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26 14:02:15
Name 뀨뀨
Link #1 http://blog.naver.com/designwarez/220072343888
Subject [일반] [PPT 강의] PPT의 목차를 깔끔하게 만들어보자!


BGM : 빈지노 - How Do I Look?
(지노형 요즘 노래 잘 듣고있어요 너무 좋아요..흑흑)


정말 오랜만에 강의로 돌아오네요!
얼마전 제 PPT 강의글이 추게로 갔더군요.
( https://pgr21.com/pb/pb.php?id=recommend&no=2538 )
봐주신 모든 분들, 운영자님들 감사합니다. 이로써 추게에 각기 다른 카테고리로 4개째 입성했습니다. 크크

그동안 외도를 좀 많이 했습니다. 이것저것 하고..
으하하핰.............. 넴 일단 글이나 써보도록 하져
이번 강의는 정말 쉬우니 PPT를 켜고 똑같이 따라해보셔도 좋을거에요.


닌텐도 PPT를 만들었던게 벌써 3개월 전인가..그래서 기억도 안나실겁니다.
2슬라이드는 이런식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간단하면서도 복잡한 구성이 될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되겠습니다.

배경 : 1슬라이드 강의에 나왔던 저만의(?) 배경
폰트 :




상단 영문폰트 : Bebas Neue (무료폰트)
( 다운로드 : http://software.naver.com 에서 Bebas Neue 검색 )




하단부 영문+한글폰트 : a옛날목욕탕B (무료폰트)
( 다운로드 : http://www.asiafont.com/FontTong.zip )​
폰트통 다운되는데 여기서 트루타입으로 까시면 됩니다!
요즘 여기저기서 자주 보이더군요. 길거리 현수막에서도, 광고에서도 자주 보여요.
자주보다보니 질리는.. 이때만 해도 잘 안보이던데

그리고 도형은..




이런식으로 다 그렸습니다!
아무래도 포토샵이 쉽지만.. 여기선 제가 애니메이션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씩 그렸죠!

그럼, 어떤식으로 구성을 했는지 알아볼까요?

일단, 머릿속에 구상하는건 매우 쉽습니다. 그냥 이런식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어떤 메뉴를 쓸지 생각하고 출발합니다.
별거 아닌데 오래걸립니다(...) 그래도 최대한 쉽게 설명해볼게요.




처음부터 어려운 이야기가 나와서 당황하셨나요?
스킵하셔도 됩니다. 워낙 기본적인 내용이라서요.
그럼에도 모른다면, 그냥 이 표에 들어가는 색상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 #​이 들어가는 숫자는 html 색상코드입니다.
그냥 어려우면 인터넷에서 색깔마다 고유한 기호를 부여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밑에 R, G, B​값은 RGB 코드입니다.
R은 Red, G는 Green, B는 Blue로 이 색을 적절히 혼합하면 나오는 색을 말하는거죠.
그냥 Red를 어느정도, Green을 어느정도, Blue를 어느정도 섞었는지 그 수치를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INDEX글씨 배경의 파란색은 html 색상코드로는 #4f81bd를 가지며, 이는 R79, G129, B189값과 같습니다.

이제 저 목차를 그려볼까요?




파워포인트 2010버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그리기 메뉴에서 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을 선택하세요!




그리고 이런식으로 대충 그려봅니다. 홍홍




그리고 보기싫은 윤곽선을 치워버립니다. 저거 누르시면 돼요.
그럼 일단 그 아래에 있는 선을 그려볼까용?




이번엔 직사각형으로 곧게 그려봅시다. 남자는 직각이 생명(직각 어깨.. 하앜)




똑같은 색이 중복되면 재미없져! 크기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도형 서식이 있습니다.




기본으로 채우기가 뜨면, 채우기 색에서 다른 색을 누릅니다.




위에서 이미 봐서 친숙한 R, G, B가 보이네요. 입력한 숫자대로 수정해줍니다. 그럼 일단 적용이 됐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이건데요, 아래에 4개 메뉴바를 만들때는 똑같이 직사각형으로 크기 조절해서 일단 한개를 만들고
Ctrl+Shift키를 동시에 누르고 직사각형을 마우스 왼쪽버튼을 누르고 드래그를 해서 원래 직사각형 도형 옆에 놓습니다.
그런식으로 간격을 맞춰서 4개를 만들고, 이전에 만들었던 긴 직사각형 바의 크기를 조정해서 이런식으로 맞춥니다.

왜 Ctrl+Shift키를 누르냐고요?

Ctrl키를 누르고 움직이면 기본적으로 복사입니다.
Shift키를 누르고 움직이면 기본적으로 수직, 수평으로 움직입니다.
Ctrl+Shift키를 누르고 움직이면 복사가 되며 수직, 수평으로 움직여집니다.

역시나 기본적인 기능이지만, 의외로 모르는 분이 많아서 설명을 곁들여보았습니다.




이제 빨간색 직사각형으로 수정해야죠. 다시 도형 서식에서 색상을 변경해줍니다.




이런식으로 위에 기입된 색상대로 다 바꿔주시고요.




이제 직사각형이 아닌 텍스트 상자를 선택해주고 글씨를 씁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절대 직사각형 안에 그대로 글씨를 쓰지 않습니다.
이런식으로 텍스트 상자를 선택해서 글씨를 쓰고 직사각형 위에 얹는게 언제나 옳습니다.
​이유는 이후에 정렬이라는 문제에 부딪혔을때 빛을 발휘합니다.




이런식으로 대충 찌끄리고




미리 받아놓은 BEBAS NEUE 폰트를 선택합니다.




음, 글씨가 때깔이 좋아서 벌써 뭔가 있어보이는군요.
색상과 크기를 조정해주고, 저런식으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과 텍스트 상자를 동시에 선택해서
가운데에 기준점이 맞게 정렬을 해줍니다.

무엇보다도 정렬은 전체에 통일감을 줘서 한번 볼걸 두번 보게 만들고,
안볼걸 보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역시나 대충 찌끄리고




이번엔 a옛날목욕탕B 폰트를 선택해주고 글씨색과 크기를 수정했는데,
뭔가 따닥따닥 붙어있죠? 이걸 수정해봅시다.




단락으로 들어갑니다. 저렇게 블록 지정하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단락, 혹은 행정병이었던 저는 단축키 Alt+O+S로 들어갑니다.
써보세요. 짱 빠르고 짱 쉽습니다.




Alt+N으로 단축키를 사용해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셔도 매우 좋습니다. 자주 쓰는거라서요.
줄간격을 배수로 지정하고, 1.3정도로 지정해볼까요?

  
      

비교해봐도 왼쪽이 좀 더 보기 편하죠? 적절한 단락 넓이는 보는 이를 편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런식으로 다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제 애니메이션 효과를 넣어볼까요?
저번 강의에서 이건 학생용이다. 기업에서 썼다가는 난릐난릐난릐나 이러셨는데요.
사실 그렇습니다 저도 회사생활을 안해봤던게 아니라서..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합시다.




저는 [HISTORY 역사]를 제외한 부분을 날려버릴겁니다. 뽜이야~~~♡
저렇게 3개의 직사각형과 3개의 텍스트 상자를 선택 후에




상단에 있는 탭에서 [끝내기 - 회전]을 선택합니다.




삉삉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죠. 저는 1초로 바꿨습니다.




애니메이션 창에서는 이런식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재생을 해본다면 어떤식으로 나오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이번엔 뭔가 원론적인 이야기보다는 스킬적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글을 써봤는데요,
다음 강의에서는 PPT에서 중요하게 여겨야 할 점들을 다시금 되새기게 하는 글을 써보겠습니다.

이런걸 쓰는데도 한시간 반이 걸리네요.ㅠㅠ 만드는건 금방인데..
그럼 다음강의로 돌아오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26 14:17
수정 아이콘
사실 피피티를 잘 만드는 데는 미적 감각과 센스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기능적인 면은 거의 다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디자인 센스가 영 꽝이라...
그래서 경험이 참 중요합니다.. 그나마도 누가 어떻게 예쁘게 만들었는지를 여기저기서 보고 다녀야 그 아이디어를 베끼기라도 하죠.. 크크
혼자서 만들 때는 아이디어가 안 나온다는.. 흑흑
때때로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애니메이션이랑 효과를 활용하는 아이들을 보면 참 묘한 기분에 휩싸이곤 합니다...
기능을 잘 다루는 것과 '제대로, 예쁘게' 다루는 것 사이에도 뭔가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있는 것 같아요. 그걸 채우는 데 타고난 센스가 정말 중요하구나.. 라는 걸 피피티를 다루면서 느낍니다.
14/07/26 14:20
수정 아이콘
와우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PPT 초보에게 정말 많은 도움이 되네요..
14/07/26 14:21
수정 아이콘
아쉽게도 전 이런 형식이 안통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어서 활용은 못하겠지만.. 디자인을 보기만 해도 즐겁네요. 젊고 개방적인 게임회사같은 곳에서는 이런 형식도 좋아하지 않나요?
무더니
14/07/26 14:21
수정 아이콘
실제로 하면 진짜 간단한건데
일일히 설명하려니 엄청 기네요 크크
고생하셨어요!

폰트라인 깔끔하게 처리하는 것도 같이 적어주셨으면 좋았을듯요!
14/07/26 14:23
수정 아이콘
다음 강의의 주제는 뭔가요? 흐흐
상대벌레
14/07/26 14:30
수정 아이콘
이런거 많이 올려주세요
배우고 싶습니다 부탁드려요 ~
새강이
14/07/26 14:38
수정 아이콘
오 많이많이 올려주시길 추천!
SYN index
14/07/26 14:51
수정 아이콘
전 발표는 좋아하는데 ppt는 발로 만들어서 늘 개판이 됩니다 어헣 제가 ppt 만들겠다고 하니까 동기가 오빠 제발 그러지 말라고...
강동원
14/07/26 15:00
수정 아이콘
추천! 감상! 리플!

감사합니다!
옆집백수총각
14/07/26 15:25
수정 아이콘
배경도 직접 만들고 커스텀을 이쁘게 한번 한 적이 있었는데 전공 교수님들이 걍 기본적으로 글자를 많이 박은걸 좋아하시더라구요 ㅠㅠ
교양에서 꼭 써묵어야지..
가만히 손을 잡으
14/07/26 15:30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좋아요.
王天君
14/07/26 15:35
수정 아이콘
다른 거에 대한 강의도 내놓으시지 어서.
14/07/26 15:36
수정 아이콘
늘 느끼는 거지만 피피티는 공 들인 시간만큼 이뻐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 같은 초보자는 몇시간씩 매달려야 좀 볼만해지더군요 ㅠㅠ
14/07/26 17:41
수정 아이콘
죽이네요... 학생 때 이런 피피티를 만들어봤어야 했는데... 추천!
14/07/26 19: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혹시 beamer 능력자도 계시면 올려주세요!
14/07/26 20:39
수정 아이콘
저번 글하고 이번글의 공백기간이 왜이렇게 긴가요? ㅠㅠ 현기증난단말이에요 빨리빨리 연재해주세요
朋友君
14/07/26 21:48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깔끔하게 만들고 싶습니다. 흑흑흑...
마스터충달
14/07/26 21:50
수정 아이콘
와 브금 들으면서 보니깐 무슨 동영상 강의 보는 것 같네요.
14/07/27 11:29
수정 아이콘
빨리 다음 연재 해주세요
굽신굽신
14/07/27 16:49
수정 아이콘
이런거 말고 여자 얘기 써주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69 [일반] [심쿵주의] 이제 1개월된 새끼고양이 나르를 소개합니다+_+ [18] 뀨뀨6656 14/09/13 6656 4
53735 [일반] 전 세계를 강타한 플랫디자인. 눈 정화 좀 해볼까? [21] 뀨뀨24032 14/09/11 24032 12
53643 [일반] '디알못'도 활용할 수 있는 최근 핫한 '플랫디자인'이란? [16] 뀨뀨13416 14/09/05 13416 16
53629 [일반] '비효율적인 한국의 PPT 문화'라는 글을 읽고.. [67] 뀨뀨17534 14/09/04 17534 5
53156 [일반] [PPT강의] 오늘도 돌아온 PPT 강의 3탄(메뉴바, 레이아웃, 인포그래픽) [11] 뀨뀨13547 14/08/10 13547 9
52924 [일반] [PPT 강의] PPT의 목차를 깔끔하게 만들어보자! [20] 뀨뀨22171 14/07/26 22171 22
52037 [일반] 이게 말이야, 막걸리야? [50] 뀨뀨10861 14/05/31 10861 0
51852 [일반] 색감과 디자인, 둘 중에 하나라도 관심이 있다면 [31] 뀨뀨30997 14/05/20 30997 37
51806 [일반] 성원에 힘입어(?) PPT 제작과정 1편을 공개합니다. [29] 뀨뀨12576 14/05/18 12576 28
51799 [일반] 누구나 잘 만들 필요는 없는 PPT [63] 뀨뀨19766 14/05/17 19766 7
51153 [일반] 사실 너희말이 맞다. [1] 뀨뀨4254 14/04/19 4254 5
50817 [일반] 결국 남는곳은 PGR뿐 [47] 뀨뀨6885 14/04/01 6885 1
50318 [일반] 태어나서 처음으로 정상적으로 번호를 따였습니다..? [77] 뀨뀨10435 14/03/07 10435 42
50081 [일반] 226 폰 대란 조짐이 보입니다... [87] 뀨뀨8880 14/02/26 8880 1
49060 [일반] 읽기 쉬운 간단한 글 [3] 뀨뀨3946 14/01/02 3946 0
48477 [일반]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음악을? 'IDIOTAPE(이디오테잎)' [28] 뀨뀨6129 13/12/13 6129 1
47813 [일반] 응사 조윤진(정대만)으로 보는 키작녀의 매력 [68] 뀨뀨10846 13/11/18 1084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