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4/08 00:23:49
Name TaCuro
Subject [일반] 우리나라 도시경제&부동산에 대해서..(아래 글에 대해 배운것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도시경제학으로 알아주시는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아래 궁금해 하시고 논하시는 이야기 중에 생각나는 것을 몇가지 적어봅니다.
교수님을 밝히면.. (이미 추측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많은 부분이 노출되어서. 정보를 가급적 아낍니다.)
제가 곤란해서.. 그냥 흘려들으실 분은 그렇게 들으셔도 좋을 듯..



1. 일단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거품이 맞다.

비단 다른 나라만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잘못을 하고 있다고 그러시더군요.
우리나라의 지금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지 못하면 가격이 폭락, 폭등할것이라 하시더군요.
(작년 초부터 서브 프라임이 온다고 하셨습니다.. 미국에 말이죠..)
결국 아 아슬아슬한 균형이 무너지면 기대심리로 오르던가..(더 큰 버블) 서브 프라임이 우리나라에도 온다고 예측하시더군요.


2. 수도권 규제 완화

일단 지금의 규제로 지방으로 기업이 이전한 사례는 한건도 없다고 (2005? 6년 기준일겁니다.) 하셨습니다.
물론 개념을 크게 잡으면 한 건도 없는건 아니지만. 우리가 기대하는 그런 이전은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시장지인 서울을 포기할 수 없으니까요. 세금 인하등은 기업이 신경도 안쓴답니다.


3. 대학은 지방으로..

대학이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는? 없죠
지금 서울에 있는 대학 땅만 팔아도 지방 오지로! 이전이 가능합니다. 대학 타운이 형성이 가능합니다.
지방 대학의 (경쟁력 없는 미달된 대학의 경우 말이죠..) 활성화보다 서울 대학의 이전이 더 좋을겁니다.
우리나라가 가능할런지 모르지만.. 방향은 이게 옳지 않을까요?


4. 부동산 가격은 지난 5년보다 과거에 훨씬 더 힘들었다.

집값이 올라, 전세값이 폭등해 가족이 집단자살하는 일들도 있을 만큼 (옛날이 더 힘들었다고 하시더군요)
과거에 너무 힘들어서 그래서 나온것이 신도시 200만호 공급이었습니다. 만 지금 부작용이 훨씬 심하다고..



5. 정부이전

서울에 집을 팔면 손해라는 것을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세종시에 가는 공무원은
출퇴근 or 주말부부가 될 확률이 높다고 하시더군요. 과연 지방으로 사람들이 갈까?
설령 가도 수도원의 서울 진입 예정 세력이 들어오고, 들어오고.. 무슨 이펙튼데.. 용어가 있었는데 까먹었습니다;


6. 그나마 좋은 건 전국 뿔뿔히 흩어지는 정부 기관

지방 각지에 큰 기관이 퍼지면 관련 업종? 산업이 그 곳을 중심으로 생기게 되니까.. 그나마 이게 현실 가능한
방안이라고 하시더군요.










서울은 세계 최고로 빡빡한 동네입니다. 동경 기준으로 반경을 잡으면 서울은 지금 수도권 크기고 인구는;;;
이런 최고의 시장을.. 기업이 입지조건을 고려할 때 포기를 못합니다.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니..

지방으로 강제 이전을 하게 되면 결국 기업은 경쟁력이 없어서 도태됩니다.
기업은 함부로 옮길 수가 없습니다. 세금 감면 따우로 할 수 있는것이 아니라고 하시더군요.


혹시 부가 설명이 필요하신가요?
지금 나가야 해서 급하게 쓴건데 오류가 있으면 지적 바랍니다.

* 제목은 수정합니다. 물어본 사람도 없는데 답변은 무슨놈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戰國時代
08/04/08 00:33
수정 아이콘
수도이전, 정부기관 및 공기업 지방이전, 대학 지방유치... 전부 노무현 정부가 시도하려고 했던 정책이네요. 또한 전부 한나라당과 서울시에 밀려서 좌절된 정책이기도 하구요.
08/04/08 00:45
수정 아이콘
경제학에 문외한이라 따른건 잘 모르겠지만
3번은 제가 겪어봐서 확실히 압니다만 (미국에서 대학타운에 살고 있습니다)
대학을 지방으로 옮기면 확실히 그 지방에 인구도 늘고, 직업도 많이 생기고 살아나게 되있죠..
제가 있는곳도 굉장히 큰대학 하나 밖에 없는 도시입니다만, 그것 때문에 엄청 커졌죠..
3번은 어떻게든 추진 되면 좋을거 같네요
토스희망봉사
08/04/08 00:46
수정 아이콘
뭐 여러가지 문제가 있지만 한국판 서프라임 사태가 가장 두렵네요... 또 세금으로 왕창 메꿔야 될지도 모르니
그리고 잉글랜드도 브리스톨 대학이니 레딩 대학이니 도시 지역이 아니라 시 외곽에 그 나라에서 유명한 대학들이 꾀 있더군요 한국은 여러가지로 생각 할게 많은 문제 입니다.
하지만 대학을 이전 하게 되면 그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가 생길수도 있고 이전에 따른 많은 사람들의 유출이 예상 되는데 그렇게 되면 부동산 가격 하락 문제가 생길 수 도 있습니다 지금 집값은 함부로 손대면 안되요 잘못하면 경제가 일본과 같이 최대 불황에 빠질수 있습니다 노무현 정부도 잡을 수 없어서 못잡은게 아니라 잡을 수가 없는 거죠
잘못 손대면 정말 큰일 납니다 그렇다고 그냥 손놓고 볼수도 없는 거고 참으로 난감 합니다.
happyend
08/04/08 00:51
수정 아이콘
제 짧은 지식으로 말씀드리긴 뭐하지만...서브프라임이 한국에 오려면 ....조금 시간이 남았지요.
미국의 서브프라임의 원인은 제생각입니다만,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시기에 연금을 줄 돈이 없게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연금을 줄 돈이 없으니 달러의 남발로 인해 돈가치를 떨어뜨리는 술수를 쓸수밖에요...그래서,유동성이 넘치고,이게 다시 자산버블로 가고,흥청망청 몇년을 지속했죠....그러다 폭발한거죠.
일본식 버블붕괴를 염려한 미국이 선택한 길이 서브프라임이라는게 아이러니합니다.일본의 학습효과로 단단히 대비했던 미국은 은퇴인구가 많아지는 시점에 집값은 잘 잡았거든요.하지만 연금이 복병이었던거죠.
우리나라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시기는 앞으로 5년후부터이고,인구감소는 12년 후부터이며,수도권 인구는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08/04/08 01:36
수정 아이콘
저도 대학 이전은 했으면 좋겠습니다. 서울 비싼 땅이 아깝기도 하고 정말 지방의 발전을 하려면 대학을 지방에
wish burn
08/04/08 11:24
수정 아이콘
대학교들의 서울부동산을 매각한다면 학생들 등록금도 덜 오르겠네요..
parallelline
08/04/08 14:29
수정 아이콘
인서울이미지가 워낙커서 대학이 쉽게이전못하겠죠..
08/04/08 15:46
수정 아이콘
이미 서울에 있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건물에 투자를 엄청 한 마당에 그걸 팔고 지방으로 이사를 간다는 것은...
과연 그렇게 할 대학이 있을 까요?
지방에 있는 대학들도 서울에 어떻게든 건물을 구해서 분교를 설립하고 있는 마당에...
戰國時代
08/04/08 19:04
수정 아이콘
지방으로 가도 될 만한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딱 이 세개 뿐인 듯. 그나마 연대 고대는 같이 안 가고 한쪽만 가면 망할 듯.
08/04/08 19:21
수정 아이콘
지금의 상황에서 갈 학교는 하나도 없죠.

하지만 대학에 관한건 이사를 가는것이 나쁠 것이 없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하지만 결국 가장 좋은 대학이 다 가버린다면 인식이 바뀔 수 밖게 없죠.
사람들 생각이 바뀌고 가는건 사실 말이 안되고 가려면 일단 가야햐죠. 이게 힘들지만.. 인식이 바뀌길 기다리려면 백년은 걸릴듯

일단 가게 된다면 경제적으로 불합리 할까요?

서울대가 지방 어느 산골에 있다고 서울대가 아닌건 아니죠.
만약에 서울대가 지방 XX로 이전을 한다고 하면? 아니면 지방자치 단체에 입찰?을 시키면?
정말 수백만평의 부지를 너도 나도 제공한다고 경쟁적으로 달려들껍니다. 대학 타운을 무시할수 없으니까요.
지금 서울의 땅값이 얼마 일까요? 부동산 부동산 하지만.. 서울에 그 노른자위 땅값만 가지고 지방에서 건물짓고 다 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코딱지 만한 서울의 학교 부지보다 훨씬 쾌적한 환경에서 수학할 환경이 조성되는 겁니다.
인프라는 같이 생기는 것이고, 문화의 중심지도 대학이기 때문에 정말 제대로 대학 생활을 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을겁니다.
요즘 세상에 지방으로 간다고 티비가 안나오고 인터넷이 안되진 않을테니..
뭐 학교에 골프장도 짓고 정말 좋은 학교를 지을 순 있습니다.

지금은 규제 때문에 수도권에 4년제 대학을 만들지도 못하고 확장도 못합니다.
그래서 자꾸 땅을 파고 들어가죠.. 그게 과연 좋은가 생각을 해봅니다.


공기 맑은 곳에서 진지하게 수학할 환경에서 대학 생활이 가능하면.. 그건 우리나라에서는 망상인가? 생각을 해봅니다.
미국에는 좋은 학교가 다 시골에 있고 도시에 있는 학교는 점점 쇠태 한다고 하는데.. 아무리 그건 그나라 사정 뭐 그래도..

..

서울대는 정부가 옮길 수 있을텐데 말이죠.. 만약에 서울대가 가면 재미있지 않겠습니까?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면 나쁠것이 전혀 없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251 [일반] 부동산 재앙시대가 오는군요. [56] 마음이8442 10/08/13 8442 0
24200 [일반] 경제이야기 : 물가, 금리, 환율, 부동산, 재정정책에 대하여(1) [11] 시즈트럭3781 10/08/11 3781 0
11285 [일반] 부동산 직거래와 중개업자. [12] 강아지3870 09/03/07 3870 0
10726 [일반] 부동산거품붕괴를 큰 위기없이 넘어갈수있을까요? [33] VerseMan4122 09/02/04 4122 0
9776 [일반] 링크-부동산은 어떻게 계속 오를 수 있었나 [7] 토스희망봉사3220 08/12/12 3220 0
5161 [일반] 우리나라 도시경제&부동산에 대해서..(아래 글에 대해 배운것 입니다.) [10] TaCuro2884 08/04/08 2884 0
5158 [일반] 부동산 가격 과연 거품일까? [46] Jul_ka3493 08/04/07 3493 0
5150 [일반] 노무현 대통령의 부동산 정책. 그 성공과 실패. [32] 펠쨩~(염통)4598 08/04/07 4598 0
3364 [일반] 어두운 이야기...'IMF 10년차' 다시 찾아온 부동산거품 공황 [8] 태상노군3907 07/11/22 39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