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1/17 18:41:03
Name swordfish-72만세
Subject [일반]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 일 안하고 월급 많이 받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2&aid=0002544279&viewType=pc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들 일은 덜하면서 월급만 많이 받아”

정말 대박이네요. 대놓고 이렇게 말하다니... 사실 우리나라의 노동문제는 이거죠.
쓸데 없이 긴 근무 시간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경우가 많죠. 사실 이문제 해결하는 방법은 단순합니다.
국가에서 추가 근로에 대한 임금 위반에 대한 처벌만 확고하게 하면 됩니다. 야간 근무 수당이랑 휴일 수당만
FM대로 지키게 만들면 회사도 근무 시간을 준수하려고 노력할 거고 대신 노동 생산성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엘핀키스
14/11/17 18:44
수정 아이콘
캬... 복지국가 클라스에 취하네요. 저노동 고임금!
SSoLaRiON
14/11/17 18:44
수정 아이콘
이 글엔 욕써도 되게 해야 되는거 아닙니까?
마세영
14/11/17 18:44
수정 아이콘
무슨생각으로 저런발언을 하는건지 진짜.. 답답하네요
진짜 수당만 제대로 후려치지않고 챙겨주고선 저런얘기를 하면 또 모를까 ..
MandateofHeaven
14/11/17 18:44
수정 아이콘
자기들이 일 안하고 월급만 받아가니 남들도 다 그런줄 아는듯....
14/11/17 19:11
수정 아이콘
+1
뒷짐진강아지
14/11/17 21:21
수정 아이콘
일겅
Shandris
14/11/17 18:45
수정 아이콘
기사 제목은 직접 말한것처럼 큰따옴표를 쳐놨는데 내용은 그냥 보고서를 냈다는 소리 아닌가요? 상공회의소의 주장에 동의하고 안하고를 떠나 기사가 작위적인 느낌이...
swordfish-72만세
14/11/17 18:47
수정 아이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8864849&code=41141111&cp=nv
다른 언론사 기사입니다.

대한상의는 “근로시간을 단축하려면 한국이 경쟁국보다 노동생산성이 낮고 임금은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경쟁국 수준 이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노동규제 강화가 아닌 생산성 향상 노력이 먼저 필요하다”고 밝혔다.
Shandris
14/11/17 18:49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 일은 덜하면서 월급'만' 많이 받아"라고 말하는거랑 생산성이 낮은데 월급을 많이 받아간다는 보고서를 내놓는거랑은 차이가 있으니까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8:52
수정 아이콘
사실 해석에 따르면 그렇게 다른 말도 아닙니다. '질적으로' 덜 일하면서 월급만 많이 받는다는 이야기니까요.
Shandris
14/11/17 19:11
수정 아이콘
그건 받아들이는 사람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문제지 기사가 저렇게 적으면 안되는거니까요. 어차피 상공회의소 같은 단체가 친기업적인 포지션인건 세상이 다 아는데 일부러 저렇게 제목을 단거라면 선동했다는 것밖에 안됩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19:14
수정 아이콘
왜 선동인지 모르겠네요. 보고서는 냈고 저렇게 주장한 것도 사실이니까요.
주장의 핵심도 노동생산성은 개떡인데 월급은 높다. 그러니 근무 단축 같은 거 NONO죠.
애초 임금의 자료라고 내놓은 것도 PPP 인 보고서인지라 결론은 주장처럼 정해 놓고 자료를 찾은 것인지라
님이 생각하시는 이상함은 경향일보가 문제가 아니라 보고서 자체가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Shandris
14/11/17 19:25
수정 아이콘
사실이 아니니까 그러는거죠. 간단히 예를 들어 'A는 공부한다'라는 말과 'A는 공부만 한다'라는 말이 주는 의미는 다르잖아요. 그걸 직접인용했으니 상공회의소의 발표나 보고서에 직접 그렇게 언급한게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아니고요. 보고서에 대한 비판은 솔직히 아무 관심없어요. 애시당초 상공회의소는 원래 친기업적인 단체니 개인적으로 저런 보고서가 나온다고 특별히 신경쓰고 그런거 없습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19:31
수정 아이콘
쿠키 뉴스의 따온표 된게 보고서 직접 인용 아닌가요? [생산성 낮다] & [임금은 높다]
근거로 내놓은 것도 이 두 명제를 입증하려는 자료죠.
도대체 이걸 왜 선동으로 받아 들이시는 모르겠습니다.
애초 대한상의 보고서라는 게 대한상의의 주장이기도 한 문서인데 말이죠. 이쪽은 일반 경제 연구소랑 좀 다른 상공업자를 위한 공법상 특수 단체이고 이런 입장의 표명이 바로 보고서 입니다.
Shandris
14/11/17 19:46
수정 아이콘
직접인용을 하려면 보고서에 있는걸 그대로 옮겨와야하는데 그게 아니고, '~만'이라는 말까지 집어넣으면서 좀 더 부정적인 문장으로 적어놨으니까 그런겁니다. 내용이랑 상관없이요. 그리고 애초에 상공회의소는 경제5단체 중에 하나로 기업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인데 보고서든 주장이든 따질 필요는 없겠죠.
양념게장
14/11/17 19:33
수정 아이콘
그죠. 우리나라는 뉴스 기사들의 직접 인용은 그냥 기자 머리속을 한 번 거치고 나온 인용이라고 받아들여야 되는거 같습니다.
멀면 벙커링
14/11/17 18:46
수정 아이콘
상공회의소라...야구단과 SNS로 이미지 세탁 열심히 하시는 그분이 회장으로 있는 곳이군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8:48
수정 아이콘
흑표로 유명한 모회사와 관계된 그분이시죠.
바리미
14/11/17 18:48
수정 아이콘
너무 비교 대상의 자료가 제각각이네요. 어느것은 지난해 어느것은 2011년 어느것은 2005년 이렇게 비교해서 아무리 봐도 뭔가 작위적인 느낌이 드는군요.
그리고 우리나라가 홍콩,싱가포르와 경쟁국으로 비교하는것도 조금 이해가 안되고요. 일부러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는 싱가포르 홍콩과의 비교하여 심하게 보이는데, 사실 일본 대만과는 큰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고.
그래프
14/11/17 18:49
수정 아이콘
옥수수 털어도되요?? 되죠?? 되는거죠??
원달라
14/11/17 18:49
수정 아이콘
정석적인 체리피킹이군요.
대단합니다. 욕은 생략.
14/11/17 18:50
수정 아이콘
음 본문과는 상관 없는 얘기입니다만 우리나라가 근무 시간은 많지만 집중해서 일하지 않아서 생산성은 비슷하거나 혹은 낮을수 있다에 대체로 동의합니다. 외국회사 빡쎄게 일하는 사람들 보면 정말 정말 집중해서 열심히 하고 점심도 그냥 간단하게 샌드위치 하나 사서 워킹런치로 먹고 저녁 7:30 정도까지 일하다가 퇴근하는데 한국회사는 하루종일 집중하지 못하고 저녁에도 저녁 먹고 와서 집중하지 못하다가 10시쯤 퇴근하죠.
물론 다 그렇다는것은 아닙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18: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걸 어떤 사람은 그렇게 설명하더군요. 퇴근 시간이 늦은 건 일이 많아서가 아니라 상사가 퇴근을 안해서라고... 어자피 늦게 퇴근하는거
천천히 하는 것이라고 말이죠.
엔하위키
14/11/17 18:54
수정 아이콘
출퇴근시간 엄수하고 초과근무수당 칼같이 챙겨주면 기업에서 알아서 생산성 향상 방안 만들어서 적용시킵니다. 출근은 30분빨리, 퇴근은 30분늦게, 야근은 무료봉사인데 누가 의욕적으로 일하려고 하겠습니까
14/11/17 18:56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생산직이면 몰라도 지식노동을 하는데 내가 시간 더 일하니까 더 돈을 달라는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농땡이를 피우고 오버타임은 가져가는 방식이 가능하니까요.
내가 이런 이런 일을 하겠다 라고 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연봉을 가져가는게 저는 맞다고 봐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8:5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선진국은 왠만하면 화이트 칼라 추가 근무를 못하게 만들죠.
뭐 한국 공무원들도 최근 위에서 어느 정도 야근 시간이 넘으면 인사 고과에서 마이너스 취급합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그냥 늦게까지 직원들 잡아 놓으면 열심히 일한다는 관념 때문에 잡아 두는 거고
그건 직원들에게 사실 고통이죠.
14/11/17 18:59
수정 아이콘
딱히 그렇지 않습니다. 선진국도 일이 많은 곳은 야근 정말 많이 합니다. 물론 따로 오버타임차지 없이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9:01
수정 아이콘
많은 곳 이야기고 나름의 계약 안에 조항이 포함 되어 있겠죠. 하지만 일이 많아서 늦게 끝나는 것과 상사나 회사 눈치 보느라고
늦게 끝나는 건 사실 차이가 있죠.
치킨과맥너겟
14/11/17 19:08
수정 아이콘
글쎄요 소수가 그럴지는 몰라도 대부분의 회사는 수당에 관해서는 철저하게 관리합니다.

특히 관리직이면 더욱더 밑에 직원들 왠만해서 야근하지 못하게 합니다. 왜냐면 다 인사고과에 반영되기 때문이죠
14/11/17 19:36
수정 아이콘
쥬니어들보다 시니어급, 관리직이 야근을 더 많이 합니다. 일이 더 많으니까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9:38
수정 아이콘
애초 우리나라도 임원들은 저 근로법 적용을 안받습니다. 노조에 아마 부장 이상은 가입도 안될 걸요?
14/11/17 19:53
수정 아이콘
보통은 과장부터 사측에 들어가긴 합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19:59
수정 아이콘
gamekid 님// 그러니 시니어나 관리급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는 겁니다.
그리고 그사람 계약서에 뭐라고 되어 있는지 제가 알게 뭡니까?

기본적으로 저건 어떤 근로자나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적은 것이고 회사는 준수할 의무가 있는 거죠.
아니면 스톡옵션 엄청 주워서 노동자가 아닌 주주로 만들든가.

아 한국 비상장이면서 허술한 중소기업은 벤쳐 같은 부류 빼고 스톡옵션 식으로 주는 건 악용하니 이건 금지시켜야 되겠네요
그렇게 주고 노동법 준수 안하고 임금도 안 주는 인간들이 꽤 있죠. 제 주변도 당한 사람도 있구요.
치킨과맥너겟
14/11/17 20:02
수정 아이콘
그니까 관리직이든 밑에 직원이든 수당, 휴가 등 철저리 준다는게 요점입니다. 소위 말하는 선진국들은 말이죠.
tannenbaum
14/11/17 19:20
수정 아이콘
선진국(제가 눈으로 직접 본 케이스는 미국과 독일이니 그 기준으로)도 야근 빡시게 하더군요

대신 동종 직업에서 한국과는 연봉이 넘사벽이고 보장된 휴가가 칼같이 지켜지지요
Around30
14/11/17 22:14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화이트칼라로 일합니다만 야근수당 칼같이 받습니다. 다섯시반 퇴근인데 여섯시반까지 일해도 한시간수당 받아요. 일본은 님께서 가정하신 선진국이 아닐수도 있겠지만요.
14/11/19 12:34
수정 아이콘
어느 회사가요? 제가 일하는 곳도 상당히 큰 회사인데 아프면 집에 가서 일한다고 메일 남기고 집에 가도 되고, 저녁 7시만 되도 아무도 없다시피 회사 주차장이 휑합니다. 보통 10시 안팎에 와서 6시 반 안팎으로 집에 갑니다. 제 매니저는 7:30-4:00입니다. 한국 같은 노동 환경이면 여기 엔지니어는 절대 안 가려고 합니다. 심지어 여기 외국인 교수가 자기 한국인 학생더러, "너 삼성은 어떠냐? 나도 한국 삼성 어떤지 아는데 그래도 미국 삼성은 낫다더라."라고 했는데, 이게 일반적인 인식일 겁니다.

며칠 전에 한 잘 나가는 미국 영주권자 엔지니어한테 어느 삼성 인사과 직원이 주말에 전화를 무려 세 차례 했다더군요. 여기는 주말엔 다 메일을 남깁니다. 한국서는 인사과 직원이 갑이고 그분이 처음이라 눈치가 없으셨던 모양인데, 미국 회사 분위기는 한국 같지 않습니다.
14/11/19 14:26
수정 아이콘
일이 많은곳은 정말 많이 한다고 했습니다. 지역적으로 보면 동부가 서부보다 훨씬 많이 일하고 동부중에도 금융이나 컨설팅은 야근 정말 많이 합니다.
재미있는것은 같은 회사라도 서부에 있는 지점들은 상대적으로 덜 일하더군요.
14/11/20 01:26
수정 아이콘
그런 곳이 얼마나 됩니까? 그게 미국의 일반적인 분위기가 아니라는 게 중요하죠. 상식선에서 생각해 봐도 미국은 자녀 픽업해 줘야 되니 집에서 일하겠다고 하면 무조건 익스큐즈 되는 사회인데요. 한국에서 노동생산성이 낮은 이유는 구조에서 찾아야지 노동자 개개인에게 책임을 돌리는 게 의미없다는 것이 논의의 핵심인데 예외적인 사례 몇 개 찾아내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엔하위키
14/11/17 18:59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은 회사에서 제시해야될 부분이지 개인에게 문제를 돌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연봉제같은 부분은 회사에서 제시해야죠.
14/11/17 18:55
수정 아이콘
아니요. 일의 전후관계가 잘못되었습니다.

우리나라라고 다른 나라에 비해 집중력이 떨어질리가 있겠습니까?
다만, 잔업/특근 수당이 제대로 책정이 안되고 안줘도 괜찮으니깐 기업주들은 무조건 오래 남아서 일하라고 하고
그럼 일이 그만큼 많은 것도 아닌데 상사 눈치 보느라고 쓸데없는 야근 등을 하게 되고 쓸데없는 야근을 하게 되니
업무시간에 일을 다 안 끝내고 야근시간까지 남아서 하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 시간 대비 노동성이 떨어질 수 밖에요.

지금이라도 특근/야근 수당 제대로 주게 시키면 기업들도 직원들 정시 퇴근하라고 할거고 그러면 노동 생산성은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14/11/17 18:58
수정 아이콘
일이 많아도 대충 대충 하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야근수당에 대해서는 위의 댓글로 갈음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11/17 19:46
수정 아이콘
일이 많아도 '대충 대충'일하는 분들이 '어느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어떤 '업종'에서 어떤 종사상지위를 가지는 사람들이 얼마나 그러한지도 알아야 하고요.
또한 해당하는 '사람'이 '해당 업무', '해당 사업체'에 고용된 직후부터 해당하는 '양상'으로 업무를 진행했는지도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이 많아도 대충대충 하는 분들이 많다"는 명제는 위의 사항들에 대해서 '일정수준의 정보'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선 '개인적인 인식'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없습니다. 개인적인 인식을 '공유'하는 일은 어려운 일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인식에 기초한 주장 역시 공유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14/11/17 19:54
수정 아이콘
일단 개인적 의견임은 맞습니다.
여기 댓글중에 님이 제시한 조건을 만족하는 댓글은 없는것 같네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9:56
수정 아이콘
물론 바로 본인부터 만족을 못시켰죠.
소독용 에탄올
14/11/17 20:01
수정 아이콘
다른사람이 해당하는 조건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것이, 글쓴이의 의견이 가지는 '설득력'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내가 ~ 했다'로 한정하는 형태가 '설득력'에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듯 하며, 이 글에 달린 덧글 중에는 '개인적인 경험'임을 명시함으로서 '제한적인 설득력'을 확보하는 덧글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14/11/17 20:40
수정 아이콘
님이 제시하는 조건이 이런 커뮤니티에서 의견 개진하는 입장에서는 너무 과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은거죠.
소독용 에탄올
14/11/17 20:46
수정 아이콘
예 과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더라도, 의견에 설득력을 '높이기'위한 다른 방법들도 있을 수 있고요.
그중에 하나가 제가 바로 위 덧글에 '차라리' 뒤쪽에 언급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14/11/17 20:57
수정 아이콘
네 아시면 되었습니다.
Pluralist
14/11/17 21:36
수정 아이콘
일이 많아도 대충 대충 하는 분들이 참 많더라는 본인 의견을 이렇게 비논리적으로 일반화 시키는 수준에서
무슨 설명을 하시겠다고 하는 건지 납득이 안 가네요.
그냥 본인 생각이 특이하다고 여기시면 좋을 것 같네요.
쓰신 글들 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첫 글은 정말 총체적 난국의 시작입니다.
상관 없는 얘기를 왜 계속 논리적으로 푸는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외국회사 빡세게 일하는 사람들보다 우리나라에서 빡세게 일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오래 열심히 일하면서 돈도 적게 법니다. 근무시간 대비 생산성은 낮다고 해도 월급 대비 생산성은 굉장히 높은 편이지요. 우리나라 기술력 있는 사람들이 외국에 연봉 몇 배 더 받으면서 가는 것 모르시나요.

gamekid님의 글 초반 3~4개
===
음 본문과는 상관 없는 얘기입니다만 우리나라가 근무 시간은 많지만 집중해서 일하지 않아서 생산성은 비슷하거나 혹은 낮을수 있다에 대체로 동의합니다. 외국회사 빡쎄게 일하는 사람들 보면 정말 정말 집중해서 열심히 하고 점심도 그냥 간단하게 샌드위치 하나 사서 워킹런치로 먹고 저녁 7:30 정도까지 일하다가 퇴근하는데 한국회사는 하루종일 집중하지 못하고 저녁에도 저녁 먹고 와서 집중하지 못하다가 10시쯤 퇴근하죠.
물론 다 그렇다는것은 아닙니다.
===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생산직이면 몰라도 지식노동을 하는데 내가 시간 더 일하니까 더 돈을 달라는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농땡이를 피우고 오버타임은 가져가는 방식이 가능하니까요.
내가 이런 이런 일을 하겠다 라고 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연봉을 가져가는게 저는 맞다고 봐요.
===
딱히 그렇지 않습니다. 선진국도 일이 많은 곳은 야근 정말 많이 합니다. 물론 따로 오버타임차지 없이요.
===
쥬니어들보다 시니어급, 관리직이 야근을 더 많이 합니다. 일이 더 많으니까요.
써니는순규순규해
14/11/17 18:56
수정 아이콘
상사도 있고, 갑을관계도 있죠.
갑을관계에서 깁에서 퇴근 직전에 일거리를 넘겨주면 을은 다음날 갑이 출근하기 전까지 일을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그러면 을은 어짜피 갑이 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니 낮에는 쉬고, 저녁에 갑이 준 일을 하게 되죠.
순규하라민아쑥
14/11/17 19:12
수정 아이콘
낮에도 못쉬죠. 일 해야 하니까요.
주간 M/H 140 넘게 찍어봤고 한달간 평균 120도 찍어봤습니다 크크크크크
수당은 못올리게 하죠. 프로젝트비에서 빠져나간다고.
아, 수당 없는 회사였죠. 택시비 2만원 주는 회사. 몇년전에 3만원으로 올랐다는 소식은 들었는데...

그리고 위대한 갑께서는 새벽에 전화해서 '어이 X대리, 와서 같이 술한잔 하지?' 그러죠. 술자리 끝났으니 카드 긁으란 소리....
아 진짜 쌓인게 너무 많아서 후우...
wish buRn
14/11/17 18:5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xx경제연구소 자료 신뢰안합니다.
발주처 입맛에 맞게 자료 가공하는게 일이구나..란 생각이 들더군요.
후라이드슈타인
14/11/17 19:02
수정 아이콘
그냥 옛날처럼 하고싶어서 인겁니다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주 50시간이상 근무를 기본으로 했으니
그때처럼 하자 이거죠
물론 돈도 그때처럼 주고(그당시는 연월차,수당 이런게 없었으니까요)
제리드
14/11/17 19:17
수정 아이콘
중세유럽인이 못견딘 근로시간을 2014년에 견디고 있다는게 한국아니었습니까?!
14/11/17 19:29
수정 아이콘
그 원인이 무엇인지, 무엇에게 책임이 있는지를 떠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이미 지표로 나와있는거 아닌가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9:32
수정 아이콘
문제는 임금에서 장난 쳤습니다. 애초 명목임금과 실질임근 비교 년도도 틀리고 임금을 PPP로 계산하는 인간들이 어디 있습니까?
즉 생산성이 낮은 건 맞지만 임금을 더 받는 건 보고서만으로 증명이 안되죠.
소독용 에탄올
14/11/17 19:40
수정 아이콘
생산성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사회단위에서 묶어서 '비교'하는것은 사실 '사회단위'에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을 찾아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사회단위로 비교할 때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말 그대로 '한국사회'가 다른 '비교대상'들에 비해 '해당 기준으로 측정한' 생산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뿐입니다.(왜 그런지, 다른기준으로 할때도 그런지는 알 수 없지요)

따라서 생산성 대비 임금 같은 이야길 할려면, 생산성지표랑 임금지표를 가지고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통제변수'로서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14/11/17 20:07
수정 아이콘
그거야 당연하죠. 전 비교적 생산성이 낮은 편이라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고, 그것에 비해 임금이 높고 낮은지 여부는 모르겠지만 생산성 향상은 필요한 과제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swordfish-72만세
14/11/17 20:11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건 기업이 할 것이지 노동자가 기업의 노력 없이 올릴 이유가 없죠. 애초 노동자 입장에서는 최다 월급을 받으면서 최소노동하는게
경제적으로 이익이니까요.
물론 지금과 같은 관행이지만 근본적으로 불법인 방식은 허용해서는 안되죠.
14/11/17 20:12
수정 아이콘
그렇죠. 사실 노동생산성이 꼭 노동자의 질로만 결정되는건 아니니까요.
YORDLE ONE
14/11/17 19:34
수정 아이콘
왜 이렇게 덧글이 숫자랑 다른가 했습니다 -_-; 왜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인지를 못하는지..

암튼 일 일주일에 50시간씩 안하고 월급 쥐며느리 눈꼽만큼 받아가서 미안하다아아아아!
에리x미오x히타기
14/11/17 19:35
수정 아이콘
사적인 곳에서 만든 연구기관 등의 곳에는 '대한~', '한국', '서울~' 등을 명칭에서 뺐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명칭 때문에 사람들이 공적인 일을 하는 곳인양 인식을 하게 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잖아요?
swordfish-72만세
14/11/17 19:38
수정 아이콘
대한상공회의소는 상공회의소법에 근거한 단체인지라 민간이라도 좀 성격이 특이하죠.
에리x미오x히타기
14/11/17 19:41
수정 아이콘
그리고 A는 100의 시간을 들여 100의 일을 하는데 B는 150의 시간을 들여 130의 일을 하면, 당연히 생산성은 낮아지는 거지요. 기업은 그 130으로 실적 올랐다고 광고를 하고요.
스웨트
14/11/17 19:43
수정 아이콘
중세시대나 산업시대가 기준인듯요
상공회의소 정말 멋있는 곳이네요 ^^
레이스티븐슨
14/11/17 19:43
수정 아이콘
이거 유머게시판가야 되는 글 아닙니까?
Frameshift
14/11/17 19:52
수정 아이콘
키아 한달내내 야근하는 친구도 있는데 취한다!!!
당근매니아
14/11/17 19:53
수정 아이콘
전에 친구가 새벽 4시에 단톡방에 남긴 말이 인상적이었죠.
'야 부럽지? 나는 하루를 퇴근으로 시작한다!!'
14/11/17 20:24
수정 아이콘
새벽 4시 덜덜
옵티머스프라임
14/11/17 20:22
수정 아이콘
일하는 거와 비례하지 않게 돈을 개떡같이 많이 가져가는 사람들 우리나라에 수없이 많기야 하죠.
회사 오너나 임원. 이런 인간들이 과연 수십억에서 수백억을 받을만큼 생산성에 기여하고 있는거 맞나요?

더 어처구니가 없는건 저런 사람들이 최저임금 몇백원 더 오르면 나라가 망할거 같이 떠들어 된다는거죠.
그거보다 더 어처구니가 없는건 기득권들이 자기들 변호하면서 자기들에게 더 유리한 시스템을 만드려고 가져다 되는 논리에
다수의 노동자들 스스로가 동조를 한다는 겁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20:26
수정 아이콘
재벌빼고 가장 기억에 남는 사람이 저는 KT 이석채입니다. 다빼고 연봉이 30억이었죠. 물론 그분이 그정도 생산성을 보여주었는지는
지금 현상황을 보면 크크크 합니다. 차라리 무능만 했으면 이해라도 하죠.
당근매니아
14/11/17 20:28
수정 아이콘
전 기업 내 최저연봉 소속원과 최고연봉 소속원의 격차를 법으로 몇배 이상되지 못하게 하는 게 필요하지 않나 싶더군요. 실제로 시행하는 국가도 있고.
태랑ap
14/11/17 20:23
수정 아이콘
몇년더 있어보고 그때도 답없으면 이민을 가든지해야지
소독용 에탄올
14/11/17 20:45
수정 아이콘
해당하는 노동생산성 측정의 원 출처인 APO양반들이 사용하는(그리고 지표의 두 부분 모두 상대적으로 입수하기 용이하기 때문애, 국가간 비교를 위해 용이한 지표로 자주 사용되는) '노동생산성'은 '노동자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가 아니라, GDP/노동자수로 측정되는 한국사회의 노동자 당 생산성입니다.

이 노동생산성은 애초에 '노동', '자본', '경제구조'등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지표'이며, 그중 어떤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서 지표가 말해주는 바는 없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논리와 같은 논리를 사용한다면 반대방향의 주장도 가능합니다.
동일한 노동생산성지표와 한국경영자총연합에서 나온 "업종별 주요기업 경영현황 국제비교분석"에서 '주요기업이 상대적으로 해외주요기업보다 수익성이 높았다'는 결과를 연결해서 "'낮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주요기업들이 너무 많은 이익을 내고 있다." 라고 말하는 것이 가능해 집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20:46
수정 아이콘
아 그런 의미 군요. 그럼 상대적으로 1인당 GDP가 높으면 유리하겠군요.
소독용 에탄올
14/11/17 20:50
수정 아이콘
GDP성장과 노동생산성 사이엔 '상관관계'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높은 GDP는 상대적으로 높은 노동생산성과 관련될 수 있지요.

다만 둘 모두가 다른 '요인'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허위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7 20:53
수정 아이콘
하긴 기초적으로만 이야기해도 자본이라는 요소라는게 존재하니까요.
단지날드
14/11/17 21:14
수정 아이콘
그 노동생산성이 왜 낮은지 좀 생각 좀 하지 진짜.....
14/11/17 21:40
수정 아이콘
아픈건 우리가 아니고 너희들인걸로...
아프면 환자지 이것들아! 왜 거기 있니 병원에 안가고 ;
불판배달러
14/11/17 23:13
수정 아이콘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14/11/17 23:20
수정 아이콘
국회의원 기준인가요?
LowTemplar
14/11/17 23:32
수정 아이콘
왜 노동생산성이 낮은가에 대한 하나의 가설은 '한계 법칙'입니다.
한계 효용이 체감하는 것처럼, 한계 생산도 체감한다는 전제를 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8시간 일해서 80을 만든다면, 시간당 생산성은 10입니다.
그럼 10시간 일하면 100이 나올까요? 물론 안 되죠. 그럼 생산성은 10보다 작아집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노동 생산성은 떨어집니다.

이렇게 세운 가설에 따른 결론은, "한국 노동자들은 노동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노동을 길게 해야 한다"가 아니라 "장시간의 노동이 노동 생산성을 떨어뜨리므로 적정하게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 가 맞습니다.
14/11/17 23:45
수정 아이콘
방금 9시부터 10시 반까지 일하고 퇴근하는데 이거보니까 힘빠지네...크크
오늘 11시간 반 일하고 6만 9천원 벌었네 에휴.. 물론 야간수당따위 존재하지 않음
솔로10년차
14/11/18 00:06
수정 아이콘
한국의 가축, 비싼 사료값에 비해 고기질 떨어져.
김소현
14/11/18 00:24
수정 아이콘
욕해도 되요?
일년에 반은 기본야근 10시고 한달에 절반은 기본 12시인데 택시비 하나 청구하는것도 눈치 보여요
근무시간에 딴짓 10분도 안해요
열정페이인건가요?
루카쿠
14/11/18 01:01
수정 아이콘
뭔 개소리야;;;;;;;;;
파인애플빵
14/11/18 01:12
수정 아이콘
상공회의소는 정말로 그런것 같은데 상공 회의소 인력 한 반정도로 줄여도 충분 하겠네요
14/11/18 03:08
수정 아이콘
개인의 생산성이 동종 직군 평균보다 낮으면 그건 그 사람의 문제일 경우가 많지만, 한 회사의 생산성이 낮으면 그건 그 회사의 기술 수준이 낮아서 싼 물건을 판다는 얘기 아닌가요? 70 년대 가발 공장 아가씨들이 일을 게을리 했을 리가 없지만 1인당 생산량을 돈으로 환산하면 당시 포드 자동차에서 일하던 노동자의 1/10 정도였을 겁니다.

애초에 한 국가의 생산성이 낮은 건 그냥 해당 국가의 기술 수준이 낮아서이고, 따라서 노동자들 한테 미안한 일이죠. 이걸 주객전도를 이런 식으로 할 수도 있군요.
남광주보라
14/11/18 07:31
수정 아이콘
조직문화가 참 더럽습니다. 상사의 압박으로 인한 야근, 특근 강요. 마땅히 할일이 없음에도, 자리를 지켜야하니까... 이 사안에 대해서 다른 커뮤니티 반응들이 충격적인데, 사실 맞는말이잖어..라고 자기들이 담배피러가서 노가리, 네이트온 채팅한다고 개기니.. 이렇게들 털어놓는데 진짜인가요? 그리고 그런 댓글들이 진짜라고 해도 왜? 그렇게 돌아가는지부터 생각해봐야합니다. 노가다현장에서 일할때의 야리끼리라는 조건, 일 빡세게 해서 할당량 채우면 바로 퇴근- 이런 조건만 붙는다면 FM대로 일하고 점심도 안먹고 미친듯이 일하고가겠지요. 아니 아니 우리나라에선 불가능. 할당량 채워도 어차피 야근시켜서 일 더 시킬게 뻔하니..-_-; 거지같은 군대식 기업문화, 당연하다는듯의 야근문화가 문제입니다. 야근이 기본인데 미쳤다고 빡세게 일할까요 일 끝내놓으면 더 시키는데.. 그런데 다른 직원들은 4시간할 일을 자기 나름대로 12시간으로 늘려서 야근때까지 설렁설렁하겠지요.
보라빛깔 빗방울
14/11/18 09:23
수정 아이콘
야근 없애는 근본적인 방법 : 저녁 6시 이후 회사 내 모든 인터넷 차단(핸드폰 포함)이면 됩니다.

아마 대부분 못버티고 퇴근할 듯..
김연우
14/11/18 09:25
수정 아이콘
핀트가 전혀 잘 못 잡혔네요.

같은 맥도날드 알바라도, 영국 알바가 인도 알바보다 노동 생산성이 훨씬 높습니다. 영국 알바가 햄버거 만들어 팔면 대강 100달라 벌때, 인도 알바는 10달라 받을테니까요.
이 상황에서 '아, 영국 알바가 훨씬 열심히 일하는구나'라고 결론 내리는 병신들이 바로 저 병신들이지요.

같은 농부라도, 헬기로 제초제 뿌리고 트랙터로 자동화된 농사를 짓는 미국 농부가, 일일이 손으로 씨뿌리고 손으로 잡초 뽑고 손으로 추수하는 3세계 농부보다 생산성이 훨씬 높습니다.
이 상황에서 '미국 농부가 노동 생산성이 훨씬 높다'는 기사를 보고, 3세계 농장주가 3세계 농부들에게 채찍질을 합니다. '야 이것들아, 너네들 미국애들보다 일 열심히 안하잖아'



자, 여기서 웃기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채찍을 맞으며 3세계 농부가 뜨거운 눈물을 흘립니다. 아파서요? 아닙니다. 참회의 눈물이죠. '엉엉엉, 내가 정말 일을 안했구나, 미국 농부는 나보다 10배 생산성이 높데, 나보다 10배 손이 더 빠른거구나'
하하하하하


그런데 더 웃기는 상황이 종종 나오는데요, 이젠 웃기다 못해 슬퍼요.
제 3세계 농부가 미친듯이 열심히 해서 미국 농부보다 생산성이 높은 결과가 나오는 사례가 생기는거에요. 주변에서 '아냐, 네가 열심히 일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기계도 도입하고 비료도 도입하고 농약도 도입해야해'라고 이야기 해서 '그런가?'하고 긴가 민가 고민을 하면서도... 농장주는 그냥 미친듯이 채찍질했고, 농부는 손을 밤낮없이 놀리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진짜 열심히 채찍질 하니까 미국 농부보다 생산성이 잘 나오기 시작한거에요.

기계니 뭐니 상관 없구나, 아 열심히 채찍질 해야지, 하게 된거고 농부도 이제 채찍질에 익숙하기 시작했습니다.
하하하하



저 기사 보고 일을 열심히 한다, 안한다, 아니다, 야근이 문제다 라는 이야기를 하는거 자체로 이미 저 기사는 성공한거에요.

노동 생산성이 높고 낮음으로 일을 열심히 하고 안하고를 이야기 할순 없거든요.
하카세
14/11/18 10:35
수정 아이콘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엉엉 ㅠㅠ
Judas Pain
14/11/18 10:39
수정 아이콘
그러합니다.
swordfish-72만세
14/11/18 11:01
수정 아이콘
저도 경제를 잘 모르다 보니 참...
이런 지표인지 알았으면 처음 태도조차 갖지 않았을 텐데 말이죠.
한여름
14/11/18 16:46
수정 아이콘
와.. 그런 개념인지 몰랐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14/11/18 21:14
수정 아이콘
이 분을 노동부 장관으로..
호구미
14/11/18 10:53
수정 아이콘
위에 선동 얘기 나와서 하는 말인데, 굳이 따지자면 선동이라는 행위가 그 자체로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선동 목적이 가장 강한 주장을 하는 건 댓글을 다는 그 누구도 아닌 상공회의소 같습이다. 제대로 된 근거 없이 이빨로 여론을 조작하려는 거짓 선동이어서 그 문제는 상당하다고 보고요
swordfish-72만세
14/11/18 10:55
수정 아이콘
오늘 SBS 기사까지 보니 딱히 경향일보가 선동차원에 뽑은 것도 아니더군요.
호구미
14/11/18 10:5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인터넷에서 가장 강력한 선동은 상대방이 선동한다고 선동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네요..
중용의맛
14/11/18 16:5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자발적인 노예분들 때문에 또 비벼지나 했는데 결론이 제대로 내려져서 다행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975 [일반] [야구] 이번 FA는, 팀당 3명 영입이 가능해졌습니다. [180] Leeka9889 14/11/19 9889 0
54962 [일반] 가출 10대 성폭행범 누명에 인생 망친 30대, 국가상대 소송패소 [208] 블랙탄_진도18343 14/11/18 18343 6
54958 [일반] [리뷰](스포있음) <그래비티> - SF의 낭만에 대하여 [63] 마스터충달5915 14/11/18 5915 3
54951 [일반]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 일 안하고 월급 많이 받아 [101] swordfish-72만세9853 14/11/17 9853 2
54943 [일반] 국방부: 땅굴 주장 허위 판명 고발 조치 [66] swordfish-72만세6881 14/11/17 6881 0
54891 [일반] 06-07 SK와이번스와 한화이글스 [40] 바람모리5117 14/11/14 5117 0
54884 [일반] 최강의 공룡에서 악어급으로 추락한 공룡이야기 [23] 후라이드슈타인9700 14/11/14 9700 0
54876 [일반] "오늘 밤 수많은 수험생 가정이 눈물과 좌절, 고통에 잠길 수밖에 없다는 것" [54] 콩콩지8852 14/11/13 8852 0
54834 [일반] IS, 금화, 은화 찍을지도 모른다 [31] swordfish-72만세6974 14/11/12 6974 0
54830 [일반] 김광현선수 포스팅 금액이 2백만 달러네요. [121] B와D사이의C11832 14/11/12 11832 0
54827 [일반] 솔로들이여 단결하라. 싱글세 도입 준비중 [222] 상상력사전15018 14/11/11 15018 11
54820 [일반] 코스프레계의 도적 창궐 [130] 연의하늘11881 14/11/11 11881 2
54788 [일반] 잉글랜드의 앵글로 - 노르만, 플랜태저넷 왕가의 아름다운 왕위 계승의 역사 [13] 신불해6880 14/11/09 6880 9
54786 [일반] 음악을 금지하는 어떤 논쟁을 보고. (이슬람교) [203] 미스터H14912 14/11/09 14912 5
54776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8. 조선 수군은 어떻게 강군이 되었나 [35] 눈시BBand6840 14/11/09 6840 7
54754 [일반] 기상천외 '몸캠 피싱'이 뭐길래…대학생 자살 [115] 로즈마리16955 14/11/07 16955 2
54749 [일반] 그 공룡은 왜 개명신청을 해야만 했나? [32] Neandertal9666 14/11/07 9666 13
54740 [일반] 곽정은씨가 19금 발언에 해명했습니다. [399] 명탐정코난21294 14/11/06 21294 1
54717 [일반] 심상정 의원이 롯데 사태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였습니다. [46] 엘핀키스10846 14/11/05 10846 18
54712 [일반] 2022 월드컵은 겨울에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9] 강가딘6744 14/11/05 6744 0
54700 [일반] 이 배우는 정말 연기를 안하려는 걸까요? [40] 에부리바디11063 14/11/04 11063 0
54677 [일반] 남녀 이야기에 유독 파이어 되는 이유 [140] 냉앵이7435 14/11/03 7435 0
54671 [일반] [야구] 오늘의 KBO 소식 [75] Fin.10539 14/11/03 1053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