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4/21 01:39:29
Name bergy10
Subject [일반] 사람사는 세상. 마음을 좀더 헤아려 주기를.
힘이 빠져나가는 시점입니다.
그래도 생존자가 있다면 구출할수 있을거란 희망을 제가 가졌던 마지막때는 어제, 토요일 저녁이 되기 전 오후까지 였구요.


아마, 이제는 구조가 아닌 시신 인양 작업을 위해 잠수사들이 그 거친 서해 바다에 뛰어들고 있다고 봐야겠죠.
마음을 다칠대로 다친 학생들의 부모님들과. 그 수가 학생에 비해서는 작을지라도 결코 무시할수 없는 숫자인 일반 승객들의 가족들을 위해서.


저 스스로도 마음을 많이 다친것 같습니다.
어린 나이임에 불구하고 자기들보다 약한 사람들을 위했음이 밝혀진 학생들과, 끝까지 책임을 다하려던 교사들. 그리고 몇몇 승무원들.
지금까지 쌓아온 좋은 추억과 아픈 기억. 그것들의 몇배는 될만한 일들을 앞으로 경험하며 성장할 어리고 젊은 사람들.
그 친구들이 하나둘씩...시신이 되어 인양이 되고 사망자 숫자가 점점 올라가는걸 보니 말입니다.
그리고 혹시 저나 제 가족, 곧 결혼할 여자친구, 지인들이 이와 비슷한 일을 당하게 된다면 정부와 언론이 어떻게 대응할지.
또 그때에 아무런 생각없이 장난질할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지. 그에 대해 아예 현실의 밑바닥까지 본 기분이라 더더욱 속이 상합니다.


현재 정부의 대응은 무능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게 사실입니다.
당연히,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해경, 해군, 민간 잠수사들이 그렇다는 말은 아닙니다.
정부가 많은 인원과 장비를 투입하여 애를 쓴건 사실이지만 그 작업의 과정과 성과에 대한 이야기를.
실종자 가족들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다가 그걸 TV로 먼저 접하게 하면 안되는 거였습니다.
또, 정부는 그들에게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이야기 했다가 나중에 그 공표를 뒤집는, 그런 아마추어적인 행위를 해서는 안되는 거였고.
지푸라기 하나라도 잡고싶을 심정인 그들을 위해서라도 더 냉정하고 확실한 검토를 하면서 감싸안았어야죠.
오죽하면. 얼마나 답답했으면. 아마 믿을건 그래도 약속을 해준 대통령 뿐이라는 마음으로 청와대로 가자는 말이 나왔을까 싶습니다.
아마 저와 비슷하게 정부와 대통령을 왜 구분해야 하냐는 생각을 가질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 부모님들의 마음은 그럴것 같네요.
구조현장 영상 나오는 TV 좀 설치해 달라는 부탁을 수십번 해도 들어주지 않다가, 대통령 한마디 떨어지자마자 그 일이 해결되었다고 하니.


여하튼. 매일같이 변하는 배의 탑승인원. 구조자 수. 실종자 수. 심지어 사망자 숫자까지.
어떻게 하면 대체 이런걸 틀릴수가 있나 싶을 정도입니다.
일개 네티즌이 나서서 중복된 구조인원을 체크하여 지적하고 담당부서에 알리니...그게 그때가서야 수정되는 현실.
구조작업에 있어서 학부모들이 제안한 방식을 무시하다가 결국엔 그에 따라가니 시신이라도 건져내는 현실.
사망자 시신 확인작업도 제대로 안해서 엉뚱한 부모님들을 안산으로 보냈다가 다시 확인하러 돌아오게 만들고.
대통령 보러 가겠다는 사람들 앞길을 막은것 까지는 그래도 어찌 봐주겠는데 그걸 채증사진을 찍어대고.
해수부 장관 수행하던 안행부 국장은 다른 부서라 그랬는지 기념사진이나 찍자고 하다가 직위해제가 되는.


그런 일들을 화면으로 지켜보는 저같은 사람의 마음이 이렇게 어이가 없고 아파올 지언데.
실종자로 체크된 학생들의 부모님들과. 그 수가 적어 목소리도 제대로 못내고 있는 일반 승객들의 가족들.
그들의 현재 마음이 얼마나 상해 있을지는 상상도 할수가 없습니다.


저는 이번 사건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임에 불구하고 마음에 위로를 받고 싶었습니다.
스스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지금과 같은 일이 저한테 생긴다면, 저 역시도 이 나라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인데.
어떤 일이 생긴다면 당연히 저보다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할. 아직 스물도 되지 않은 학생들과 그 가족들이.
사람같지도 않은 어른의 이기적..이라는 말로도 표현하기 부족한 행동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그걸 감싸주고 위로해 주어야 할 정부의 어설픈 대처가 다시 한번 그들에게 상처를 주는걸 보고 있자니 그런 기대를 접어버리게 됩니다.



속이 많이 상하고, 아이들 생각하면 그 속이 다시 아려옵니다.
정부가 지금 가장 먼저 할일은 언론에 구조와 인양작업에 대한 노력과 성과를 발표하는게 아닙니다.
구설수만 만들어내는 쓸데없는 일들도 좀 그만하면 좋겠습니다.
지금은. 실종자 가족들과 확정된 유가족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달래주고.
그들이 입은 상처에 비하면 턱없이 작겠지만, 마찬가지로 상처를 입은 국민들의 마음에 위로를 해 줄 시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14/04/21 02:09
수정 아이콘
일개 선장에게 쏟기엔 분노의 크기가 너무 커서 정부까지 박살이 나는것 같습니다. 언론이 틀려도 정부가 까이고, 선동꾼이 나타나도 정부가 까이고...대응이 어설프건 맞지만 마치 정부가 배를 침몰시켰다는듯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보이네요.
소독용 에탄올
14/04/21 11:23
수정 아이콘
시스템의 문제점이 사고로 드러났고, 해당 시스템의 문제점은 정부가 책임질 일이어서 정부도 까이는겁니다.
포프의대모험
14/04/21 13:06
수정 아이콘
선장의 무책임한 대응이 가장 큰 원인이죠. 음주운전으로 자동차사고가 났는데 술집을 때려잡는거랑 다를바가 없어요.
14/04/21 14:45
수정 아이콘
음주운전에 맞춰 비유하자면 사고 난 다음에 차에 치이거나 다친 사람들 병원에 데려가고,
차 빼서 견인해 가는 정도는 원활히 해주는게 정부가 할 일인데. 그걸 한심할 정도로 정말 못하고 있습니다.
포프의대모험
14/04/21 15:12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네요. 근데 차빼고 병원 데려가는게 사고를 방지해주진 않죠
14/04/21 15:20
수정 아이콘
굳이 덧붙이자면 사고 방지하는 활동인 음주단속도 정부가 할 일이죠.
이번에 탑승자 숫자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개조된 화물차 때문에 과적량 초과됐을거란 전문가들 말 들어보면...
평소에 항만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의 선박관리 실태가 어땠을지 익히 짐작이 가능합니다.
unluckyboy
14/04/21 02:12
수정 아이콘
배를 빠트린건 정부가 아니지만 생존자 가족을 밑바닥으로 끌어내리고 있는건 정부가 맞는거 같습니다.
14/04/21 02:22
수정 아이콘
사고는 재난이죠. 하지만 그 이후의 정부의 대처 수준, 또 언론의 행동, 루머를 양산하는 SNS 는 거의 재앙 수준입니다.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비토히데요시
14/04/21 02:55
수정 아이콘
이번 일을 통해 각종 재난 재해에 대한 시스템과 대응 메뉴얼이 짜여지길 바랄 뿐입니다.
또한, 이후 언론에 대한 약간의 통제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네요.

그리고.. 상처받은 유족들과 생존자들의 고통이 부디 치유되길 바랍니다...
더령이
14/04/21 06:45
수정 아이콘
이번 사건으로 정부의 재해대책은 절망적인 수준이란걸 다시금 느끼게 되네요 언제까지 사고가 터져야만 바뀌게 되는건지 이번일을 계기로 바뀌겠지만 더이상 어떤 사고나 사건이 계기가 되기전에 바뀌었으면 합니다
와우처음이해��
14/04/21 07:47
수정 아이콘
천안함때는 언론통재하니 저러지 했는데 이제와서보니 재해상황 일때는 통제가 맞는듯 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4/21 11:24
수정 아이콘
언론통제해도 루머는 돌고, 언론통제보다는 정부공식발표 신뢰성확보가 우선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346 [일반] 아이돌. 그중 태연양의 연애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40] bergy107904 14/06/22 7904 0
52228 [일반] 오늘자 문창극. [93] bergy108775 14/06/13 8775 11
51945 [일반] 두목곰 김동주, 인터넷 방송으로 최근 심경 발표. [27] bergy108828 14/05/27 8828 0
51915 [일반] 나는 왜 선동열을 싫어하는가? [179] bergy1012399 14/05/25 12399 15
51905 [일반] 시간이 흐른 뒤의 추모. 엄마의 바다. [3] bergy104335 14/05/24 4335 7
51817 [일반] 권진아&샘킴 안테나 뮤직 입성기념 베스트 곡 다시보기. [7] bergy105037 14/05/19 5037 0
51793 [일반] 소수민족인 케냐 이민 2세를 대통령으로 뽑은 사람들. [79] bergy109450 14/05/17 9450 9
51790 [일반] 어제, 5월 16일. 1961년 그때의 서울. [14] bergy108652 14/05/17 8652 18
51670 [일반] 안산. [5] bergy104745 14/05/11 4745 8
51595 [일반] 해경, 오늘 다시 세월호 생존/실종자 숫자 정정. [56] bergy107759 14/05/07 7759 2
51536 [일반] 사람의 차이. [60] bergy108341 14/05/04 8341 17
51306 [일반] 왜 정부에 대해 불만을 말할수 밖에 없는가. [78] bergy106770 14/04/25 6770 15
51187 [일반] 사람사는 세상. 마음을 좀더 헤아려 주기를. [12] bergy104537 14/04/21 4537 0
51144 [일반] 왜 내가 위로를 받고 싶을까. [6] bergy105429 14/04/19 5429 28
50882 [일반] 319 1/3 이닝 연속 무 피홈런. [197] bergy1010753 14/04/04 10753 3
50741 [일반] 랄라스윗. 그녀들의 정규 2집이 발표되었습니다. [11] bergy103158 14/03/29 3158 2
50366 [일반] K팝스타 시즌3 의 탑 8 이 가려졌습니다. [25] bergy106154 14/03/10 6154 1
50021 [일반] 어제 경기로 본 박주영. 대체 어찌해야 할까. [34] bergy108574 14/02/23 8574 2
49606 [일반] K팝스타 시즌3. 처음으로 보고있는 오디션 프로그램. [29] bergy105570 14/02/02 5570 0
49366 [일반] 간만에..유희열. 토이 좀 들어봅시다. [27] bergy105036 14/01/19 5036 1
49224 [일반] U2. 당신 또한. 나는 어떻게 그들의 빠돌이가 되었는가? [12] bergy103774 14/01/11 3774 0
49139 [일반] 다시 오늘, 1월 6일. 김광석의 18주기. [17] bergy104128 14/01/06 4128 3
49135 [일반] [응답하라 1994] 배우들이 부른 곡들 포함, OST 좋은곡들 들어 봅시다. [15] bergy104547 14/01/06 45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