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1/30 12:22:41
Name 팔딱팔딱맹태
Subject [일반] 나는 누구인가?
저는 생각이 많은 편입니다.

딱히 무언가에 고정되어있지 않고, 이런 저런 생각을 하는게 습관이죠.

날씨도 좋은 토요일,

출근하여 아무도 없는 불꺼진 사무실에 들어서니, 책상에 앉기도 전에 일하기 싫어집니다.

다시 밖으로 나와 담배한모금을 들이키며 문득 생각에 잠겼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좀 철학적인가요? 크크

저는 주위 친구들에게는 흡연자이고, 집안 어른분들께는 비흡연자 입니다.

대학친구들에게는 장난끼 많은 녀석이지만, 다른 친구들에게는 과묵한 녀석입니다.

어떤 여자친구에겐 애교쟁이로, 누군가에겐 존경스러운 오빠였습니다.

저희 직원들에게는 믿고 맡길 수 있는 후임이지만,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 팀원들에게는 리더입니다.

누군가와 즐기는 취미는 당구이고, 또 다른 누군가는 족구를 즐기며, 또 다른 누구와는 탁구를 즐깁니다. 혼자 있을땐, 만화책을 즐기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입사전 자소서를 작성할때, 어떻게 적나요?

나라는 사람은 도대체 누구와 있을때 '나' 일까요?

나의 취미와 성격과 주량, 흡연 여부를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얘기 할 수 있었나요?

글을 적다 보니 문득 또 생각이 드네요.

'나' 라는 사람이 누구인지 판단하고 평가하는 사람이 '나' 여서는 안될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가의 물안개
13/11/30 12:30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나..라는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나..이면 안돼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팔딱팔딱맹태
13/11/30 12:53
수정 아이콘
나는 '나'를 보지 않고 살기 때문이 아닐까요? 간단하게 생각해서 회사 후임이 보는 '나'와 선임이 보는 '나'는 동일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후임과 선임의 바라보는 '나'는 다르겠지요. 거기서 생긴 의문입니다. 절대적인 존재로서 '나'는 누구일까?
강가의 물안개
13/11/30 13:52
수정 아이콘
내가 누구인가? 자각하는데 남의 시선이나 평가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설사 선배가 보는 나와 후배가 보는 나가 다르다 하여...내가 다중 인격자가 되는건 아니지요. 직업인으로서 성실한 마인드로 일을하되 자리에 따라서 책임감 이런것 때문에 다른 모습이 나타날수도 있으니까요.
13/11/30 12:44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그런 글을 본 기억이 나네요
가면을 벗으면 나의 진짜 모습이 나오는게 아니라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구요
가면이 곧 나겠죠

저도 제가 정말 어떤사람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느게 진짜 나고 어느게 나의 진실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상황과 사람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거 전체가 저 자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모습도 나고 저런 모습도 나다...나라는 사람을 꼭 하나의 카테고리 안에 넣고 규정해버릴 필요는 없는거 같아요
때로는 무척 에너지틱하고 액티브하고...때로는 미친듯이 우울하고 슬프고
때로는 다른 사람을 위로하고 힘내게 해주고 싶고 때로는 다른 이에게 한없이 기대고 싶고
때로는 활달하게 때로는 소심하게...이거 전체가 나의 모습인거 같고 그냥 그대로 인정하렵니다 크크
팔딱팔딱맹태
13/11/30 12:55
수정 아이콘
백번 동감합니다. 그래서 어렵죠. 자소서란게... 살짝 모순적인 요소라는 생각이들 정도 입니다. 크크
낭만토스
13/11/30 14:17
수정 아이콘
장소, 사람에 따라 여러개의 가면을 바꿔끼는 그 모습조차 '나'지요
니킄네임
13/11/30 13:02
수정 아이콘
대부분 수소와 산소 그리고 기타 원소로 이루어진 유기체이며 생체 활동을하는 동안 유전적 형질을 남길려고 노력합니다.
이건... 모든 생명체의 공통점이겠고.

지금 이런생각을 하는게 '나' 이죠.
wish buRn
13/11/30 13:21
수정 아이콘
사람은 기본적으로 다각면체죠.
남에게 보여주는 면이 어떠하든.. 그건 모두 나의 일면이라고 생각합니다.
endogeneity
13/11/30 14:03
수정 아이콘
장난꾸러기인 나와 과묵한 나의 괴리를 고민하는건 친구들이 아니라 팔딱님이십니다.

그에 비하면야 애교쟁이, 리더, 흡연자 등등은 사소한 속성들, 판단의 대상들일 따름이죠.

그러니 팔딱님께선 다른 사람들이 부여한 나의 이미지들을 고민하다가, 그걸 고민하는 나, 그것들을 상대화시켜버리는 심급인 '나'를 발견하신 셈입니다.
팔딱팔딱맹태
13/11/30 14:13
수정 아이콘
딱히 질문의 의도로 게시한 글은 아니지만, 납득할만한 답을 내려주셨네요. 뭔가 하나를 깨달은 기분입니다.
endogeneity
13/11/30 14:42
수정 아이콘
저것조차 사실 질문일 뿐입니다. 문장 구조가, 말투가 해답인 척 하고는 있지만...

이런 문제에 답이 있긴 어렵고 피차 고민하는 처지인 거죠.
낭만토스
13/11/30 14:19
수정 아이콘
그 모든 것이 '나'입니다

어른들 앞에서는 점잖은척, 생각 깊은 척 하는
남자친구들 앞에서는 쎈 척, 남자인 척 하는
여자친구 앞에서는 애교부리는

그 모든 것이 '나' 이지요

그리고 그 가면들 속에서 혼란해하는 그 모습들 조차 '나'인 거고요
endogeneity
13/11/30 14:39
수정 아이콘
내가 너무 많으면 아무것도 내가 아닌 것으로 됩니다.
낭만토스
13/11/30 14:43
수정 아이콘
그 아무것도 아닌 나도 '나'라는 뜻입니다.
endogeneity
13/11/30 14:47
수정 아이콘
아무 것도 아닌 것은 나든, 너든, 이것이든, 저것이든, 주체든, 대상이든, 모상이든, 가상이든, 실재든, 유명이든

아무런 이름도 없습니다.

니체는 그런 것을 부를 때 가끔 당나귀 울음을 사용했는데, 적절한 표현이었죠.
endogeneity
13/11/30 14:54
수정 아이콘
결국 나라는 건 내가 되기로 하는 '결정'하고만 결부되고, 그러는 한에서 나는 무엇이든 되기로 정할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결정의 심급인 '주체'는 그 자체로 많은 미스터리죠.

결국 일반적 해결책은 주체를 볼드모트마냥, 그 이름을 불러선 안될것으로 치부하는 것인것 같습니다.

그게 온당한지는 차치하고, 아마도 그 지점에서 낭만토스님 얘기가 의미가 있겄습니다.
낭만토스
13/11/30 15:00
수정 아이콘
그 '주체'를 정의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크크

어떻게 생각하면 그 주체를 정의내리기가 힘들기 때문에 생각하기 쉽게 객체까지 묶어버린 것이 아닌가도 싶네요

나 자신도 정의내리지 못해? 차라리 이름을 불러선 안될 볼드모트로 치부해버리자 랄까요? 흐흐

가끔 그 주체 조차 어짜피 뇌에서 내뿜은 호르몬? 뇌파같은 화학작용에 움직이는 살덩어리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
법대로
13/12/02 18:10
수정 아이콘
프로이트 이론이 떠오르네요. 시간이 되시면 관련서적을 읽어보심이 도움될것 같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가면이라는 것이 행동모범(superego)으로 본연의 존재(ego)가 선택하여 행동한다는 내용인데,

그렇다면 그러한 행동들을 선택하는 ego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인듯 합니다.

이론에 입각하면 외부에서는 우리의 superego만 자각할 수 있기에 타인에 대한 진정한 이해란 불가능한 것인가?라는 질문도 있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171 [일반] 그 남자와 그 여자, 그리고 결혼 [13] 곰주4215 13/12/03 4215 8
48170 [일반] 국회의원,대통령 선거날 낙태,성매매,간통,여성징병제 투표도 같이 한다면? [71] 삭제됨5168 13/12/03 5168 2
48169 [일반] 요즘 제가 알바하는 이야기 [9] 삭제됨3524 13/12/03 3524 1
48168 [일반] 이번 크리스마스는 모텔에서 보내기 싫습니다.(추가 - 여친님께 이글을 보여드렸더니...) [109] 오빠나추워18551 13/12/03 18551 1
48167 [일반] 내가 바라는 나, 실제의 나 [14] Right3471 13/12/03 3471 3
48166 [일반] 역대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흥행 TOP 45 (BGM 포함) [20] 인간흑인대머리남캐5543 13/12/02 5543 0
48165 [일반] 기록, 좋아하시나요? [16] 니킄네임4263 13/12/02 4263 3
48164 [일반] 게시판 이야기 [7] 삭제됨3856 13/12/02 3856 0
48163 [일반] 11월의 집밥들. [38] 종이사진5049 13/12/02 5049 9
48162 [일반] [K리그] 끝나고 나니 허무하네요 [54] 막강테란3622 13/12/02 3622 6
48161 [일반]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전망이 밝은 유망기업 Top10 [8] 김치찌개4587 13/12/02 4587 0
48160 [일반] 朴대통령, 김진태 검찰총장·문형표 복지장관 임명 [46] Rein_116321 13/12/02 6321 2
48159 [일반] 골드미스는 없다 (글 수정했습니다) [348] atmosphere11498 13/12/02 11498 12
48158 [일반] 나이를 먹어 가는 것 [34] 웃다.5039 13/12/02 5039 5
48157 [일반] 민간인 사찰 고발자, 장진수 전 주무관 원심확정. 그러나... [24] 곰주5207 13/12/02 5207 2
48156 [일반] [야구] 김선우 LG행 [57] HBKiD6953 13/12/02 6953 0
48155 [일반] 채동욱 전 검찰총장...정말로 청와대가 찍어냈나? [50] Neandertal8153 13/12/02 8153 5
48154 [일반] 살면서 느낀 맛집 찾는법. [63] 니킄네임10113 13/12/02 10113 0
48153 [일반] 만약 수도권 4년제대학들을 입학정원을 전부 1/20로 강제로 줄이면 [77] 삭제됨7740 13/12/02 7740 2
48152 [일반] 석유를 화폐로 환산했을 경우 가장 부유한 산유국 Top10 [10] 삭제됨5086 13/12/02 5086 0
48151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한 종교 Top10 [10] 김치찌개5992 13/12/02 5992 2
48150 [일반] 전 세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자수성가형 부자 Top10 [7] 김치찌개4184 13/12/02 4184 0
48149 [일반] 저랑 잘 안맞는것 같아요 [41] 지나가는행인17765 13/12/02 7765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