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2/09 04:13:39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반도체 매출이 가장 높은 기업 Top10


전 세계에서 반도체 매출이 가장 높은 기업 Top10..

미국 시장조사업체 아이서플라이가 2013년 12월 3일에 발표한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입니다

시스템반도체와 메모리반도체가 모두 포함된 시장 점유율이네요

2013년 반도체 매출액은 아이서플라이의 추정치로 차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긍정_감사_겸손
14/02/09 04:26
수정 아이콘
헐..삼전이 1위일줄 알았는데;;
홍승식
14/02/09 04:30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삼전과 인텔의 차이는 꽤 컸습니다.
요즘들어 삼전이 휴대폰 AP 시장에서 성장하며 그 격차가 조금 줄어든 거죠.
홍승식
14/02/09 04:27
수정 아이콘
1 >>> 2 >>>> 3 > 4 > 5 > 6 > 7 >> 8, 9, 10
이런 정도의 느낌이군요.
14/02/09 04:36
수정 아이콘
인텔 넘사벽이죠..
14/02/09 04:55
수정 아이콘
삼성 정말 많이 성장했네요. 예전엔 인텔을 따라가는 것 조차 불가능한 상황이었는데, 이젠 가능할법도 해 보입니다.
지금 메모리쪽이 전 세계를 따져도 인텔, 삼성, 하이닉스, 도시바, 마이크론 딱 다섯군데 남았습니다. 이중 마이크론은 인공호흡기로 겨우겨우 지내는 상황이고, 도시바도 삼성에 상당부분 기술종속이 되어있죠.. 즉 앞으로 삼성이나 하이닉스 점유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인텔이 모바일에서 죽쑤면서 증가율이 낮아졌는데, 삼성이 모바일 프로세서에서 성장한다면 인텔수준의 시장점유율도 생각해 볼수 있을것 같네요.
아마 이번 갤럭시S5에 들어가는 엑시노스5가 삼성의 비메모리사업의 미래를 결정하리라 여겨집니다.

현재로선 인텔이 모바일에도 x86을 쓰게 만드느라 가만히 있다는게 삼성에겐 상당한 기회입니다. x86을 저전력 기반으로 from scratch로 만들고 있죠.. 물론 인텔의 공정은 뭐 넘사벽이죠. 삼성과 5년정도의 기술격차를 벌려놨으니..
수호르
14/02/10 10:17
수정 아이콘
갤s5에 엑시노스가 들어가나요? 퀄컴스냅용이 들어가는걸로 알았는뎅.. 흐흐
아다치 미츠루
14/02/09 05:03
수정 아이콘
삼성..은 뭔가 인생의 멘토같다 할까...

안될줄 알았는데..

안돼 삼성은.... 저렇게 무식한 방법으론 세계에서 통할리 없어.. 그저 우물안 개구리일뿐...

다~~~~ 모조리~~~~~~ 해내고 있군요..... 이제는 응원 모드.....
Langrisser
14/02/09 05:57
수정 아이콘
공밀레 소리좀 안나게 하라....?!
성스러운분노
14/02/09 06:17
수정 아이콘
IDM 업체로써 통합순위를 매기면 이 순위가 맞긴한데..
반도체 업체로서의 삼성전자의 미래는 조금 낙관하긴 힘들것 같습니다.
우위를 점하고 있는 메모리 시장의 성장성이 더딘 상황이고 공정발전이 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치킨게임을 1년 이상 더 지속해야되는 상황이죠.
로직쪽에서는 모바일 프로세서가 타사에 비해 우위를 점하기 힘든 상황에서(엑시노스 옥타코어의 경우 업계에서 많은 조롱을 받기도 했죠..)
파운드리로 승부를 봐야되는 상황이지만 이 업계에선 인텔이상의 대괴물이 버티는 상황이니..
14/02/09 09:06
수정 아이콘
대괴물이 어디죠?
2막3장
14/02/09 09:29
수정 아이콘
퀄컴 얘기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 아니군요..파운드리는.. TSMC인가요?
14/02/09 10:04
수정 아이콘
D램에서는 이미 치킨게임이 끝나서 꿀빨고 있는데요. 데스크탑 시장에서 D램수요가 감소하지만 모바일메모리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그외 SSD등의 낸드 플래시 역시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음으로 작년에 삼성 반도체 사업부는 메모리 분야의 대성공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40%가 늘었습니다.

작년에 삼성이 옥타로 삽질해서 시스템 반도체가 주춤한걸로 보이지만 실상은 애플의 a시리즈 생산물량이 상당부분 tsmc로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s시리즈나 노트시리즈 자체는 전시리즈 보다 계속 더 팔리고 있거든요.

이번에 나온 13년 실적보고에서도 삼성 반도체 사업부가 부활했다고 im부분에 지나치게 편충되는거 아니냐는 우려를 줄일정도가 되었는데 좀 뜬금 없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파운드리로 승부를 봐야할 이유도 잘 모르겠고 진입자체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작년에 업계 4위인가 하면서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파운드리 부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보고 있고 레드오션의 최강자 삼성이니 만큰 tsmc가 엄청나게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삼성이 결국 파운드리도 접수 하지 않을까 하고 개인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삼성의 의향이 가장 크게 반영이 될테니 좀 더 두고 봐야겠습니다만.
성스러운분노
14/02/09 12: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작년의 D램의 호재는 치킨게임에서 승리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러외부 요인에 의한 반사이익을 본 샘이죠. 삼성이 원했던 만큼 업체 2위와의 격차도 생각만큼 못벌리고 있는 상황이죠.
(뭐 작은 파이를 하이닉스랑 나눠가질 생각따윈 안하고 있는듯 한게 삼성인듯 하니까요..)

말씀하신대로 a시리즈 물량이 이동함에 따라 시스템 반도체 실적이 주춤한게 현재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로직부문에서의 삼성 시스템 반도체의 돈줄은 빅 파운드리 커스터머들이 쥐고있다는고 보는게 맞습니다.
파운드리 업계 4위는, 말그대로 현재 전세계에서 로직 파운드리를 하는 업체가 몇개 없기 때문이죠.
(실상 로직 파운드리 업계에서 경쟁력을 가진 업체는 4개 정도뿐이라고 봐도 무방하죠.)
파운드리를 삼성이 점령하는 길은 험난할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삼성전자가 어느정도까지 성장할지 상상이 어렵군요. 크크
성스러운분노
14/02/09 06:21
수정 아이콘
반도체 업계 특성상 투자액 및 매출액이 정말이지 상상을 초월하죠. 끊임없이 투자하고 벌여들여야되는게 이 분야입니다.
업계의 여담으로, SK에서 하이닉스를 인수하면서 그룹경영진에서 엄청나게 놀랐던게 이부분이라고 하네요.
상대적으로 제조업 회사가 없었던 SK였는데 하이닉스에서 이렇게 큰 규모로 돈이 굴러가 놀랐다고 하네요.
anic4685
14/02/09 11:05
수정 아이콘
얼마나 많은 외계인을 잡아 넣을건지...
석신국자
14/02/09 11:50
수정 아이콘
SK는 기업인수 하나는 끝내주게 잘하는것 같아요
토스희망봉사�
14/02/09 12:52
수정 아이콘
D램 반도체 사업은 개인적으로 봤을때 숨고르기 상태지 치킨 게임이 끝나고 하위 업체들이 전부 고사해서
완전히 상위 업체가 시장을 장악한 상황은 아니라고 봅니다
D랩쪽 3위인 마이크론이 인수 합병으로 덩치를 키웠고 대만쪽 업체들도 망한게 아니라
물량을 줄이고 삼성의 가격 정책에 따라 가면서 수익을 내는 중인데요
언제 다시 경쟁이 심화 될런지 알수가 없습니다 일단 한번 붙었다가 호되게 당했기에 다시 대만쪽 업체들이
가격인하 경쟁에 나설 요인은 없겠지만 반강제적인 단가 인하 요인은 또 발생될 여지가
얼마든지 있습니다 작은 부분에서 시작된것이 언제든지 크게 번질수 있는 화약고 같은 시장이 D랩 반도체라고
생각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065 [일반] 구미시민입니다. 반도체 클러스터는 용인으로 갈겁니다. [23] 잊혀진영혼9764 19/02/12 9764 10
80060 [일반]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에 지역균형이라니... [400] 아유17205 19/02/12 17205 20
78869 [일반] 2018년 전세계 반도체 탑15 회사 (파운드리 포함) [78] 홍승식14657 18/11/15 14657 1
78702 [일반] 미국, 중국의 반도체 굴기 손목 꺽기 [32] 치열하게11892 18/10/31 11892 7
78183 [일반] 한은 금요강좌 정리: 반도체 시장의 전망 (삼성주식은?) [26] 슈롯멍뭉강아지9816 18/09/10 9816 2
78161 [일반] 반도체 고점 논란과 삼성전자의 위기? [75] 고통은없나14379 18/09/08 14379 0
77720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삼성 반도체의 본질 [117] kurt16060 18/07/25 16060 4
76549 [일반] 반도체 화학물질 공개에 대해서 논란이 있군요. [41] 파이어군11541 18/04/08 11541 1
61159 [일반] 2015년 상반기 반도체 매출이 가장 높은 세계 기업 Top10 [12] 김치찌개4972 15/09/25 4972 1
57901 [일반] 8인의 반역자 (1) - 트랜지스터와 쇼클리 반도체 [14] Andromath9011 15/05/01 9011 8
49764 [일반] 전 세계에서 반도체 매출이 가장 높은 기업 Top10 [17] 김치찌개5069 14/02/09 5069 0
37148 [일반] 삼성 반도체 근무 노동자가 또 사망했네요. [35] 가라한7039 12/05/08 7039 0
2846 [일반] 삼성 반도체 ‘시련의 계절’ [20] 리켈메4100 07/10/03 41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