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09 20:58:31
Name 성동구
Subject [일반] 조물주보다 위대한 건물주.jpg
이미지파일이 안올라가서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30613824



출처 - 클리앙




사실 저도 어릴때 명동 많이 놀러갔는데, 이제 명동가도 별로 볼게 없어요......
밥집도 대부분 프렌차이즈화 되있고(그나마 명동 O자 정도가 느낌 있달까요? 예전이랑 많이 달라졌지만......)
일본어로 호객행위 하는 화장품 가게, 김을 전면에 내세운 세O마트 같은 가게들 정도 말고는 대부분 비슷비슷해서;;

그리고 요리하는 제 친구의 최종 목표는 자영업인데, 가장 큰 문제가 아무래도 임대료더라구요.
일단 임대료는 말도 안되게 비싸니까, 만만한(?) 인건비 후려치면서 알바들 시급 조금이라도 줄이려고 하죠.
친구의 증언에 의하면 의외로 재료비 줄이기가 어렵다네요. 재료비 아끼면 음식에 바로 티 난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09 20:59
수정 아이콘
사진이 안뜨네요..
왠지 몇일전 티비에서 본 내용같긴 한데...
Arya Stark
14/07/09 21:00
수정 아이콘
http://chauchau0.tistory.com/63

뭔지 알 것 같은데 이걸로 일단 선행 학습 합시다.
이쥴레이
14/07/09 21:05
수정 아이콘
바보소년
14/07/09 21:08
수정 아이콘
요즘 초등학생 꿈이 임대업자라는 그 프로그램이군요... 나도 임대업자 하고 싶다...
노던라이츠
14/07/09 21:13
수정 아이콘
9세 아이도 가로수길 건물 주인이군요. 부럽네요.
지금뭐하고있니
14/07/09 21:23
수정 아이콘
6세 있습니다.
ArcanumToss
14/07/09 21:36
수정 아이콘
가로수길 건물들 거의 대부분이 상속이라고 하더군요.
건물이라는 특성상 상속이 아니면 방법이 없는 건 당연하긴 하고요.
어제 피디수첩 보면서 그동안 갖고 있던 제 생각에 더 확신이 들었습니다.

한국의 성장동력은 이미 다 소진되었다.
이제 내리막길이 장기적인 추세가 될 것이고 빈익빈 부익부는 훨씬더 심화될 것이다.
석신국자
14/07/09 21:17
수정 아이콘
가로수길이 유명해진것이 소상공인들의 아기자기한 분위기와 점포마다의 개성인데 유명해지고 임대료 올라가면서 그런것들이 사라지고 있죠
14/07/09 21:2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아무 데나 있는 대기업 프랜차이즈로 도배된 길 다닐 거면 굳이 가로수길 다닐 필요가 없게 되는 건데 참 아쉽습니다.
14/07/09 21:38
수정 아이콘
상권은 돌고 돈다고 생각하는데.... 저도 같은 이유로 가로수 길이 언젠간 질거라고 생각되네요.
14/07/09 21:40
수정 아이콘
새로운 프랜차이즈 번화가가 생기지 않을까요 -0-... 위치도 압구정 바로 옆이니 뭐...
2막3장
14/07/09 22:59
수정 아이콘
요샌 가로수길 임대료가 너무 올라서 세로수 길 생겼답니다.
이 댓글 내려주세요?
닥터페퍼
14/07/10 09:51
수정 아이콘
요즘엔 세로수길도 크게 다르지 않....
14/07/10 00:34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러면 또 사람들이 안갈거예요.. 아마도..
14/07/10 09:42
수정 아이콘
애초에 처음 생겼을때 그 분위기 사라진지는 몇년이나 지난것 같습니다.
14/07/10 11:09
수정 아이콘
이건 삼청동도 동일한 거 같아요. 예전 2004년 정도만 해도 고즈넉하고 괜찮은 곳이었는데 요즘엔 뭐, 명동이나 삼청동 뒷길이나 다를 바가 없더군요.
페리페
14/07/09 21:36
수정 아이콘
사진은 아직 안뜨지만..
이런 얘기들 보면 정말 답답해져요.
게다가 해결할 답도 없어 보이고...
대체 이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건지.

외국의 사례는 어떤가 궁금하기도 하고.. 후..
14/07/09 21:50
수정 아이콘
한국이 더 성장하려면 고용문제와 부동산을 해결해야 하는데... 미국발 금융위기처럼 한국발 금융위기(?)가 터져서 털고 가는게 좋을지도 모릅니다.
포프의대모험
14/07/09 21:58
수정 아이콘
독일처럼 세월로 쌓은 기술이 있는것도 아니고 땅파서 나오는거 없는 나라는 노답이죠; 여기까지 온것만도 기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왜사냐건웃지요
14/07/09 22:21
수정 아이콘
성장동력이 사라졌다는걸 무산계급으로서 정말 인정하기 싫지만, 인정할 수 밖에 없는게 요즘 현실이죠.
절망스럽습니다..
영원한초보
14/07/09 22:54
수정 아이콘
어제 피디수첩내용일텐데 링크가 아쉽네요.
법적으로는 건물주의 소유권과 세입자의 영업가치의 충돌에서 건물주의 편만 들어주는게 한국현실인데 이런 현실이 당연한것인가 항상 의문이 들더군요.
알테어
14/07/10 00:02
수정 아이콘
통일밖에 없습니다. 새로운 성장동력 찾으려면..
베로니카
14/07/10 00:03
수정 아이콘
사업체에서 적정하게 일할 사람이 10명 규모 라면, 높은 임대료가 직원을 6~7명 쓰게하고 노동 시간과 강도를 늘리지요.
사용자, 사용인 둘 다 힘든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불로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높은 사회. 후후..
소독용 에탄올
14/07/10 00:17
수정 아이콘
지주야말로 '자본주의의 적'이거늘.......
엄한 '노조'같은 양반들만 '지대추구'로 신나게 까이고, 진짜배기 '지대'추구자들은 ㅠㅠ
라라 안티포바
14/07/10 00:21
수정 아이콘
모두 다 중고교때 입시에 올인해서 전부 다 대학가고
모두 다 부동산에 투자해서 땅값 오르면 모두 다 부자되니 개이득
꼴랑 이런 철학같지도 않은 철학 가진 땅사모들이 숱하게 잘났다고 기득권을 차지하고 있으니,
오히려 오랫동안 잘 버텼다 싶은 수준이네요.
王天君
14/07/10 00:21
수정 아이콘
진짜 깝깝합니다. 일해서 돈 벌면 뭐하나요 결국 자본주의의 부조리를 벗어나지 못하는데.
개평3냥
14/07/10 00:39
수정 아이콘
한국은 이미 돌이킬수없는 길로 빠졌죠
그냥 신귀족 신노비
중간은 없고 돈을 쥔 자본가와 그밑에 노동의 굴레에 죽을때까지 살아야할
현대판 노예만 있을뿐
마르키아르
14/07/10 00:59
수정 아이콘
저런걸 해결할려면, 결국 법이 잘 만들어지는 수밖에 없는데....

우리나라 국민들이 투표하는걸 보면

포기해야 하나 싶습니다.
Red_alert
14/07/10 04:08
수정 아이콘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국민이 투표를 어떻게 했다면 어떤 식으로 개선이 되었을지 의견을 여쭈어 봐도 될까요?
마르키아르
14/07/10 11:17
수정 아이콘
상속세를 조절하든

임대수익과 관련된 법안을 만들든

세입자를 더 보호하는 법안을 만들든

그런데 그런 법안을 만들고 싶어하는 정당이

새누리당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_-;;
Red_alert
14/07/10 13:37
수정 아이콘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iriuslee
14/07/10 01:09
수정 아이콘
전에 총선 기간에 건물 보러 다녔다고 뜬 모모 전의원은..
이번 보궐에 나오신다고 하고 아마 유력 당선 후보던데..

그런거죠 뭐
최종병기캐리어
14/07/10 01:57
수정 아이콘
물가 상승의 주범이죠..

흔히 원가에 '원재료비'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임대료 및 인건비도 원가에 포함되는 요소라서, 임대료의 기하급수적인 상승은 원가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되고, '원재료비'의 뚜렷한 상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원가'가 올라서 판매가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죠..

이는 물가로 바로 연결됩니다...

근데 정부에선 최종판매가만 때려잡겠다고 나서고 있죠. 그리고 언론에선 원재료비만 비교하면서 '최종판매자'를 압박합니다.

그냥 소상공인만 죽는겁니다...
켈로그김
14/07/10 02:52
수정 아이콘
바닥민심이라고 하나요..
이미 성공의 기준이 건물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제와서 뜯어고친다고 해도 그동안 방치해온 시간만큼의 진통은 있을겁니다.
14/07/10 04:35
수정 아이콘
일본도 시부야 가면 마찬가지 아닌가요?
14/07/10 05:00
수정 아이콘
국회의원이나 고위층들이 사실 건물주이니 부동산 개혁은 요원하다고나 할까요..
현실의 현실
14/07/10 06:24
수정 아이콘
문제는 뜯어고칠생각이 전혀없다는거겠죠.
기득권이 자본을 쥐고있으니
이런거 뜯어고칠만한사람들이 이젠 많지도않고
14/07/10 06:47
수정 아이콘
자영업중인데 확실히 건물 임대료 비중이 어마어마 합니다.
블링이
14/07/10 09:12
수정 아이콘
후.. -_-

가로수길 건물 한채만 있으면 평생 게임이나 하면서 살텐데....
밀레니엄단감
14/07/10 09:25
수정 아이콘
건물주는 예전 지주와 똑같습니다. 가게 세입자 또한 소작농과 비슷하고. 그렇다면 대책은 하나죠. 빌딩소유금지. 아파트처럼 점포별소유만 가능하게 하고, 임대도 금지시켜야죠.
낭만토스
14/07/10 09:43
수정 아이콘
열심히 해서 대박집 만들면

건물주가 대박.
뒹굴뒹굴
14/07/10 09:56
수정 아이콘
누구나 아는데 방법이 없는 문제죠.

자영업자분들 힘들다 할때도 아무도 임대료 얘기잘 안합니다. 주로 최저임금..
알바 돈 많이 줘서 힘들다하고.. 원재료값 올라서 힘들다하고..

50대 이상의 거의 대부분.. 젊은층에서도 상당수는 부동산에 의한 자산 증식에 대한 기대가 있습니다.
언젠가는 본인이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기를 갈망하죠. 그리고는 부동산 가격 내려가면 다죽는다며
부동산 가격 내려가는데 크게 반감을 가집니다. 솔직히 여기서 더 죽을게 뭐 있나 싶습니다만..

결국 대부분의 국민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거나 부동산 부자에게 손해를 입히는 정책을 싫어 합니다.
솔직히 노예가 언젠가 나도 언젠가 귀족이 될테니 노예제 옹호하는 꼴인데 난감한일이죠.
부침개
14/07/10 20:58
수정 아이콘
열심히 해서 대박집을 만들면
그 대박집을 만든 사람도 어느 정도 소유권을 인정해줘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760 [일반] 슈퍼마리오와 직업에 관한이야기 [13] 레인이10627 15/09/05 10627 4
60601 [일반] [해외축구] 리버풀에코 : 발로텔리가 팀을 떠나게된 이유. [39] V.serum6718 15/08/28 6718 1
60367 [일반] 주변에 낙하산들 많으시나요?? [69] 카시우스.18404 15/08/14 18404 4
60108 [일반] 코엑스 리모델링. 그리고 폭망 [91] Leeka19561 15/07/31 19561 2
59268 [일반] 주택문제 초보의 아파트 청약도전기 [109] 966FA12492 15/06/22 12492 6
59009 [일반] H.O.T 장우혁 “빌딩 임대료 2배 올려”…'갑질' [183] 마르키아르21329 15/06/12 21329 4
58884 [일반] 이탈리아에서 식샤를 해보자 (스압, 데이터 및 위꼴 주의) [33] 저글링아빠12898 15/06/08 12898 22
57190 [일반] 요즘 정치 주체들의 움직임 [30] 부활병기7123 15/03/27 7123 5
56325 [일반] 세수가 부족하다면 임대료 카드결제 의무화 하라 [105] 짱세9084 15/02/03 9084 3
55946 [일반] 정부가 내놓은 기업형 주택 임대 사업 육성에 대한 기사 [84] swordfish-72만세6659 15/01/14 6659 0
53614 [일반] [해축]14/15 맨유 이적시장 및 주급체계 간단정리(수정) [54] Manchester United6810 14/09/03 6810 0
53194 [일반] 블루리본 서베이 2014의 음식점 - 강남역 #1 한식편 [25] wannabein9392 14/08/13 9392 2
53013 [일반] [축구] 울산 현대 프런트의 이해할 수 없는 일처리 [23] VKRKO 4976 14/08/01 4976 0
52941 [일반] [해외축구] 로익레미 리버풀 이적 무산, 팔카오 레알 이적? 그외, [33] V.serum5956 14/07/28 5956 0
52629 [일반] 조물주보다 위대한 건물주.jpg [43] 성동구10541 14/07/09 10541 0
51883 [일반] [야구/확률] 어제 한화 대 넥센 9회초 오심 관련 : 0.1%와 베이즈 정리 [83] 쿨 그레이8574 14/05/22 8574 2
50789 [일반] 이명박의 중국집 탈취사건 [81] 어강됴리13524 14/03/31 13524 2
50727 [일반] 성공한 사업가가 되려면? - 2. 공부하자 [24] Jun9116527 14/03/28 6527 5
49016 [일반] 성우 덕질은 슬픈 취미입니다. [21] 凡人8001 13/12/31 8001 2
48213 [일반] [축구] K리그 루머들로 알아본 각 팀별 상태는? [28] 잠잘까6836 13/12/04 6836 7
47482 [일반] [야구] 2013 시즌 마무리 + FA 미리보기 (삼성+a) [87] 항즐이6572 13/11/04 6572 0
46294 [일반] 2013-14 리버풀 여름이적시장 결과 및 시즌 전망 [24] V.serum6063 13/09/03 6063 3
46042 [일반] [해외축구] 기성용 선더랜드 임대? [120] HBKiD7421 13/08/23 74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