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1/31 15:26:20
Name 966FA
Subject [일반] 정부가 도와준 나의 금연 1달, 예상못한 단점?
 1997년 2월 입대하고 신교대를 가니 금연이라고 하더군요. 갑자기 담배를 못피우니 답답했지만 워낙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곤한 상황이고 담배를 구할 수도 없으니 어쩔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5주정도 지나면서 그럼 이 기회에 아예 금연을 할까? 라는 생각도 조금씩 들더군요. 그러나 퇴소식날 아버지께서 " 수고했어. 하나 피고 와~" 하시고 건네준 담배는 제가 가장 오랫동안 담배를 안핀 시간이 6주라는 기록에 머물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2015년 담배값 인상으로 끽연의 즐거움을 포기하기로 마음먹게 되었고 벌써 한달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12월 31일 저녁 8시경 마지막 남은 담배를 하나 피고 금연을 마음먹은 이후 40가까이 살아온 인생에서 가장 오랫동안 자의에 의하여 금연하게 되니 이제 자신감이 어느 정도 붙은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흡연자들 거의 대부분은 담배를 끊고 싶어 하지만 대부분 생각에만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지요. 하긴 금연이 이렇게 쉬운 것이었다면 담배값 인상이 이렇게 이슈가 되지도 않았겠지요. 그러나 이토록 어려운 금연의 길에 큰 도움을 주신 정부관계자에서 감사의 의미로 어떤 종류의 욕을 드려야 할지 가끔 고민되기도 합니다. 아마도 정부의 강력한 금연정책(이거 다 거짓말인거 아시죠?)이 있었기에 담배 생각이 날때마다 욕지거리가 나오면서 쉽게 넘어가게 되더군요.

 20년 가까이 금연과 금주를 이어오신 아버지께서 "술은 생각안나는데, 길거리 담배 냄새나면 피고싶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하시더군요. 역시 아버지는 술과 담배를 동시에 끊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저는 술자리는 최대한 피하고 집이나 와이프랑 있을때 반주만 합니다. 그럼 담배를 필 수 없으니까요. 그리고 확실히 은행에 덜 가게 됩니다. 현금을 쓸일이 별로 없어지면서 한번 현금을 뽑으면 잘 안 없어지더군요. 또한 와이프의 핀잔이 줄어든 점은 확실히 좋습니다. 그런데 밥을 먹고 난 이후, 특히 자극적인 것을 먹고나면 담배가 생각나더군요. 그래도 흡연 욕구는 담배값을 떠올리면 많이 줄어들기는 합니다. 고마운 대한민국 정부네요.

 그러나 금연의 단점은 어처구니 없는 곳에서 생겼습니다. 예전에도 글을 한번 썼었지만 처가집이 조금 많이 보수적인 집인데요. 와이프가 금연 힘들지 않냐고 하기에 "현 정부와 지도자의 꼼수 증세정책에 추어도 놀아날 생각은 없다. 지금도 호구지만 더 이상 호구가 되길 원치 않는다"했더니 "어머. 그럼 고마운 정부네" 하더군요.  결국 제 주변에서 정권지지도는 상승하는 단점이 발생하더군요. 역시 높으신 분들은 저보다 똑똑하고 멀리 볼 줄 아는 사람들이더군요. 저 같은 소시민보다 멀리 보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1/31 15:33
수정 아이콘
담뱃값 아꼈더니, 연말정산으로 다 날렸다 고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흐흐
에리x미오x히타기
15/01/31 15:38
수정 아이콘
좋아요!
저 신경쓰여요
15/01/31 16:04
수정 아이콘
첫플이 베플이네요? 크크크
朋友君
15/01/31 17:32
수정 아이콘
댓글 추천 기능, 언능 해주세요!!!
15/02/01 00:20
수정 아이콘
오늘 고향에계신 어머님과 통화중에, 연말정산 잘되었냐고 하시길래,, 그럭저럭 선방했다고 했더니,, 주위에 연말정산 때문에 난리가 났다고 하시면서,, 그넘의 복지때문에 그렇다고,, 두번세번 말씀하시더군요.
고향집에 갈때마다 종편이 하루종일 틀어져있더니,, 거기서 또 이런식으로 쇄뇌를 시키는가보더군요..,, 오랜만에 전화드린거라 그냥 다른이야기로 돌렸습니다만,
나이드신분들께는 뭔 이야기를 해도, 잘한건 대통령, 여당,, 못한건 다 야당,, 뭐 이런식인 것 같더군요.
15/02/01 13:07
수정 아이콘
참 무섭습니다. 이 나라.
15/01/31 16:00
수정 아이콘
소시민보다 더 멀리 보시는 저기 높으신 분들에게 박수를! 소주값도 올리면 얄짤 없습니다 크크
눈바람
15/02/03 17:15
수정 아이콘
잘하셨습니다!
저는 현 정부가 미우나 담배가 미운 것은 아니기에..
그래도 많이 줄였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710 [일반] [도전! 피춘문예] 연이는 봄비를 좋아해 1/2 [31] 리듬파워근성8501 15/04/22 8501 48
57650 [일반]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High Frequency Trading - 2 [11] Elvenblood6358 15/04/19 6358 13
57514 [일반]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High Frequency Trading - 1 [19] Elvenblood6623 15/04/13 6623 13
57451 [일반] 네이버 카페 개인정보수집에 관한 신고 후기 [12] 정용현9291 15/04/09 9291 4
57109 [일반] 아니 아직 금리인상 시작도 안했는데? [26] Elvenblood10777 15/03/23 10777 15
57053 [일반] 그래도 살 만합니다. [27] 영혼의공원6127 15/03/19 6127 0
57049 [일반] 직구 초보의 해외 직구 경험기 [50] 물맛이좋아요8667 15/03/19 8667 2
56993 [일반] 뜻밖의 상승 - 맥쿼리인프라 [37] 기아트윈스13159 15/03/15 13159 4
56948 [일반] [금리] 한국은행 기준 금리 2.0% -> 1.75%으로 첫 1%대 진입 [65] HesBlUe6572 15/03/12 6572 1
56893 [일반] 학자금 대출... [48] 박보영9884 15/03/08 9884 17
56891 [일반] 테러도 이제는 기술로 하는 시대... [18] Neandertal10688 15/03/08 10688 6
56864 [일반] “김일성 장군 만세” 외쳤던 조선일보 1950년 6월28일 호외 [93] 어강됴리9937 15/03/05 9937 12
56823 [일반] 미국 금리 인상? 결국 문제는 인플레이션 [24] Elvenblood7945 15/03/02 7945 13
56820 [일반] (푸념) 서울에서 집 구하기 참 어렵네요 [50] Julia12916 15/03/02 12916 3
56769 [일반] [잡설] 오늘 은행에서 겪은 일 [31] 오승아7917 15/02/26 7917 1
56751 [일반] 2015년 대한민국의 딜레마 해결 방안 [39] 개돼지6609 15/02/25 6609 2
56508 [일반] 우리 아이 개인정보,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 [22] 이상한화요일4204 15/02/11 4204 6
56477 [일반] 인터넷상의 법률정보,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 주택임대차 최우선변제금 사건 [13] 이라세오날3694 15/02/10 3694 0
56286 [일반] 정부가 도와준 나의 금연 1달, 예상못한 단점? [8] 966FA5681 15/01/31 5681 1
56275 [일반]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법인세 이야기 [7] 달과별11430 15/01/31 11430 1
56214 [일반] 온라인 쇼핑 딥빡 후기 - 부재 : 대한민국 결제시스템은 재앙수준 [91] Jun9119979 15/01/27 9979 7
56165 [일반] 디플레이션 앞에 무릎 끓은 전 세계 [58] Elvenblood10683 15/01/25 10683 1
56093 [일반] 오바마의 새해 국정연설이 있었습니다. [60] 스테비아7263 15/01/21 72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