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1/05 12:28:58
Name 엘핀키스
Subject [일반] 심상정 의원이 롯데 사태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였습니다.
심상정 의원이야 젊은 시절에는 가인 닮은 한 미모 하시기도 했다는 건 알았는데, 고교 시절 야구 리포터 하신줄은 몰랐네요.

최동원 팬이라고 공공연히 말씀 하고 다니셨던 분이니, 롯데에 대한 애정이 많으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롯데 사태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롯데 선수단이 프런트, 코치 등이 cctv등을 이용해 자신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했다는 등의 이유로 집단행동을 했었고(물론 그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공필성 전 코치가 사임하고, 이문한 부장등이 주범으로 몰리면서 여론의 몰매를 맞았는데

얼마전 pgr에도 올라왔던 박동희 기자의 탐사글에 의해 cctv를 이용한 사찰 및 감시의 주도자가 최하진 사장이라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에 대해 최하진 사장은 선수단에게 통보하고(정확하게는 프런트에게 '선수단에 통보하라'고 얘기했다는 내용) cctv를 설치했던 것이라는 식으로 반박을 했고, 이번 심상정 의원의 기자회견문은 이러한 최하진 사장의 입장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선수단 역시 최하진 사장의 주장에 대해 반박성명을 냈다고 하네요.

최하진 사장은 2013. 까지 롯데그룹 정책본부 개선실 실장을 거쳐 롯데기공 대표이사로 있다가 2013. 부터 롯데 야구단 사장으로 온 분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 사태로 롯데그룹 전체의 이미지도 안 좋아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쨌건 이번 롯데사태는 주도자가 최하진 사장이라는게 드러나면서 갈수록 막장으로 흘러가는 느낌인데, 과연 결말이 어떻게 날지 궁금합니다.

아래는 심상정 의원의 기자회견 전문입니다.



[기자회견문]

롯데 불법사찰에 대한 입장 내놓아야



안녕하세요. 정의당 원내대표 심상정입니다.

어려운 경제상황입니다만, 오늘은 야구를 사랑하는 정치인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우리나라는 야구를 도입한지 110주년이 되었고 국가대표를 창설한지 60년이 되었습니다. 또한 리틀야구 월드시리즈, 아시아청소년야구선수권에 이어 얼마 전 인천 아시안게임까지 참가해 국제대회를 모두 석권한 야구강국이 우리나라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시절 야구 리포터를 맡아 할 정도로 야구광이었고, 또 돌아가신 장효조·최동원 선수의 열렬한 팬이었기도 합니다. 최근 아쉽고 안타깝게 생각하는 사건이 바로 고양 원더스 해체였습니다. 저의 지역구가 속한 고양시 팀이었기에 아끼는 팀이었지만 지켜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 가슴 속에 남아 있습니다.



아마 국회에서 야구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는 의원은 제가 처음이 아닐까 합니다.



어제 제가 보도자료를 냈습니다만 롯데 자이언츠의 선수에 대한 CCTV 감시?사찰 문제는 굉장히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국가 기관에 의한 불법감청, 불법사찰이 민간에까지 특히 대기업에 의해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충격을 받았고, 특히 프로야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점에서 두 번 놀랐습니다.



롯데 자이언츠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밝혀진 것만 석달 동안 선수들이 숙소로 지냈던 8개 호텔에 대해 최하진 대표이사가 직접 나서서 호텔 CCTV 설치 위치, 새벽 1시부터 오전 7시까지 CCTV 녹화 자료 전달 유무 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CCTV 기록에는 선수들의 외출·귀가 기록이 빼곡히 쓰여져 있습니다.



이것은 있어선 안될 명백히 범죄행위이자 인권유린 행위입니다. 대기업이 구단 선수들에 대한 인권감수성이 바닥이라는 점, 국민이 사랑하는 선수들을 이렇 듯 감시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은 통탄하지 않을 수 없는 일입니다. 우리나라 헌법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롯데 자이언츠 대표이사는 선수들 숙소마다 CCTV 녹화 자료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실제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선수 보호 목적이라고는 이해할 수 없는 상식 밖의 일입니다. 저에게 전달된 자료만 봐도 석달 동안 진행된 불법사찰은 롯데 선수들이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점을 적나라하게 방증하고 있습니다. 증거가 명백한 만큼 사법당국은 철저히 수사해야 할 것입니다. 또 대기업의 불법사찰과 사생활 침해 등 인권침해에 대해서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롯데 측에도 촉구합니다. 오늘 보도를 보니, 최하진 대표이사는 팬들로부터 보호, 도난사고 등을 이유로 CCTV를 활용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왜 특정 시간대에, 어떤 행동을 했는지까지 꼼꼼하게 기록할 필요가 있었는지, 안전·도난사고가 문제라면 호텔이 책임져야 할 일이지, 대표이사까지 나서서 관리를 해야 할 일이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합니다. 또한 선수들의 동의가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정직하고 책임 있는 해명이 있어야 될 것입니다.



롯데는 불법적이고 비정상적인 일을 거두십시오. 왕왕 우리 사회에서는 이런 갑의 횡포가 드러나면 사과하고 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복하고 불이익을 줘서 ‘을’들을 힘으로 누르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는 그렇게 하지 마십시오. 불법사찰에 대해 선수들과 팬들, 그리고 국민들께 공식적으로 사과하십시오. 그리고 선수들에 대한 보복과 회유를 중단하고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기 바랍니다.



국민의 인권과 사생활 보호를 책임져야 하는 국회의원으로서, 또 야구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이 사건을 면밀하게 지켜 볼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1/05 12:34
수정 아이콘
엌 갑질하다 슈퍼갑한테 걸렸네요
언뜻 유재석
14/11/05 12:35
수정 아이콘
롯데 최사장도 인터뷰 했더라고요.

이번 시리즈는 롯데의 압승으로 끝날듯 합니다. 삼성의 4연패가 뜻밖의 벽에 가로막히네요.
엘핀키스
14/11/05 12:36
수정 아이콘
옆동네에서는 최하진 퍼펙트 게임 드립이 벌써 흥하고 있더군요.
14/11/05 12:37
수정 아이콘
삼성은 4연패는 못해도 오늘 지면 4연패는 충분히 할 수 있을 듯요.

하지만 롯데에게는 안될거야 아마...
14/11/05 12:38
수정 아이콘
이번시즌 롯데의 완봉으로 끝나지 않을까 시프요.

3위 기아 2위 한화 1위 롯데
순규하라민아쑥
14/11/05 15:54
수정 아이콘
롯데는 월드시리즈 우승요.
14/11/05 12:38
수정 아이콘
키스도사
14/11/05 15:3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지금은 삭제되었는데 장성호 기사에 이런 말도 나왔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80&aid=0000000623

---- 삭제된 부분 ----
그러다 5일 아침, 최하진 사장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CCTV 사찰을 사전에 선수단에 지시했다는 내용의 인터뷰를 했다. 장성호는 5일 아침, 기자와의 통화에서 최 사장이 거짓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장성호와의 4일 밤 인터뷰와 5일 아침 추가로 나눈 내용을 정리해본다.

#1. "최하진 사장에게 CCTV 얘기한 사람이 바로 나이다"

(이 질문은 5일 아침 최하진 사장의 인터뷰 기사를 보고 따로 진행된 인터뷰이다)
최하진 사장이 CCTV 사찰을 사전에 선수단에 통보했다고 하더라. 선수단도 알고 있는 내용이었나.

“거짓말이다. 5월 면담 때 CCTV와 관련해서 사장님에게 질문한 사람이 바로 나이다. 당시 사장님께 ‘CCTV 사찰을 사장님이 시키신 것 맞습니까?’라고 물었다. 그랬더니 대답을 못했다. 그래서 내가 ‘선수들은 사장님이 (CCTV 사찰을) 시키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라고 다시 말씀드렸지만, 이번에도 대답을 회피했고, 다른 얘기로 화제를 바꿨다. 오늘 아침에 사장님 인터뷰 기사를 보니까 ‘호텔에 CCTV가 다 있는 거 너희들도 알잖아. 나는 선수들이 사전에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구단 사장이 의지를 갖고 하려고 하는구나 그렇게 생각하는 줄 알았다’라는 내용이 나오더라. 황당했다. 당시 35명의 선수들이 함께 있었다. 사장님은 내가 물어본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 [사전에 선수단에 통보하라고 했다는 얘긴 금시초문이다.] 선수단에 동의를 구하라고 이문한 부장님에게 지시했다고 하는데, 왜 이 부장님에게 다 덮어씌우려고 하시는 건지 도통 모르겠다. 이 부장님은 사장의 지시를 받고 일을 진행하는 위치이다. 선수들이 처음에는 이 부장님을 오해했다. 이 부장님이 선수단 운영에 깊이 관여했고, 간섭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위에는 사장님이 존재했다. 부장님은 심부름 역할을 했을 뿐이었다.”

최 사장 말로는 선수단을 보호하기 위해 CCTV로 감시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핑계일 뿐이다. 자신의 잘못을 합리화하기 위한 말이다. 다른 구단의 사장님은 선수단을 보호하지 않는 건가? 그래서 CCTV로 감시하지 않는 건가? [선수단을 보호하기 위해 CCTV 사찰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넌센스다.]

5월 사장 면담 때 원정 보이콧 얘기가 거론됐었나.

“그땐 CCTV 문제와 권두조 코치님, 이문한 부장님 등에 대한 복합적인 얘기가 거론됐고,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잠실 원정 경기를 보이콧하겠다고 말씀드렸다. 그래서 구단에선 권 코치님을 사퇴시키고, 이 부장님의 선수단 출입을 금지시켰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분들은 잘못한 게 없었다. 위에서 시키는 일을 따랐을 뿐이다.”
DarkSide
14/11/05 12:39
수정 아이콘
제가 이래서 정의당 심상정 의원님을 좋아합니다.
( 노회찬 박원석 정진후 김제남 서기호 추가 )

강한 자에게 강하고 약한 자에게 약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식적이고 원리 원칙을 잘 지켜요.

솔직히 정의당 국회의원들은 기존의 닳고닳은 기성 정치인 같지 않아서 좋습니다.

지지할 맛 제대로 나게 해주는 사람들입니다.
로즈마리
14/11/05 12:41
수정 아이콘
이걸로 부산시민들에게 정의당 pr좀 하고다음 총선에서 정의당이 한자리 차지하면 좋겠네요.
14/11/05 12:47
수정 아이콘
롯데는 2014년에 마가 끼였나봅니다. 제2롯데월드부터 해서 총체적 난국이네요.
14/11/05 17:12
수정 아이콘
마가 끼었다기 보다는 원래 이랬던게 그냥 하나하나 까발려지는 것으로...
어강됴리
14/11/05 12:48
수정 아이콘
근데 안타까운건 선수들이 이제 숙소에서도 쉬지를 못하겠네요
밤중에 밖에나가면 왜나가냐 물어볼꺼 같고 혹여 책잡힐일 있는지
그래서 후에 연봉협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수 있는지 생각하게 되고

승부조작을 겪고난후에 이상하게 합이 맞지 않는 경기를 볼때 의심하게 되는것처럼


뭔.. 포스트시즌을 가만 놔두질 않네요
14/11/05 12:50
수정 아이콘
선수들은 어차피 지금도 잘 놀러다닙니다. 벌금책정하는 팀도 많구요. 원래 그랬는데 저렇게 대놓고 한팀은 롯데밖에 없었다라는거..
14/11/05 12:50
수정 아이콘
이래야 나의 정의당이지!!
사와시로미유키
14/11/05 12:53
수정 아이콘
심상정의원의 기자회견보고 롯데말고도 찔릴분들계실거같네요
심상정의원 최소 미스포츈
14/11/05 12:58
수정 아이콘
국회 의원이 나섰으니 그룹차원에서도 움직이겠네요..
Dr.Pepper
14/11/05 13:05
수정 아이콘
국민누나 심상정!
사랑합니다. 정의당 지지자임을 떠나서 한낱 비루한 롯데 팬으로도 정말 감사한 일이네요.

내년엔 정상적인 팀의 모습을 보길 기원합니다.
14/11/05 13:09
수정 아이콘
잘하는 일이긴 한데.. 본연의 임무인 입법이나좀 신경쓰지... 맨날 입으로는 서민 현실은 단통법 찬성...
제발 찬성던지고 법안 안살펴봤다는 소리하지말고 반대나 제대로 던지길...
DarkSide
14/11/05 13:2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양심적으로 말하자면
심상정 의원 단통법 찬성 건은 까여도 싸다고 생각합니다 ..... ;;
Dr.Pepper
14/11/05 13:25
수정 아이콘
엄밀히 얘기하면 상한선 있는 분리공시제를 포함한 단통법에 찬성한 것이지만
그 아래 시행세칙?을 결정하는 선에 내려가서 분리공시는 슬그머니 사라지고 상한선도 더 낮아졌습니다.
그래도 단통법 자체에 찬성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지만요.
바밥밥바
14/11/05 13:34
수정 아이콘
단통법 하나 미스했다고 이렇게 아얘 반대로 매도될거까지 있나 싶네요
법안검토 제대로 안한건 잘못이지만 이제라도 잘못했다고 인정하고 되돌리기위해 더 많은 노력하는데
이렇게 비아냥거리고 넘어갈만한 인물은 아니란 생각이 드네요
14/11/05 13:45
수정 아이콘
법안을 살펴보는게 기본인데 기본업무 실수했다고 까는게 왜 매도인가요....
이게 매도가 되나. 지금 하는건 잘하는거고 본연의 업무에 소홀히 하지말라는거죠.
단통법이 서민을 위한 법체계는 아니지만 보통사람들에게 충분히 데미지가 가는거죠.
나중에 단통법 찬성표 던지고 한말이 법안 안살펴 봤다는 이야기였고 저는 그게 입법이 가장 핵심인 국회의원이 할말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그냥 찬성했다고 미안하다 안그러겠다라고 하면되지 법안 안살펴봤다는 이야기를 하니 그런거죠.
전립선
14/11/05 13:47
수정 아이콘
비판받을 일 해서 비판받는 건데요.
반대로 보면 그만큼 기대치가 있다는 거죠. 새누리나 새민련 의원들은 까지도 않습니다. 걔네는 그게 당연한거니까.
후라이드슈타인
14/11/05 14:00
수정 아이콘
과연 심상정의원이 단통법 확인도 안하고 찬성표던졌을까요?
전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은근슬쩍 묻어갈려다 사태 불리해지니 제대로 안봤다
드립치고 마치 폐기를 위해 노력하는듯한 제스처를 취하는
전형적인 기회주의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봅니다.
그냥 단통법이 이런 악법으로 서민들에게 반발을 불러올지 예측하지
못했다고 변명하면 믿겠지만 아예 법안을 살펴보지 않았다??
차라리 새누리당 의원이 이런말하면 더 믿겠습니다.
거긴 정말 그럴수있는 정당이라고 보니까요
설탕가루인형형
14/11/05 14:09
수정 아이콘
법안은 발의자, 담당 위원회 소위 등에서 세부적으로 검토하지 의원 개개인이 본회의장에서 자세히 보지는 않습니다.
심지어 대표발의 하는 법안도 제대로 확인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14/11/05 14:09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국회 프로세스상 제대로 챙겨보지 않았을 확률이 높죠. 그게 결과적으로 잘되었던 잘못되었던 그게 현실입니다.
자기 소관 상임위에서 처리하는 법률 따지기도 바쁜데 타 상임위에서 올라온 법률을 그렇게 상세히 파고 그럴수 없어요. 인력이나 시간이나 국회 프로세스나 모든 현실적인 상황에서요.
그렇기 때문에 본회의 상정 과정에서 법안소위->상임위->법사위를 거치는 것이고, 문제가 있다면 당연히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소위나 상임위 차원에서 이미 지적해서 본회의에 넘기지를 말던지, 어찌어찌 넘어갔는데 진짜 아니면 해당 상임위원 중 누군가 본회의에서 반대 의사발언을 해야 것이죠. 그런데 전문분야도 아닌 심상정 의원이 어떻게 본회의에서 그 법에 대해서 딴지를 겁니까. 게다가 의석 5석인 정의당에는 단통법을 담당하는 미방위에 의원이 한명도 없어요. 심상정 의원실 보좌관이 무슨 40명씩 되서 두명씩 각 상임위 법안 모니터링 하면서 일일히 따져보고 하지 않는 이상 절대 못해요.
단연코 정의당 의원들이 단통법에 대해서 전병헌 의원을 포함한 새정치연합 미방위원들보다 더 까여야 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건 국회 조직 취지에 맞지도 않아요. 그렇게 될리도 없지만 환노위에서 문제가 되는 법안이 넘어오면 저부터 심상정 의원 열심히 질타했을겁니다.

심상정 의원이 사과하는건 결과적인 차원의 사과이지만 도의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책임질 일은 거의 없다고 봐야합니다.
이건 세월호 가지고 김한길 안철수를 질타하는거랑 비슷한 거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그분들 물론 사과 하셨죠. 정치인으로써 책임 느낀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든 도의적으로든 거의 책임은 없죠.
단지날드
14/11/05 14:18
수정 아이콘
리플 추천드리고 싶네요 자기 상임위도 아니고 취지는 좋았으나 이후에 누더기처리되서 망가진 법인데 제대로 파악하기가 힘들죠. 개인적으로 원래 취지자체가 나쁜법이었으면 모를까 입법당시 기본취지나 제도가 망가지기전에는 좋게판단할만한 법이라는걸 알고는 의원들을 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14/11/05 14:24
수정 아이콘
전 취지가 좋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이법 자체가 시장질서 교란이죠.
물론 핸드폰시장이 정상적인 시장은 아니지만 호갱이라는게 양산되면서
싼가격에 못산 사람들이 열받아하고 보조금 쓰기 싫은 이통사랑 짝짝궁해서 나온 법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분리공시가 있다고 해도 다를게 하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그냥 핸드폰 요금제를 내리면서 가격경쟁을 유도해야되는데 이건 뭐... 요금제는 요금제대로 오르고...
보조금은 보조금대로 줄고..
스핔스핔
14/11/05 15:40
수정 아이콘
구체적으로 아시는분이 설명을 해주시니 좋네요
14/11/05 14:48
수정 아이콘
기회주의자라 가정하려면 댓글에 언급하신 '은근슬쩍 묻어갔을 때' 의 개인적 이익이 돌아가야 할 것인데, 딱히 찾지 못하겠네요.


아마 제대로 검토하지 않던 습관에 더해서 국회의원들도 보조금, 약정, 할부원금에 위약금이니 뭐니하는 복잡한 판매 절차를 제대로 몰랐기에 나온 무더기 찬성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데오늬
14/11/05 15:11
수정 아이콘
제대로 못봤다는 건 사실일 겁니다. 상정 과정에 대한 것은 SaiNT님이 잘 설명해 주신 바와 같고,
특히나 단통법처럼 최초 발의된 의안이 상임위 심사과정에서 수정되는 경우 타 위원회나 본회의에서는 더 팔로우하기가 힘듭니다.
원안에 수정된 내용이 다 합쳐져서 올라오는 게 아니라 원안+상임위 검토보고서+법사위 체계자구심사보고서까지 순서대로 읽어야 뭐가 어떻게 수정되어서 최종적으로 어떻게 변했다는 걸 알거든요.
참고로 단통법이 통과된 2014년5월2일 본회의 의사일정을 보면 그날 통과된 법률안이 76건이에요.
이중 원안대로 통과된 건 8건이고 나머지는 전부 위원회안이거나 대안, 수정안입니다.
자기 상임위 활동은 활동대로 하면서 본회의 안건에 대해 내용을(심지어 봐서 딱 아는 것도 아닌데) 일일이 검토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상임위에서 대안 만들어서 올라왔고 법사위도 통과했으니 내용상 큰 문제점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제안설명 듣고 찬성했을 겁니다.
14/11/05 13:35
수정 아이콘
롯데그룹 개선실이면, 예전의 감사실일텐데 사찰하고 감시하는게 몸에 밴건가 ㅡ.ㅡ;;;

일단, 이게 단순한 언론 보도를 넘어서 국회의원까지 올라갔으니 일이 진짜 커지네요
에위니아
14/11/05 13:35
수정 아이콘
롯데가 안 좋아질 이미지같은게 있었나요.
그나마 자이언츠가 멱살잡고 끌어당기는중인데 이번에 거하게 한방 맞아서
14/11/05 13:43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이거때문에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 제보했는데 이미 같은건으로 전화가 많이 왔었다고 전화받는 분께서 말씀하시더군요.
팬들 화이팅입니다. 33년만에 찾아온 기회입니다.
14/11/05 13:45
수정 아이콘
엄연히 범법행위를 했으니 처벌받기를 바랍니다.

키야~근데 롯데구단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겠네요.
딴사람도 아니고 국회의원에게 크크
YORDLE ONE
14/11/05 14:00
수정 아이콘
오오 통쾌하네요.

[롯데는 불법적이고 비정상적인 일을 거두십시오. 왕왕 우리 사회에서는 이런 갑의 횡포가 드러나면 사과하고 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복하고 불이익을 줘서 ‘을’들을 힘으로 누르려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는 그렇게 하지 마십시오. ]
14/11/05 14:14
수정 아이콘
준PO 승리팀 : 기아 타이거즈 |MVP : 선동렬
PO 승리팀 : 한화이글스 |MVP : 김성근
KS 승리팀 : 롯데 자이언츠 |MVP : 심상정| 워스트플레이어 : 최하진
14/11/05 14:32
수정 아이콘
롯데 우승~롯데 우승~~
14/11/05 14:40
수정 아이콘
사실 PO부터 저에겐 롯데가 더 임팩트있었어서...
14/11/05 15:28
수정 아이콘
본문과는 살짝 별개로 심상정 의원이나 국회의원에게 기대하는 게 뭔지 궁금하네요

국회의원 인원 축소를 안철수 의원이 주장했을 때 정책지지도가 90%에 가까웠죠

그런데 정작 국회의원 한 명 한 명이 자기 상임위가 아닌 법안의 내용까지 세세하게 알길 바라죠

사람이 부족하면 시간을 더 줘야하겠죠. 그런데 그게 되나요? 심각하게 토론과 논의를 하면서 통과가 늦어지면 민생 안챙긴다고 그건 그것대로 욕하고

이게 그냥 새로운 답정너 같아요. 넌 일단 국회의원이니까 욕먹어라. 제대로 되지 않은 비판은 하지 않으니만 못한...
Manchester City
14/11/05 18:10
수정 아이콘
리플 추천합니다
IntiFadA
14/11/05 22:52
수정 아이콘
이 댓글 추천요!
히로카나카지마
14/11/05 16:00
수정 아이콘
롯데 한국시리즈 우승
일간베스트
14/11/05 16:07
수정 아이콘
22
솔로10년차
14/11/05 16:04
수정 아이콘
롯데는 아직 끝난 일도 아니고, 아시아시리즈까지 성공적으로 끝마칠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975 [일반] [야구] 이번 FA는, 팀당 3명 영입이 가능해졌습니다. [180] Leeka9890 14/11/19 9890 0
54962 [일반] 가출 10대 성폭행범 누명에 인생 망친 30대, 국가상대 소송패소 [208] 블랙탄_진도18344 14/11/18 18344 6
54958 [일반] [리뷰](스포있음) <그래비티> - SF의 낭만에 대하여 [63] 마스터충달5915 14/11/18 5915 3
54951 [일반]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 일 안하고 월급 많이 받아 [101] swordfish-72만세9854 14/11/17 9854 2
54943 [일반] 국방부: 땅굴 주장 허위 판명 고발 조치 [66] swordfish-72만세6882 14/11/17 6882 0
54891 [일반] 06-07 SK와이번스와 한화이글스 [40] 바람모리5117 14/11/14 5117 0
54884 [일반] 최강의 공룡에서 악어급으로 추락한 공룡이야기 [23] 후라이드슈타인9701 14/11/14 9701 0
54876 [일반] "오늘 밤 수많은 수험생 가정이 눈물과 좌절, 고통에 잠길 수밖에 없다는 것" [54] 콩콩지8854 14/11/13 8854 0
54834 [일반] IS, 금화, 은화 찍을지도 모른다 [31] swordfish-72만세6975 14/11/12 6975 0
54830 [일반] 김광현선수 포스팅 금액이 2백만 달러네요. [121] B와D사이의C11832 14/11/12 11832 0
54827 [일반] 솔로들이여 단결하라. 싱글세 도입 준비중 [222] 상상력사전15018 14/11/11 15018 11
54820 [일반] 코스프레계의 도적 창궐 [130] 연의하늘11883 14/11/11 11883 2
54788 [일반] 잉글랜드의 앵글로 - 노르만, 플랜태저넷 왕가의 아름다운 왕위 계승의 역사 [13] 신불해6880 14/11/09 6880 9
54786 [일반] 음악을 금지하는 어떤 논쟁을 보고. (이슬람교) [203] 미스터H14914 14/11/09 14914 5
54776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8. 조선 수군은 어떻게 강군이 되었나 [35] 눈시BBand6841 14/11/09 6841 7
54754 [일반] 기상천외 '몸캠 피싱'이 뭐길래…대학생 자살 [115] 로즈마리16955 14/11/07 16955 2
54749 [일반] 그 공룡은 왜 개명신청을 해야만 했나? [32] Neandertal9666 14/11/07 9666 13
54740 [일반] 곽정은씨가 19금 발언에 해명했습니다. [399] 명탐정코난21295 14/11/06 21295 1
54717 [일반] 심상정 의원이 롯데 사태에 대해 기자회견을 하였습니다. [46] 엘핀키스10847 14/11/05 10847 18
54712 [일반] 2022 월드컵은 겨울에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9] 강가딘6745 14/11/05 6745 0
54700 [일반] 이 배우는 정말 연기를 안하려는 걸까요? [40] 에부리바디11063 14/11/04 11063 0
54677 [일반] 남녀 이야기에 유독 파이어 되는 이유 [140] 냉앵이7435 14/11/03 7435 0
54671 [일반] [야구] 오늘의 KBO 소식 [75] Fin.10539 14/11/03 1053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