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3/02 22:21:51
Name 당근매니아
Subject [일반] 민주주의 정당 내의 민주주의
지난 민주당 의원총회 당시 민주당 청년 비례대표 국회의원 김광진 의원이 발언한 내용입니다.
http://bluepaper815.kr/ct0102/9268



그것은 알기 싫다 에 김광진 의원이 나왔던 편인데 여기서 아래 글을 UMC/UW가 낭독한 것이 있습니다. 11분 대부터 들으시면 됩니다.
들으시거나 읽으시거나 편하신 쪽을 택하시길 바랍니다.




<의원총회 발언문_국회권한 강화가 진정한 새정치입니다>

지난 의원총회에서 당대표께서 SNS를 통해 내부총질하지말고 의총에서 공개적으로 발언하라 하셔서 의총에서 발언합니다.
[당의 뜻을 존중하고 '하나되는 민주당'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그 결정의 과정 또한 민주적이어야 합니다.] 토론은 치열하게 하되 결과에는 승복해서 뜻을 함께 하는 것이 하나되는 민주당이지, [토론의 과정없이 통보받는 결과에 승복하는것이 하나되는 민주당의 옳은 모습은 아닐 것]입니다. [혁신안이 어떤것인지 국회의원들에게 한번도 회람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전에 기자회견을 해버리고 오후에 의총을 열어서 동의해달라고 하는 것은 절차적 민주성에서도 납득할 수 없는 일]입니다.
소위 '당론'이라는 것을 통해 관련법안을 발의하기 위해서 의원총회를 하는 것임으로 본 특별법안도 의총을 통해서 논의되고, 의원들의 입장을 반영해서 당론으로 수렴하셨어야 합니다.

시중에 대한민국에 알수 없는것이 3가지가 있다고 하지요. 그중에 하나가 안철수의원의 새정치라고 합니다. 알 수 없는 것이라 비난했으면서 결국 우리가 고민해서 내 논 새정치라는 것이 의원특권 내려놓기 인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저는 이건 비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답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정치인의 지향점인지 의문입니다.
국회의원이 눈높이가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에서의 혁신안이라고 설명하셨지만, 그것은 자본과 언론 그리고 행정부의 카르텔이 만든 기득권이 만든 프래임에 그대로 빠져버리는 것 일겁니다. 여론조사로 정치를 하는 것이였다면 지금당장 국회를 해산하는데 찬성하느냐 묻는다면 아마도 95%의 찬성률이 나올것입니다. 그렇다고 국민의 뜻이니 새정치를 위해서 국회를 해산하겠습니까? 그리고 전부 새사람이 들어오면 그 사람들은 혁신적인 새정치를 할 수 있는 것입니까?
문제는 시스템에 있다는 것을 우리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어쩌면 국민들이, 그리고 민주당의 지지자들이 원하는 것은 장기를 두면서 차도 포도 다 떼어주고 남은게 말그대로 뺏지 하나밖에 없는 정치인보다는 싸울 때 싸워주고, 힘없는 자들을 위해서 대신 싸워줄 힘을 더 많이 갖는 것을 원할지도 모릅니다. 우리스스로 일할수 없는 힘이 너무 미약함을 잘 알고 있지 않습니까? 내려놓아야 일을 할 수 있는게 아니라 총도 칼도 더 필요함을, 그리고 그 총칼이 의원의 부를 축척하거나 권한을 남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서 쓸것임을 우리스스로 당당히 말해야합니다. 그것이 정치인의 길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국민들에게 욕먹을 각오로 말씀드립니다. 진정한 새정치는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는데 있습니다. 실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정부는 자료요구에 대해서도 제대로 답하지 않고, 국정감사나 인사청문회에도 정확한 자료를 확보할 수 없습니다. 예산을 삭감할 수는 있지만 편성할 수 있는 권한은 없으니 국민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비전을 만들어 나갈수도 없습니다. 제왕적 대통령제하에서 여당은(누가 집권을 하든) 청와대의 허수아비로 전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예산이 350조이니 예산과 결산을 한다면 700조의 예산을 보지만 그것을 꼼꼼히 보기에는 보좌진의 수도 현저히 부족합니다. 국회의원이 년봉 1억이나 받는 것이 국민들에게 큰 피해라 생각하시겠지만 700조의 예산을 300명의 의원으로 나눈다면 1인당 2조원이 넘는 숫자를 쳐다봐야합니다. 질문하나 드리겠습니다. 첫만원이 몇 개가 모여야 2조가 되는지 10초안에 맞춰보십시오? 국회의원 1명을 통해 1억을 투자해서 국민의 세금을 아낄 수 있는 예산은 수백억원일것입니다. 국회의원수가 300명에서 500명으로 늘어나면 꼼꼼하게 살펴서 아낄수 있는 예산은 엄청나게 늘어날 것입니다. 국회의원수를 줄이는 것이나 아니라 국회의원총수를 늘리고, 비례대표의 수를 늘려서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 다양한 집단의 목소리를 대변해주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국회가 되는 것이 진정한 새정치입니다.
여러분은 국회를 욕하실것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국회처럼 어디서나 욕해도 주위에서 탓하지 않는 집단도 없지요. 그러나 입법, 사법, 행정, 그리고 자본과 언론의 카르텔의 4권분립의 국가에서 국민을 지키는 것은 입법부입니다. 입법부의 감시와 견제의 권한이 커질수록 기득권은 힘을 잃고, 국민의 권리는 지켜질 수 있는 것이지요. 국회를 욕하면 욕할수록, 그래서 국회의 힘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국민을 대신해 싸워줄 사람들은 없어집니다.

민주당의 지지자들은 다 내려놓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의원을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략과 전술을 세울때는 그것을 통해서 얻어낼 것이 무엇인가 고민해야 합니다. 그를 위해서는 뼈도 살도 내어줄 수 있을것입니다. 그러나 진정으로 묻고 싶습니다. 의원의 면책특권 불체포특권을 내려놓는다고 국민에게는 어떤 이익이 있으며, 어느층의 유권자가 추가적으로 민주당에 표를 주겠습니다. 오늘 무죄로 확정된 이석현의원이나 박지원의원같은 분들 검찰이 다 잡아가는 사회를 만들겠지요. 저도 국방부로부터 의정활동의 과정에서 국가기밀누설죄를 저질렀다는 내용증명을 받았습니다만,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이 없다면 야당의원은 의정활동 자체를 할 수가 없습니다. 말한마디에 다 잡아가버릴텐데 누가 입이라도 뻥끗하겠습니까? 2년후 3년후에 무죄가 나오면 뭐합니까? 재판받느라 의정활동도 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평생 ‘아니땐 굴뚝에 연기나겠나’의 꼬리표를 달고 의정활동을 해야할텐데요.
정말 민주당의 지지자들이 원하는건 강하게 싸워달라는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리트윗한번했다고 그 다음날 방통위원에서 해임되어버리는 사람을 위해서 민주당은 무엇을 했습니까? 김학의 성접대관련 리트윗을 하신분들이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 한 것이 아니라 범야권을 위해서, 혹은 개인적인 자유에 의해서 그런 일을 해서 벌금 200만원씩을 받았지만 민주당에 소속된 그 많은 율사중에 변호사한명 연결해준게 있습니까? 용산참사의 주범이 공항공사 사장으로 들어가도, 인사청문회에서 낙마한 국방장관후보가 군 산하기관장에 임명되어도 그저 논평하나 내는 것말고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이제 선거가 4개월앞입니다.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과 사이버사령부를 비롯한 정부기관의 선거개입과 관련해 가장 큰 피해를 본 집단이 민주당입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사이버사령부의 댓글부대원들은 전년도에 비해서 단 한명의 감축도 없이 그대로 월급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을 다는지 안다는 지는 모르겠지만(그 조차 확인할 수 없는 힘없는 국회의원입니다.) 공무원으로 월급받는 그들이 댓글을 달지 않고 있다면 그 자체로 직무유기인 것이지요. 쿠테타와 맞먹는 일을 하고도 530 심리전단 단장한명과 하급 군무원11명으로 꼬리짜르기를 하지만 그에 대해 추가적으로 말 한마디 없습니다. 심지어 군무원 11명에 대해서는 사건이 이관된지 몇 개월이 지나도록 오늘 이시간까지 군검찰이 공소장조차 쓰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댓글부대원들을 그대로두고, 지방선거를 치루겠다는 이야기입니까?

그 전의 선거를 보시지요. 터널디도스, 선관위 디도스, 투표함훼손등 많은 문제가 있었지만 그 핵심을 ‘처단’하지 못하고 적당히 넘어갔습니다.
성공한 쿠테타는 쿠테타가 아니다라고 하지요. 어떤 방법으로든 이기기만 하면 그 결과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 사회풍토 또한 문제입니다. 터널디도스나 선관위 디도스가 ‘걸리지 않게’ 반복되지 않을 거라 누가 장담하겠습니까? 민주당은 그것을 위해서 얼마나 집중적으로 싸워왔습니까?
지금 국정원 이슈가 1%정도밖에 여론에 회자되지 않으니 민주당은 전략을 바꿔야한다구요? 저들이 어떻게 없는 이슈를 만들어내고, 다루어야할 기사를 숨기는지 잘 아시잖습니까? 그걸로 수십년을 당해오셨잖습니까!
이슈에 묻히면 다시 이슈를 만들어 내는 것이 정치인의 역할 아니겠습니까?

뼈도 살도 내어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왜 내어줄것인지, 뼈를 내어주고 우리는 무엇을 얻을 것인지 다시한번 진지한 고민을 해야할 때입니다.
욕먹을 각오로 솔직해 졌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가진 것이 많으니 몇 개는 포기할께가 아니라 힘껏 싸우고 싶으니 국민들께서 총도 칼도 좀 빌려주시라. 힘들때는 방패도 좀 되어주시라!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당신을 위해서 그리고 우리를 위해서 가장 최일선에서 목숨걸고 싸우겠노라 그런 혁신을 해야합니다.

이기는 민주당! 승리하는 민주당을 진정으로 바라는 민주당 막내의원의 짧은 소견입니다.



───────────────────────────────────────────────



사실 이 글에서 제가 인용하고 싶었던 부분은 맨 첫문단 강조 표시한 부분들입니다. 링크한 팟캐스트 내용 중에서도 앞쪽 30분 가량이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위 글은 당시 민주당 수뇌부에서 민주당 내 의견 수렴 없이 국회 혁신안을 발표한 사후 의총에 동의를 요구했을 때에 김광진 의원이 그에 대해 발언한 것입니다. 여기에 언급된 민주당 내 의견 수렴 절차는 오늘 우리가 본 것과 동일합니다. 당대표를 비롯한 수뇌부가 의사 결정을 내리고, 그에 대해서 먼저 기자회견부터 때린 뒤 나중에 의총을 열든지 대의원대회를 열든지 해서 추후에 그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죠.
아래 글에 가져오신 것과 같이 민주당 당헌은 그 15조에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제15조(권한) ①전국대의원대회는 다음 각 호의 권한을 갖는다.
1. 당헌의 제정 및 개정
2. 강령과 기본정책의 채택 및 변경
3. 당대표와 최고위원의 선출
[4. 당의 합당과 해산에 관한 사항의 의결]
5. 기타 중요한 안건의 의결
②전국대의원대회는 정당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그 권한의 일부를 중앙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을 설정해놓은 것은 필요에 따라 수뇌부가 알아서 결정한 뒤, 나중에 적당히 대의원대회를 열어 절차적 정당성을 차후 보완하라는 의미는 아닐 겁니다. 하향식 의사결정이 아닌 상향식 의사결정을 규정해놓은 것이라고 보는 게 맞겠지요. 합당을 하면서 양쪽이 가져가는 지분, 그에 따른 수뇌부의 재편성 등등은 또다시 위에서 자기들끼리 알아서 처리한 뒤 나중에야 통보하는 식으로 이루어질 겁니다. 지금까지 그래왔으니 문제될 것 없다는 말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당헌을 바꿀 일이지요.
당내에서 저러한 절차를 거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발표의 순간적인 임팩트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전격 발표'에 목숨을 걸고 각 신문지상 1면을 때리면 시원한 느낌이 들지도 모릅니다. 그걸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한 김영삼은 '깜짝 놀랐제' 식의 정치를 임기 내내 펼쳤지요. 이건 독재정권 시절 민주당이 YS나 DJ 등 거물급 정치인을 중심으로 흐른 탓도 있을 겁니다. 나는 명령하고, 당(정부)는 따르는 것이죠. 그러나 민주주의에는 언제나 비용이 필요합니다. 이걸 최근 가장 극적으로 보여준 건 아마 트위치 포켓몬이 아닐까 싶습니다. 트위치포켓몬에서의 투표는 20초라는 시간적 리스크를 가졌고 우연한 잭팟이 가져오는 쾌감을 저하시켰습니다. 그 쾌감에 많은 사람들이 아나키를 연신 입력했습니다. 그러나 사파리와 미로, 퍼즐들을 빠져나갈 때에는 그 투표와 비용 투자가 반드시 필요했죠. 민주주의는 시간을 비롯한 각종 비용을 잡아먹지만,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가집니다. 민주당이 부르짖는 민주주의의 가치는 대체 뭐였는지요.
주변을 보면 정치적 스탠스는 진보인데 실지 생활에서는 '꼰대'질을 하는 위인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괴리가 당 단위에서도 보입니다. 국가 정치는 민주주의에 입각해서 이루어져야 하나 당내에서는 상황에 따라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대선은 민주주의에 입각해서 이루어져야 하나 우리 팀 내 의사결정은 내가 알아서 한다. 전 이게 아주 절망스럽습니다. 이건 비단 민주당만의 문제도 아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02 22:26
수정 아이콘
힘이 곧 정의다는 새누리당 캐치프라이즈에 가까운데..
(새누리를 이기기 위해서는) 힘이 곧 정의가 될 수도 있군요. 책상 옆에 꽂힌 안철수의 생각이 불편해지는 주말 저녁입니다.
치탄다 에루
14/03/02 22:27
수정 아이콘
똥 치우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똥을 묻힐수밖에 없죠. 물론 이렇게 말하는건 틀린 반응이겠지만, 웬지 이 말이 생각이 납니다.
당근매니아
14/03/02 22:29
수정 아이콘
니체의 말을 인용하고 싶네요.
'괴물을 상대하는 사람은 스스로가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기억하라. 그대가 심연을 들여다 볼 때, 심연 또한 그대를 보고 있노라.'
14/03/02 22:45
수정 아이콘
!!!!
이 말을 어디서 들었는데 누가 했었는지 기억이 안 나 질게에 물어볼까 했는데 여기서 뜬금없이 보네요.
데미안에 나왔었나 생각했어요. ㅠㅠ
똘이아버지
14/03/02 22:53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철학자 이야기는 철학에서나 쓰이는 말이죠.
현실정치에 사용되기보다는 지향점 정도로 삼는 수준이 맞지 않나 싶네요.
도들도들
14/03/02 23:12
수정 아이콘
민주당은 그래도 정당 내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도 어느 정도 있고 그동안 실험도 지속적으로 해왔습니다. 물론 그 결과가 겨우 이거냐라고 비판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정말로 절망적인 것은 안철수죠.
14/03/02 23:39
수정 아이콘
각 정당의 결정에 관여할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이 사전에 합의를 이루는 것은 중요하기는 합니다만
당의 합당과 해산은 상향식 의사결정으로 택할 성질의 것은 아니지요.

합당이라는 것은 A정당이 있고 그와 합할 B정당이 있다는 겁니다.
A, B정당이 각각 상향식으로 의사결정을 해서 합당결의를 하는 것은 상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A. B정당의 수뇌부들이 합당을 택하고 각자의 정당에서 합당결의를 받아내는 절차를 하게 되는 것이죠.

가장 최근에 합당절차를 한 정당중의 하나인 통진당의 경우에는
참여당과 민노당이 각자 상향식으로 먼저 합당을 정한후 각 정당의 대표가 합당결의를 한 것이 아닌 것 같네요.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9716
통합 안건이 의결되면서 통합작업이 마무리되는 것으로 나옵니다.
당근매니아
14/03/02 23:54
수정 아이콘
수뇌부가 그러한 의사를 결정하였다고 하면 대의원대회를 소집하고 거기에 안건으로써 상정하여 표결에 부치든 여하의 규정된 절차를 따라 의결을 받고, 그 뒤에 기자회견을 하는 것이 일의 옳은 순서일 것입니다. 이건 대선 때 대통령 입후보 없이 무작위로 개인을 특정한 뒤 그 표를 수합하여 대통령을 선출하는 과정을 하향식 의사결정이라 부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라 봅니다. 제대로 일을 진행하려 했다면 안철수와 김한길은 합당에 대한 대략적인 의견을(혹은 지분이나 수뇌부 구성 등에 대한 세부사항까지) 결정한 뒤 그걸 다시 각자의 당으로 가져가 표결하고 양쪽의 의견이 합치되었을 때에 합당을 발표하는 식으로 진행했어야 합니다. 링크하신 통진당의 케이스에서도 수뇌부끼리 모여 결정한 통합 안건을 각 당에서 따로 의결하여 통합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4/03/02 23:59
수정 아이콘
고작해야 민주주의가 제대로 실시된지 30년도 안된 나라에서
정당 민주주의를 바라는건 크나큰 욕심인거 같습니다.
지금까지는 모두 실패로 끝났었고요.
진성당원 가득한 통진당 경선을 보더라도...

어짜피 당원 민주주의 하는라나도 몇 없지 않나요?
펠릭스
14/03/03 00:04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의 수준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솔직히 상향식 민주주의로 안말아먹은 적이 없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민노당이지요.


의사결정은 리더가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당내민주화가 필요한 부분은 리더를 뽑는 과정에 있다고 봅니다.
저는 진심으로 당내 민주주의를 부정적으로 봅니다.
당내 리더를 중심으로 그러니까 김한길 대표를 중심으로 돌아가고
그게 마음에 안들면 새로 리더를 뽑으면 됩니다.

그런데 보통 당의 리더가 정당의 장악력을 상실하는 것은 선거에서 패배할 가능성이 높을 때입니다.

그리고 당의 새로운 리더로 떠오르는 사람들의 특징은 모두가 동일합니다. 자신의 정당에 더 많은 표를 가져다 줄 사람.
이것만 봐도 정당의 목표는 당내민주주의가 아니라 정권을 잡는 거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당원들의 목표는 당내 민주주의의 실현이 아닙니다. 정권, 혹은 의석의 획득입니다.
14/03/03 00:33
수정 아이콘
언제나 공감가는 말만 콕콕 찔러 해주시는 펠릭스님.
역시나입니다.
endogeneity
14/03/03 00:37
수정 아이콘
"의사결정은 리더가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당내민주화가 필요한 부분은 리더를 뽑는 과정에 있다고 봅니다."

-> 나라 전체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펠릭스
14/03/03 00:41
수정 아이콘
국가의 목표는 정권의 획득이 아니니까요. 정당과 국가의 운영이 동일한 논리에 의해 움직일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민주당을 찍지만 민주당에 비판적인 수도권 30대 남성이 민주당에게 원하는것은 민주당이 친일수꼴들을 이기는 것이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원하는 것은 더 많은 일자리와 복지일 것입니다.

항상 새누리당만이 대한민국 정통이라 믿으시는 경북의 60대 자영업자가 새누리당에게 원하는것은 종북좌빨을 척결하는 것이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원하는 것은 더 많은 일자리와 복지일 것입니다.
endogeneity
14/03/03 00:59
수정 아이콘
아래 댓글에서의 '더 많은 일자리와 복지'는 윗 댓글에서의 '정권, 혹은 의석'과 대단히 유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밑에 끙끙님 댓글에 유사한 얘기를 했으므로 길게는 쓰지 않겠지만, 이 유사함을 고려하면 '정당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바'가 '국가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바'와 구별될 논거를 찾기가 어려워보입니다.


결국 민주주의 자체가 '5년에 한번 왕을 쫓아내는 체제'인 것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닐까요?
우리가 이 체제에 바랄 수 있는 건 '신념윤리에 책임윤리까지 겸비한 좋은 왕위계승자 3명'인 것이고요.
펠릭스
14/03/03 01:06
수정 아이콘
조선시대 왕의 권력과 현대 대통령의 권력을 비교하면 권력의 집중도 면에서는 대통령이 더 높을 겁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 생각하는데 솔직히 말해서 민주주의가 발달한 나라던 덜 발달한 나라던 의회 중심이 아닌 대통령 중심제에서는 대통령에 대한 권력의 집중도는 거기서 거기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진짜 왕 뽑는거 맞아요. 다만 5년간 손빠는게 아니라 총선, 지방선거등 여러가지 요소로서 국민들의 의중을 반영하게 하는 것이지요. 저는 그래서 매년 총선이 제일 바람직한 제도라 생각합니다. 대신 1/4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돌아가면서 치르는 것이지요.
endogeneity
14/03/03 01:22
수정 아이콘
'빈번한 선거'가 '5년 임기 국왕'을 압박하는 방편이라면, 각 당마다 계시는 '좌상대감'들에게도 유사한 '방편'이 요구될 수 있는 것이겠죠.

어쨌든 좋습니다. 제 생각엔 분명히 이 문제를 '정당과 국가의 차이'나 '현실과 이상의 차이'로 이해하는 것은 그다지 만족스런 길은 아닌 것 같습니다.

현실에 대한 어떠한 접근 자체가, 배후의 이상이 뭔지를 암시합니다.
endogeneity
14/03/03 01:00
수정 아이콘
저는 이번 합당 건을 비교적 '유쾌하게' 바라보는 입장이지만

이런 것들을 생각해보면 근본적으로 '씁쓸한 뒷맛'이 다 사라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영원한초보
14/03/03 00:10
수정 아이콘
본문 중심내용과는 별개로
끝장토론에서 김광진의원이 경제분야에 대한 토론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아서 그냥 패기 넘치는 어린 의원이구나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 발언문은 좋네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이 가슴아픕니다.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라는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결론은 그런것 같습니다.
국정원 개혁안은 실망이고 국회개혁안에서 국회의원 감찰은 빠진거로 아는데 정확히 어떤 사안인지 모르겠네요
김한길 의원의 투트랙 전략에 찬성하는 입장인데
새누리당에서 민주당이 민생을 내팽겨 쳤다고 공격합니다.
작년 예산안 심의가 늦어져서 해를 넘겼다면 비난은 누가 들었을까요?
다 민주당에서 덮어썼을 겁니다.
pgr에도 그렇게 생각하는 분들 꽤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국정원 개혁특위를 만들어도 새누리당이 반대하면 민주당 마음대로 시행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새누리당이 여론에 떠밀리는 걸 이용해서 유리한 딜을 할 수 있을 뿐이죠.

이번 합당으로 다시 돌아가면 당내에서 합당에 대한 의결은 하지 않을까요?
모든 의원들과 충분한 토론을 하지 못한것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생긴 상처는 어떻게 봉합할지는 걱정되네요
anic4685
14/03/03 00:57
수정 아이콘
일단 형식은 양쪽에서 5:5지분으로 신당창당준비위를 구성하고 그 뒤 새로 생긴 신당에 안철수쪽과 민주당이 합류하는거니까 그 사이에 조율하고 투표하고 할듯...
지금은 아직 합쳐 살 집도 없...형식적으로는요...
단지날드
14/03/03 00:10
수정 아이콘
이 글을 쓰신 의도와는 좀 다른 얘기지만 저 발언문에서 국회의원의 권한강화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마음에 드네요
14/03/03 00:26
수정 아이콘
베버는 소명으로서의 정치에서 정당을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를 위한 머신으로 이야기하고 있죠.
많은 정치학자들은 이러한 베버의 견해를 딱히 부정하지 않습니다.
당내 민주주의와 그들이 외치는 사회의 민주화가 완전히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긴 어렵죠.

베버가 굳이 신념윤리와 책임윤리를 억지로 구분해서 이야기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전 잇달아 올라온 몇개의 글들이 오히려 더 답답하네요.
이게 그렇게 개탄할 만한 일이며 당내 민주주의를 이루지 못하면 사회의 민주화를 이야기할 수도 없는 중요한 자격요건인지?
너무 샌님같은 생각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endogeneity
14/03/03 00:54
수정 아이콘
'베버의 견해를 딱히 부정하지 않'는다는 말의 의미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베버를 인용하셨는데, 베버와 유사한 시기의 정치학자인 미헬스는 '조직 운운하는 자는 과두제를 주장하는 것'이라고까지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미헬스를 '과잉 단순화의 전형'이라고 비판한 베버는, 실제 현실에선 '유능한 리더의 지배냐, 소명 없는 직업정치인의 지배냐'를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죠.(신념윤리/책임윤리를 구분한 바로 그 논문에서) 하지만 어쨌든 베버에게서도 민주주의는 기껏해야 '국민이 지도자를 뽑을 권리를 가질 뿐인' 체제였음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선 베버는 '미헬스의 일방통행로'를 한 2/3까지만 걷고 접었던 것일 뿐인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어쨌든 베버를 인용하신 시점에서 '당내 민주주의'와 ''사회의 민주화'가 완전히까지는 아니겠지만, 유사한 성격을 띠게될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14/03/03 09:13
수정 아이콘
딱히 부정하지 않는다는 말이 그 의미입니다. 그래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건 각자의 판단의 몫이라는 것이죠.
본문에서는 정당 내의 민주주의가 당연한 명제인 것으로 전제하고 쓰셨기에 그것이 당연한 명제는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 거죠.

당내 민주주의와 사회의 민주화가 유사하다는 얘기는 '유사'가 어디까지냐에 따라 이견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사회의 민주화는 그것 자체가 추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입니다.
하지만 정당은 국가와는 많이 다른 것이죠. 결사체입니다. 결사체는 결사체의 목적이 있죠. 결사체의 목적이 결사체의 민주주의를 이루는 것이라고 한다면 상당히 이상하게 들릴 겁니다.
결사체는 분명한 목적의식을 갖고 만들어진 것이고 가장 우선적인 것은 그 목적을 어떻게 달성할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정당이 맘에 안들면 다른 정당을 지지하면 그만이고 그것도 없으면 자기가 만들면 그만이죠.
자신의 선택권과는 상관없이 태어나자마자 귀속되고 웬만해선 자기 의지로 변경하기도 힘든 국가라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성격이라고 봅니다.

그 점에서 당내 민주주의를 사회의 민주주의와 등치시키려는 태도는 오히려 지양해야 할 태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부당한 공격을 하는 빌미가 되기 쉽거든요.
삼공파일
14/03/03 02:08
수정 아이콘
하려면 빨리 빨리 좀 하던가 민주당 명패 달고 기초의원 기초단체장 나가려던 사람 다 물먹고 안철수 바라보고 탈당하고 몇 달 따라다니던 사람들 다 엿먹고.

민주주의 운운할 수준까지 바라기 전에 숟가락 들었을 때는 맘대로 밥상은 뒤엎지 말아야죠. 밥 한 술 뜨려고 하는데 뭔 짓들인지.

김광진 의원의 글은 구체적으로 당의 민주적인 운영에 대한 것이라기보다 양해와 이해를 구하는 과정에 대한 것 같네요. 어떤 형태로든 그런 과정이 있어야 리더십이 무너지지 않죠.
14/03/03 06:37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는 번거로운 것이다는 말을 참 pgr에서 많이 봤는데, 민주주의를 위해 번거로움을 내려놓는다는 이 앞뒤가 안맞는 명제를 두고 뭐 그리 호들갑이냐.. 하는 분들이 또 많네요.
탑골공원에서 빨갱이 잡겠다는데 그깟 댓글가지고 뭐 그리 호들갑이냐.. 며 외치는 분들과 묘하게 오버랩되는군요.

사안의 크기나 중요도가 워낙 달라 비교할순 없지만 적어도 그리 떳떳할 순 없으니..
ilo움움
14/03/03 10:11
수정 아이콘
민주적인 과정을 거친 대표에게 어떤 수준의 권한까지 위임하는지 층위의 일일 따름이지 이 문제가 오롯이 비민주적인 사건이다 라고 주장하기에는 많은 비약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14/03/03 10:15
수정 아이콘
요즘은 뭔가 주말에 일이 터지는 듯 싶네요.
제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인 정치는 말할 것도 없고 다른 일들도 그렇고...
그래서 주로 월요일에 와서 어떤 분위기였는지 주르륵 댓글만 읽고 마는데...
이번 합당 문제에 있어서 처음 들었던 생각은 안철수 의원의 주장하던 다당제가 필요한 환경을 만들고자 했던 주장을 생각해봤을때
결국 힘든 일이었나 싶은 면에서 안타깝게 생각이 들면서(안철수 의원뿐 아니라 누구라도 새누리당 민주당 양당 구조를 깨주길 바라는
측면이 개인적으로 컸습니다.) 한편으론 안철수 의원이 정치에 너무 빨리 적응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했습니다.
PGR에서 나온 여러글을 보면서 당내의 민주주의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은데 개인적인 느낌은 당내 민주주의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뭐 보다 치열한 고민을 하고 생각을 가지고 있던 분들에겐 오히려 지루하고 따분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만...
당내 민주주의 자체가 상향식이어야 하느냐는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을 해봐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당의 본질적 존재 의의 자체가 정권획득이라고 보고 있는지라서 정권 획득을 위해서 행한 정치행위가 부도덕하고
불법적인게 아니라면 그 행위의 결과로 비판해야한다고 보는지라...
뭐 이번 정강까지 나오는걸 보면 편법적이다라고 비판받는 지점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새누리당만 이기면 장땡이라는 마인드는 지양해야 할 부분이 분명하고 다만 민주주의 거추장스러운게 아니라 도대체 민주주의가
어떤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조차 국민들에게 제대로 인식이 안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뭐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래도 조금씩 나아가고 있는 건 분명하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906 [일반] [리뷰] 업(UP): 황우석의 역습 [56] 기아트윈스9597 14/11/14 9597 6
54605 [일반] 긴급조치 위헌이어도 수사, 재판은 불법 아니다 [21] 당근매니아4489 14/10/30 4489 0
54603 [일반] 윤일병 사망사건 이 병장 징역 45년에.. 살인죄는 무죄라네요. [159] for(int Miracle)12067 14/10/30 12067 0
54562 [일반] ‘컴백’ MC몽, 앨범명은 “날 그리워하든지 욕하든지” [146] BetterThanYesterday10468 14/10/28 10468 0
53761 [일반] 여기는 보수, 응답하겠다. [299] 하이엨15393 14/09/12 15393 12
53650 [일반] 보위사 직파간첩 홍모씨 무죄 [16] 어강됴리5619 14/09/05 5619 5
53512 [일반] 강용석 아나운서 사건 파기환송심서 벌금 1500만원 [29] endogeneity8148 14/08/29 8148 1
53166 [일반] 이석기 '내란음모 무죄, 내란선동 유죄 징역 9년 선고' [94] kurt10171 14/08/11 10171 6
53061 [일반] [영화리뷰?] 앤디 듀프레인은 무죄인가? (쇼생크 탈출 스포그자체) [55] 김연아10142 14/08/05 10142 3
52768 [일반] 황우여씨가 교육부총리로 내정되었습니다 [49] nickyo7189 14/07/16 7189 24
52179 [일반] 미국 뉴욕 빈민가에서 가난한 흑인으로 산다는 것... [16] Neandertal10778 14/06/10 10778 17
51974 댓글잠금 [일반] [오류 포함] JTBC의 위엄.JPG [257] 절름발이이리14119 14/05/28 14119 3
51943 [일반] 민속촌은 국립이 아니다. [35] 당근매니아28145 14/05/26 28145 22
51883 [일반] [야구/확률] 어제 한화 대 넥센 9회초 오심 관련 : 0.1%와 베이즈 정리 [83] 쿨 그레이8672 14/05/22 8672 2
51711 [일반] [왕좌의게임] [얼불노] 티리온의 재판 (시즌4 스포유, 스압) [84] Tyrion Lannister16321 14/05/13 16321 2
51313 [일반] 유우성씨가 항소심에서 간첩죄 무죄 판결 받았습니다. [21] 어리버리5278 14/04/25 5278 6
50781 [일반] 법원, 검찰이 법을 ‘집어넣다 뺐다’ 엿장수 마음대로 이래도 돼? [78] 짤툴라6082 14/03/31 6082 3
50676 [일반] 예수 out ! <사람의 아들> & <대심문관> [24] yangjyess7100 14/03/25 7100 12
50669 [일반] 요즘 이 분들 뭐하시나요? [152] 꽃보다할배10712 14/03/25 10712 0
50313 [일반] 참을 수 없는 서사의 역겨움 : MBC '집으로' [14] 헥스밤7581 14/03/07 7581 23
50182 [일반] 민주주의 정당 내의 민주주의 [27] 당근매니아4545 14/03/02 4545 2
50062 [일반] 급전과 기자 그리고.. (제목수정) [56] 어강됴리8783 14/02/25 8783 15
50009 [일반] 뉴스타파 - 돌고 돌아 또 국정원! [99] 어강됴리5486 14/02/22 5486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