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2/04 13:00:23
Name 어리버리
Subject [일반] 새누리당 KY라인이 "증세 없는 복지" 폐지를 부르짖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예상과 한치도 안 틀린 방법으로 그 해결책을 내놓고 있네요.

"증세 없는 복지"에서 포인트는 2개죠.

1. 증세를 해서 복지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상승시키자.
2. 증세를 최대한 하지말고, 복지의 수준을 낮추자.

새누리당 KY라인은 연일 2번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03&sid1=100&aid=0006339794&mid=shm&mode=LSD&nh=20150204112952

김무성
["유럽과 일본은 이같은 과정이 부족했기 때문에 복지 과잉으로 인한 국가 재정건전성이 아주 나쁘다"며 "우리의 경우 국가 경영에 있어 재정건전성 유지가 제일 중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며 새 복지 모델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다"]

원유철 신임 정책위의장
[ "무상급식과 무상보육의 예를 보더라도 이대로는 안 된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며 "이제는 전면적인 재검토를 해야하는 시점"]

소수의 새누리당 의원도 법인세를 포함한 증세를 얘기하고 있긴 합니다.

정두언
["복지는 확대해서 노후보장을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부자증세를 확실히 해야 한다"며 "명분상 그래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법인세 인상까지) 포함해서고 그 다음에 복지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이 분도 복지의 축소를 얘기하는건 다를바 없군요.

새누리당 사람들은 쉽게 증세를 얘기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오바마가 시도하고 있는 노골적인 부자증세는 말도 꺼내지 못할테고,
법인세, 상속세 등등도 기업활동의 위축을 걱정하면서 얘기는 전혀 못 꺼내죠.

그나마 가장 만만한게 중산층에게 증세를 하는 것일텐데 연말정산, 담배세 인상등으로 호되게 당하고 있는 상황이라
그것도 쉽게 시도하지 못할 겁니다.
결국 만만한건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을 조정하는 것일텐데 그 쪽도 세력이 만만치 않아서 건들기 쉽지 않죠.

그러다보니 오늘, 어제 나온 KY라인의 발언을 보면 "증세 없는 복지"에 대해서 딴지를 걸면서
증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은 제대로 얘기하지 못하고 어물쩍 넘어가면서
지금 복지 수준은 너무 높으니 "무상급식", "무상보육" 등등만 건드리고 있는거죠.

어째 예상과 하나도 다름없이 진행되고 있는게 신기할 정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2/04 13:03
수정 아이콘
증세를 해 놓고 갑자기 이런 x소리를 하네요.
뭐 어쩌라는건지...
적당히해라
15/02/04 13:05
수정 아이콘
이분들 최소 대선집권때 복지 부르짖던분들 아니셨죠?

양심이 있어야지 좀
DarkSide
15/02/04 13:40
수정 아이콘
18대 대선 때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님께서 하신 말씀이 아직도 기억납니다 ;;

"증세 없는 복지" 제가 꼭 하겠습니다.
키스도사
15/02/04 13:11
수정 아이콘
기자회견에서 "이전까지 정부는 자신들의 안위만을 생각해서 손을 못댔지만 우리는 욕 먹더라도 미래를 위해서 정책을 추진하겠다"라는 말을 들었을때 헛웃음만 나오더군요, 세금은 더 올려놓고 복지는 줄이겠다는게 말인지 방구인지.
The xian
15/02/04 13:15
수정 아이콘
흥. 세금은 세금대로 올려놓고 복지를 하지 않겠다. 가 정답이겠지요. '증세를 최대한 하지말고, 복지의 수준을 낮추자.'? 웃기는 소리입니다.
발롱도르
15/02/04 13:16
수정 아이콘
15/02/04 13:16
수정 아이콘
무책임하게 남의 돈 가지고 복지하면 된다는 말보다 훨씬 좋네요.
박근혜대통령이 증세없이 복지된다고 하긴 했지만 문재인 후보도 거의 비슷하게 얘기했으며 여기에 무상의료까지 얹었던거 다들 아시지 않나요?
그러니까 서로 재정부족하다고 하면 상대방 탓 할 수밖에 없는겁니다. 집권자 찍은 사람은 반대편때문에 지키지 못할 말 했다고 하고 반대편 찍은 사람은 약속 지키라고 따지고요. 물론 책임의 강도는 집권자인 쪽이 더 강한 건 맞습니다만 복지로 가는 방향이 맞다고 생각하면 증세 제발 찬성 합시다. 누가 정권 잡냐보다 어떤 국가에서 사냐가 더 중요한거 아닙니까. 말 바꿨다고 까지말고 이제라도 증세 논의 나오는게 다행 아닌가요.
15/02/04 13:21
수정 아이콘
서민증세보다 기업감세가 더 큰 문제죠.
복지는 기업만 증세해도 충분히 메꾸고도 남습니다.
전크리넥스만써요
15/02/04 13:46
수정 아이콘
"문재인이 대통령됐어도 똑같을것이여"같은 가정법은 쓸데없는이야기구요, 후보시절 공약으로 걸었던사람이 대통령이 됐고, 대통령이 됐으면 공약 지켜야죠? 근데 안지키니깐 까는겁니다.
그리고 증세는 (똑같은댓글다는것도 지치는군요) 서민감세/기업증세를 해도 모자랄판에 지금 반대로 가고 있거든요. 이게 과연 정상일까요?
15/02/04 13:57
수정 아이콘
서민감세 기업증세는 그냥 정책적인 문제일 뿐이고 그래야 하는건 아니죠. 막말로 나 돈없으니까 남의 돈 가지고 편하게 좀 살아보자는 거 아닙니까. 사람 쪽수 끌아다 모아서 기업한테 돈 걷자?말이야 쉽지 기업에서 또 인원 줄인다고 실업률 올라가고 해외로 투자 넘기고 이런 식으로 악순환 안일어나고 선순환 될거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까. 무슨 하나의 생각에 불과한 걸 절대적 당위처럼 얘기하는시는지 참..

증세부터 얘기하고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게 혜택 많이 주면서 고소득층에게 더 걷어갈 생각을 해야 논의가 되지 부자들은 더 내고 서민은 덜 낸다 하면 결국 또 편 갈라서 싸우자는 거 아닙니까..
전크리넥스만써요
15/02/04 14:15
수정 아이콘
뭐 "서민감세"라는 단어때문에 욱하신거 같은데 그런뜻은아니고 전반적인 증세는 동의합니다만, 지금 증세정책 어떤가요? 기업들은 세금깎아주고 간접세는 팍팍오르고. 그리고 기업들 증세하면 실업률올라가고 해외투자가 어쩌고 악순환의 연속이요? 그럼 지금 이상태로 계속 냅둬야할까요? 당장 기업들 전기비체계부터 짜증이나는데 그건 기업들이 알아서 해결할 문제고 정책은 서민위주로 돌아가야하는게 맞지 않나요? 언제까지 경제성장이란 구닥다리 구호아래 대다수의 국민들이 고통받아야 할까요?
15/02/04 13:54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는 증세없는 복지라 뻥쳐놓고 담배값 올리고 세법개정해서 유리지갑들에게 분노를 산게 문재인인가요?
문재인 당시후보는 부자증세, 건강보험도
5000원씩인상같은 증세정책에 찬성했었죠.

거짓말했지만 까지는말아죠.. 솔직히 이런식의 논리니깐 새누리라고 욕먹는거지요.
후라이드슈타인
15/02/04 18:05
수정 아이콘
문재인이 증세없이 복지하자고 했다는 증거좀 가져오시죠
물타기도 좀 적당히하고요
하도 타서 이젠 타나마나가 됬는데
15/02/04 13:16
수정 아이콘
유시민 전 장관의 말처럼 진정성 따위는 바라지도 않지만 최소한 책임은 물을 수 있어야 하는데 참 그게 쉽지가 않네요.
15/02/04 13:17
수정 아이콘
증세하셔서 거둬가신 세금은 다 어디쓰시나요? 이제 복지는 아니라는건 알겠고...
호구미
15/02/04 13:18
수정 아이콘
증세는 이미 했잖아.
15/02/04 13:18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이럴 생각이었으면 처음부터 대선때 복지 운운하는 공약을 하지를 말았어야죠.
증세 없는 복지가 가능하다고,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대통령을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한 분이 현 대통령인데 이 무슨 개풀뜯어먹는 소리인가요.

지금, 집권하고 보니 이게 여력이 안 된다... 라는 것이라면, 대선공약을 파기하게 된 것을 진지하게 사과하는 게 먼저죠.
김무성 의원이 당시 대선캠프 선대위원장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이렇게 치고 빠지는 건 영 보기 안 좋습니다.
라이트닝
15/02/04 13:18
수정 아이콘
조세정의가 안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저도 2번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과연 정말로 '서민감세'를 추진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당장 2015년 근로소득세부터 낮출수 있을까요? 회의적이네요
아하스페르츠
15/02/04 13:19
수정 아이콘
나라 살림이 거덜난 상황에서 복지를 늘리는 건 힘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나라 살림이 거덜난 원인이 무엇인지는 살펴 봐야 겠지요.

아버지가 노름하느라 가산 탕진해 놓고, 자식들 공부 시키려면 먹을 게 없으니 대학교 가지 말라고 하는 꼴인건지,
아버지는 뼈빠지게 일해서 돈버는데, 자식은 해외유학 다니며 돈 펑펑쓰다가 차 한대 뽑아 달라고 하는 중인 건지는 따져 봐야 하지 않을까요?
주먹쥐고휘둘러
15/02/04 13:20
수정 아이콘
밑의 글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네요. 이런 당을 빨지 않는게 편향이라면 편향도 나쁠건 없어 뵙니다.
15/02/04 13:2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2번의 스탠스를 취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세대전쟁의 관점에서 본다면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쪽은 근로자, 노동자들이고 복지혜택을 받는 쪽은 노인들이 될 겁니다. 이 노인들을 버린다는 생각은 누구도 할 수 없으며 결국 방향성은 어떻게 되든(그것이 간접세의 증세든 무슨 방법이든) 증세, 복지 형태로 일단은 가야 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증세 복지는 현재의 젊은이들에게 유리한 방법이 '절대로' 아닙니다. 사실 최근의 복지에 대한 요구는 부자들의 돈을 우리들에게 분배해라라는 요구를 돌려서 말한 게 증세 복지라는 프레임으로 튀어나오는 것 같은데, 뭐 많은 분들이 전에도 말씀하셨지만 부자 증세만으로 복지가 된다는 프레임은 허상이죠. 증세로만 가능할 뿐
테스트2
15/02/04 13:24
수정 아이콘
증세 없는 복지 -> 이거 아니구요
증세, 없는복지 -> 요거 입니다. 증세를 하고 복지를 하지 않겠단말이죠..
15/02/04 13:27
수정 아이콘
정치인의 사전적 정의가 나라를 다스리고 국민들의 의견을 조정하여 사회를 유지, 보존시키는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 이라는 데
저 분들 보면 정치인에 대한 직업의식은 하나도 없고 어떻게 하면 사람들 홀려서 자신이 이득만 챙길까 하는 돌팔이처럼 보이네요.
요리사가 음식을 못하고 미용사가 머리를 잘 못 자르면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데 정치인은 저 말빨과 프레임짜기로 직업에 대한 전문성은 어디 쓰레기통에 박아놔도 도태되질 않네요.
Mephisto
15/02/04 13:2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사실 증세,감세가 문제가 아니라 탈세가 문제 아닌가요?
한달살이
15/02/04 13:35
수정 아이콘
이러니 깔수밖에 없네요..
깐다고 편향이라고 한다면.. 편향하겠습니다.
15/02/04 13:36
수정 아이콘
정치권에서 복지 문제를 정치적으로 사용하고, 이에 대해서 일희일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 복잡합니다.
교육과 마찬가지로, 복지는 10년 이상을 내다 보고 꾸준히 안정적으로 지원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복지에 대해서 더 해야 하는 건지 이 정도면 충분한 것인지 갸웃할 수 있을 겁니다.
단순하게 스웨덴, 핀란드와 비교할 수 없고, 그렇다고 멕시코와 비교할 수도 없죠.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18403
이 링크를 보시면, 이 링크의 자료가 맞다는 가정 하에 (중복이면 죄송)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지출은 OECD국가 중 뒤에서 2등, 멕시코와 비슷한 수준이고, OECD 평균의 반도 안됩니다.
물론 실제 국민의 조세부담율 또한 OECD 국가 중 뒤에서 4등입니다. (멕시코, 칠레, 미국)
그런데 문제는 조세부담율이 비슷한 호주, 미국의 사회복지지출이 우리나라의 2배나 된다는 겁니다.
즉, 100원을 세금으로 내면 우리나라는 9원이 사회복지지출로 사용되는데, 미국이나 호주는 18원이 사용되고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9% 는 어떤 쪽에 사용하고 있는가 하면,
경제업무 지출이 OECD 국가 중 3위 (기업 등의 연구지원비, 경제 활성화 비용, 창조 경제 관련예산)
국방비가 5위라고 하니, 경제와 국방에 여전히 방점을 찍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9% 를 18% 로 늘린다고 스웨덴, 핀란드 처럼 복지가 좋아질 것인지는 쉽게 답할 수는 없지만,
무상급식, 보육으로 인해서 나라가 망한다는 이야기는 어떤 근거인지 궁금해 지는 거죠.
지금 복지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그럼 사회 복지 지출을 얼마나 증가하는 것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에 지금은 (증세, 감세 논란 이전에) 복지 지출이 충분하지 않아 보이는데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라이트닝
15/02/04 13:4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처럼 조세정의가 이루어져있지 않습니다.그 점은 동의하시죠?
그런 상황에서 젊은층과 근로소득자에게만 더 큰 부담을 주는 갑작스러운 증세에 반대합니다.
15/02/04 13:55
수정 아이콘
저는 증세, 감세 논란 이전에

우리나라의 지출이 경제와 국방에 현재 조금 더 집중 되어 있고,
물론 현재 기준으로 경제와 국방이 좀 더 중요하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복지 지출 비율을 증가해야 하고,
그 종점이 15%가 될지? 18% 될지는 좀 더 전문가 분들의 분석이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내용입니다.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당장 급한 부분이 있으면 증세할 수도 있고, 지출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면 필요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5/02/04 13:5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이 부분은 규모의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가계에 필수 생활비가 있듯이 어떤 국가든 필수 국가운영비가 있어야 합니다. 호주나 미국은 우리보다 규모가 훨씬 크고 1인당 GDP가 높기 때문에 같은 세율이라도 걷히는 세금이 다릅니다. 만약에 저 링크 기준으로 한국이 프랑스만큼 증세를 하고 그 증세만큼을 전부 복지로 돌려버리면 한국의 총 세출의 50%가 복지비지출이 됩니다. 그럼 프랑스보다도 복지 지출비율이 훨씬 더 높습니다. 그러나 이게 과연 맞는 방향일까 생각하면 글쎄요죠. 이렇게 단순화시킬건 아니라고 봅니다. 월급 200만원 받는 사람과 400만원 받는 사람의 문화생활비가 2배만 차이나진 않으니까요.
15/02/04 13:59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규모 문제가 분명히 있고, 미국의 국방비, 사회복지지출과 우리나라의 그것들과 직접 비교할 수는 없을 겁니다.
반대로 우리나라나 스웨덴, 핀란드에 비해서 미국은 훨씬 사회복지지출을 많이 하고 있겠죠.
그렇다고 미국을 스웨덴, 핀란드처럼 복지국가라고 보지는 않는거죠.

그래서 더더욱 우리나라 예산 내에서 상대적인 비율의 추이로 따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9%가 적합할 수도 있고, 8%가 적합할 수도 있고, 15%가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관한 자료가 있으면 보고 싶을 정도입니다. 그 근거가 무엇인지.
그런데 여전히 자료를 보면 9%가 충분하다고 읽히지는 않습니다.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OECD 평균이 20%가 넘는 현 시점에서는 말이죠.
단순화 시킬 수 없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복지지출의 비율이 충분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 참고로 OECD 국가의 GDP 순위는 우리나라가 15위 정도 1위 미국의 1/10 도 안되고, 50위 권 나라들의 5배~10배 정도 입니다.
// GDP가 낮은 나라들은 복지 지출 총액이 낮으니 우리나라 보다 복지 수준이 낮다고 보기에는
// 스웨덴 21위, 핀란드 41위 네요.
// http://monzaq.tistory.com/217 (블로그 자료라 죄송합니다.)
절름발이이리
15/02/04 17:10
수정 아이콘
호주는 한국과 또이또이 합니다.
15/02/04 18:31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말을 잘 못 했는지 모르겠는데 총 GDP가 아니고 1인당 GDP였습니다. 물론 총 GDP도 연관이 없진 않겠지만요.
포스트잇
15/02/04 13:53
수정 아이콘
국방비와 경제 업무 지출 비용... 국방비는 그렇다쳐도 최근 고발되기 시작한 MB정권에서 자원외교랍시고 삽질했던 수 조원이 경제 업무 지출 비용으로 속했겠군요. http://www.hankookilbo.com/v/f989f70bc9d740faa17f7a636ac11539
DarkSide
15/02/04 13:39
수정 아이콘
사스가 새누리의 칼타이밍 체제변환 스고이 ~
새누리 필수 스킬 '유체이탈 화법' 또 나오네요 껄껄껄
schwaltz
15/02/04 13:42
수정 아이콘
이거 바라고 새누리당 찍었는데 이제야 나오네요. 애초에 증세 없는 복지가 말이 안되는건 누구나 알수 있는거고 증세해서 복지할거같은 문재인보단 증세 안하고 복지 포기할거같은 박근혜를 찍었고 최근 꼼수써서 세금 더 걷는 모습에 실망했는데 이제라도 증세 철회했으면 좋겠습니다
라이트닝
15/02/04 13:47
수정 아이콘
저도 증세안하고 복지 포기하길 기대했는데 어설픈 복지하느라 증세하는 모습보고 박근혜 대차게 까는 중입니다.
schwaltz
15/02/04 13:48
수정 아이콘
헉... 여기 저랑 정확히 같은 의견인 분이 계시네요
전크리넥스만써요
15/02/04 13:48
수정 아이콘
현실은 증세(서민만)하고 복지포기. 세금은 어디로? 크크
schwaltz
15/02/04 13:59
수정 아이콘
증세 열심히 까면 내년엔 다시 줄어들까요... 여튼 계속 증세하면 새누리 표 다신 안줄거같네요
전크리넥스만써요
15/02/04 14:17
수정 아이콘
줄어들건 말건 일단 까야죠. 까는데 돈드는것도 아니고 헛짓거리하고 있으면 까야죠.
포스트잇
15/02/04 14:04
수정 아이콘
정권 바뀌면 어디다 썼는지 알 수 있겠죠 크크. 이미 오른 담뱃값이 다시 내릴 일은 없겠지만.
전크리넥스만써요
15/02/04 14:17
수정 아이콘
"그래도 김무성이는 잘할거여~"
포스트잇
15/02/04 14:19
수정 아이콘
벌써 선긋기하고 있으니 효과는 기가 막힐거라고 생각합니다 크크.
동네형
15/02/04 14:23
수정 아이콘
너무 짧게 보셨네요. 복지는 당연히 안할꺼고 증세는 무조건 합니다. 새누리당이 서민 감세 하는거보단 IS가 불교로 귀의하는게 현실성있겠네요
15/02/04 20:22
수정 아이콘
전 돈 없는 빈곤층이라 증세와 복지에 찬성합니다. 그게 일단 제 이익에 맞으니까요.
schwaltz
15/02/04 21:27
수정 아이콘
뭐 다들 자기 사정에 맞는 정책 보고 고르는거죠.. 그런 의미에서 저번 대선은 참 슬펐네요.. 공약을 더 안지킬거 같은 후보를 찾아야 하다니
15/02/04 13:46
수정 아이콘
증세 안한척...... 돈 뜯어먹은거 어디에 쓸라고 저렇게 워딩하시나
일간베스트
15/02/04 13:48
수정 아이콘
썰전 이철희 소장 말대로 [증세, 없는 복지]로 갈까 무섭네요.
알베르토
15/02/04 13:48
수정 아이콘
증세는 벌써 해놓고 복지만 안한다는 말이네요.
몽키.D.루피
15/02/04 13:5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증세는 청와대가 하고 복지 없애는 건 새누리당이 맡아서 이중효과를 보시겠다는 군요.
DarkSide
15/02/04 13:57
수정 아이콘
줄여서 한 줄로 ["(서민) 증세, 없는 복지"]

캬 ~~~~~~ 취한다 ~~~~~~~~
흰코뿔소
15/02/04 13:53
수정 아이콘
왜 이제서야?
꽃송이
15/02/04 13:55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말이 안된다고 봤는데 역시나네요.
다음 선거때는 또 어떤사기를 칠지 기대가 됩니다.
15/02/04 13:57
수정 아이콘
뭐,어차피 해처먹으려고 증세했다고 생각하는 편견이 존재하니 뭔 말을 해도 신용이 안가는군요.껄껄껄
김기만
15/02/04 14:01
수정 아이콘
김성모 만화를 보는듯한 위화감... 근데 51%의 국민은 그걸 몰라요.
야율아보기
15/02/04 14:33
수정 아이콘
애시당초 박근혜 찍은 사람들 중에서도 증세 없는 복지를 액면 그대로 믿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
시노부
15/02/04 14:38
수정 아이콘
담배값 도로 내려줄거냐 -_-;; 이게 무슨 헛소리래요
바밥밥바
15/02/04 14:47
수정 아이콘
편가르기에 성공한다면 이보다 좋은 결론이 없죠.
교통단속으로 위법운전자를 배제시키고
공무원연금개편으로 공무원들을 배제시키고
담배세인상으로 흡연자들을 배제시키고

편가르기에 익숙해진 국민들이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 논쟁을 통해
세금을 더 내야하고 편가르기 더 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그냥 복지를 포기해버리고 말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새누리당도 그걸 타겟으로 저런 발언을 서슴치 않는 것이구요.

이정도 정계혼란으로 지친 국민들은
복지는 무슨 복지냐 세금이나 돌려줘 태세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새누리당 입장에선 상당히 좋은 카드인거 같습니다
Outstanding
15/02/04 14:56
수정 아이콘
하아, 복지 안할란다.
나메일
15/02/04 15:39
수정 아이콘
이미 폐지됐다고 볼수도 있고 이미 지키지도 않은걸
왜 폐지하자고 하는걸까요
누가 보면 발언 소신껏 잘하는줄 알겠네
Cafe Street
15/02/04 16:05
수정 아이콘
지네가 하자고해서 한걸 지금 뭔소리를 하는지..
그냥 양아치고 사기꾼..
치토스
15/02/04 16:18
수정 아이콘
고마해라 마이 냈다 아이가
절름발이이리
15/02/04 17:12
수정 아이콘
특별히 복지 강화 안해도 앞으로 감세 드라이브는 못합니다. 그대로 유지만 해도 인구구조때문에 재정고갈 되는데 어떻게 감세를..
카롱카롱
15/02/04 17:32
수정 아이콘
복지 문제와는 별개의 축으로 자본과 노동이 가져가는 비율에 대해서 공적인 장소에서 의논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복지 문제는 장기적으로 국가의 존속에 관련된 것이고 임금 문제는 지금 바로의 문제라...
후라이드슈타인
15/02/04 18:09
수정 아이콘
복지폐지 운운하는데
한국이 복지를 뭘얼마나 하고있는지 알고 복지운운하는 겁니까
그리고 정말 있는 복지를 포기하자고 하면
무상급식 무상보육 이런게 도마에 오를게 아니라
노인들에게 들어가는 모든 비용
하다못해 대중교통까지 모조리 철회해야 하는겁니다
글고 복지운운할것 없이
한국은 아예 복지가 없고 이젠 영원히 못합니다
다들 노년은 알아서 챙기고 못챙긴 분은 그냥 자기 윗세대가 다 꿀빨아 먹었다고
욕하며 길거리에서 폐지줍고 살다 가는겁니다
리스트컷
15/02/04 18:22
수정 아이콘
국민정서상 이나라에 복지는 안맞습니다.
증세없는 복지라는말을 진지하게 믿었으면 그것도 그대로 문제고.
복지를 위해 증세하겠다는것또한 내가 왜 증세대상이냐로 조세저항이 일어나는데요.

복지라는걸 그냥 [남들이 해먹던 나랏돈 자기에게 떡고물 떨어진는것] 정도로 정의하는건 문제가 있는게 아니올지.
개혁이라는건 좋아하지만 건보료 개혁은 좌절시키죠. 월 200이상 버는사람들 확 증세하고 월 350 이상벌면 지금 부자들처럼 38% 떼가도 복지하기 힘든데 흐흐

이나라가 생각보다 잘산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다들. 우리나라 산유국이었나요?
15/02/04 19:18
수정 아이콘
공감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네요.
우주모함
15/02/04 19:21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저도 보편적 복지 찬성론자였는데
요새 세금올라가는걸 보면서 가벼운 세금인상에도 발끈하게 되더라고요.

복지라고 무조건 좋은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5/02/04 20:20
수정 아이콘
합리적인 누진소득세가 자리를 잡는다면 서민이라 불리우는 중산층 이하 계층은 증세하고 복지를 받는게 무조건 더 이익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세금이라고 하면 죄다 죽는 시늉을 하니 앞으로도 서민층들의 삶이 획기적으로 개선될일은 없을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15/02/04 22:03
수정 아이콘
박근혜식 증세없는 복지 = 적자 공기업 팔아서 복지
서민식 증세없는 복지 = 부자 증세해서 복지
15/02/04 22:24
수정 아이콘
국민이 우습게 보이니 저런 소리를 하는 거죠..
그런데 국민을 우습게 보는 저런 소리도 맞다고 박수치고 좋다고 찍어주니...
Sydney_Coleman
15/02/05 01:55
수정 아이콘
?? 이미 중산층 대상 증세는 담배, 연말정산, 주민세 등등등으로 어느정도 마쳤지 않나요? 증세.
여기에 더해서 우리는 다르다, 어쨌건 앞으로 복지를 축소하겠다라.. 없는 복지.
증세. 없는복지. 그러면서 선긋기까지. 이야... 대단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376 [일반] 독일 어떤 역에 새겨진 추념판.jpg [28] 표절작곡가6963 15/02/04 6963 3
56374 [일반] 문재인측이 손석희를 포스터에 넣어 아름다운 콜라보라고 했다가 강력항의 받았네요 [121] Woody11280 15/02/04 11280 2
56372 [일반] 저는 편향적입니다. [57] 마빠이6048 15/02/04 6048 22
56364 [일반] [SLR펌] 카풀하는 직원의 무개념 [85] 발롱도르18662 15/02/04 18662 0
56362 [일반] 부지런한 비효율에 관한 글을 읽고서... [22] damianhwang5312 15/02/04 5312 1
56359 [일반] 정부가 골프 활성화를 위해 세금 혜택을 검토한다고 합니다. [133] 동지8543 15/02/04 8543 5
56355 [일반] 여자와 아이를 죽이는 것이 어찌 성전인가!(뱀발부분 수정했습니다.) [40] 후추통7187 15/02/04 7187 1
56354 [일반] 새누리당 KY라인이 "증세 없는 복지" 폐지를 부르짖고 있습니다. [72] 어리버리5612 15/02/04 5612 1
56351 [일반] '유승민 효과'...朴 지지율 급락, 새누리 지지율 반등 [97] 발롱도르9201 15/02/04 9201 0
56324 [일반] 겨울왕국 피버가 다음달에 공개됩니다. [22] Leeka5725 15/02/03 5725 0
56319 [일반] 이 섬이 너무 답답합니다. [84] 프리다이빙9136 15/02/03 9136 0
56316 [일반] 이중언어사용(Bilingualism)이 정말 좋은 걸까 [76] 기아트윈스11972 15/02/02 11972 1
56282 [일반] [복싱계층] 메이웨더 vs. 파퀴아오. 떡밥은 계속된다. [17] 삭제됨4537 15/01/31 4537 0
56281 [일반] 다시 태어나도 한국에서 태어나시겠습니까? [123] 카레맛똥9306 15/01/31 9306 0
56272 [일반] 이명박 회고록에 대한 손석희의 뼈있는 일침 [76] 발롱도르15038 15/01/30 15038 15
56074 [일반] 아시안컵 8강 대진표 및 토너먼트 일정 [61] SKY926563 15/01/20 6563 0
56070 [일반] 한국에서 이케아가 잘 팔리는 이유 [51] 발롱도르11433 15/01/20 11433 0
56064 [일반] 클라라 디스패치 보도에 해명 발표 (+ 클라라 7월에 폰 빠트려서 휴대전화가 망가졌다) [156] 발롱도르17717 15/01/20 17717 1
56053 [일반] 직장인 피지알러를 무조건 열받게 만들 수 있는 기사 [92] swordfish-72만세9915 15/01/19 9915 3
56039 [일반] 사건에 사건이 꼬리를 물고 벌어지는 대한민국... [74] 발롱도르12083 15/01/19 12083 0
56030 [일반] [아시안컵] 일본 탈락 시나리오 [43] 삭제됨10547 15/01/18 10547 1
56027 [일반] 삼국지 3대 팬덤 정리 [103] 발롱도르14297 15/01/18 14297 1
56010 [일반] [축구] 이번 아시안컵 결과가 이상합니다. [100] ChoA12798 15/01/17 1279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