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28 07:28:41
Name 마스터충달
Subject [일반] [리뷰] <더 시그널> - 증명하는 곳에서 경험 쌓지 마라. (스포있음)

[포스터 만들면서 복붙 했을 때 돈이 없다는걸 알아봤어야 했는데...]

의문의 신호를 쫓던 닉과 조니, 헤일리는 발신지에 도착한 후 의문의 사고를 당한 후 알 수 없는 연구 시설에 갇히게 된다. 닉은 연구원들로부터 헤일리를 구출하고 시설로부터 탈출하려고 한다. 여긴 어디일까? 연구소의 목적은 무엇일까? 헤일리는 괜찮을까? 조니는 무사한가? 탈출할 수 있을까? 하나의 의문에 대한 대답이 나오기도 전에 새로운 의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그리고 탈출에 실패한 닉은 자신에게 일어난 놀라운 변화를 목격하고 충격에 빠지게 된다.




sf 블록버스터를 생각했다면 큰 오산이다. 이 영화는 제작비 50억 원 규모의 초 저예산 영화이다. 제작비가 영화의 작품성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작비로 영화의 좋고 나쁨을 판단 할 순 없다. 그러나 예산에 따라 다른 기대는 할 수 있는 법. 사전 정보 없이 일반 규모의 장편영화를 기대한 관객이라면 크게 실망했을 수도 있다.

50억 원이라는 값어치를 생각한다면(헐리웃 영화 제작비로는 껌 값) 포스터의 홍보문구대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기발한 상상력을 현실감 있게 구현하는 것은 sf무비에 있어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그런 면에서 마지막에 나온 액션신 만으로도 이 영화는 50억 원의 값어치는 충분하게 하고 있는 셈이다. 짧은 장면이었지만 초인 액션에 대한 탁월한 연출과 참신한 아이디어가 넘쳐난다. 장담컨대 이 영화가 먼저 개봉했다면 <맨 오브 스틸>의 감독은 잭 스나이더가 아니라 <더 시그널>의 윌리엄 유뱅크에게 돌아갔을 것이다.


[만화 같은 아이디어를 현실적으로 구현했다.]

그러나 그 외의 부분들에 대해선 솔직하게 볼 가치가 없는 수준이다. 영화 줄거리 진행의 대부분이 J. J. 에이브람스와 비슷하다. 낚시와 떠보기의 연속이라고 보면 된다. 영화 전반부 대부분을 할애하는 주인공의 장애와 그로인한 애정전선의 불안에 관한 이야기는 맥거핀에 지나지 않는다. 후반부에 투척되는 떡밥들은 해결되지 않는다. 아무리 지독한 방구라도 계속 맡으면 냄새가 나지 않는 법. 맥거핀이 점철되다 보니 최후 반전의 카타르시스가 상당히 경감된다. 뻔하고 식상한 것도 문제지만, 낚시에 지쳐버린 기분이다.

인디 sf 감독들이 단편 혹은 저예산 장편으로 데뷔한 후 제작사의 주목을 받아 블록버스터 무비의 감독으로 지명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얼라이브 인 요하네스버그>를 만든 닐 블롬캠프는 그 컨셉을 그대로 장편으로 가져와 <디스트릭트 9>을 만들었다. <몬스터즈>라는 거대 우주생명체가 등장하는 영화를 만든 가렛 에드워즈는 그 경험을 인정받아 <고질라(2014)>의 감독을 맡았다. 이렇게 실력 있는 감독들이 주목받는 기회로 저 예산 독립영화라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다. 제한된 자원 안에서 뛰어난 영상을 얻기 위한 노력은 자연스럽게 영화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질 테니 말이다.

하지만 장편 영화라면 극에 대한 최소한의 양심은 있어야 하지 않은가. <얼라이브 인 요하네스버그>는 6분 정도의 단편 영화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자신의 가치를 충분히 증명했다. <몬스터즈>는 sf적인 요소를 최대한 절제하고 등장인물의 성장과 교감을 섬세하게 이야기했다. 장편으로서 가치를 입증한 셈이다. 허나 <더 시그널>은 극으로서 가치를 입증하지 못하다. 아니 안한다고 봐야한다. 이야기 진행이 모두 떡밥에 의존하니 흥미는 유발 될지언정 극으로서는 막장일변도의 전개라 하겠다.

이런 초저예산 sf영화를 만드는 것이 나쁜 일은 아니다. 이를 발판으로 대규모 자본 영화를 찍어보겠다는 야망을 품어도 속물이라 욕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관객에게 돈 받을 영화라면 극으로서 기본은 갖추어야 한다. 영화 개봉은 관객에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지, 블록버스터로 가기 위한 연습과정이 아니다. 10분짜리 단편으로 만들었어도 될 영화를 2시간으로 늘려 놓았으니 볼 게 없는 것이 당연지사. 괘씸한 것은 감독만이 아니다. 이런 영화를 로렌스 피쉬번을 내세워 대중영화로 속인 홍보담당자들도 반성해야 한다.


[헤헤 설랬냐? 헤헤]



한줄평

어서 빨리 메이저로 꺼져버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johny=쿠마
14/07/28 08:08
수정 아이콘
이렇게 맥거핀으로 점철된 영화를 본 건 처음인 것 같습니다. 어헣어헣
엔딩크레딧 올라가고 뭐라도 있지 않을까 싶어서 끝까지 남아 있었으나... '그런 거 없다'라니...


감사합니다. 속 시원한 리뷰였습니다. 크크크
커피보다홍차
14/07/28 08:18
수정 아이콘
으으... 예고편보고 볼까 하다가 안보고 잊었던 작인데, 감사합니다.
정어리고래
14/07/28 08:25
수정 아이콘
오오.....???????????? ?!?!

주변 사람들이 어떤영화냐고 물어보길래 해준 말입니다
액션신에서는 관객들이 빵 터지더라구요...갑자기 무쌍난무라니...
마스터충달
14/07/28 08:32
수정 아이콘
애시당초 그 무쌍난무가 이 영화의 키 포인트입니다.
포스터에선 마지막 반전을 언급하지만 솔직히 x-파일좀 봤던 세대라면 별로 신선하지 않은 반전이죠.

전 오히려 영화 내내 지루하다가 그 무쌍에선 눈이 번쩍 뜨이더라구요.
5억의 제작비치고는 정말 잘 뽑았습니다.
무극에서 장동건이 이 영화처럼 달리기를 했어야 했는데 ㅠ,ㅠ
오도바리
14/07/28 08:51
수정 아이콘
오오 얼마전 eternity님에게 더 시그널 리뷰를 부탁드렸었는데 마스터충달님께서 올려주시네요
개인적으로 영화를 보면서 조금 허접하다는 장면, 미술이 몇몇 있었으나(그 주인공 다리에 붙은 거북이 등껍질같은...) 이렇게 초 저예산으로 만들었는줄 전혀 몰랐네요. 영화보는 중간 결말을 예상해버리긴 했지만 예상하고서도 충격을 조금 받았습니다. 엔딩부분은 음악이나 화면을 잘 뽑아냈다고 생각이 드네요.
마스터충달
14/07/28 14:51
수정 아이콘
엔딩부분의 음악은 저도 좋았습니다.
이런 지엽적인 부분에선 상당히 긍정적 요소가 많이 보이는 영화죠.
그래서 이 영화가 마치 블록버스터 감독으로 가기 위한 교두보 정도로 보였구요.
lupin188
14/07/28 13:19
수정 아이콘
보고나서 살짝 후회했었는데...
5억원으로 저 정도의 퀄리티를 뽑았다니...
놀랍네요...;;;;
닥터페퍼
14/07/28 14:30
수정 아이콘
5억짜리이건 100억짜리이건 관객에게는 굉장히 불친절한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그냥 영화 내용이 내가 이런 스토리를, 이런 특수효과를, 이런 상상력을 가지고있다!!!!!!!!!!!!!!!!!!!
하다가 끝!!

이런 느낌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427 [일반] [요리] 흔한 백수의 불닭볶음면까르보나라 [20] 사직동소뿡이12599 14/08/25 12599 3
53342 [일반] 소립자 [7] yangjyess3047 14/08/22 3047 0
53264 [일반]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이제 내가 이쪽 최고?) 스포O [21] 영원한초보13731 14/08/17 13731 4
53225 [일반] (스포) 더 기버-기억전달자 보고 왔습니다. [8] 王天君5070 14/08/15 5070 0
53095 [일반] 르브론 제임스는 시대의 지배자인가? [167] Duvet10569 14/08/07 10569 0
53081 [일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오덕과 비오덕이 갈리는 영화 [49] 주먹쥐고휘둘러7642 14/08/06 7642 0
52942 [일반] [리뷰] <더 시그널> - 증명하는 곳에서 경험 쌓지 마라. (스포있음) [8] 마스터충달4840 14/07/28 4840 0
52713 [일반] 내가 좋아하는 유희열 노래 Best 10 [37] 리콜한방8443 14/07/14 8443 3
52685 [일반] 허세클레스 신화. 한마 바키 이야기 [34] 王天君8897 14/07/12 8897 7
52622 [일반] 퇴마록에 대한 잡담 [42] Acecracker6457 14/07/09 6457 0
52549 [일반] 정도전 50화 (수정 완료) [102] 해원맥12028 14/07/05 12028 34
52451 [일반] 정도전 49 [8] 해원맥6579 14/06/30 6579 7
52423 [일반] 새식구 - 스크롤 압박이 많습니다. [15] 서큐버스4598 14/06/28 4598 19
52406 [일반] [영화] 5편의 잡탕 리뷰 [10] 잠잘까4513 14/06/27 4513 2
51995 [일반] [펌] 봉준호의 괴물은 sf 판타지 영화가 아니다. [47] eLeejah8642 14/05/29 8642 0
51948 [일반] (스포없음) 엣지 오브 투모로우 보고 왔습니다. [13] 王天君4979 14/05/27 4979 0
51600 [일반] [미국드라마] 멘탈리스트 주저리 주저리.. [39] 마음속의빛7093 14/05/08 7093 1
51584 [일반] 당신에게 글쓰기란 무엇입니까? [22] 이시코기3895 14/05/07 3895 0
51451 [일반] [스포] 론 서바이버 보고 왔습니다. [7] 王天君4557 14/04/30 4557 0
51372 [일반] 세월호 선장과 오블리비언의 지휘자를 비교하면서 [45] 틀림과 다름4479 14/04/28 4479 0
50915 [일반] 정도전 28화 [32] 해원맥10753 14/04/07 10753 13
50893 [일반] 일어날 수 있음직한 일들의 비현실성에 대하여 [9] Everlas4361 14/04/05 4361 13
50832 [일반] 기억나서 적어보는 pmp 배터리 터졌던 이야기.. [12] 감자해커4712 14/04/02 47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