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1/10 00:36:41
Name 신용운
Subject [일반] 최근에 은하영웅전설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어릴때 읽었을때는 그저 단순한 sf소설(물론 진짜 sf소설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정통으로 취급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인줄만 알고 재미있게 읽었는데 최근에 다시 내용을 곱씹으면서 읽어보니 이 소설은 생각할 내용이 많은 소설이였습니다. 대사 하나하나가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어줍니다. 그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대사들을 꼽자면(약간 틀릴 수도 있습니다)

전제정치가 쓰러지는 것은 군주와 충신들의 죄이지만, 민주정치가 쓰러지는 것은 모든 시민의 책임이다. - 알렉산드르 뷰코크

잘난 척 하며 말해보자면 민주주의라는 것은 대등한 친구를 만드는 사상이지 주종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오. 나는 좋은 친구를 가지고 싶고 누군가에게 좋은 친구가 되고싶소. 허나 좋은 주군이나 좋은 신하는 원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나와 당신(라인하르트)은 같은 깃발을 받드는게 불가능했던 것이지. 호의는 고맙지만 이제와서 나같은 노인은 필요없을 것이다. - 알렉산드르 뷰코크

신념을 위해 사람을 죽이는 것은 돈을 위해 사람을 죽이는 것보다 못한 짓이다. 왜냐하면, 돈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의 가치가 있지만 신념의 가치는 오직 본인밖에 소용없기 때문이다. - 양웬리

최악의 민주정치는 최선의 전제정치를 낳지 못하지만, 최악의 전제정치는 일시적이나마 최선의 민주정치를 낳아 준다. - 양웬리

더 있긴한데 전 이정도밖에 기억이 안나네요... 피지알 분들은 어떤 대사가 기억에 남으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더스번 칼파랑
13/11/10 00:39
수정 아이콘
건강과 미용을 위해 식후에는 한잔의 홍차 - 양웬리
신용운
13/11/10 00:39
수정 아이콘
아 그걸 빼먹었었네요. 가장 유명한 문구였죠.
더스번 칼파랑
13/11/10 00:43
수정 아이콘
자매품(?) 러시안 티를 한 잔. 잼도 아니고 마멀레이드도 아니고 꿀을 넣어서 ...

그리고 비텐펠트와 아텐보로의 심리전 대사도 명품이죠.
불굴의토스
13/11/10 00:39
수정 아이콘
아직 읽어보지 않았는데 배경지식 없이 그냥 읽어도 되나요??
Cynicalist
13/11/10 00:41
수정 아이콘
처음 읽자마자 엄청난 양의 배경지식 설명이 있어서..
13/11/10 00:44
수정 아이콘
배경지식없이 봐도 되는데 완성도는 솔직히 별로예요.
다만, 등장인물들이 대단히 매력적이라 재미는 충분히 보장합니다. 중간중간에 나오는 민주주의에 대한 분석(?)은 새겨볼만하구요.
아케르나르
13/11/10 08:49
수정 아이콘
20대 초반까지는 진짜 몰입감 쩔게 재밌었습니다. 나이를 좀 먹고 보면 작가의 허세랄까 치기랄까 그런 것도 좀 보이고..(저자가 대학생시절에 쓴 걸로 알고 있어요.) 설정구멍도 좀 보이고, 라인하르트 짱짱 하는 데 거부감도 좀 느끼고 하는데, 그럼에도 생각할 거리는 좀 던져주는 거 같아요.
베로니카
13/11/10 00:39
수정 아이콘
인간의 행위 중에서 무엇이 가장 비열하고 수치스러운 일이겠습니까? 그것은 권력을 가진 사람, 권력에 아첨하는 사람이 안전한 장소에 숨어서
전쟁을 찬미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는 애국심과 희생 정신을 강요하여 전장으로 내보내는 일입니다. 우주를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제국과 무익한 전투를 계속하기에 앞서 그런 종류의 악질 기생충을 몰아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 얀 웬리

전 이겁니다.
자투리여행
13/11/10 00:43
수정 아이콘
양 웬리의 사문회 전체가 기억에 남습니다. 양 웬리 대사 하나하나가 명언이었죠.

어릴때는 감탄하면서 계속 읽었고
조금 커서는 '너무 단순하고 유치한데?'라고 생각하며 읽었고
지금은 소설 속에 나오는 단순하고 유치한 정치 상황이 오히려 현실보다 낫다는 생각을 하며 다시 읽게 됩니다. 크크
인간실격
13/11/10 08:16
수정 아이콘
소설을 유치하다고 하기엔 현실이 훨씬 심하죠
Cynicalist
13/11/10 00:43
수정 아이콘
"늦지 않나, 미터마이어. 적어도 경이 올 때까지는 살아 있으려 했는데...너무 늦지 않나...질풍 볼프라는 이름이 부끄럽지 않나.."


로이엔탈이 진짜 아쉽죠...라인하르트가 그렇게 빨리 갈 줄 누가 알았습니까...
13/11/10 00:45
수정 아이콘
"정치 권력과 매스컴이 결탁하게 되면 민주주의는 비판과 자정능력을 잃고 죽음에 이르는 병을 앓게 된다." 요즘 정말 크게 느끼고 있는 대사죠.
13/11/10 00:45
수정 아이콘
정치의 부패란 정치가가 뇌물을 받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개인의 부패일 뿐이다.
정치가가 뇌물을 받아도 이를 비판할 수 없는 상태를 바로 정치의 부패라고 하는 것이다. - [얀] 웬리
키니나리마스
13/11/10 00:47
수정 아이콘
'양' 이 맞습니다. 중국계로 설정되어 있죠. 인터뷰에서 이름 어떤 식으로 지었는지 나옵니다.
13/11/10 00:48
수정 아이콘
물론 알고 있습니다. 크크크크크. 그래도 [얀]이 익숙한 을지서적 판 독자라서 그러합니다.
양... 은 뭔가 닭살스럽달까요. 흐흐.
키니나리마스
13/11/10 00:52
수정 아이콘
[] 이걸로 강조까지 하시길래 댓글달았습니다. 확실히 얀으로 보신 분들은 얀이 익숙할 것 같습니다.

저는 양으로 나온 판으로 봤는데 하는 짓(?)이 삼국지연의의 제갈양 같은지라 양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고 봐요. 흐.
13/11/10 01:12
수정 아이콘
저도 을지서적판의 이름 호칭들이 더 좋다능...크크크
라인하르트
13/11/10 00:45
수정 아이콘
건방진 금발 애송이 같으니...
키니나리마스
13/11/10 00:46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에 대한 이야기들이 다 기억에 남네요. 물론 최고는 더스번 칼파랑님이 적으신 거 크크크크
치탄다 에루
13/11/10 00:55
수정 아이콘
"나는 센코프 장군처럼 많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다. 그런데 어째서 서른살을 먹어야 하는지 모르겠다." - 더스틴 아텐보로

율리안 민츠는 진리입니다.
13/11/10 01:13
수정 아이콘
센코프의 호색방탕함 절반도 못따라하고 마흔이 되어가는 저는 그냥 열받을 뿐입니다 크크크크크.
13/11/10 00:55
수정 아이콘
사람은 전쟁터에서 멀리 있을수록 호전적이게 된다
단지날드
13/11/10 01:10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레알이네요
Arya Stark
13/11/10 00:56
수정 아이콘
양 타이롱 : 그래, 자신들의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어디선가 초인이나 성인이 나타나 자신들의 고생을 혼자 떠맡아주기를 바랬지. 루돌프는 그것을 이용했던 거야. 알겠니, 기억해 둬라. 독재자란 출현시킨 쪽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고 해도 말없이 지켜보고 있었다면 그 죄는 똑같다.
신용운
13/11/10 00:56
수정 아이콘
저의 약혼자는 이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전쟁터로 나가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위원장 각하(욥 트뤼니히트)께서는 지금 어디에 계시는 겁니까? 죽음을 찬미하시는 당신은 지금 어디 계시나요? - 제시카 에드워즈

또 하나 생각나서 적고갑니다.
13/11/10 00:58
수정 아이콘
영웅은 선술집에 가면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반대로 치과의사의 치료대 위에는 하나도 없다
커피와텔레비젼
13/11/10 01:21
수정 아이콘
센코프가 한 말인데.. 정확한 대사는 기억나진 않지않습니다만..무익한 전쟁에 관한 이야기를 율리안인가 장미의연대 부하에겐가 한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평화를 원한다. 평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전쟁(싸움? 분쟁?)은 왜 일어나는가. 그것은 각자 자기들 기준의 평화를 원하기 때문이다.
13/11/10 01: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오스카 폰 로이엔탈의 여성에 대한 대화는 정말로 많이 기억이 나네요.
얼마전에 라디오스타도 출연하시고;; 물론,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은 더스틴 아텐보로입니다...
연휘가람
13/11/10 02:37
수정 아이콘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말이란 바다위에 떠 있는 빙산과 같아서 보이는 것은 일부이지만 그 밑에는 더욱 거대한 것이 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말을 조심해라 율리안'
이런 뉘앙스의 대사가 기억에 남네요.
Grateful Days~
13/11/10 08:08
수정 아이콘
비바 데모크라시~! 뒈져라 황제~!
물맛이좋아요
13/11/10 19:34
수정 아이콘
이거 쓰러 왔는데ㅜㅜ
물맛이좋아요
13/11/10 19:37
수정 아이콘
은영전 카페에서 미터마이어 닉을 썼습니다.

안네로제님 에반제린님과 연애했고

프레데리커님과 결혼했습니다.

로이엔탈과 닉이 바뀌었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죠.

후후후
공상만화
13/11/10 20:27
수정 아이콘
이런 반역자!
saintkay
13/11/12 13:53
수정 아이콘
10대 처음 봤고, 20대 때 대학 도서관에서 다시 보고, 30대 때 이타카에서 김완 씨가 번역한 전집을 샀습니다.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561 [일반] 역대 할리우드 sf영화 세계 흥행수입 Top10 [7] 김치찌개3830 13/12/16 3830 0
48177 [일반] [정모후기] 말말말(인증샷/인증영상 포함) [32] 스테비아6484 13/12/03 6484 1
47996 [일반] 슬램덩크 만화책에는 자세히 소개되지 않은 선수들과 팀들... [72] Duvet40561 13/11/26 40561 0
47925 [일반] [MLB] 류현진 2013년 기억나는 7경기 하이라이트 [9] 지바고3862 13/11/24 3862 2
47851 [일반] 세이버메트릭스-야구 스탯 살펴보기(EqA부터 UZR까지) [7] 밤의멜로디9298 13/11/20 9298 2
47846 [일반] 세이버메트릭스-야구 스탯 살펴보기(타율부터 XR까지) [38] 밤의멜로디7934 13/11/20 7934 21
47621 [일반] 보이스 코리아 시즌2 <슈퍼스타 이야기 조금> [43] 은수저5761 13/11/10 5761 0
47598 [일반] 최근에 은하영웅전설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34] 신용운4058 13/11/10 4058 0
47397 [일반] KBL과 NBA 농구 관련 그들이 남긴 주옥같은 명언들.JPG [47] 신불해12839 13/10/30 12839 7
47387 [일반] 노대통령 변호사 시절 모티브 영화 "변호인" 티저 공개 [26] 어강됴리8057 13/10/30 8057 12
47363 [일반] 미드 그 장대함의 결말 [108] 니킄네임11633 13/10/29 11633 1
47209 [일반] [리뷰] <그래비티> - 우주 그리고 인간에 대하여(약스포) [36] 마스터충달5516 13/10/21 5516 0
47149 [일반] sf전설이 돌아 온다고 합니다.! [36] 마빠이8652 13/10/18 8652 0
47021 [일반] 팬택 상태가 정말 심각해 보입니다. [86] B와D사이의C11562 13/10/12 11562 2
46777 [일반] 10월 개봉 영화들... [38] Neandertal6781 13/10/01 6781 0
46638 [일반] 만화보다가 찡했던 기억들 [17] tyro5451 13/09/24 5451 0
46632 [일반]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마이클 잭슨 곡 10곡... [16] Neandertal6443 13/09/24 6443 0
46562 [일반] 고양이 출산 49일째 - 부제 : 이름을 지어주세요 - [73] 설하보이리뉴8516 13/09/19 8516 6
46430 [일반] 방탄소년단/딕펑스의 뮤직비디오와 드렁큰타이거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5] 효연짱팬세우실4324 13/09/11 4324 0
46404 [일반] 늦었지만 엘리시움을 보고 왔습니다 (스포있음) [5] atmosphere3616 13/09/10 3616 1
46084 [일반] [계층] 개인적으로 좋았던 라이트 노벨 best 7. [37] 한니발20681 13/08/25 20681 0
46075 [일반] BoA 2013년 활동 영상 모음 [5] style4190 13/08/25 4190 3
46058 [일반] 새로운 배트맨역의 '벤 애플렉' 소식과 기대작 2편. [38] Magnolia8487 13/08/23 848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