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2/22 22:02:55
Name 후추통
Subject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시작. 2+1, 질문.
지금부터 PGR21의 모든 유저분께 두가지 질문을 해볼까 합니다.

한명의 위정자가 나라를 망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뭘까?

멸망 직전의 나라를 중흥 시킬수 있는 방법이 뭘까?

오나라의 창업군주를 말할때 많은 분들은 손견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분오열되었던 손견의 세력권을 재장악한 사람은 장남 손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손견 사후 남양주 지역의 호족들은 손책의 힘에 굴복해 밑으로 들어갔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들은 반독립적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고, 따라서 손책은 이들을 힘으로 통합하려다가 죽습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은것은 유화적 입장(인것 같이 보인)인 손권이었습니다.

하지만 손견의 경우 그 힘이 강했어도 각 호족들이 그의 영향력에 반발했던 사람은 극히 적었습니다. 그가 원술과 줄을 대고 있었던 것도 있어씨만 치밀하게 본다면 그의 정치적 판단력이 상당했습니다. 실제로도 오군의 명문가인 육씨 가문이 별말 없이(구성의 반란 당시 위험에 처한 의춘현장을 구원했고 이후로 육가 역시 별 군말 없이 손견의 영향력에 들어갔죠.) 손견의 영향권 안에 들어갔으니까요.

하지만 손책은 손견에 비할만한 정치력이 있었다고 해도 상황이 어쩔수가 없었습니다. 그는 군사력으로 아버지의 세력권을 재편입 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호족들에게 휘둘리는 것을 견딜수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손권은 어쨌을까요. 그는 형처럼 뼛속까지 무골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처럼 정치력이 있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청 말의 이종오는 후흑학이라는 걸 내새웁니다. 특히 그는 유비를 후흑술에 능한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유비가 후흑술에 능했다면 손권은 아예 후흑의 화신이었습니다.

그는 여일의 건에서도 진면목을 드러냈고, 그의 진면목이 폭발한 것이 바로 이궁지변이었습니다.

여일의 건은 대부분 당시에 있어서 끝낸 것 같았지만 이궁지변은 이후 30여년 이상의 오나라를 좌지우지 하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질문

彼狡童兮

도대체 저 어리석은 아이는 누구를 말하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루오스
14/02/22 22:30
수정 아이콘
누구죠?!
후추통
14/02/22 22:34
수정 아이콘
안알랴줌!(난 요즘 왜 이게 재밌지)
14/02/22 22:35
수정 아이콘
누군지 정말정말 모르겠네요.
쿨 그레이
14/02/22 22:52
수정 아이콘
교활한 철부지라... 손호인가요?
쿨 그레이
14/02/22 23:00
수정 아이콘
덧붙이면... (쓰면서도 계속 뭐가 고구마 캐듯 줄줄이 떠올라서 계속 수정하게 되네요. 허허...)

한 명의 위정자가 나라를 망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위정자가 절제를 모르고 주색과 돈 혹은 쾌락을 탐하는 것이고(호해, 전한의 선제, 후한의 영제, 동탁, 유선, 조상, 수양제 등등 떠오르는 인물이 한둘이 아니군요)...

가장 대표적인 게 대규모 토목공사를 화끈하게 벌이는 것이겠네요. 돈이 벌려도 쓸 데가 없으면 돈 모으는 재미가 덜하게 마련인데 이러한 대규모 토목공사는 미친 듯이 돈을 흡입하는 수준이니 위정자가 돈 모으는 재미는 최고고 국고는 바닥나고 백성들은 아작나는 아주 쉬운 지름길이죠. 수양제도 그랬고, 백제의 개로왕은 바둑과(이쪽은 사실이라고 보기에는 좀 무리가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마는) 토목공사에 빠졌다가 박살, 동성왕도 무리하게 토목공사 벌이다가 칼빵 등등...

그러고 보니 후삼국 시대와 고려, 조선조는 대원군의 경복궁 증축건을 제외하면 무리한 토목공사를 벌인 케이스가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충혜왕이 막장짓을 저질렀다는 건 세간이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만 토목공사를 벌였다는 이야기는 본 기억이 없네요. 중국이야 뭐... 시황제부터 시작해서 어디 한둘입니까...

멸망 직전의 나라를 되살리는 방법은 우선 신료들의 뜻을 하나로 모은 후에 내치를 정비하여 밖으로부터 쓰러지지 않는 나라를 먼저 만들고, 외교력을 동원하여 입지를 점차적으로 넒힌 후에 비로소 정복 사업(경제적이든 전쟁이든간에 말이죠)을 실행해야지, 무턱대고 정복부터 하는 것은 섶을 지고 불에 뛰어드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봅니다. 흠... 소수림왕이나 성왕이 괜찮은 모델이 아닐까 싶네요(비록 성왕은 뒤통수를 맞아서 한강을 빼앗기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실패하긴 했습니다마는).

즉묵을 방어했던 제나라의 전단이 떠오르는데, 이쪽은 좀 격하고 정치적인 요소가 덜해서 그렇지, 즉묵을 방어하는 사람들의 뜻을 하나로 모아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게 만드는 데에는 그만한 인물이 없다고 평하고 싶군요. 이렇게 사령관과 병사, 왕과 신하가 일치 단결해야 바로 작살내지 못하고 상대방도 지구전을 택하게 되고, 지구전은 버티는 입장에서는 분명히 고통스러운 전략이지만 시간이 길어지는 만큼 분명히 막장 단계에 들어서 가는 나라를 구원할 만한 변수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최고의 장점이 있죠. 그 옛날 한니발에 맞서 싸웠던 파비우스 막시무스가 그랬고, 독일 최고사령부가 전장을 휩쓸면서 불과 넉 달만에 병력 손실 200만을 돌파해 버리는 개막장 핀치에 몰렸으면서도 뻗딩기고 또 뻗딩겨서 결국 전쟁을 승리로 이끈 소련의 사령관들이 있죠(개인적으로 스탈린은 그 양반만 없었으면 인력 손실이 2천만이 아니라 그 절반, 아니 1/4 정도에 불과했을 거라고 생각해서 승리의 주역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뜻을 하나로 모은다는 예를 근시대에서 찾아보면 이런 게 있겠네요. 미국이 기지개를 켜서 세계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시점이 바로 먼로 시점(그 때는 소위 Era of Good Feeling이라 하여 화합의 시대라고도 했었죠)과 남북전쟁으로 내부의 찌그락째그락하는 갈등이 일단락된 이후의 시점이라는 점을 감안해 보면...

한 나라가 막장 단계에 들어서기는 쉬워도, 그걸 일으키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죠. 그러니 길게 봐야 하는 거구요. 그래서 이런 문제에서는 개인적으로 소수림왕을 최고로 치는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250 [일반] 피교동해 - 폭주개시 [2] 후추통4247 15/09/30 4247 3
60905 [일반] 망했다.... [21] 후추통11268 15/09/13 11268 0
60714 [일반] 다시 시작하며. 제리타임! [15] 후추통7000 15/09/02 7000 10
57412 [일반] 후추잡썰(?) [13] 후추통5643 15/04/07 5643 1
56355 [일반] 여자와 아이를 죽이는 것이 어찌 성전인가!(뱀발부분 수정했습니다.) [40] 후추통7198 15/02/04 7198 1
54148 [일반] Pentatonix 노래 몇곡... [16] 후추통4615 14/10/05 4615 0
54147 [일반] 증오의 이유 [53] 후추통10139 14/10/05 10139 14
52449 [일반] 조선, 정도전의 나라. (드라마 정도전) [79] 후추통8740 14/06/29 8740 6
52027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③ 외환내우 [7] 후추통4414 14/05/31 4414 1
52017 [일반] 후추잡설 투우우우우~(2) [12] 후추통5063 14/05/30 5063 1
51984 [일반] 후추잡설 [15] 후추통5373 14/05/28 5373 5
51546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③ 명분 [2] 후추통4672 14/05/04 4672 2
50846 [일반] 반골 아닌 반골. 위연 문장. [35] 후추통9214 14/04/03 9214 8
50612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② 손침 숙청 [2] 후추통4765 14/03/22 4765 5
50480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① 준침 [3] 후추통4083 14/03/15 4083 1
50159 [일반] 정말 제목 쓰기도 힘드네요. [85] 후추통9163 14/03/01 9163 40
50010 [일반] 彼狡童兮(피교동해) 시작. 2+1, 질문. [5] 후추통3490 14/02/22 3490 1
49569 [일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끝) 인과응보 [4] 후추통9011 14/01/31 9011 6
48521 [일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⑥ 끝장 [6] 후추통4331 13/12/14 4331 4
47914 [일반] 당신은 어떤 딸을 원하시나요? [19] 후추통7423 13/11/23 7423 0
47296 [일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⑤ 제갈탄 궐기 [5] 후추통5105 13/10/25 5105 5
46998 [일반] 자환, 이균. (상) [2] 후추통5206 13/10/12 5206 4
46980 [일반] 오늘 하루. [6] 후추통4885 13/10/10 488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