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2/10 16:18:44
Name 이라세오날
Subject [일반] 인터넷상의 법률정보,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 주택임대차 최우선변제금 사건
한겨레에서 꽤 괜찮은 기사를 시리즈로 작성하는것 같아 해당 기사를 소개할 겸 해서 글을 써봅니다.

해당기사는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77290.html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글을 보기에 앞서,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우선 변제금액에 해당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아마 따로 알아보신분들은 알고 계실것이지만, 인터넷 블로그등의 정보만 알고계신분들은 아직 모르고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당 기사를 읽어보시면 아실 수 있겠지만, 임대차계약 역시 '사해행위'에 해당할 수 있고, 이 경우 배당이의에 의해 돈을 받지 못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적어도 제가 찾아본 바로는 이 부분까지 설명하고 있는 블로그등은 찾기 어려웠고, 기사에 나오는 사기꾼과 같은 사람도

이부분을 악용해서 소액이니 최우선변제권을 보장받는다는 부분을 강조하여 수많은 사람을 속인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집주인이 짐을 담보로 대출을 좀 받아야 하니, 잠시만 다른곳으로 전입신고를 했다가 다시 들어오면 안되겠냐는

식의 권유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마찬가지로 은행을 기망하기위한 행위에 가담한 것으로 보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종종 인터넷 검색을 통해 유용한 법률정보를 얻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인터넷 정보일 뿐이고, 정말 중요한 사항에 있어서는

본인이 직접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셔야지 덜컥 인터넷 블로그등의 글만 믿고 진행하셔서는 안된다는 점을 명심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2/10 16:27
수정 아이콘
법률 정보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떠다니는 정보중 많은 수는 거짓 혹은 잘못된 정보인듯 합니다. 또 그 잘못된 정보가 서로 서로를 참조해서 또다른 정보를 만들어 내고.. 잘못된 정보는 논파되어도 어디선가 다시 스믈 스믈 기어나오고... 아주 복마전이죠.

그건 그렇고 인터넷 법률정보는 PGR 질게가 갑이죠.
엘핀키스
15/02/10 16:29
수정 아이콘
요즘 임대차 전세금 떼어먹는 수법들이 참으로 다양하더군요 허위유치권같은건 이제 너무 흔하고 허위채무자 만들어서 오히려 임차인 상대로 사해행위취소소송하는 경우도 있고...주택임차인들을 보호할 새로운 장치들이 좀 필요해보입니다.
완전연소
15/02/10 16:39
수정 아이콘
실제로 배당이의 소송을 많이 수행하고 있는 변호사입니다(아마 웬만한 공익법무관보다도 제가 더 많이 할 것 같습니다).

보통 가장 임차인을 이유로 배당표의 경정을 구하는 배당이의 소송만 제기하는 것이 보통이고,
사해행위 취소소송은 소송상 공격방어방법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배당이의소송 외에 예비적 청구로 들어가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그래도 브로커가 아닌 공인중개사의 중개를 받아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면
악의의 수익자로 인정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는 승소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습니다.

그런 귀찮은 일을 피하시려면 등기부를 열람하셔서 선순위 근저당권이 임대차목적 부동산의 시가를 초과하는지 살펴보시고,
(KB부동산 시세 등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가압류는 없는지, 보증금을 현금 등으로 지급하길 요구하지 않는지 등을 꼼꼼히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실제로 임대차보증금을 지급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브로커와 통모하여 경매개시 직전에 임차인으로 전입신고를 한 뒤 배당이의 소송을 제기할 경우에는
소송사기에 해당하여 민사 뿐만 아니라 형사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으니까 절대 하시면 안됩니다.
15/02/11 09:29
수정 아이콘
공인중개사가 있어도 사건 나름이라...
중개가 있어도 악의로 인정되는 사안들이 늘고 있지요.
완전연소
15/02/11 14:35
수정 아이콘
악의로 인정되는 사안들도 꽤 있나 보네요.
제가 수행한 사건들은 그래도 공인중개사가 중개하고, 보증금 지급 내역(지급여부를 알 수 있는 객관적 증거, 마련 경위가 타당, 돌려받은 흔적이 없을 것)만 확실하면 대부분 선의로 보시더라구요. ㅠㅠ
이쥴레이
15/02/10 16:41
수정 아이콘
30평 아파트인데 전세금 2천인 아파트가 인천에 많죠. 동그라미 하나 빼먹었나 하고 생각할수 있는데 최근 분신자살 사건도 있었고 돈없는 사람들 등쳐먹는 사기꾼들이나 몇푼이라도 건져보겠다고 파산직전 동조하는 집주인들이나...에휴...
15/02/10 16:41
수정 아이콘
확정일자가 신고한 날 밤12시 넘어서 효력이 발생하는 점을 악용해서 잔금받는 당일 대출받는 '시간차 공격' 사기도 있죠.
원시제
15/02/10 16:46
수정 아이콘
이 기사도 좀 애매한게, 수익자인 임차인의 선의 판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네요.
사실은 사해행위가 되려면 수익자의 악의가 인정되어야 하고,
수익자의 악의 판단과 관련해서는 대법원에서

소액임차인의 경우 자신의 보증금회수에 대하여 상당한 신뢰를 갖게 되고,
임대인의 채무초과상태 여부를 비롯하여 자신의 임대차계약이 사해행위가 되는지에 대하여 통상적인 거래행위 때보다는 주의를 덜 기울이게 될 것이므로,
수익자인 임차인의 선의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실제로 보증금이 지급되었는지, 그 보증금의 액수는 적정한지, 등기부상 다수의 권리제한관계가 있어서
임대인의 채무초과상태를 의심할 만한 사정이 있었는데도 굳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사정이 있었는지, 임대인과 친인척관계 등 특별한 관계는 없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논리와 경험칙을 통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라고 이야기하고 있지요.

정리하자면, 본인이 소액임차인이고, 단순히 속은거라면, 충분히 수익자의 선의를 인정받아 최우선변제금을 확보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그와 별개로 이런 사안에서 가능하면 어찌되었건 인터넷이나 지인피셜에 의존할것이 아니라
전문가인 법조인을 찾아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호미로 막을건 호미로 막는게 정답이죠.
15/02/10 16:51
수정 아이콘
아라세오날님 글에 원시제님 댓글 이라니... 이거 폭로되는 것 아닌가요?
원시제
15/02/10 16:52
수정 아이콘
크크크 그러네요
완전연소
15/02/10 16:49
수정 아이콘
임차인분들을 위하여 하나만 덧붙이자면
인천 쪽은 아주 가끔이긴 하지만 공부상의 부동산 호수와 실제 부동산 호수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 외벽과 현관문에는 A동 301호로 기재되어 있지만 사실은 B동 301호인 경우)
이런 경우에는 주민등록이 유효한 공시방법으로 인정되지 않아 대항력을 인정받을 수 없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는 중개수수료를 아까워하시지 마시고
공인중개사의 중개를 통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시고(특히나 공제회에 가입된 중개사를 통해 거래하세요),
중개목적물 설명서를 받아놓는 것이 좋습니다.
이라세오날
15/02/10 16:51
수정 아이콘
음 여러분들이 댓글 달아주셔서 한번에 좀 정리해서 댓글을 달자면, 이러한 사안에서 임차인이 불리한 이유의 대부분은 1. 권리관계가 어마어마한 집에 들어갔고 2. 보증금액수가 턱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입니다. 주변 시세대로 해서는 아예 최우선 변제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옆집 시세의 반도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판사님 보시기에 뭔가 수상하고, 근데 또 거기 살면서 공과금 납부하고 한 내역은 있고해서 절반정도에 화해권고가 나서 더 다투다가 아예 못받을까봐 절반만 받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분들은 절반이어도 거의 전재산에 가까운 돈이라 참 안타깝죠...
15/02/11 09:27
수정 아이콘
요즘 정말 배당이의소송으로 (사해행위취소소송을 병합하여) 많이 나오는 사건유형입니다.
집값 대비 전세가율이 70%를 넘었네 하는 마당에, 3억짜리 부동산에 보증금 4천짜리 전세가 엄청나게 많이 등장해요.
들어가는 사람 입장에서도 너무 싸다는 것도 알고 자기 때문에 배당순위에 변동이 생긴다는 건 압니다.
그러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해야 정상인거구요.
공인중개사 입장에서도 왠지 자기가 생각해도 이상하다 싶은 건 추천하면 안 되는 겁니다.
뭔가 법적으로는 정상적이라고 생각해도 그 제도의 취지를 생각해 봐야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710 [일반] [도전! 피춘문예] 연이는 봄비를 좋아해 1/2 [31] 리듬파워근성8501 15/04/22 8501 48
57650 [일반]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High Frequency Trading - 2 [11] Elvenblood6358 15/04/19 6358 13
57514 [일반]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High Frequency Trading - 1 [19] Elvenblood6623 15/04/13 6623 13
57451 [일반] 네이버 카페 개인정보수집에 관한 신고 후기 [12] 정용현9290 15/04/09 9290 4
57109 [일반] 아니 아직 금리인상 시작도 안했는데? [26] Elvenblood10776 15/03/23 10776 15
57053 [일반] 그래도 살 만합니다. [27] 영혼의공원6127 15/03/19 6127 0
57049 [일반] 직구 초보의 해외 직구 경험기 [50] 물맛이좋아요8667 15/03/19 8667 2
56993 [일반] 뜻밖의 상승 - 맥쿼리인프라 [37] 기아트윈스13159 15/03/15 13159 4
56948 [일반] [금리] 한국은행 기준 금리 2.0% -> 1.75%으로 첫 1%대 진입 [65] HesBlUe6571 15/03/12 6571 1
56893 [일반] 학자금 대출... [48] 박보영9884 15/03/08 9884 17
56891 [일반] 테러도 이제는 기술로 하는 시대... [18] Neandertal10688 15/03/08 10688 6
56864 [일반] “김일성 장군 만세” 외쳤던 조선일보 1950년 6월28일 호외 [93] 어강됴리9937 15/03/05 9937 12
56823 [일반] 미국 금리 인상? 결국 문제는 인플레이션 [24] Elvenblood7945 15/03/02 7945 13
56820 [일반] (푸념) 서울에서 집 구하기 참 어렵네요 [50] Julia12916 15/03/02 12916 3
56769 [일반] [잡설] 오늘 은행에서 겪은 일 [31] 오승아7917 15/02/26 7917 1
56751 [일반] 2015년 대한민국의 딜레마 해결 방안 [39] 개돼지6609 15/02/25 6609 2
56508 [일반] 우리 아이 개인정보,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 [22] 이상한화요일4204 15/02/11 4204 6
56477 [일반] 인터넷상의 법률정보,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 주택임대차 최우선변제금 사건 [13] 이라세오날3694 15/02/10 3694 0
56286 [일반] 정부가 도와준 나의 금연 1달, 예상못한 단점? [8] 966FA5680 15/01/31 5680 1
56275 [일반]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법인세 이야기 [7] 달과별11430 15/01/31 11430 1
56214 [일반] 온라인 쇼핑 딥빡 후기 - 부재 : 대한민국 결제시스템은 재앙수준 [91] Jun9119979 15/01/27 9979 7
56165 [일반] 디플레이션 앞에 무릎 끓은 전 세계 [58] Elvenblood10683 15/01/25 10683 1
56093 [일반] 오바마의 새해 국정연설이 있었습니다. [60] 스테비아7263 15/01/21 72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