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2 16:09:46
Name 인벤
Subject [일반] 한 자기계발서 작가가 생각하는 고조선 역사?
어제(150601월) 차유람 선수와 결혼한다는 발표로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랐었죠.
다음 뉴스펀딩이란 곳에 글을 올린 것을 찾았는데, 고조선에 대해 쓴 것이 보였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m.newsfund.media.daum.net/episode/815

예전부터 이덕일 작가의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이고, 주류역사학계(?)를 안 좋은 시선으로 보는 것 같더군요.
이덕일 작가가 주류역사학계를 주로 비판하지 않나요?

눈시BB님, 초록불님 같은 분들이 작성한 글을 읽었으면 좋겠네요.
저도 이 작가의 책만 읽고 이덕일 작가의 주장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었거든요.
(사전지식없이 노론사관이란 것도 들었을 때 노론 나쁘구나 라고 막연히 생각했었고요)
링크의 댓글 읽어보면 예전의 저처럼 그냥 그렇구나 받아들이는 사람이 여럿 보입니다.

[긍정적?]
이덕일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윤내현 (새로운 한국사)
재야사학 (유사역사학)
홍산문화 (요하문명)

[부정적?]
이병도
동북아역사재단
식민사관
노론사관

http://bookdb.co.kr/bdb/Interview.do?_method=InterviewDetail&sc.mreviewNo=60432
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1505/e20150515164540118180.htm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1095&ntt_writ_date=20150501

https://pgr21.com/?b=8&n=58610 ohmylove님의 댓글에 공감합니다. 저도 그냥 납득했었네요.
다른 예로 을파소님 글 읽기 전에 저에게 있어 이순신은 '불멸의 이순신'의 김명민이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15/06/02 16:26
수정 아이콘
상업적으로 나름 성공적인 '작가'양반이라고 봅니다.
다만 상업적 성공하고 '학술적 지식'하고 딱히 관련이 없는데다가, 상업적 성공은 '상재'의 증명이지 어떤 학술적 역량하곤 별무상관 한 물건이죠.

시크릿을 비판한 책을 쓰는 동시에, 시크릿하고 딱히 다를바 없는 이야기도 하는 양반이고 해서 참...
15/06/02 16:27
수정 아이콘
이 글만 봐서는 인벤님이 주장하시는바가 뭔지 잘 모르겠네요....
주류사학계의 의견에 반하는 이지성 작가의 사관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신가요?
15/06/02 16:32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이지성 작가의 책을 많이 읽어서 그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PGR 등의 도움을 받아 최근 잘못된 역사관(?)을 조금씩 고치고 있고요.
저처럼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이 보여서 쓴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제가 이 글을 통해서 뭘 말하고 싶은 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글제목이나 내용을 조금 수정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서 본문에 잠깐 적었습니다.
15/06/02 16:36
수정 아이콘
답글 감사합니다..
제가 역사는 잘 몰라서 읽다가 제가 좀 헤멨습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
15/06/02 16:27
수정 아이콘
예전에 도갤 악평 가지고 고소할거라는 얘기가 있었는데..이정도는 상관없겠지요.
15/06/02 16:28
수정 아이콘
그렇잖아도 이 글 읽고 한숨 쉬고 왔는데 pgr에도 글이 올라왔네요. 이지성 이분도 아마 가슴이 벅차오르는 그런 역사를 좋아하시나보네요.
카푸치노 같은 글쟁이인듯...
전 아메리카노를 좋아합니다.
15/06/02 16:34
수정 아이콘
이지성 작가의 책을 통해 이덕일 작가를 알게 됐는데, 그의 여러 작품을 읽다보면 가슴이 벅차오르긴 하더군요.
나중에 잘못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고 좌절했지만요. (환단고기에 안 빠진 것만 해도 다행인 듯 싶습니다)
신용운
15/06/02 16:30
수정 아이콘
사실 이지성 작가야 비전공자니 그렇다쳐도, 이덕일 소장은 전공자면서도(정확히는 근현대사 전공) 말도 안되는 주장으로 사람들을 현혹시키는걸 보면 그쪽이 더 악질이라 생각합니다.
15/06/02 16:35
수정 아이콘
곡학아세 혹세무민
또는
似而非
파우스트
15/06/02 16:55
수정 아이콘
사람들을 현혹시키려고 작정했다기보다 자기논리에 빠져서 허우젹댄다고도 볼 수있지않나요
비공개
15/06/02 17:13
수정 아이콘
이지성 작가 역사관을 모르니 이 글도 이해가 안 되네요.
Shandris
15/06/02 17:35
수정 아이콘
역사학자 이름 걸고 나오는 책들도 그 난리인데 인문학자 이름 걸고 역사를 적당히 주무른다는 식으로 쓰는 글까지 뭐라기에는 여력이 없기도 하고 그렇더라요.
15/06/02 17:51
수정 아이콘
이 카푸치노 같은 글쟁이분이 뽑아낸 제목이 무려, [우리는 교육받은 대로, 나라를 빼앗을 것이다.]여서 관심을 안주기가 힘들긴 했네요.
근데 정작 내용보고 피식...
크라쓰
15/06/02 17:40
수정 아이콘
싫다.

어떻게 우리 유람이를..
swordfish-72만세
15/06/02 17:53
수정 아이콘
참 고조선 역사라고 남은게 사서의 글 몇줄도 없고 빈약한 고고학적 지식 밖에
없는데 무슨수로 숨겨진 역사를 찾았는지 궁금할.지경
겨울삼각형
15/06/02 18:49
수정 아이콘
뭐 그럴수 있죠.
역사학자도 아니고..

창작쪽하는 분이면 이런 저런 떡밥이 아주 좋은 꺼리가 되니까요.
15/06/02 20:19
수정 아이콘
꿈꾸는다락방..하하하하하하하하하 기억에 남는게 냉장고가 고장나서 R=VD를했었다는 하하하;;;;;;;;;;;;;;;;;;소절이네요하하하
임시닉네임
15/06/02 21:01
수정 아이콘
이분법이 웃기긴 한데
재야사학이 식민사학에 더 가깝습니다
학자들(재야사학에 학자란 말을 써도 되는지 의문이지만) 계파나 계보를 봐도 그렇고
논지도 비슷합니다.
볼리베어
15/06/02 21:46
수정 아이콘
사실 삼국사기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고 그것이 고려때 신라계 귀족에 의해서 써진걸 감안하면 고조선 아니 삼국시대까지도 이런저런 해석을 존중하는게 맞지않나 생각합니다. 다만 그게 과해서 사실까지 왜곡하면 문제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690 [일반] 한 자기계발서 작가가 생각하는 고조선 역사? [19] 인벤7674 15/06/02 7674 0
58617 [일반] 동아투위 사건 관련 대법원 판결이 나왔네요 [5] 이순신정네거리4472 15/05/31 4472 3
58032 [일반] 짧은 문장에 정서와 이야기 담기 (헤밍웨이와 이화백, 그리고 김훈의 글을 중심으로) [21] Eternity5989 15/05/08 5989 36
57661 [일반] 징비록, 아 이제 도저히 못보겠네요... [47] 발롱도르11046 15/04/19 11046 1
57563 [일반] 징비록, 임진왜란 들어서면서 정말 실망이네요. [59] 발롱도르7988 15/04/15 7988 9
57525 [일반] 안녕하십니까 뉴비입니다 [15] 이순신정네거리3993 15/04/13 3993 1
57499 [일반] 로마사에서 등장하는 강력한 스포츠 서포터들 [4] swordfish-72만세5182 15/04/12 5182 1
57214 [일반] 수신료의 가치 - KBS 역사저널 그날 [37] 조던8499 15/03/27 8499 4
56957 [일반] 2014년도 한국인이 좋아하는 분야별 인물 [46] 10328 15/03/12 10328 0
56801 [일반] 화폐 인물을 전부 새로 뽑는다면? [97] 그라믄안돼10092 15/02/28 10092 1
56631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후기 [12] 눈시BBand6974 15/02/18 6974 25
56571 [일반] 임진왜란에 비해 병자호란은 왜 사극화가 잘 안될까 [77] 발롱도르13484 15/02/15 13484 0
56489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完. 이 적을 무찌를 수 있다면 [16] 눈시BBand8130 15/02/11 8130 5
56456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14. 노량으로 가기까지 [16] 눈시BBand5401 15/02/09 5401 10
56225 [일반] 다음달 방영되는 KBS 사극 징비록 [34] Dj KOZE7009 15/01/28 7009 0
56083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13. 조선 수군 재건, 그리고 무서운 떡밥 하나 [13] 눈시BBand7317 15/01/21 7317 10
56011 [일반] 《삼국지》 제갈량이 신중하게 북벌을 했던 이유. [47] 靑龍9156 15/01/17 9156 0
55811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12. 구국 [30] 눈시BBand6681 15/01/05 6681 8
55709 [일반] 코리아 - 코리아 사진으로 보는 남북한의 대조 [25] Dj KOZE8684 14/12/30 8684 1
55439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11. 명량 [19] 눈시BBand7632 14/12/15 7632 26
55248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10. 신에게는 아직 열두척의 배가 있습니다 [31] 눈시BBand8331 14/12/04 8331 11
55095 [일반] 헨리키신저의 신작, 세계질서 [12] 콩콩지4918 14/11/25 4918 5
54955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9. 한산이 무너지다 [19] 눈시BBand6541 14/11/18 6541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