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0/02 14:57:24
Name 어강됴리
Subject [일반] 천상계
담아간 이미지 고유 주소

연도별로 본 oecd 주요국 1인당 연간노동시간

캐나다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한국

으로 기재되어있습니다.


아니 한국이 프랑스, 캐나다와 자웅을 겨룬다고??

그런데 자세히 보시면 한국은 왼쪽숫자가 아니라 오른쪽 숫자입니다.





원본


담아간 이미지 고유 주소



파     워

노     동



이것이 탈 oecd 지표...

실은 5월에 제가 유머랍시고 올렸는데

https://pgr21.com/?b=10&n=204255



이렇게 반년만에 다시 진지를 먹을 줄이야.. 

방금 oecd 지표를 확인하니 2013년 기준으로 

1위 멕시코 2237시간
2위 한국 2163 시간
3위 그리스 2037 시간
4위 칠레 2015 시간 
5위 러시아 1980 시간

oecd 평균 1770 시간

일본 1735 시간
캐나다 1706 시간
미국 1669 시간
스페인 1666 시간
스웨덴 1607 시간
프랑스 1489 시간
독일 1388 시간
네덜란드 1380 시간


그리스 사람들은 놀고먹기 좋아하고 일안하려고 복지병 걸려서 파산난거 아닌가요?
박근혜 정부가 멕시코에게 2007년 부터 빼앗긴 노동왕 타이틀을 가져오려고 하는가 봅니다. 


조선놈은 효율이 안나오니 굴려야 하는것인가 
노동시간을 줄이니 노동효율이 오르는것인가


자살률 추가합니다. 
(10만명당)
 
1위 한국 28.4명
2위 헝가리 19.8명 
3위 일본 19.7명
4위 핀란드 17.3명
5위 슬로배니아 17.2명 

한국의 남성 자살률은 39.3명
한국의 노인 자살률은 80.3명

그러면 남성노인의 자살은.. 


이왕했으니 출산률도..

도시국가를 제외하면

1위 타이완 1.15
2위 일본 1.2
3위 한국 1.22

미국 2.06
프랑스 1.97
독일 1.42
캐나다 1.58


하아.. oecd 안할란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SoLaRiON
14/10/02 14:59
수정 아이콘
노동시간으로 하늘을 뚫을 기세
한들바람
14/10/02 15:15
수정 아이콘
나의 노동은 하늘을 뚫을 노동이다!!?
토쁜이
14/10/02 15:00
수정 아이콘
OECD 탈퇴해야죠.
14/10/02 15:03
수정 아이콘
이거 IT종사자들만 따로 모아보면(한국의) 훨씬 웃기던데...하하
14/10/02 15:04
수정 아이콘
곧 천상계 1위 찍을 기세.
소독용 에탄올
14/10/02 15:06
수정 아이콘
OECD보고서 편집자를 괴롭히는 천상계의 위엄은 다른 몇몇 지표에서도 잘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거이 자살률이 있......)
14/10/02 15:07
수정 아이콘
이게 바로 평균의 함정이죠. 고작 2163시간? 풉
당장 저만해도 1월1일부터 오늘까지 근무시간 계산해보면 2200시간은 가볍게 찍을꺼같은데 크크크크크
14/10/02 15:10
수정 아이콘
네덜란드 노동시간 1위가 한국오면 챌린저 찍을 수 있나요?
당근매니아
14/10/02 15:17
수정 아이콘
다이아1 50점 못 뚫는다고 합니다.
한달살이
14/10/02 15:2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엄청나게 내려오긴 했네요.. 다른 나라보다 내려오는 속도가 엄청 좋아요..
보세요.. 각도가 꽤 좋아보이죠?

제가 매의 눈으로 보니.. 딱 2037년 정도에 다른 나라랑 같은 수준의 노동시간을 갖게 되는군요.

만세!!
말그림
14/10/02 15:24
수정 아이콘
크얼 두 배가까이 일하는데 훨씬 더 못사는 클라스... 크크 ㅠ
껀후이
14/10/02 15:30
수정 아이콘
내려와서 저정도라니...
홍수현.
14/10/02 15:46
수정 아이콘
괜히 한국이 롤에서 세계최강이겠습니까!?
역시 OECD 최강국!
꽃보다할배
14/10/02 16:13
수정 아이콘
자원 인구 선조들 기반 다 취약하니 몸으로 굴러라 이건가요
오쇼 라즈니쉬
14/10/02 16:17
수정 아이콘
그리스 사람들은 놀고먹기 좋아하고 일안하려고 복지병 걸려서 파산난거 아닌가요? (2)
14/10/02 16:20
수정 아이콘
휴일 연장근로 수당 축소한다니 더 열심히 굴려먹을듯
14/10/02 16:25
수정 아이콘
역시 한국 1등을 해야 직성이 풀린다는... 좀더 분발해야겠어요
14/10/02 16:31
수정 아이콘
지금세대도 노동시간이 빡센거 같은데 아버지뻘 되는 분들 세대는 도대체 얼마나 빡세게 구르신건지 감도 안오네요 (..)
14/10/02 16:34
수정 아이콘
지금세대가 노동시간은 더 빡셀걸요. 80,90 때보다 지금이 노동시간은 더 길거에요. 노동강도도그렇고.
어강됴리
14/10/02 16:3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아버지 시절에는 공고나와서 취직해서 집사고 차사고 애들 키웠죠
임금상승이 곧 복지였던 시절입니다.

합계 출산율 1.22가 무엇을 보여주는지 잘 말하고있죠
박초롱
14/10/02 16:56
수정 아이콘
그 시대에는 아버지가 뼈빠지게 일하면 자식 네 다섯 낳아도 부양이 되던 시절이죠.
지금 시대는 맞벌이해도 (...)
14/10/02 16:34
수정 아이콘
기업 키워서 기업하기 좋게 만들어서 수익 분배하자는 생각이 70,80,90 년대초까지 호황을 이끌었으니 그런 믿음 갖는것도 무리는 아닌데
이런 지표 보면서 니들이 자랑스럽게 '돈 번다고' 얘기할 수 있냐? 하는 생각 진짜 많이 들죠.
그렇게 낮은 자본생산성, 노동생산성 유지하는 주제에 대기업CEO니 임원이니 그룹회장이니 떳떳하게 '잘 하고 있다'고 말하는거보면
진짜 제정신인가 싶고......... 사람 쥐어짜내는 걸로 겨우겨우 이윤율 유지하는 주제에 뭐가 잘나서 그 많은 연봉을 받는지.
낭만토스
14/10/02 16:41
수정 아이콘
아 이거 잘못하면 70캐나다한테 따라잡히겠네요

제발 한국인이면 노동합시다
제한노
어강됴리
14/10/02 16:44
수정 아이콘
생산성이 임금을 결정해주진 않습니다.
그렇다면 KT를 이지경으로 만든 이석채 회장은 대체 뭘 얼마나 잘하길레 30억씩 받나요 메이저리그에서 15승 하는가요
마찬가지로 같은 공장에서 오른쪽 바퀴다는 정규직과 왼쪽바퀴 다는 비정규직의 임금차이가 2배가 된다는것또한 말이 안됩니다.
스웨덴의 버스기사와 인도의 버스기사에 요구되는 직업의 숙련도가 다를까요?

임금이라는건 사회적 합의입니다. 비정규직이 생산성이 나오지 않으니 그밖에 못준다는 개소리죠
신분이 불안정하니 직업숙련도가 낮아지고 자신의 직업에 대한 책임의식또한 낮습니다. 이런건 또 지표에 안나오죠
낭만토토로
14/10/02 16:48
수정 아이콘
보기 슬픈 자료네요.

혹시나해서 2013년 한국 평균 연간 노동시간, 2163시간,을 52주로 나눠보니 42시간이 좀 안되는데 이럼 하루에 8시간만 일한다는 건데... 평균이 엄청 낮아보이는 기적... 제가 아는 사람들만 해도 8시간 전후로 회사에 남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저같은 사람은 약간 자유직같은 사람들이 있긴 하겠지만 그렇게 많은 수도 아닌데..)

미국은 1670시간이라 주당 평균 32시간인데 이건 왠지 맞을 거 같은게 미국에 있을 때 보면 벌써 오후 4시부터 큰 도로들이 막히기 시작하는 기적이 있더라고요. 허허
어강됴리
14/10/02 16:53
수정 아이콘
그런 미국도 프랑스 사람들을 보면서 부들부들 한다고 합니다. 법적으로 프랑스는 일요일에 영업을 할수 없습니다. 박물관등을 제외하면

네덜란드 사람들이 1400시간을 일한다고 해서 오후 3시되면 퇴근 뭐 이런건 아닐겁니다.
결정적으로 휴가일수의 차이죠 바캉스 시즌 연말 시즌되면 거진 한두달을 통으로 다 써버리니
낭만토토로
14/10/02 16:59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한데, 대신 프랑스나 비슷한 나라들은 실업률에 있어서 미국과 불허를 비교해서 (청년층 실업률같은 것까지 비교하면 장난아니죠) 꼭 부러워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세금도 높고.. (대신 복지가 좋지만 이게 또 장단점이 있고하니..)

한국이 워낙 안좋은 경우인 것 같아요. 나이 들어서도 일해도 살기 힘들어서 정년 연장해달라고 하고 (다른 나라는 줄이자고 하는데).. 정말 살기 힘든 나라인 것 같습니다.
양념게장
14/10/02 19:50
수정 아이콘
불허를 비교해서...?!
낭만토토로
14/10/03 16:32
수정 아이콘
헉.. 비교를 불허해서..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흐흐
세계구조
14/10/02 17:18
수정 아이콘
식빵!
14/10/02 17:22
수정 아이콘
하아.. OECD 안할란다
안산드레아스
14/10/02 23:48
수정 아이콘
노동천국이네요, 키야아~
타임트래블
14/10/03 00:09
수정 아이콘
한국의 장시간 노동은 야근보다 휴가를 제대로 쓸 수 없는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봅니다. 주5일 8시간 근무하면 이미 2,080시간이거든요. 중간에 공휴일이 있으니 휴가가 없다면 어지간히 야근해도 2200~2300시간 정도일 겁니다. 정해진 휴가(연차뿐만 아니라 병가도)만 꼬박꼬박 챙길 수만 있어도 2,000시간 아래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81 [일반] 대학생 한달 생활비 129만원의 현실. 하지만 만약 우리 나라에서 대학이 없어진다면? [27] 주환7072 15/01/21 7072 2
55118 [일반] 최경환 "정규직 과보호"…노동시장 개편 예고 [107] 지와타네호8511 14/11/26 8511 0
54827 [일반] 솔로들이여 단결하라. 싱글세 도입 준비중 [222] 상상력사전15047 14/11/11 15047 11
54363 [일반] 간단한 자료로 보는 한국 내수시장의 위기 [150] Realise17991 14/10/18 17991 7
54291 [일반] 담배 증세와 관련된 의외의 연구결과들 [15] 바위처럼5923 14/10/14 5923 7
54109 [일반] 단통법을 보고 떠오른 것. [32] nickyo6242 14/10/02 6242 4
54099 [일반] 천상계 [33] 어강됴리7926 14/10/02 7926 2
53916 [일반] 우울한 공무원 연금개혁 소식 [94] 리븐장인13063 14/09/22 13063 13
53847 [일반] 저성장, 적은 고용, 그리고 왜? [22] nickyo5841 14/09/18 5841 10
53845 [일반] 다가오는 대한민국의 멸망 [217] 절름발이이리26574 14/09/17 26574 15
53768 [일반] 한국의 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하지만 다들 예상했던) 연구결과 [64] 낭만토토로8010 14/09/13 8010 8
53438 [일반] 배달 대행 앱들의 진실.manhwa [253] Darth Vader12083 14/08/25 12083 0
53056 [일반] 사형제 존폐에 관한 각계 입장. [14] endogeneity7415 14/08/04 7415 3
51301 [일반] 우리는 과연 미개한가 [31] 콩콩지5478 14/04/24 5478 15
50250 [일반] 대한민국은 살만한가? (경제학적 접근) [141] 낭만토토로7486 14/03/05 7486 5
50201 [일반] 노암 촘스키의 47달러 [18] 어강됴리5488 14/03/03 5488 12
50079 [일반] 출판계 도서정가 할인폭 합의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22] 쌈등마잉5056 14/02/26 5056 4
49598 [일반]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읽은 어떤 디씨인의 글 [72] 요정 칼괴기16593 14/02/02 16593 43
49187 [일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는, 숫자로 보는 한국의 빈부격차 [40] OrBef11032 14/01/09 11032 17
48749 [일반] 정규재 씨가 이야기하는 민영화 [268] 하이엨10245 13/12/21 10245 7
48550 [일반] 정부는 왜 전통적인 방법을 쓰지 않는가? [81] 常勝6856 13/12/15 6856 5
47294 [일반] WEF : 한국의 성평등 지수는 136개국 중 111위 [84] 오카링8450 13/10/25 8450 0
47068 [일반] 전교조가 죽을죄라도 지은걸까요? [341] Go2Universe9795 13/10/15 979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