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03 12:54:05
Name 뀨뀨
Subject [일반] 홍합탕 정말 좋아했는데...
여러분은 홍가네나 홍합의전설에 자주 가셨나요?
저렴한 가격으로 홍합탕 무한리필이 가능한 곳인데
소주랑 잘 어울리기도 해서 회사 뒷풀이로, 친구들과 함께 자주 가던곳입니다.

근데 알고나니 가게에서 파는 홍합탕에 들어가는게 홍합이 아니라고 합니다.
바로 지중해담치라는 것인데요,





국내 토종인 진짜 홍합은 색깔이 약간 불그스레한 회백색인데
우리가 식용하고 있는 지중해담치는 검은 색깔을 하고 있어 육안으로도 쉽게 구별이 가능합니다.
또한 국내 토종인 진짜 홍합은 크기가 지중해담치보다 훨씬 더 크며 육질도 더욱 맛있고 향기도 좋답니다.

그럼 일반시중에 우리나라 토종의 진짜 홍합이 자취를 감추고 가짜인 지중해담치가 넘쳐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 토종인의 진짜 홍합은 동해안의 극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이랍니다.
국산 토종 홍합은 서식조건이 까다로와 일반 근해에서는 서식하거나, 양식하기가 불가능하며
멀리 떨어진 바다 한 복판 섬부근에서만 서식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양식업자나 수산업자들이 근해에서 쉽게 번식하고 잘 자라는 지중해담치를
홍합 대신에 대량 양식해 유통시켜왔던 것이며, 상인들 입장에서도 진짜 홍합보다는
지중해담치를 유통·판매하는 것이 더 수지가 좋다는 것이지요.

수지타산이 안맞고 양식하기에도 부적합한 진짜 홍합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홍합은 모두 진짜 홍합이 아닌 지중해담치라고 합니다.

< 출처 : http://lomangce.tistory.com/387 >

물론 먹는것임에는 별 차이가 없겠지만,



이것들은 폐타이어 양식장에서 자라난다고 합니다.
폐타이어 양식장에서 자라나는 것들은 무려 16가지의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었다고 하네요.

< 출처 : http://daily.hankooki.com/lpage/society/201412/dh20141203122231137780.htm >

밖에서 먹는건 정말 믿기가 어렵네요ㅠㅠ
그러므로 집에서 어머님이 해주시는 레알 홍합탕을 맛나게 먹읍시다!

< 더 알아보기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4&contents_id=18512 >

+수정 : 홍합탕도 중금속 덩어리라는 얘기가 있네요...

< 댓글 + http://kimgyung.tistory.com/57 >

ㅠㅠㅠ그럼 둘다 먹지 말아야 하는건지... 웃프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명탐정코난
14/12/03 12:57
수정 아이콘
지중해담치도 홍합의 한종류입니다.
그리고 홍합도 바닷속 중금속 흡수하는건 마찬가지고요.
먹거리 x파일이 뭐 하나 터뜨리고 싶은가본데
홍합이나 지중해담치나 거기서 거기죠.
맛은 제기준으로는 지중해담치가 낫더군요.
14/12/03 13:00
수정 아이콘
명탐정코난
14/12/03 13:05
수정 아이콘
폐타이어가 바닷속에 잠겨있는이상 자연산도 똑같죠. 오히려 자연산이 자생능력때문에 중금속함유량이 더 높은경우도 있죠.
이건 홍합이라는 생명체의 필연적 요소인데 이게불안하면 글쓴님 제목대로 아에 어떤 홍합요리도 안먹는게 좋습니다.
덱스터모건
14/12/03 13:00
수정 아이콘
마트에서 사보면 두제품 간 가격차이가 크더라구요. 육질이나 맛은 제경우에는 국산이 좋았습니다.
맞춤법지적봇
14/12/03 13:02
수정 아이콘
일단, 담치 = 홍합이고요. 섭, 담치, 각채라고 불리긴 하는데 어차피 모두 홍합입니다.
그리고 자연산에 더 많은 중금속이 축적이 되어있습니다. 오죽하면 바다의 중금속 수집소 = 홍합이라고 하겠습니까.
오히려 양식의 경우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발견되면 전량 폐기하기 때문에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14/12/03 13:05
수정 아이콘
부산에선 홍합을 담치라고 부릅니다.
폐타이어 발암물질은 바닷물의 수온에선 유출되지 않는다고 하던데 실제로는 문제가 있는 모양이네요?
저게 사실이라면 어디에 붙어사는 양식 해산물은 다 못먹을텐데.. 전복도 마찬가지일테고요.

그런데 담치 직접 잡아보면 먹고싶단 생각은 안들죠.
안먹습니다 전.. 자연산이라 하더라도... 먹을게 못됩니다.. 자연산이 더 더러울지도 모르겠네요. :(
14/12/03 13:05
수정 아이콘
저거 양식하는 사람들 본인의 자식들 한테도 먹이는지 궁금하네.
OnlyJustForYou
14/12/03 13:09
수정 아이콘
저게 엄청난 문제라는 생각은 안 드는데..
짬뽕 먹으러 가서 홍합짬뽕대신 꼬막짬뽕을 시키게 되더군요 -_-;
주니뭐해
14/12/03 13:11
수정 아이콘
기자들이 학명과 국명을 모르는 상태에서 작성했네요
로즈마리
14/12/03 13:11
수정 아이콘
홍합은 양식이 오히려 안전할수 있어요.
The HUSE
14/12/03 13:13
수정 아이콘
아. 먹거리 X파일.
아직도 이러네요...
익명의제보자
14/12/03 13:14
수정 아이콘
역시 먹거리 엑스파일이라는 말만 나오네요. 어떤 의미에서든지..
원달라
14/12/03 13:16
수정 아이콘
...
다음 타자는 다금바리 예상해봅니다.
맞춤법지적봇
14/12/03 13:33
수정 아이콘
충격!! 사실 우리가 먹은 것은 다금바리가 아닌 능성어였다.
충격!! 사실 능성어도 아니고 자바리였다!!
카롱카롱
14/12/03 14:26
수정 아이콘
이거 재밌는게 일본에서도 다금바리 =능성어 인가봐요. 지역에 따라 능성어를 다금바리라고 부른다고...
Lunar Eclipse
14/12/03 13:18
수정 아이콘
우선 현직 어부로써... 홍합, 굴은 정말 생명력이 질깁니다.
안 살고 있는데가 없어요. 깨끗한 바다든 공장폐수가 나오는 곳이든 없는데가 없죠.
그래서 바닷가 사람들도 더러운물도 먹고산다고 홍합, 굴 먹지 않는 사람 많습니다만.... 저는 없어서 못 먹구요.

믿을만한 자연산이 아니라면... 양식이 훠얼씬 깨끗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홍합 내장은 두가지 색입니다. 거의 대부분 패조류가 그러한데... 암컷은 붉거나 검은색, 수컷은 흰색입니다. 전복이나 고동, 소라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14/12/03 13:19
수정 아이콘
홍합은 양식이 자연산보다 안전합니다. - -;
자연산은 지금 바다에 중금속이 얼마나 많이 있을지 상상도 안되는 수준이다보니...

그것도 동해안엔 일본과 한국에서 뿌린 수많은...
로즈마리
14/12/03 13:21
수정 아이콘
홍합을 먹고 문제가 생긴경우는 대부분 자연산을 취식하고 발생하고 양식을 하면 독성검출시 폐기하니까 문제가 적게 발생하는거구요 .
그리고 폐타이어가 바닷물온도에서 발암물질을 유출하나요?
14/12/03 13:25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 더 많은 정보들을 얻네요. 지중해담치가 생각보다 안전하고, 오히려 자연산 홍합이 더 문제일 수가 있다는 것.
홍합류는 중금속을 기준치의 3000배가량까지 머금는다는것... 머리가 복잡해지네요 ㅠㅠ 먹고싶은데 못 먹을 것 같기도 하고...
기러기
14/12/04 23:12
수정 아이콘
저 같은 경우 댓글에서 진짜배기 정보가 나온다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 사람의 본성상 남이 제대로 말한 부분은 댓글을 안 달아도 남이 잘못 말한 부분은 댓글을 달기 마련이라.. 기사의 틀린 부분은 댓글을 보면 파악이 되죠.
14/12/03 13:27
수정 아이콘
그저 뭐 하나 터뜨리고 싶을뿐인 먹거리x파일은 이미 신용이 바닥이라...
무적전설
14/12/03 13:30
수정 아이콘
전 홍합 맛도 없는데.. 짬뽕만 시키면 홍합을 몽땅 넣어주더군요.
방민아
14/12/03 14:10
수정 아이콘
저도 홍합은 그냥 주변 사람들 다 줍니다. 적당히 좀 넣지....
즐겁게삽시다
14/12/03 13:35
수정 아이콘
헐.... 본문 댓글 둘다 충격적이네요
14/12/03 13:35
수정 아이콘
홍합이야 뭐 문제 없는거 같은데 곱창편이 더 충격이더군요
무적전설
14/12/03 13:38
수정 아이콘
진짜 먹을 것으로 장난치는 애들은 좀 심하게 처벌해서 유사건이 안나오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식품 위생 장난이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안심하고 먹을게 없어요..
14/12/03 13:47
수정 아이콘
전 그거 보고 평생 대창은 안먹기로 결심했습니다.
14/12/03 13:55
수정 아이콘
곱창 막창 대창 순대 다 안먹기로 했습니다.
외할아버지께서 하신 말씀이 떠오르네요. 동물의 내장을 좋아하면 오래 못산다고..
순대도 소장과 대장으로 만든다고 합니다. 색깔도 뭐.. 변 들어있어도 못 알아차릴 색이고.
순대도 끊읍시다.

치멘.
14/12/03 13:55
수정 아이콘
맛있는것들이 왜이렇게 맘편이 먹을게 없을까요 ㅠㅠ 홍합도 곱창도 패스트푸드도 너무너무 좋은데 ㅜㅜ 맛있는게 몸에도 좋으면 얼마나 좋을까 ㅠㅠ
공허의지팡이
14/12/03 13:56
수정 아이콘
서해에서 홍합캐줘서 많이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자연산이라서 껍질이 엄청 더럽습니다.
박박 문질러서 삶아 먹었는데 국물이 끝내줬어요. 이물질이 좀 있기는 하지만 삶았으니~ 하면서 먹었죠. 크크
로즈마리
14/12/03 14:01
수정 아이콘
저 피디를 볼때마다...선무당이 사람잡는다는 말이 떠오르네요.
흰코뿔소
14/12/03 14:06
수정 아이콘
먹거리X파일은 유언비어가 대부분이라서 믿을게 못되죠. 뻥에 과장의 조합.
그리고 지중해담치는 보통 양식 홍합이라고 팔며, 그걸 먹는다고 문제될 건 없죠. 진짜 홍합은 비싸요.
게이득
14/12/03 14:09
수정 아이콘
99%의 거짓과 1%의 부풀림으로 완성되는 먹거리X파일
카롱카롱
14/12/03 14:15
수정 아이콘
어시장 삼대째 만화가 생각나네요. 진짜 본격 먹방만화인데(..) 식 만화치고는 배틀이 전혀 없죠.
요새들어 그 만화에서 수자원 고갈+ 관리할 수 없는 자연산 대신에 안전하고 건강한양식(철저한 관리라는 전제하에)애기를 하더군요. 사실 자연산이라고 히야 자연이 오염되서...다만 철저한 관리가 필수인거 같습니다.
14/12/03 14:16
수정 아이콘
그저 뭐 하나 터뜨리고 싶을뿐인 먹거리x파일은 이미 신용이 바닥이라... (2)
이영돈 피디와 함께 어떤 내용을 말해도 믿음이 안가는 프로가 되버렸죠.
자전거도둑
14/12/03 14:18
수정 아이콘
저 위에있는 무한리필집 갔다가 질리게 먹은후에 홍합만 봐도 구역질이 나옵니다...
라이즈
14/12/03 14:27
수정 아이콘
시장에서파는 홍합은 알이굵고 실하던데 그것도 지중해홍합일까요?
흰코뿔소
14/12/03 14:53
수정 아이콘
자연산 홍합은 사이즈가 손바닥만해야 합니다.
라이즈
14/12/03 14:57
수정 아이콘
저윗사진 만하고 따개비 붙어있고 그 무슨 털같은거 물고있던데요 흐흐손바닥만하지는않았던것같고 좀 검은편이긴했습니다.
흰코뿔소
14/12/03 15:06
수정 아이콘
그러면 자연산일지도요. 요새 시세가 자연산은 kg당 7천~12천원이고 양식은 kg당 3천원선일겁니다.
수산물이 시세가 하도 왔다갔다 하고 유통망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얼추 저 정도 일겁니다.
자연산도 똑같이 검어요. 다만 얼룩이 있거나 뭐가 붙어있거나 하는 식이죠.
가브리엘대천사
14/12/03 14:36
수정 아이콘
지중해담치라는 게 있는지는 또 처음 알았네욤 ;;;
14/12/03 17:11
수정 아이콘
그냥 지중해에서 수입한 홍합이라는 거에요. 그걸 마치 가짜 홍합인 양 부풀리고 왜곡하는 먹거리 x파일...
Tristana
14/12/03 14:45
수정 아이콘
홍합을 안 좋아해서 후후
그나마 다행이네요
근데 순대나 곱창같은건 좋아하는데 ㅠㅠ
14/12/03 14:59
수정 아이콘
본문과 댓글 보니 일산화이수소가 떠오르네요.
본문만 보면 그냥 넘어갈듯;;
스프레차투라
14/12/03 15:41
수정 아이콘
손으로 껍질을 뽀갤 수 있으면 짝퉁이란 설이 있었죠.

어차피 매일 먹는 것도 아니라서, 저는 그냥 앞에 있으면 먹으려구요.
14/12/03 15:56
수정 아이콘
페타이어는 아무 문제 없는 거 아닌가요?
14/12/03 18:50
수정 아이콘
먹거리 x파일이라는 말에 웃고 갑니다. 솔직히 신뢰하기 어려운 방송이라...
구밀복검
14/12/03 19:15
수정 아이콘
폐류는 대체로 중금속이 많죠. 다음 동영상을 참조하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saAy7GfLq4w

물이 저렇게 깨끗하게 되는 동안 오물은 다 어디로 갔겠습니까.
휴잭맨
14/12/04 05:58
수정 아이콘
20~30년전부터 무역선들을 통해 유입된거에요.
방송을 날로 만들었네요.
저 대로라면 10년전에 먹던 홍합도 홍합아니죠
노틸러스
14/12/04 23:51
수정 아이콘
글 제목 모음체를 사용한 이모티콘 사용으로 임의 수정했습니다('ㅠㅠ'삭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46 [일반] 걸그룹 유튜브 랭킹 정리 첫번째 편 - 소녀시대 [13] 뀨뀨6685 15/03/25 6685 3
56973 [일반] PPT가 왜 이렇게 버벅거려? 너 잘못 만진거 아니야? [17] 뀨뀨39516 15/03/13 39516 13
56918 [일반] 박주영은 과연 뛰어난 축구 천재였는가 [196] 뀨뀨14455 15/03/10 14455 0
55838 [일반] 젊은이들이 늙어가는 세대 [267] 뀨뀨15207 15/01/07 15207 20
55653 [일반] 오준 한국대사의 UN을 울린 한 마디 '우린 남이 아니다' [33] 뀨뀨9282 14/12/28 9282 7
55422 [일반] 누디진 패밀리 세일! 일명 누디대첩 현장 [33] 뀨뀨10851 14/12/14 10851 1
55419 [일반] 가습기 살균제 사건 [20] 뀨뀨7991 14/12/14 7991 2
55225 [일반] 홍합탕 정말 좋아했는데... [50] 뀨뀨12338 14/12/03 12338 0
55023 [일반] 흔한 피쟐러의 좌충우돌 롯데 PPT 공모전 첫 도전기 -완- [62] 뀨뀨13686 14/11/21 13686 10
55018 [일반] 흔한 피쟐러의 좌충우돌 롯데 PPT 공모전 첫 도전기 -1- [12] 뀨뀨11367 14/11/21 11367 5
54752 [일반] 업무시간에 몰래 PGR하는 여러분에게 추천하는 미니 디자인 놀이 [26] 뀨뀨6009 14/11/07 6009 0
54751 [일반] 월드클래스, 손흥민 (메시-피를로와 함께 챔스 위클리 베스트11) [35] 뀨뀨7320 14/11/07 7320 1
54729 [일반] 애즈원이 '오늘같은 날'로 돌아왔습니다. [7] 뀨뀨3726 14/11/06 3726 1
54713 [일반] [스토리텔링 PPT] 주제 : 10CM와 美 (+롯데공모전 소식) [7] 뀨뀨22202 14/11/05 22202 0
54398 [일반] 암 걸릴 것 같은 동생놈 PPT를 수정해 보았다 [71] 뀨뀨18438 14/10/20 18438 9
54300 [일반] 인생의 첫번째 공모전 PPT제작이 끝났습니다. [72] 뀨뀨13040 14/10/15 13040 4
54162 [일반] 네이버의 새로운 나눔폰트, '나눔바른펜'과 상용 폰트에 대한 소고. [44] 뀨뀨11316 14/10/06 11316 2
53945 [일반] 과연 나는 하루에 몇 개의 유튜브 영상을 볼까? [20] 뀨뀨7334 14/09/23 7334 0
53926 [일반] 꼬께네, 럭키월드... '와레즈'를 아십니까? (1편) [83] 뀨뀨13866 14/09/22 13866 13
53909 [일반] 왜 나는 항상 마이너스의 손인가 [14] 뀨뀨5029 14/09/21 5029 0
53896 [일반] 플랫디자인과 어울리는 Sans serif 글씨체 [17] 뀨뀨9472 14/09/20 9472 10
53828 [일반] [쇼핑] 유니클로 Schwinn 맨투맨 그래픽티셔츠! [22] 뀨뀨8436 14/09/17 8436 0
53776 [일반] 주관적인 최근 추천 예능들 [129] 뀨뀨14735 14/09/13 1473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