도 있다는
야누자이
15/06/07 12:08
수정 아이콘
작가가 최강이라니까 정우성이 최강이겠죠
남광주보라
15/06/07 12:09
수정 아이콘
공인 최강자는 정우성. .
그러나 슬램덩크가 더 장기연재했다면 김판석이 될지도?
근데 김판석은 미형캐릭이 아니라서 과연 끝판보스가 되었으려나...
15/06/07 12:10
수정 아이콘
명정 김판석은 결국 대영 김현수에 졌으니 김현수보다 몬하다고 볼수있지 않을까 합니다 어차피 작화나 설정이 없으니 다른조건은 비슷하다고 보면

저라면 신현철 닥1픽입니다 2라운드에 변덕규급만 픽해도 최강 4-5번 구성가능 해지죠 정우성 변덕규 조합
과 비교하면 확실히 우위죠
15/06/07 12:48
수정 아이콘
사실 정우성은 1on1 귀신이라고 나오지만 실상은 1on1보다 최고의 속공 피니셔고, 모든게 다되는 것 같은 이정환은 사실 슈팅이 부족하죠.
이런 스윙맨 라인업에서 최고(근데 이정환은 pg?!)는 산왕전이후 서태웅 vs 정우성 vs 이정환 vs 윤대협 인데 체력문제로 서태웅 아웃.
나머지 3명중에 보여준게 제일 강한건 이정환이고 나이를 빼고보면 어쨌든 윤대협 잡았으니 윤대협을 뒤로 두고(이미 같은급에 윤대협이 1살어리다는 묘사가 있지만) 정우성 vs 이정환일건데 생각보다 정우성이 저평가 당하는 이유가 결국 북산에게 졌다는 것이겠죠. 근데 슬램덩크에서 유이하게 북산 핵심멤버를 묶어버린(정우성이 수비로 서태웅을, 신현철이 수비로 채치수를)점 등을 보면 이정환 vs 정우성은 취향차 정도이고..

어느팀에 넣어놔도 제일은 신현철이구요. 슛레인지 길어, 박스능력 뛰어나, 드리블링 좋아, BQ도 좋아, 골밑도 강력해,느리지도 않아,멘탈도 좋아...
김판석은 멘탈이랑 구력에 문제가 있어서 딱 앤드류 바이넘같...

산왕애들이 따져보면 생각보다 더 좋은게
이명헌은 만화에 묘사된걸로만 10어시
정우성은 속공최적화에 경이로울 정도의 마무리
센터 중 어느 카테고리에서도 진 적없는 신현철

괴물팀이죠.
치토스
15/06/07 13:32
수정 아이콘
논란이라고 할것도 없습니다. 작가가 만화내에서 정우성이라고 못박듯이 설정을 해놨고, 주인공 버프&보정&성장에 의해 막판에 약간 희생 시켰을
뿐입니다. 포지션 특성상 감독 취향에 따라 신현철과 정우성이 드래프트에 같이 나온다면 신현철을 먼저 뽑는 감독이 상대적으로 많을수는 있겠죠.
이정환은 북산과 같은 도의 팀이라 초반부터 많이 나와서 활약이 많아 보이는것일뿐 산왕이 극중 초반부터 나왔다면 정우성의 괴물같은 활약이
더 많이 나왔을겁니다.
15/06/07 14:21
수정 아이콘
신현철이요.. 채치수가 발리는 모습에 충격먹음 ㅠㅠ
시글드
15/06/07 14:57
수정 아이콘
전 윤대협 한표요
작중 묘사로 이미 이정환과 같은레벨이지만
한살 어리고
서태웅급 피지컬+경기운영+잘생김
임시닉네임
15/06/07 15:01
수정 아이콘
정우성은 딱히 볼호그가 아니고 서태웅과 비교하면 더더욱 볼호그가 아닙니다
26득점하는거 나오는데
아이솔레이션이 생각보다 적어요.
다비드 데 헤아
15/06/07 15:03
수정 아이콘
전 신현철
낭만토스
15/06/07 15:41
수정 아이콘
드래프트라면 샤킬오닐 뽑아야죠

야구는 투수놀음

농구는 센터놀음 아입니까.....?
임시닉네임
15/06/07 16:26
수정 아이콘
농구는 센터놀음 맞는데
야구는 투수놀음 아닙니다
낭만토스
15/06/07 18:20
수정 아이콘
알고 있습니다
마이클조던
15/06/07 15:52
수정 아이콘
윤대협을 보면 솔직히 패스 갖춘 정우성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작가도 너무 윤대협을 강하게 만든게 실수라는 이야기도 하고. 이정환은 보여준 임팩트는가 워낙에 강했고 특히 마지막에 그 멤버로 전국 2위를 했다는게....
구밀복검
15/06/07 17:20
수정 아이콘
논란 거리도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정우성이 보여준 플레이는 슬램덩크 세계관 내의 그 누구도 흉내조차 낼 수 없는 것이었죠. 서태웅/송태섭/강백호 상대로 대놓고 볼 던져놓고 요이땅 외치며 달려 들어가서 덩크 해버리는 거라든가, 채치수/강백호/서태웅의 3인 블로킹을 더블 클러치로 뚫어버린다든가... 그냥 작중 묘사로도 충분히 격이 다릅니다. 이정환이든 윤대협이든 그 누구든 플레이 묘사 상으로 저 정도는 아니었죠. 심지어 산왕-북산전에서 양팀 통틀어 최다 득점을 올린 것도 정우성입니다.
어떤날
15/06/07 17:31
수정 아이콘
해남-북산전에서 '도내최강'이라는 단어 때문에 이정환을 너무 부각시키려다 보니 나머지 멤버들이 쩌리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작가가 의도한 것보다 이정환이 더 강해져 버린... 상당수의 논란은 여기에서 출발하는 거 같아요. 윤대협-서태웅이 엇비슷한 수준으로 나오는데 (윤대협이 약간 위겠지만) 윤대협이 혼자 막는 이정환을 북산에선 3~4명이 막는다? 그것도 수비력 출중한 정대만에 채치수까지 붙어서? 슬램덩크 통털어서 가장 에러인 장면이라고 봅니다.

각설하고.. 당연히 모든 포지션 통털어서 최강은 정우성 같구요, 그 밑으로 신현철, 거기 살짝 아래에 이정환, 윤대협, 또 그 살짝 아래에 서태웅 이런 정도인 것 같습니다. 마성지, 이현수, 김판석은 너무 보여진 게 없어서 판단하기 어렵지만.. 마성지 이현수는 이정환 윤대협이랑 비슷한 수준일 거 같고 김판석도 그 정도.. 잘 하면 신현철 수준까지? 이런 순서일 것 같습니다.
꽃보다할배
15/06/08 07:42
수정 아이콘
논의의 여지없이 정우성이라 봅니다
과거 회상에 명확히 나오죠 정우성에게 없는게 이명헌 신현철에 있어서 산왕 입학이 플러스 반대로 전국엔 적수가 없어 미국 간다고 나옵니다
올해보다 더 강한 해남조차도 찌발리죠
양주왕승키
15/06/08 14:51
수정 아이콘
근데 이정환은 결과적으로는 이현수한테
진게 아닐지.. 결승에서 우승을 뺏겼으니..
피부미남
15/06/09 10:40
수정 아이콘
윤대협에 한표요. 정우성보다 아주 조금 낮은 득점력에
더 높은 패스능력과 멘탈이 잇기때문이구요.
이정환에 비해 피지컬이 조금 딸리지만 나머지는 윤대협이 근소하게 위라고 봅니다.
엘롯기
15/06/09 13:25
수정 아이콘
작가가 대영 우승이라고 하지않았나요?
이현수가 젤 잘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536 [일반] [짤평] <터미네이터 제니시스> - 더 이상 기대하지 않으리 [59] 마스터충달9163 15/07/02 9163 5
59296 [일반]  [테니스] 남자 싱글 빅3 비교 - 3. 로저 페더러 [65] 김연아7638 15/06/23 7638 4
59152 [일반] 내가 좋아하는 장르소설 작가들[기타편] [30] 주환6294 15/06/18 6294 4
59084 [일반] 내가 좋아하는 한국 장르소설 작가들[판타지편] [111] 주환13739 15/06/16 13739 3
59077 [일반] [테니스] 남자 싱글 빅3 비교 - 2. 라파엘 나달 [33] 김연아5692 15/06/15 5692 4
58916 [일반] [테니스] 남자 싱글 빅3 비교 - 1. 노박 조코비치 [42] 김연아4964 15/06/09 4964 3
58883 [일반] 패션의 완성은 벨트...벨트는 좋은 걸 매야죠... [29] Neandertal8449 15/06/08 8449 19
58842 [일반] 슬램덩크의 최강자 논란 [58] 루비아이15130 15/06/07 15130 0
58586 [일반] 아줌마들 혹은 아재들이 즐겨본 만화영화 [42] 드라고나5610 15/05/30 5610 0
58582 [일반] 투모로우랜드 관상평 [20] 카슈로드5135 15/05/29 5135 0
58178 [일반] 가벼운 영화 이야기 : 나의 왓차 별점평가들 [48] Tigris17046 15/05/14 17046 12
58158 [일반] [WWE] 트리플 H와 바티스타, 두 남자의 레슬링 역사에 남을 명대립 [22] 신불해24674 15/05/13 24674 6
57914 [일반] <차이나타운> - "재미없어" "아니" "그럼 재밌어" "아니..." [14] 마스터충달5704 15/05/02 5704 8
57294 [일반] 오멜라스를 떠나지 않는 사람들 [10] 글곰8009 15/03/31 8009 32
57245 [일반] "딸기모찌 사건의 뒷이야기"의 뒷 이야기말고 앞 이야기 [30] 향냄새9271 15/03/29 9271 2
57213 [일반] 역대 sf영화 등급 [137] 삭제됨13092 15/03/27 13092 1
57170 [일반] [정보] 이영도작가 신간 - sf판타지 단편선 [39] 여자친구6197 15/03/25 6197 1
57131 [일반] 액트 오브 킬링 - 살인 추억의 재현. [10] 질보승천수4940 15/03/24 4940 4
57001 [일반] 이룬것 없이 경력만 10년 되버린 영화편집자의 편집강의 #2 [20] Go2Universe9010 15/03/16 9010 15
56828 [일반] 저도 오늘 나왔는데...섭하네... [45] Neandertal15996 15/03/02 15996 0
56791 [일반] 이룬것 없이 경력만 10년 되버린 영화편집자의 편집강의 #1 [14] Go2Universe7550 15/02/28 7550 24
56573 [일반] 고마해라...마이 묵읐다 아이가...--;;; [28] Neandertal9282 15/02/15 9282 0
56567 [일반] '남자들은 이해 못 하는 것'(립스틱)에 대한 해설 [60] adgredi24336 15/02/15 24336 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