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1/09 16:33:31
Name OrBef
File #1 그림1.jpg (28.2 KB), Download : 104
File #2 그림2.jpg (33.6 KB), Download : 29
Subject [일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는, 숫자로 보는 한국의 빈부격차




서론: 이런 잉여 짓은 원래 제안서 데드라인 이틀 전에 해야 제맛이라고 들었습니다. 내일 몰아서 일하면 뭐 어떻게 되겠죠?

본론:

한국 경제가 좋네 나쁘네 양극화가 심하네 아니네 양극화는 노무현 때문이네 아니네 등등등 이야기들이 많아서, 한국 신문을 읽지 않는 저로서는 이게 어디까지가 진짜고 어디서부터가 소설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해서 딱 30분 투자해서 이런저런 자료들을 좀 찾아봤습니다.

1. 지니계수: 0% 이면 공산사회, 100% 이면 왕 혼자 모든 재산을 가지고 나머지는 무산자인 사회.

지니계수의 계산법을 약간의 지나친 단순화를 감수하고 요약하자면, 평균 (mean) 과 중간값 (median) 의 격차를 수치화한 계수인지라 상당히 직관적입니다. 이 계수의 단점은 해당 사회가 상류층이 너무 부자인 것인지 하류층이 너무 가난한 것인지 같은 정성적인 부분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즉, 인간적인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일종의 삼국지 게임할 때나 쓸 만한 수치입니다. 한국의 지니계수는 2011년 기준으로 31.3% (국내 통계) 혹은 41.9% (CIA Factbook 통계) 입니다. CIA Factbook 에 가보면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를 1등으로 놓고 순위를 매겼는데, 한국은 대충 위에서 1/3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즉 빈부격차가 심한 걸로 상위 33%). 위아래 이웃들로는 러시아, 케냐 등이 있습니다. oecd 국가 중 한국보다 지니계수가 더 높은 나라는 천조국, 칠레 정도입니다. (물론 딱 30분 투자해서 눈대중으로 보는 거라서 한두 개 정도 놓친 나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CIA Factbook 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각국의 통계 연도가 제각각입니다. 2008년 경제 위기로 인해 각국의 지니계수가 상당히 변했기 때문에 말씀드린 등수는 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셔야 합니다)

2. R/P 10%: 소득 상위 10% 와 하위 10% 가 벌어들이는 소득의 비율.

당연한 거지만 이 비율이 높을 수록 소득 격차가 큰 겁니다. 지니계수에 비해서 R/P 10% 가 가지는 장점이라면 극빈자 vs 극부자(?) 만을 비교함으로써 양극화를 정량화하기에 좋다는 점입니다. R/P10% 기준으로는 일본이 4.5 점으로 참으로 평등한 나라입니다. 6점을 받은 노르웨이보다도 한참 더 평등하지요. 한국은 2005년 기준으로 8.6 이었는데 근처에는 인도, 예멘, 폴란드, 불가리아, 라오스, 스위스, 네덜란드 등이 있습니다. 나라들이 뭔가 좀 중구난방이지요? 천조국과 중국은 15 배와 22배가 나오니까 적어도 소득 불평등은 천조국과 중국보다 두어 배 정도 낫군요. R/P 10% 지수 기준으로는 한국이 불평등 순위에서 위에서 2/3 정도에 위치하고 있으니까, 극빈자의 소득은 '그나마' 아주 나쁘진 않은 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가장 불평등한 나라는 볼리비아로, 상위 10% 가 버는 돈이 하위 10% 가 버는 돈의 157 배에 달합니다.

3. HDI (Human Development Index) vs IHDI (Income Adjusted Human Development Index)

이 수치는 '삶의 질' 이라는 부분과 어느 정도 관계가 있습니다. 소득 수준과 교육, 평균 수명 등을 정량화한 뒤 (저게 IHDI), 만약 이 사회에 소득 불균형이 없었다면 교육과 평균 수명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HDI) 를 추정하고, 양자 간의 차이가 적을 수록 불평등한 분배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저는 30분만 투자하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추정한다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능력자분께서 추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로 이 수치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아야 하는데, 우선은 그냥 IHDI 수치를 기준으로 해당 국가의 삶의 질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IHDI 는 2012년 기준으로 0.758 이고, 조사 대상 132 개국 중에서 28등을 차지해서 '평균적인 삶의 질' 은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HDI vs IHDI 즉 불평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사회적 손실은 16.5% 에 달하고, 이 손실 지수를 기준으로 등수를 매겨보면 60 등 정도로 떨어지게 됩니다. 우리가 평소에 종종 얘기하듯이, 한국은 분명 살 만한 나라이긴 한데 빈부격차는 조금 심하다고 할 수 있겠지요.

4. oecd Report

oecd 에서 해마다 각국에 대한 summary report 를 내는 듯 합니다. 작년에 나온 한국 리포트는:

여기서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세금에 관한 부분입니다. 복지를 하려면 세금을 내야할 거 아냐! 라는 말은 진리입니다. oecd 국가 평균 기준으로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내야하는 근로소득세는 약 35% 입니다. 한국은 20% 정도입니다. 천조국도 28% 정도는 내는데 말이죠. 한국보다도 근소세를 덜 내는 나라는 칠레라던지 멕시코 정도....


4. 지난 15년간의 추이.

그럼 지금의 불평등은 언제 심화되었고 어떤 일들로 인해 야기되었는가? 이 부분을 이해하려면 일단 저런 지수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야 합니다. 한국의 통계청이 2008 년에 발표한 자료 기준으로는



[그림이 안보이시면 첨부한 그림1.jpg 참조]

이렇습니다. 96년까지는 상당히 평등한 나라였다가, 모두가 아는 IMF 를 두드려 맞고 수치가 급등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00~2001 년 사이에 조금 진정되는 듯하다가 카드 대란 & 신자유주의 도입 등을 계기로 노무현 정부 때 조금씩 늘어서 2007 년에는 0.300 (같은 해에 CIA Factbook 에는 자료가 없고, World Bank 에서는 한국의 지니계수를 31.3% 로 계산했습니다) 에 이릅니다. 국내 통계 30% vs 국제 통계 31.3% 은 뭐 비슷하다고 퉁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막판에 다시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 기준으로는


[그림이 안보이시면 첨부한 그림2.jpg'> 참조]

이렇습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 5 년 동안 지니계수가 0.321 에서 0.313 으로 조금 내려갔군요! 다만 국민들이 분명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느끼는 것과 이 통계치간의 불일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또 하나 지적할 부분이라면, 이 31.3% 라는 수치는 CIA Factbook 에서 계산한 41.9% 와 비교해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상기한 불일치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CIA Factbook 이 매년 지니계수를 다시 계산해주는 게 아니라서요. 일단은 oecd Report 에도 올라가있는 31.3% 를 참값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상기한 체감 양극화 vs 지니계수 간에 보이는 불일치의 원인이라면, 지니계수를 소개드릴 때 지적했다시피 이 계수는 극빈자의 인구비 같은 정성적인 부분을 표현해주지 못한다는 것이 하나의 이유 아닐까 싶습니다. 참고할만한 다른 수치라면 '상대적 빈곤층의 인구비' 라는 수치가 있습니다. 해당 국가의 중간 소득 (즉 Median. 절대로 평균 소득이 아닙니다) 의 반도 벌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상대적 빈곤함을 느낄 수 있을 텐데, 이런 사람들이 전체 인구중에서 몇% 인가하는 수치지요. 이 수치는 90 년대에는 약 7% 에 머물렀으나 IMF 를 맞으면서 단숨에 12% 에 이르렀고 지금은 15% 정도입니다. (근데 이것도 이명박 정부 5년 동안은 늘지 않았다는 게 함정..... 가카는 위대하셨다?) 

5. 아쉬운 점.

사실 정말 보고 싶은 수치는 '가난의 세습' 을 정량화한 수치였는데, 지식이 짧아서 그런 수치가 존재하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능력자분께서 알려주시면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 30분만 하겠다고 시작한 일이 한 시간이 되어버렸습니다. 행복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09 16:36
수정 아이콘
이미지가 안보여요 ㅠ_ㅠ... 글은 잘봤습니다.
14/01/09 16:38
수정 아이콘
일단 일하고 나중에 봐야겠네요. 저도 일하면서 PGR 하기 넘 힘들어요.
둘중에 하나만 해야 될텐데... 가만 PGR만 하면 백수잖아... 된장.... T.T
jjohny=쿠마
14/01/09 16:41
수정 아이콘
첫줄 읽고 일단 선추천 후감상모드 갑니다. 크크크크
14/01/09 16:44
수정 아이콘
여기는 새벽이지만 제가 지금부터 두 시간정도 깨어있을 예정인데, 이건 어디까지나 제안서를 쓰기 위해서지 제 글에서 댓글놀이하려고 그러는 건 절대 아닙니다?
터치터치
14/01/09 16:47
수정 아이콘
저도 첫줄만보고 아싸~~ 보고서 하루남은 내가 이겼다.. 크하하.. 엉엉
커피보다홍차
14/01/09 16:47
수정 아이콘
첫줄 읽고 일단 선추천 후감상모드 갑니다. 크크크크(2)
그나저나 4번 항목에 이미지가 안 보입니다~
14/01/09 16:53
수정 아이콘
예 그래서 대신 보시라고 화일을 첨부했습니다. 원자료가 네이버라서 그런 듯요...
커피보다홍차
14/01/09 17:00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1/09 16:4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가장 아래 그림의 파란선(시장소득이려나요?)과 붉은선(앞의 추측이 맞다면 이건 가처분소득이겠네요...) 자체의 추이도 중요하지만 사실 그 격차(제도적으로 불평등이 완화되는 정도)추이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난의 세습 정량화라면 부모세대의 소득-자식세대의 교육수준-자식세대의 소득 식으로 진행되는 연구나, 자산의 세대간 이동자료 정도일듯 합니다만. 제가 들고있는게 아니라서 분명히 말씀드리긴 어렵네요......
14/01/09 16:51
수정 아이콘
예 말씀하신 그대로 파란선은 시장소득 붉은선은 가처분소득입니다. 그 격차를 어떻게 읽어야할 지 몰라서 이야기를 안한 거였는데, 저 격차가 커질 수록 그것도 또 하나의 불평등이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1/09 16:54
수정 아이콘
음 격차가 늘어난다는건 다양한 방식의 이전(조세와 사회정책을 통한 공적이전, 기타 사적이전)을 통해서 시장소득에서 나타나는 소득불평등이 가처분소득에서는 개선된다는 이야기라 좋은 일이긴 합니다. 한국의 경우 이 제도적 영향 부분이 다른 OECD국가군 평균에 비해 낮은수준이고요.

거기에 한국에서의 불평등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사실 소득이 아니라 자산불평등이기 때문에 소득기준 불평등 지수들은 일정부분 한계가 있긴 합니다.
14/01/09 16:57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반대로 이해했네요.

네. 사실 저도 자산불평등이 더 크다고 생각은 했지만 이런 걸 정량화해서 다른 나라와 비교한다는 것은 각국의 역사적 배경 등의 차이로 인해서 사실상 무의미할 것 같더군요. 아쉬운 부분입니다.
14/01/09 16:52
수정 아이콘
예상치 못한 이유로 인해 추천수가 올라가고 있다!
14/01/09 16:53
수정 아이콘
잉여질이 너무 훌륭해서 추천 드립니다~~하하
14/01/09 16:55
수정 아이콘
저도 첫 줄에 동감하며 선추천후감상 합니다...하하
남은 일수는 같은데 나는 보고서 2건이라는....
소독용 에탄올
14/01/09 16:56
수정 아이콘
역시 제안서라 마감이 있군요. 혹은 선진국의 위엄일지도...... 원래 마감이란 그 이후 빠른시간안에 제출하겠다고 독촉에 응대하면서 그날 부근부터 일을 시작하는 시기 아니던가요......
14/01/09 16:5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의미의 말랑말랑한 마감일은 이미 두 개나 넘겼다는... ㅠ.ㅠ
소독용 에탄올
14/01/09 16:59
수정 아이콘
이른바 물리적 마감일이군요 ㅠㅠ
절름발이이리
14/01/09 17:00
수정 아이콘
사실 현존하는 경제사회적 변화의 방향은 김대중 정권부터 일관된 경향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권이 바뀌었어도 변화가 없는 이유가 그것이지요. 따라서 잃어버린 10년이든 되찾은 10년이든 경제 문제에 대해 정치권들이 애용한 문구들은, 진영을 가리지 않고 선동적이었다고 밖에 평가하기 힘들겁니다.
14/01/09 17:07
수정 아이콘
전에 찾아보니 주요 경제 지표들이 DJ, 노통, MB 다 비슷비슷해서... 뭐지???하다가 아버지한테 이거 왜 그런겨?하니
"이놈이 경제는 원래 항상 안좋은겨"하셨다는...
절름발이이리
14/01/09 17:18
수정 아이콘
정치권에서 주로 논의되는 "경제가 안 좋다"는 말은 사실 "내수경기"를 의미하고, 이게 DJ이후 좋았던 적은 DJ정권 초창기 때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상당기간은 개선될 기미가 요원하죠.
anic4685
14/01/09 17:27
수정 아이콘
IMF 초기인데 내수가 좋았다고요???
절름발이이리
14/01/09 17:27
수정 아이콘
말을 잘못했군요. 중기로 바꿉니다. 벤처붐 + 신용카드 보급이 환상의 시너지를 낸 시기이죠.
14/01/09 17:08
수정 아이콘
예 그건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조중동 중에서 중앙일보가 그나마 노통에 대해서 우호적이었던 이유도 같은 맥락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14/01/09 22:1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MB때의 정권 교체는 주체의 얼굴만 바뀌었을 뿐, 신자유주의 10년의 정점을 찍는 5년이며 결국 MB라는 악마(?)를 낳은 것은 민주 10년이라 생각합니다.
14/01/09 17:02
수정 아이콘
가난의 "세습"까지는 모르겠고...가난의 지속이라던가 계층이동은 빈곤탈출률, 빈곤진입률 이런걸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나와요.
근데 좀 전문적?이라고 해야할지, 작위적?이라고 해야할지...꼼꼼히 읽어보게하네요.
www.kihasa.re.kr ->요게 보건사회연구원 주소입니다요.
14/01/09 17:09
수정 아이콘
오호라 감사합니다! 다만 제가 이런 자료를 슬쩍 보고 정리가 가능한 능력자가 아닌 지라, 제안서 와꾸라도 잡아놓고 읽어야겠네요 ㅠ.ㅠ
14/01/09 17:09
수정 아이콘
지금 들어가서 몇가지 보고있는데 신세계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몽키.D.루피
14/01/09 17:26
수정 아이콘
뭐 이런 좋은 사이트가 다 있습니까..
SugarRay
14/01/09 21:58
수정 아이콘
지니계수는 동적인 지표가 아니고, 다른 분포가 같은 지니계수를 보여줄 수 있고, 서로 다른 GDP가 같은 지니계수를 갖고 있을 때 같다고 평가할 수 없으므로 사실 양극화를 내세우기엔 좋은 지표가 아니죠. 그리고 양극화는 단지 불평등도가 아니라 계층이동성에서 찾아야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또한 GDP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니계수는 U자 커브를 그리게 되는데 이제는 지니계수가 증가하는 시점이겠죠. 오히려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엔 계층유동성이 크고 지니계수 역시 증가하는데 이를 양극화의 증거라고 할 수는 없죠. 지금은 유동성이 낮고, 지니계수가 증가할 요인이 많죠. 예컨대 고령화라든가...

한국조세연구원의 연구결과에서는 지니계수의 변위소득계수를 통해 소득고착성을 측정하던데, 이 역시 살펴볼 만한 것이겠습니다.

솔직히 경제 공부하는 입장에서, 한국의 경제상황 뿐만 아니라, 미국까지도, 어느 한 정권이 경제상황을 좌지우지하는 경향은 없고, 단기경기변동의 흐름에 왔다갔다 하는 부분이 더 큽니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 들어서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이런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구요. 솔직히 정권이 할 수 있는 건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라면 모를까 해외의 경기와는 별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뭐, 환율경로를 통해서 영향을 줄 수는 있겠지만...
소독용 에탄올
14/01/09 23:51
수정 아이콘
정권이 제도적 완충에는 영향을 줄수 있긴 합니다. 시장소득의 양극화에 대한 사회정책의 제도적 완충기능(경기사이클에 대응하는)도 나타나긴 하거든요, 물론 일정수준 이상의 사회보험, 공적부조가 갖춰진 뒤에야 가능한 일이지만요.
SugarRay
14/01/10 00:54
수정 아이콘
제가 잘 모르는 분야인데 혹시 실증자료가 나와있는 논문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소독용 에탄올
14/01/10 01:53
수정 아이콘
경험적인 연구로 재정정책의 거시적인 지역간비교연구가
Prasad, N. and Gerecke, M. 2010. “Social Security Spending in Times of crisis”, Global Social Policy. Vol. 10, No. 2, pp. 218-247.
재정정책의 경기순환대응 양상에 대한 정치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로는
Oumar Diallo. 2009. "Tortuous road toward countercyclical fiscal policy: Lessons from democratized sub-Saharan Africa", Journal of Policy Modeling, Vol. 31, 36–50.
같은 연구들이 일단 있긴 합니다. 저도 재정정책 전공은 아니라서 더 좋은 연구들이 있을텐데 못찾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14/01/10 00:11
수정 아이콘
예 저도 형님이 경제학 전공인데, '공부하면 할 수록 지표들을 어떻게 해석하는 게 맞는 지도 잘 모르겠고 미래 예측도 못 하겠고 신문 기사도 못 믿겠다' 라고 하더군요. 알면 알 수록 아는 척 하기 힘든 학문이 경제학 아닌가 싶습니다.
SugarRay
14/01/10 01:0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도 기초수준에 불과합니다만, 경제학에서는 이론의 매끄러움이 실증에 기반해야 하기 때문에 지표들을 해석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걸 해석하는 게 어렵지요. 저는 거시경제학은 잘 모릅니다만, 알면 알 수록 어렵기 때문에 저는 국가의 개입에 대해 좋지 않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예측이 불가능하다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서요. 예컨대 환율을 올려야 한다든가, 혹은 규제를 늘려야 한다든가,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든가 한다는 개입에 대해 저는 '그 정책을 시행한다면 그렇게 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될 수도 있다' 식으로 밖에는... 쩝
낭만토토로
14/01/10 07:45
수정 아이콘
오.. 제가 개인적으로 관심있어하는 주제군요. 물론 아직 전문가가 아닙니다만.. 그래도 이렇게 수치를 직접 찾아서 보여주시는 수고를 하시다니 감사합니다.

제가 아직 한국은 잘 모르겠는데, Orbef 님도 그렇고 위에서 다른 분들도 이야기하신 것처럼 얼마나 사회에서 계층간 이동이 가능한가도 역시 단순한 부/임금의 양극화와 함께 중요한 이슈인데 작년에 미국에서도 이미 이슈가 되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는데:

http://krugman.blogs.nytimes.com/2012/01/15/the-great-gatsby-curve/

Great Gatsby curve 라고 해서 작년에 매우 저명한 경제학자인 Alan Krueger 가 이슈화한 건데, income inequality 와 social mobility 의 관계를 본 것입니다. 링크에서 보실 수 있다시피 데이터에서는 income inequality 와 social mobility 에 큰 음의 관계가 있죠. 즉, 부모가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자녀 레벨에서는 그 부가 전이되는 비율이 크다 입니다 (약간 해석의 어폐가 있긴 한데.. 저는 이렇게 causality 가 있다고 봅니다). 즉 부의 불평등이 클수록 후손들도 그 부의 불평등이 지속되는거죠.. 아마 한국에서도 그러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혹시 관심있으시면 맨큐가 이걸 부정하는 글도 자기 블로그에 올리고는 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맨큐 블로그를 낮게 평가해서 일단 링크는 안올립니다. 관심있으면 찾아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 대략 지난 30여년간 사실 부의 증가는 사실상 상위 1프로 (심지어 .01프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즉, 단순히 Gini 계수만이 아니라 최상위 계층이 얼마나 가져가왔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데, 아직 제가 한국 자료/논문은 잘 몰라서 더 이야기하기는 그렇네요.

참고: http://krugman.blogs.nytimes.com/2013/09/12/good-times-at-the-top/?smid=fb-share&_r=0
14/01/10 08:09
수정 아이콘
크루그만하고 멘큐야 뭐 서로 막 사주는 관계니까요 흐흐흐흐;;;;; 모르긴 해도 서로 좋아할 듯 합니다.

사실 빈곤층이 15% 라고 본문에 썼지만, 저 15% 의 사람들이란 게 고정이 아니기도 합니다. 미국 기준으로볼 때 일 년 내내 빈곤층인 사람은 3 ~ 4% 밖에 안되는 반면 빈곤층과 차상위 계층을 오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해서 "일 년에 2 달 이상 빈곤층으로 지내는 사람" 으로 통계를 내보면 미국의 경우에는 30% 가 넘어가지요.

http://www.washingtonpost.com/blogs/wonkblog/wp/2014/01/08/one-in-three-americans-slipped-below-the-poverty-line-between-2009-and-2011/

참으로 심각한 문제긴 합니다. 이 정도 되면 국가의 존재 이유가 의문시 되어도 무리가 아니지요.
낭만토토로
14/01/10 08:12
수정 아이콘
크루그먼은 몰라도 맨큐는 엄청 싫어하는 티가 팍팍 나는데.. 실제로 한 번 둘을 붙여놓고 싶습니다. 맨큐 맛이 간지는 원체 오래 되서...흐흐..

뭐 미국은 사실 워낙에 빈부 격차 문제의 뿌리가 깊으니까요. 막상 가난한 (혹은 차하위층) 사람들을 위한 의료 보험에도 민감한 나라이니..
귤이씁니다SE
14/01/10 15:14
수정 아이콘
이런 통계를 보면 참 재미있고 의문이 나는게 이명박 정권당시 양극화 해소를 위한 별다른 대책이 없었고 오히려 비지니스 프랜들리라 불리는 정책으로 인해 영세 자영업자들은 초토화를 당했고 물가는 올랐고 고용은 계속 불안해 졌는데 오히려 통계 수치는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소폭 감소했단 말이죠.

더 웃긴건 막상 통계자료로만 보면 별 문제가 없는데도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여론이 바닥을 쳐 버렸다는 것이지요. 단순히 국민들이 투정(?)을 부렸다고 생각하기에는 너무 파급효과가 광범위하고, 파급효과를 불어 일으킬 별다른 요인이 없었는데 말입니다. 언론만 봐도 이명박 정권 당시 관계가 상당히 좋으셨죠. 정말 모를 일입니다.
14/01/10 17:25
수정 아이콘
정말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이야기라는 단서를 달고 말씀드리는 건데, 이명박 대통령의 무언가 그 한없이 천박한 느낌? 도 일조했다고 생각합니다. 왠지 저 사람이 우리 사회를 좌지우지한다는 것을 참을 수가 없는 뭐 그런 거요. 이게 대선 전에는 잘 드러나지 않다가 매일 보다 보니 많이들 깨닫지 않았나....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81 [일반] 대학생 한달 생활비 129만원의 현실. 하지만 만약 우리 나라에서 대학이 없어진다면? [27] 주환7073 15/01/21 7073 2
55118 [일반] 최경환 "정규직 과보호"…노동시장 개편 예고 [107] 지와타네호8511 14/11/26 8511 0
54827 [일반] 솔로들이여 단결하라. 싱글세 도입 준비중 [222] 상상력사전15047 14/11/11 15047 11
54363 [일반] 간단한 자료로 보는 한국 내수시장의 위기 [150] Realise17991 14/10/18 17991 7
54291 [일반] 담배 증세와 관련된 의외의 연구결과들 [15] 바위처럼5923 14/10/14 5923 7
54109 [일반] 단통법을 보고 떠오른 것. [32] nickyo6242 14/10/02 6242 4
54099 [일반] 천상계 [33] 어강됴리7926 14/10/02 7926 2
53916 [일반] 우울한 공무원 연금개혁 소식 [94] 리븐장인13063 14/09/22 13063 13
53847 [일반] 저성장, 적은 고용, 그리고 왜? [22] nickyo5842 14/09/18 5842 10
53845 [일반] 다가오는 대한민국의 멸망 [217] 절름발이이리26574 14/09/17 26574 15
53768 [일반] 한국의 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하지만 다들 예상했던) 연구결과 [64] 낭만토토로8011 14/09/13 8011 8
53438 [일반] 배달 대행 앱들의 진실.manhwa [253] Darth Vader12083 14/08/25 12083 0
53056 [일반] 사형제 존폐에 관한 각계 입장. [14] endogeneity7415 14/08/04 7415 3
51301 [일반] 우리는 과연 미개한가 [31] 콩콩지5478 14/04/24 5478 15
50250 [일반] 대한민국은 살만한가? (경제학적 접근) [141] 낭만토토로7487 14/03/05 7487 5
50201 [일반] 노암 촘스키의 47달러 [18] 어강됴리5488 14/03/03 5488 12
50079 [일반] 출판계 도서정가 할인폭 합의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22] 쌈등마잉5056 14/02/26 5056 4
49598 [일반]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읽은 어떤 디씨인의 글 [72] 요정 칼괴기16593 14/02/02 16593 43
49187 [일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는, 숫자로 보는 한국의 빈부격차 [40] OrBef11033 14/01/09 11033 17
48749 [일반] 정규재 씨가 이야기하는 민영화 [268] 하이엨10245 13/12/21 10245 7
48550 [일반] 정부는 왜 전통적인 방법을 쓰지 않는가? [81] 常勝6856 13/12/15 6856 5
47294 [일반] WEF : 한국의 성평등 지수는 136개국 중 111위 [84] 오카링8450 13/10/25 8450 0
47068 [일반] 전교조가 죽을죄라도 지은걸까요? [341] Go2Universe9795 13/10/15 979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