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3/09 00:22:35
Name 타임트래블
Subject [일반] 한국의 중소기업에는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가?
앞에 댓글에 이에 대한 얘기가 잠깐 나와서 이 쪽에 몸 담고 있는 사람이면 대부분 알고 있지만, 누구도 얘기하지 않는 이야기들을 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과 관련해서 지원이 부족하다, 돈을 빌릴 수 없다, 은행은 담보만 보고, 단기대출만 해준다, 대기업이 우리 사업영역에 들어와서 장사를 할 수가 없다 등등의 말이 아무런 근거 없이 당연한 사실인양 떠돌아 다닙니다. 특히 언론이나 정치인, 정부 관료들이 이러한 잘못된 내용을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현재 한국의 여러 중소기업 지원 정책들은 산업 육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기업에 대한 복지를 위한 것입니다. 개인에게 쏟아야 할 막대한 복지예산이 중소기업에게 지원되고 별 다른 효과없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먼저 아셔야 하는 건 법률상 중소기업에는 자영업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후년에 중소기업의 범위가 개편되긴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는 업종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종업원 300인 미만 또는 자본금 80억원 이하(제조업의 경우)를 만족하면서 대기업 계열이 아니고, 매출 최대한도를 넘지 않으면 중소기업으로 정의합니다. 종업원은 상시근로자만 의미하고 임시직이나 파견직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자본금은 자본총계가 아니라 말 그대로 자본금으로 주식의 액면금액 합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저 두 가지 기준 중 하나만 만족하면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이런 기준이 문제가 되는 건 중소기업의 기준에 맞춰 기업 규모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업의 규모가 커져서 고용을 늘릴 필요가 있을 때,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고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자본금은 기업이 성장하더라도 증자를 하지 않는 한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규모가 상당히 크더라도 얼마든지 법률 상 중소기업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그게 아니더라도 한 기업을 불필요하게 쪼개는 방법으로 중소기업 지위를 유지할 수도 있을 뿐더러 외국의 대기업이 세운 국내 자회사도 저 기준만 충족하면 중소기업으로서 중소기업 적합업종 등에 진출이 가능해집니다. 또 한가지 문제는 하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동네 빵집도 법률 상 중소기업에 해당되며 당연하게도 다양한 정부 지원책의 수혜 대상이 됩니다.

이런 문제를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유럽이나 외국의 기준을 참고하여 내후년부터 새로운 기준이 적용됩니다.  새로운 기준에서는 종업원 수나 자본금 규모와 관계없이 제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 1500억~800억 이하면 중소기업으로 정의됩니다. 이것도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의 기준은 외국에 비해 지나치게 범위가 넓습니다. 우리보다 경제규모가 훨씬 큰 유럽만 해도 십수년째 업종에 관계없이 매출 5천만유로(약 800억원) 이하를 중소기업으로 정의합니다. 새롭게 개정되는 기준도 국내 중소기업들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선진국보다 매출액 기준을 훨씬 더 높게 잡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설사 새로운 기준이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국내 중소기업들은 아마도 기업 쪼개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서라도 중소기업 지위를 계속 유지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기업행태가 나타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중소기업 지원책이 전 세계에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입니다. 믿기지 않겠지만, 외국 어떤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합니다. 지원정책도 각 정부부처와 지자체마다 갖춰져 있을 뿐더러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져 나옵니다. 일례로 GDP 대비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신용보증만 봐도 유럽이나 미국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어이가 없는 것은 도대체 정부 예산 중에서 중소기업에 지원되는 금액이 연간 얼마나 되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입니다. 각 지자체마다 정부부처마다 사업마다 흩어져 있기 때문에 누구도 그에 대해 모를 뿐더러 제대로 집계하지도 공표하지도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정컨대 정부의 직접예산, 정부가 보증하는 지원금액 등등을 모두 합치면 연간 50조~100조원 가량 될 겁니다.

이렇게 지원이 많은 나라에서 10년전이나 20년전이나 지금이나 언제나 중소기업은 어렵다는 얘기가 끊임없이 나옵니다. 그리고, 그들에 지원을 해줘야 하는 게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진실인 양 호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실은 한국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지나치게 많고 그로 인해 시장 교란이 너무나 심각해져 있는 상태이며 성장해야 하는 실력있는 기업들이 그로 인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에 더 가깝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이 어렵다는 얘기가 끊임없이 나오는 건 중기중앙회 같은 곳에서 취합하는 설문에 이러한 정책들이 근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장사 잘 되냐고 물었을 때, 어느 사장님이 잘 되고 있다고 얘기할까요? 국내 BSI 지표를 보면 굉장히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BSI는 경기전망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나쁘다고 응답한 비율*100 입니다. 100 이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많는 의미이고, 100 보다 낮으면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향후 경기에 대한 심리적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이지만, 100을 기준으로 높거나 낮은 것만 의미가 있을 뿐, 지표의 특성 상 등락은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십수년 중 몇 개월을 제외하면 BSI 지수가 100을 넘긴 경우가 없습니다. 그래서 등락을 가지고 의미를 해석하는, 원칙에 맞지 않는 기사들이 나오곤 합니다.

국내 중소기업에 대해 대표적으로 잘못 알려진 몇가지 사실들만 소개하고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1. 중소기업은 수익성이 낮고 점점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에서 매년 발간하는 기업경영분석이란 통계가 있습니다. 2011년부터는 국세청에 법인세를 신고하는 모든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분석해서 업종별 경영성과를 계산합니다. 업종별로 편차는 있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은 결코 대기업에 비해 낮지 않습니다. 절반 정도의 업종에서는 대기업보다 더 높은 경우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대기업과의 격차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중소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5~6%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 대기업은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내 신용평가사들이 수집한 모든 재무제표를 이용해서 분석해 보더라도 기업의 규모와 영업이익률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2.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이런 주장을 한 분들은 센세이셔널한 파문을 일으켜서 이후에 명성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그 분들의 논문들을 보면 본인이 필요한 자료들만 취사선택하거나, 특정기간만 끊어 봄으로써 실제 현상을 침소봉대하여 잘못된 서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중소기업을 살리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꼭 살아야 할 기업, 실력있는 기업들이 살아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한계기업들이 빠르게 퇴출되어야 기업의 생태계가 건전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계기업들이 정부의 눈먼 돈을 이용해서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음으로써 정상적인 중소기업들의 성과를 갉아먹고 있는 상황입니다.

3.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6개월, 1년짜리 어음을 줘서 결제를 지연한다?
20년 전에는 그랬을 지 몰라도, 현재는 이름있는 대기업들은 중소기업에게 어음을 주거나 하지 않습니다. 거의 모든 경우 1개월 이내에 현금결제를 하거나 예외적인 경우라도 2개월 안에는 모두 현금결제를 합니다. 중소기업 간 거래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1차, 2차, 3차 협력업체로 내려갈수록 장기 어음 사용이나 불투명한 대금 지급 관행이 심해집니다. 1차 협력사는 대기업에서 현금을 받고 2차 협력사에 3개월, 6개월짜리 어음을 줍니다. 2차는 3차한테 더 장기의 어음을 지급하죠. 사실은 중소기업이 자신보다 약한 중소기업을 착취하는 구조가 현재의 우리나라 기업계입니다.

4. 중소기업은 (악덕한) 은행들이 담보대출, 1년짜리 단기대출만 취급해서 자금 사정이 어렵다?
대표적인 헛소리입니다. 국내 은행들의 담보대출 비중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심지어 유럽의 선진국 중에서도 은행의 담보대출 비중은 집계조차 하지 않는 나라도 있습니다. 미국만 해도 중소기업대출은 90% 이상이 담보대출입니다. 중소기업이 발달했다는 독일도 신용대출은 국책은행이나 정부가 보증하는 대출이 대부분입니다. 국내 은행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신용대출 비중을 비정상적으로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단기대출 비중도 국내가 더 낮습니다. 더구나 국내 은행들의 경우 단기대출이라 하더라도 특별한 문제가 발생한 예외적인 기업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경우에 만기가 자동으로 연장됩니다. 일례로 예전에 금감원인지 어느 다른 정부 부처인지 국내 은행들의 과도한 담보대출과 단기대출비중을 문제 삼기 위해 해외와의 비교연구를 했었는데, 국내가 훨씬 더 낮은 결과를 보고 발표를 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정도입니다.

5. 정부의 자금지원은 시장실패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돕는다?
정부 자금지원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이 중진공과 신보입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중진공에서 대출을 받으면서 신보의 보증서를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정부 기관이 국가 예산으로 대출을 해주기 위해 정부의 보증서를 요구한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설사 정책자금이라고 해도 부실이 발생했을 때, 담당 실무자가 문책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부 자금이 능력은 있지만, 은행에서 대출 받기 어려운 시장실패 영역보다 재무상태가 양호하고 신용등급이 높아서 시장에서 얼마든지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업에 더 많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5. 중소기업 적합업종이 중소기업을 살린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는 과거에 실패한 것으로 이미 판명난 제도입니다. MB정권이 포퓰리즘에 입각해 다시 도입한 것일 뿐, 중소기업을 살리는 효과는 미미한 반면 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이 지나치게 큰 제도입니다. 장담컨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영역은 향후 10년내에 외국 제품들(특히 중국산)이 모조리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십수년전부터 이런 부작용들을 해결할 대안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실행되고 있지 않을 뿐이죠. 지원을 하더라도 일몰제를 적용해서 창업한 지 10년, 20년된 기업들이 지원받는 일이 없도록 하고, 하나의 기관이 모든 지원정책을 총괄하도록 해서 불필요하게 새 나가는 걸 막고, 돈을 주기보다 해외 판로를 개척하고 기술개발을 도울 수 있는 컨설팅 기능위주로 지원 방식을 재편하고, 상업금융과 공공금융의 역할을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 그리고 지나치게 복잡한 지원 제도들을 통폐합해서 중소기업이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만들자. 등등.
이런 너무나 당연한 방안들이 실행되지 않는 한, 실력있는 중소기업들이 고사하는 지금의 상황이 쉽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치탄다 에루
14/03/09 00:31
수정 아이콘
생선을 먹이지 말고, 낚는 법을 가르치라는 말은 항상 새겨볼만한 이야기죠.
14/03/09 00:37
수정 아이콘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이 사실상 전무하고 책임은 대기업 못지않게 지우니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 되는걸 편법을 써서라도 일부러 피할정도죠. 사실 이 나라에 정말 필요한건 중견기업 육성인데요.그래야 취업난 해소+양질의 일자리+내수활성화 이 세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생각보다는 그렇게 사회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것 같아서 안타깝네요
타임트래블
14/03/09 01:02
수정 아이콘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중견기업은 대기업입니다. 대기업 중에서 재벌계열이 아닌 대기업을 중견기업이라 부를 뿐,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중간에 있는 게 아닙니다.
14/03/09 01:2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그러고보니 그냥 소기업이 아니라 '중소'기업이네요.몰랐던 사실 배우고 갑니다.
14/03/09 00:42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에 청년 인턴 고용하라고 월급비용 보조해 줬더니, 오히려 비용절감되니 정규직 대신에 청년 인턴만 계약직으로 뽑는다는건 너무나도 유명한 사례죠.
한 커뮤니티에서 중소기업에게 나쁜소리 하면 항상 "너희가 몰라서 그렇다, 중소기업 짱"이런 식으로 댓글다는 분이 계셨는데, 알고보니 중소기업 사장.

우리나라 중소기업 참 문제 많죠...
임금이나 제대로 주나, 해야 할 업무와 해야 하지 않아야 할 업무에 대한 구분도 없고,
사생활은 개나 주고, 주는건 없으면서 똥군기나 잡힌곳이 대부분, 의무는 있지만 권리는 없고...

중소기업도 혹독하게 갈궈서 살아날 놈만 살아나야 합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그저 어떻게든 나라 돈 빼먹고, 사장 배 채우려고 하는 기업이너무 많아요.
오히려 중견기업을 더 키워야 할텐데, 중견기업은 상대적으로 돌보지 않지요.
14/03/09 00:43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특히 제조업쪽은 제친구한테 들었는데 참...

진짜 사장들이 인간맞나 싶던데요.. 맨날 돈없다고 징징징.. 현장에 장갑도 1주일에 한번만 지급하고 추가발생하면 안준다고..

그래놓고 사장은 맨날 영남대에 학생들 가르치러 다니고, 학생들 이야기로는 그렇게 착한사장 + 좋은회사 코스프레 한다고..
14/03/09 00:52
수정 아이콘
아이고 골이야...
Signaling-Screening 문제만 해결된다면 Public Economics 연구는 반의 반으로 줄어들을겁니다..
14/03/09 00:55
수정 아이콘
건설업에서도 중소기업에 대한 어마어마한 정책이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자재에 대해서 중소기업만 참여할 수 있는 관급자재라는 제도이죠. 중소기업처에서 제정하는 품목은 조달청에서 의뢰해서 전량 구매해야 합니다. 그 범위가 책상으로 부터 시작해서 시멘트 등...무지 많습니다. 관급자래는 미명하에 자재 단가가 엄청 부풀려집니다. 관급자재는 정말 필요한 자재로 축소하고, 단가체계부터 고민해봐야 할 듯 합니다.
귤이씁니다SE
14/03/09 01:00
수정 아이콘
눈먼돈은 먼저 먹는놈이 임자 아니겠습니까 흐흐. 핵심을 건드리지 못하고 생색내기 정책의 결과는 실패 뿐이겠죠. 물론 핵심을 건드릴일은 절대 없겠지만. 개인적으로 없는것 보다는 좋겠으나 중소기업적합종제도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수박 겉햙기로 보거든요. 그럴거면 출총제를 하는게 더 효과적이니 않나.. 싶은데 머리좋은 양반들이 출총제는 결사반대를 하시니 뭐..
아이군
14/03/09 01:07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동감하는 지라...

한국에서는 노동자가 죽는건 문제가 아니지만, 기업이 망하는 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심한거 같습니다. 전형적인 wag the dog이죠. 개인에게는 무한 경쟁을 강조하고 기업은 보호 못해 안달이 낫다고나 할까요. 한국에서 망할 기업은 망하고 정리가 되야 제대로 산업이 커진다고 봅니다. 저도 이런저런 회사들과 같이 일해 봤는데 오히려 멀쩡하게 돌아가는 회사가 대기업이라서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정말 열심히 일해야 되는 중소기업이 정치질 심하고 사장은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 줄도 모르고... 이 회사가 왜 안망하는 건지 궁금한데 결국은 (외부의) 정치질로 돌아가는 회사라는 결론을 내린 적이 있습니다.
루크레티아
14/03/09 01:32
수정 아이콘
돈을 '못' 주는 중소기업보다 돈을 '안' 주는 중소기업이 많은 것이 현실이죠.
하드코어
14/03/09 02:01
수정 아이콘
제일 짜증나는건 정부지원금 받아먹기 위해서 가라로 일처리하는거죠.. 예전에 만들어둔 프로젝트를 현재 진행형인냥 꾸미고 주변지인들을 고용한것처럼 꾸미고 싸그리 다 적발해서 진짜 필요한 중소기업에 몰아주거나 했으면 합니다...
14/03/09 02:03
수정 아이콘
대기업, 소위 재벌기업에 있어서가 아니라 진심으로 협력업체 돌아가는걸 보면.. 그쪽 차장이나 이사들이랑 이야기하면 정말 납득이 안가는 시스템이 한둘이 아닙니다.. 저렇게도 나라돈을 빼먹는구나 여기있을게 아니라 나가서 저걸 차려야하는데 합니다. 대기업이 노동자 인권을 유린한다고 말이 많지만 기업의 90%인 중소기업의 노동자 인권유린은 차원이 다릅니다. 정말
소독용 에탄올
14/03/09 02:11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 아니라 기업이 노동자를 착취하는거고, 사실 반기업정서란 물건이 대기업만을 향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3/09 02:10
수정 아이콘
애초에 중소기업에 최종지불되는 예산규모를 산정할 수 없는 이유는, 중소기업에 자영업자가 들어가며, 노동시장정책의 상당부분이 실제 고용의 대부분을 점하는 중소기업을 한 대상으로 하는 부분, 중소기업이 하청 등을 통해 정부사업가치사슬의 중간에 끼어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런 식으로 지출이이루어진다면 총액은 결국 추계형식이 될텐데 '중소기업'이 상한선만 있고 하한선이 없는 물건인데다가, 하청관련 자료가 충분하지 못해서 정확한 산정은 어렵겠지요.
원글에서 50~100조원을 잡으시는 근거가 아마 보증때문일건데요(가치사슬 타고 결과적으로 중소기업에게 사용되는 돈이야 50조가 넘겠지만.....),
2012년 기준으로 신용보증기금이랑 기술신용보증기금상 보증이 약 53조원(실제 보증잔액은 이보다 10조원정도 낮은 수준입니다) 규모이며, 2008경제위기시 늘려놓은 물건이라 향후 수년간 조정/감소될 듯 합니다.
직접 예산으로 잡히는 산업/중소기업/에너지 항목 예하 중소기업 예산은 6.2조원(2012년 기준)정도입니다.
타임트래블
14/03/09 08:33
수정 아이콘
가치사슬 상에서 중소기업에 들어가는 돈이라고 하시는 의미가 대기업에 지원되었다가 중소기업으로 흘러가는 돈을 의미하신다면 전 그런 의미로 사용한 건 아닙니다. 중소기업에 직접 지원되는 돈이 그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국가 R&D예산의 꽤 많은 부분이 중소기업으로 갑니다. 말씀하신 직접예산 부분은 6조원이고 그 중 중진공을 통해 직접 지원되는 건 연간 3조원 정도입니다. 그렇지만, 정책금융공사, 지역신용보증재단, 산자부, 기재부, 그외의 다양한 정부부처마다 사업의 일부를 직접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있고, 각 지자체에도 중소기업 지원 예산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총액한도대출도 9조원 정도 있습니다. 2012년 기준 신보의 보증 잔액은 약 52조원, 그 중 신규보증만 약 10조원입니다. 기보의 보증잔액은 17조원정도되고 이중 20%를 신규지원이라고 보면 이것도 3조원 가량 됩니다. 신기보, 한국은행, 중진공만 합쳐도 연간 25조원입니다. 여기에 정책금융공사도 최소 연간 3조원을 지원하기 때문에 눈에 쉽게 보이는 것만 따져도 연간 최소 30조원입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3/09 13:10
수정 아이콘
보증잔액이 직접적인 지원금액인가? 의 문제가 있습니다.
nameless..
14/03/09 02:48
수정 아이콘
좀 다른 이야기겠지만
한국이 ICT창업지원 세계 1위라고 합니다.
덱스터모건
14/03/09 11:09
수정 아이콘
어음쪽...이 조금 제가아는것과는다릅니다. H모그룹은 500이하현금 이상5개월어음 d모그룹은 500이상 4개월어음...저흰 외국기업이라 그런거 신경 안쓰는데 다른것보다 500이조금 넘는 물건 계약할때 500이하로 네고할려고 얼마나 X지X을 하는지...저희는 대기업들하고 거래 잘 안하려고하는 편이라 '계약 하시려면 하시고 아님 말구요...'하고 넘기면 일주일동안 전화해서 괴롭히고...하여튼... 대기업들 싫어요...
음... 글과 상관없는 뻘플 죄송해요
타임트래블
14/03/09 11:22
수정 아이콘
여전히 그런 기업들이 전혀 없지는 않겠지만 90프로 이상은 현금성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업들은 어음을 쓰려면 의무적으로 전자어음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어음거래가 금융결제원을 통해 집계되어 완전히 노출됩니다. 그래서 어음을 안 쓰려고 하는거지요.
절름발이이리
14/03/09 16:31
수정 아이콘
대체로 동의합니다.
도이모이
14/03/09 16:55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푸른꿈
14/03/09 19:52
수정 아이콘
대기업은 1차 협력업체에 현금 결제를 하지만 2차 협력업체엔 2~3개월 어음을 발행합니다. 하지만 3차 협력업체는 자금 여력이 안 좋은 경우가 많아서 어음을 받지 않고 현금 결제가 아니면 제품 공급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중간에 낀 2차 협력사들이 가장 자금 압박을 많이 받습니다.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계산서 발행후 2개월 만기 어음을 발행하지만 실질적으론 계산서 발행후 4개월 어음을 발행할 시의 손실액 만큼 단가에 적용하는 경우가 태반이고 계산서 발행 후 4개월 어음을 발행한 후 어음할인료를 협력 업체에 보존해 준다고 현금으로 송금해 주지만 나중에 그 돈을 되돌려 받는 식으로 진행되는게 태반입니다. 중소기업이라고 해도 1차 협력사의 자금 압박은 크지 않고 어음이나 납품단가 인하인 C.R 도 2차 협력사가 가장 큰 타격을 받는게 현실입니다.
어떤 정부건 어음결제 제도를 눈가리고 아웅식이 아니라 제대로 현금화 결제로 정착시키고 대기업에서 시행하는 납품단가 인하인 C.R 만 못하게 해주는 정부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타임트래블
14/03/09 20:04
수정 아이콘
사실 1차 협력사 정도면 말이 중소기업이지 중소기업이라 부르기도 민망할 만큼 규모가 큰 곳이 대부분이긴 하죠. 중소기업 간 어음거래는 중소기업에 전자어음 의무화가 시행되면(4월부터) 좀 나아지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단가 인하 문제는 정말 풀기 어렵죠. 어디서 손을 대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동반성장 정책의 초점이 대기업-1차 협력업체 관계에 맞춰져 있는 게 큰 문제라는 지적은 꾸준히 있었지만, 여전히 개선은 안 되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831 [일반] 1980년 5월 18일 전후 어느 한 청년의 이야기 [13] 하나4830 14/05/19 4830 34
51360 [일반]  하늘을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이공계 인기, 이공계가 뭐길래? [81] 콩콩지9855 14/04/27 9855 4
51319 [일반] 드디어 신혼집을 장만(아니 빌렸...)했습니다. [22] 오리꽥6940 14/04/25 6940 0
51254 [일반]  [펌] 해수부, 유병언에 20년째 항로 독점권 [29] 종이사진7047 14/04/23 7047 3
51124 [일반] 영화, 인물의 첫 등장 [38] 한아5838 14/04/18 5838 8
51096 [일반] 나는 누구에게 분노해야 하는가 [30] eLeejah8045 14/04/17 8045 21
51018 [일반] 금융권 신입사원 이야기 [19] yhyoo8211958 14/04/13 11958 5
51015 [일반] 영화, 대화 장면의 기초적인 구성 [44] 한아17327 14/04/12 17327 32
50823 [일반] STX조선 해양 상폐를 보며 [23] 캡슐유산균9504 14/04/01 9504 3
50636 [일반] [영화공간] 내가 사랑한 한국영화 속 최고의 영화음악 TOP12 [42] Eternity8584 14/03/23 8584 7
50551 [일반] [영화공간] 가슴을 울리는 한국영화 속 명장면 17선 [30] Eternity7680 14/03/20 7680 15
50534 [일반] [연애] 로맨틱 테러리스트. [29] Love&Hate11983 14/03/18 11983 12
50412 [일반] 이번 정부의 부동산 전월세 정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64] Jun9117935 14/03/12 7935 2
50362 [일반] 다들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가고 계신가요? [123] TheMoon9813 14/03/09 9813 2
50356 [일반] 미국 회사에서 일하기 : 비자 [10] 웃다.4666 14/03/09 4666 7
50342 [일반] 한국의 중소기업에는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가? [24] 타임트래블6215 14/03/09 6215 11
50227 [일반] [펌] 대기업 인사팀 18년차의 조언 [225] 절름발이이리25533 14/03/04 25533 8
50103 [일반] 어느 IT강국 시민의 하루 [49] 기아트윈스6886 14/02/27 6886 12
50077 [일반] 주택 담보 대출 이거 심각한거 아닌가요? [93] 군림천하9663 14/02/26 9663 0
50036 [일반] 혼자 유럽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 가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79] 해바라기22302 14/02/24 22302 25
49625 [일반] 자기모순에 빠진 입진보라네 [31] nickyo7674 14/02/04 7674 19
49574 [일반] [리뷰] 남자가 사랑할 때 – 뻔한 신파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정민 (스포있음) [12] Eternity10117 14/02/01 10117 2
49472 [일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카드해지시에 불이익은 고객 감소? [11] 한국화약주식회사4816 14/01/25 48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