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1/13 11:10:30
Name 지터와브라이언트
Subject [일반]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간단한 수기...)
88년생으로 올해 27살인 평범한 청년입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좋아했고, 중학교부터 PGR사이트를 방문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취업에 성공하면서, 다른 취준생님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고자하여 글을 적습니다.


우선 제가 최종합격한 곳은 어제 최종발표가 난 XX은행입니다. (선배님들 잘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

계속해서 은행을 준비해왔고, 금융권 취업에 관심이 있는분들께 도움이 되고싶습니다.


우선 스펙입니다.

서울 중하위권 학점 3.69
토익 735  토스 레벨6
자격증 보험계리사 1차, 펀드, 파생
경력 IBK기업은행 청년인턴

스펙만 보면, 보시다시피 뛰어날 것 없는 초라한 스펙입니다.

사실 영어점수는 토익 880점과 토스 레벨7이었는데, 만료가 되어 다시 치룬 결과입니다 ㅠㅠㅠㅠ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 기업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이 영어점수와 자격증적는 칸을 모두 없앤 탈스펙을 추구하여

자격증과 영어점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우선 취업 시 가장 힘들고 중요한 절차가 서류통과입니다.

최근 모든 시중은행은 100대1정도의 경쟁률을 보이기때문에, 서류통과가 관건입니다.

우선 은행권을 준비하시는 분들께는,

1. 관련 인턴경험
2. 관련 대외활동

을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저는 인턴경험을 살려 자기소개서의 대부분의 에피소드를 작성해 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절반정도 서류통과를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 후 중요한 것이 면접과정입니다.

자격증, 영어점수 등 스펙이 서류를 통과하기 위한 과정이라면

면접은 또 다른 관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토론동아리 회장을 하며 말을 많이 하는 기회를 가졌고, 베프들과 스터디를 조직하여 피티를 했던 것이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평소에 웃는모습과 자신감있게 말하는 연습을 하신다면, 면접관들의 눈에 띄어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서 없이 짧은 글이지만, 아직도 기쁨에 취해 얼떨떨한 심정입니다.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마음으로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궁금하신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아는선에서 답변해드리도록 해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1/13 11:13
수정 아이콘
지원할 때 한국사 등록했던 은행이신가요?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15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하지만 전 한국사 자격이없어서....
14/11/13 11:17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 동기시네요~크크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20
수정 아이콘
오 이런인연이! 연수원에서 만나요 크크
14/11/13 11:26
수정 아이콘
크크 월요일에 뵈요~~
스테비아
14/11/13 11:23
수정 아이콘
두 분 축하드립니다 흐흐 저는 서류 광탈했네요..
저는 아무래도 현장 경험이 없다 보니 뜬구름잡는 소리를 많이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인턴 경험으로 은행분야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소개해주실 수 있을까요?ㅠㅠ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26
수정 아이콘
일단 인턴을 통해 수많은 영업활동을 했어요.

그래서 은행은 앉아서 일하는 직업이 아니라, 영업하는 직업이다. 이 부분을 잘 숙지하고 계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은행이 돌아가는 부분이나, 어떤 어떤 일을 구체적으로 하는지에 대해 잘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아드오드
14/11/13 11:24
수정 아이콘
저 아는 후배님도 어제 그 은행 합격하신거 같던데. 취업 축하드립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26
수정 아이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14/11/13 11:26
수정 아이콘
우와... 부럽습니다
아직 취준 1~2년 남았는데 전공 안맞아서 학점이 3
점대 간당간당하니 이건 뭐.. 그냥 답답만하네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29
수정 아이콘
학점은 높이실 수 있을만큼 최대한 높이시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요즘에 자격증하구 영어점수를 안보기 때문에, 기본 학점 + 자소서로 서류를 판별할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하지만 뭐 은행이 아니시라면, 학점 낮은 것을 다른 영어점수나 자격증스펙으로 충분히 만회하실 수 있습니다.
송지민
14/11/13 11:30
수정 아이콘
우와 부럽습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31
수정 아이콘
저보다 더 잘 되실거에요 감사합니다^^
14/11/13 11:35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이제 시작이시네요. 건투를 빌겠습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35
수정 아이콘
진짜 이제 사회로 나가는 첫 발걸음인데,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정어리고래
14/11/13 11:37
수정 아이콘
합격하신분들 너무 축하드립니다ㅠ
저도 은행권 준비하려 하는데 어디서부터 하면 좋을지 막막하네요..
3학년 2학기 끝난 겨울방학동안 추천해주실 활동 있으신가요?ㅠ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41
수정 아이콘
3학년 2학기끝나셨다면 대외활동이나 서포터즈를 추천합니다.

최근에 모 은행에서 서포터즈를 뽑는다는 글을 본 것 같네요. 또한 금융스쿨이나 다른 대외활동을 하시면 이력에 많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늘지금처럼
14/11/13 11:38
수정 아이콘
저도 오늘 다른 기업 면접 합격 받았습니다! 축하드립니다 크크크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42
수정 아이콘
크크 축하드립니다! 초심을 잃지 말고 열심히해요 !!
뿌지직
14/11/13 13:00
수정 아이콘
삼성이시군요..크크
부기나이트
14/11/13 11:39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작금 취업시장은 그야말로 운칠기삼이라...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1:42
수정 아이콘
저도 너무 운이좋게되서 아직까지 얼떨떨합니다 ㅠㅠ pgr유저분들 다 잘되셨으면 좋겠어요!
The HUSE
14/11/13 11:45
수정 아이콘
웰컴...
이제 진짜 맘 단단히 먹으세요.
축하합니다. ^^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3: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각오하겠습니다!!^^
J Rabbit
14/11/13 11:47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3:02
수정 아이콘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잊지않겠습니다!
비둘기야 먹자
14/11/13 12:26
수정 아이콘
축하드려요. 그런데 XX은행에 신입사원으로 들어가면 무슨일 하나요?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3:03
수정 아이콘
교육받고 영업점에서 근무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4/11/13 13:20
수정 아이콘
합격 축하드립니다~^^ 면접보고 회사를 입사한적이 없어서 그 쾌감이 궁금하긴 하네요. 흐흐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4:38
수정 아이콘
너무 얼떨떨하고 설레입니다 이게 꿈인지 생시인지... 감사합니다!^^
14/11/13 14:00
수정 아이콘
댓글 보니 Our 은행이신거 같은데 축하드려요 !!
저는 지금 Only 1. 은행 합숙면접앞두고 있는데 저도 잘됐으면 좋겠네요 ㅠㅠ
혹시 PT면접이나 합숙면접은 어떻게 준비하셨나요?
PT나 합숙면접 경험이 없어서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4:43
수정 아이콘
PT는 사실제가 다른곳 면접스터디하면서 스파르타식으로 연습했었습니다.

주제가지고 10분 준비하고 3~4분 발표하고 이런식으로 연습했었던 것 같습니다.

합숙면접은 따로 준비하지는 않았지만, 그런 곳에는 너무 묻히지 않고 어느정도 존재감을 보이면서 팀을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면접 이외의 대기시간이나 조별 활동시간 때 더 신경써보세요!
14/11/13 16:23
수정 아이콘
거기 우수인턴 출신인데 막상 합숙면접 가면 수준에서는 별 차이 없습니다.
같은 조원들과 얼마나 잘 어울리느냐가 중요할 듯 합니다^^
합숙면접 경험해봤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재밌게 놀다가 오세요!
그러면 합격하더라구요.
야율아보기
14/11/13 14:15
수정 아이콘
필기시험은 없었나요? 있었다면 어떻게 준비하셨나요?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4:44
수정 아이콘
다행히도 논술시험은 없었구요^^ 인적성은 있었는데 너무 어려워서 다들 못보니까 걱정안하셔두 될것같아요

다른 논술시험 보는 은행 준비하는 친구들은, 거의 서류내고서부터 신문읽고 엄청 노력하던데 직접 써보는게 중요하다고들 하네요!
14/11/13 14:22
수정 아이콘
xx은행이 어제 제 후배도 합격했다고 눈물흘리던데 거기인거 같네요. 축하드립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3 14:44
수정 아이콘
네 진짜 저도 눈물날만큼 기뻤는데 너무 감사드립니다!!^^
패닉상태
14/11/13 15:51
수정 아이콘
이제 인생 2막을 출발하시는군요!!!
축하드립니다~~~
삶이 그리 만만치 않지만 힘들때마다 가족과 참을 인 세번 떠올리며 슬기롭게 넘기세요.
다시 한번 축하드리며 화이팅!!!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4 00:25
수정 아이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잊지않구 초심을 기억하겠습니다 !!
14/11/13 17:17
수정 아이콘
와우 축하드립니다!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4 00:25
수정 아이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출발자
14/11/13 17:32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전 취업 재수가 눈 앞에 다가와서 ㅠㅠ 지터와브라이언트 님에게 취업운을 좀 나눠받고 싶네요.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4 00:26
수정 아이콘
제 운 모두 드릴테니 다 받아가시길 바래요^^
감정과잉
14/11/13 19:21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전 재수를 해야할 것 같아요. ㅠㅠ
인턴과 서포터즈 외 은행권 취업에서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지터와브라이언트
14/11/14 00:27
수정 아이콘
우선 AFPK같은 자격증을 따길 추천합니다. 비전공자들이 금융권에 관심을 보이기위해 가장 많이 따는 자격증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꼭 서포터즈, 인턴이 아니더라도 한국은행경제교육이나 금융프런티어스쿨 등 다양한 활동을 추천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42 [일반] 스위스은행 최저환율제 폐지 [14] Elvenblood5219 15/01/19 5219 5
55961 [일반] 현실과 맞지않는 보육정책과 현재 어린이집상황(내용수정) [110] viper11186 15/01/15 11186 8
55933 [일반] [잡담] 중대 프로젝트를 맡았던 신입사원 넷 [20] 언뜻 유재석6463 15/01/13 6463 3
55926 [일반] 2박3일 일본 여행 후기 [33] BessaR3a13105 15/01/12 13105 0
55849 [일반] 장티푸스 때문에 20년 넘게 교도소에서 산 여자... [26] Neandertal10257 15/01/07 10257 4
55846 [일반] [독후감] 한병철,『피로사회』: 깊이 심심하기 [10] 두괴즐5783 15/01/07 5783 5
55808 [일반] 서비스업이 만만한가? [56] 성동구10256 15/01/05 10256 2
55786 [일반] 흔한 중2병스런 잡생각... [10] 첸 스톰스타우트4344 15/01/04 4344 3
55496 [일반] 애플 페이 및 스마트폰 관련 소식들. [63] Leeka8601 14/12/18 8601 0
55217 [일반] 육아휴직남의 게임 만들기 (2) [22] 필리온5389 14/12/02 5389 11
55140 [일반] 라라의 보드게임이야기 2. 보난자 [31] 라라 안티포바11486 14/11/28 11486 1
55137 [일반] 해킹, 피싱, 파밍 등으로 인한 예금인출과 은행의 책임. [66] endogeneity7793 14/11/28 7793 7
55120 [일반] 신한은행도 보상못해준다는 입장이랍니다 [60] 상상력사전10133 14/11/27 10133 0
55068 [일반] 육아휴직남의 게임 만들기 (1) [16] 필리온5682 14/11/24 5682 15
55031 [일반] 통계로 보는 평균 독일인 [58] Dj KOZE9504 14/11/21 9504 2
55029 [일반] 은행에서 돈이 본인도 모르게 인출되었다는 소식이 있네요. [102] 동지13060 14/11/21 13060 4
55023 [일반] 흔한 피쟐러의 좌충우돌 롯데 PPT 공모전 첫 도전기 -완- [62] 뀨뀨13674 14/11/21 13674 10
54922 [일반] 한국 관객은 정말로 한국 영화를 좋아할까? - 2편 [4] 한아5398 14/11/16 5398 9
54913 [일반] 한국 관객은 정말로 한국 영화를 좋아할까? - 1편 [9] 한아8235 14/11/15 8235 8
54866 [일반]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간단한 수기...) [45] 지터와브라이언트6993 14/11/13 6993 7
54798 [일반] 어차피 계속 되어질테니.. 여기서 하죠 인터스텔라 이야기들... [131] 언뜻 유재석9559 14/11/10 9559 0
54784 [일반] 15채 집가진 일가족 자살 사건의 배경 [64] 상상력사전11644 14/11/09 11644 0
54700 [일반] 이 배우는 정말 연기를 안하려는 걸까요? [40] 에부리바디11079 14/11/04 110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