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17 22:45:35
Name 요정 칼괴기
Subject [일반] 애니메이션 감독 토미노 옹의 글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1360/read?articleId=1221638&bbsId=G003&itemId=15
루리웹에 토미노 옹이 쓴 글 번역본 중 일부가 올라왔는데 좋은 글이라 올립니다.
전문은 유료라서 그분도 일부만 올린 거 같더군요.

비국민 이라는 말이 있어요

전시에 전시체제의 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에게 사용한 말로 배신자라는 뉘앙스가 강한 기분나쁜 말입니다.

하지만 나 정도 나이에도 비국민이라는 말의 아픔과 난감함은 잘 모르죠.

전쟁물 정도를 보고 비국민이라는 낙인을 찍을때의 공포같은 것은 상상만 하지 실감은 잘 몰라요.

그런데 바로 전에 비슷한 기운을 느꼈습니다.

뭘까요?

도쿄 올림픽이 결정된 날입니다.

그 일본이 들뜬 무드, 화려함 일색의 분위기를 느꼈을 적에 이 올림픽에 반대하면 비국민이 되겠구나.

그런것의 몇 곱절의 배척감, 소위 따돌림이라는게 전시의 비국민이라는 말에 있었겠지하고 실감했어요.

바로 말하면 나는 도쿄 올림픽에 찬성하지 않아요. 20년 안에 동일본 대지진 정도의 지진이 있을지도 모르고, 후쿠시마의 원전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을테니까요.

하지만 그런걸 무심결에라도 말해버리면 비국민이라고 규탄받을 것은 확실하죠.

즉, 여론이 이렇게나 달아올라 버리면 그것에 대해 조금이라도 이견을 들고 나오는 사람에 대해 격한 비난은 구실조차 필요하지 않겠죠.

자신이 바람이 이루어지는 일이란 비판없이 받아들이고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철저히 배제한다. 이런 군집심리는 확실히 있고, 특히나 지금은 인터넷이 그 무대가 되었기에 질이 나빠요.

익명성이라는 방어막 안에서 화장실의 낙서 기분으로 그러한 일을 하니까 제어하는 효과가 없는것이죠. 참으로 곤란한 것입니다.

길고도 길게 말했던 건, 지금부터

비국민이라 불리게 되겠지


----------------------------
일본 사회도 그렇겠지만 이런 부분에서 한국도 마찬가지일 껍니다. 물론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죠.
결국 대중 일반이 원하지 않는 말을 하는 건 많은 용기기 필요하고 우리는 대부분 자기검열로 넘어가죠.

민감한 부분에서 우리는 꼭 한가지를 붙이죠.
[~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이게 상당히 무서운 분위기인데 대중들은 이런 것에 대한 생각을 안하고 있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죠 노조미
13/10/17 22:52
수정 아이콘
번역된 부분만 봤는데, 인상 깊었습니다.
본문처럼 민감한 부분을 얘기할때, 말을 삼키거나 단서를 달아버리곤 하네요.
Liberalist
13/10/17 23:04
수정 아이콘
토미노 옹의 비국민에 대한 언급, 참으로 공감합니다.
13/10/17 23:06
수정 아이콘
한국도 그렇죠. 황우석때도 그렇고(그놈의 구긱) 디워때도 그렇고. 최근의 경험으론 여대생강간살인 미제사건에서 어디사람이었더라 기억은 안나는데 동남아였나 흑인이었나 그랬을겁니다. 피의자가 결백을 주장하면서 분명히 기사만 보면 피고측에서 조리있게 반론을 했는데도 무슨 깜둥이라느니 안봐도 범인일게 뻔하다느니 하는 리플을 보고 최소한 1심은 기다리자는 의견을 내니까 비공감 폭탄에 욕이 달리더군요.
13/10/17 23:09
수정 아이콘
스포츠도 마찬가지에요. 남아공 월드컵때 술집에서 밤새 응원하는데 앞에서 실컷 떠들던 얼굴도 기억 안나는 동창놈이 한국이 골 먹히니까 별로 안타까워하지도 않고 환호도 안 보냈다고 시비를 터는데 어이가 없어요. 그때야 한국 응원했지만 요즘은 대놓고 말하는데 국대 축구만 하면 지길 바라며 보지도 않습니다. 기성용 꼴보기 싫음. 박주영이 국대승선이라도 하면 더 그럴거같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3/10/17 23:18
수정 아이콘
나에게 축구를 싫어할 자유를 달라라는 글이 생각나네요
Judas Pain
13/10/18 00:57
수정 아이콘
진중권에 대해서 종종 회의가 들면서도 그래도 그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 비국민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기 지식체계 하에서의 신념을 굽히지 않으며 대중과 싸웠기 때문이었지요. 사실 몇몇의 경우는 싸움도 아니고 전쟁이었죠.

한국에서 진중권 보다 똑똑하고 학문적 깊이가 있는 지식인은 넘쳐나겠지만 진중권보다 강인한 지식인은 별로 없을 겁니다.
구밀복검
13/10/18 01:11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곤조와 강단이 있죠. 누구든지 그저 다른이들의 기분을 거스를 경우 손가락질 받을지 모른다는 강박에 짓눌리게 되면, 글을 쓸 때 자기만의 의견을 자신있게 내놓을 수가 없게 되기 마련이죠. 어디 남산이나 청와대 가서 검열 받는 건 아니지만, 자기 자신이 자기 글을 검열하게 되니까요. "이렇게 말하면 욕 먹지 않을까? 다굴 맞을 거 같은데.. 그렇다고 내 말이 틀린 게 있나 뭐 슈밤 ㅠㅠ."

그러면 그순간부터 발화자는 자기 의견이 있을 수가 없게 됩니다. 대중들의 생각만 있죠. 그것도 진짜 대중들의 생각이 아니라, 자신이 상상한 가상의 대중들의 통념만 남게 됩니다. 그러면 대중들이 발화자의 의견을 접하게 될 때 만나게 되는 것은, 발화자의 의견이 아니라 엉뚱하게도 <발화자가 머릿속으로 상상한 가상의 대중들의 틀에 박힌 생각>이 되죠. 가상의 존재와 의미있는 커뮤니케이션이 될 리가 없고, 자연히 그 어떤 주장을 접해도 허무함만 느껴집니다. 어떤 말이든 사탕발림 같고 말이죠. 한 번 분위기가 그렇게 되면 장기적으로는 언로가 막히게 되죠.

이점에서 누가 뭐라고 하든 자기고집대로 의견을 굽히지 않는 진중권의 가치는 말씀대로 특별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비판받을 부분이 없잖아 있고 호오가 크게 갈리기는 합니다만, 여러 모로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이라고 봅니다. 조동관 약전에서 조동관이 사라진다면 그 마을에는 어떠한 에피소드도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죠.
Judas Pain
13/10/18 01:4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지식인 중에서 그런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오늘날 한국에서 지식인이 무력해지고 대중에게 경멸을 받게 되었다고 봅니다.
포프의대모험
13/10/18 01:38
수정 아이콘
신념의 강인함이라는 부분에서도 진중권보다 뛰어난 사람은 얼마든지 있어요. 진중권이 책팔고 강의하면서 지식인으로써 쌓은 권위가 그 신뢰성을 담보했기때문에 이제까지 해온 발언들이 대중에게 영향력을 끼친건데, 자기가 '틀린' 순간에 부리는 강짜는 신념이 아니죠. 거기서 점수를 많이 깎였고 이제 대중들이 그를 바라보는 눈이 예전같지는 않죠.
Judas Pain
13/10/18 01:51
수정 아이콘
제가 강인하다고 하는 것은 신념의 굳음 자체가 아니라 대중과 말과 글로 싸우면서 버티는 강인함입니다.

진중권이 대중에게 명성을 얻은 과정을 돌이켜보면 그가 미학오디세이나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 등으로 그 학문적 권위가 인정을 받고 다시 이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얻었다기 보다는(애초에 교양도서기도 하고), 조독마나 안티조선이나 디워사태 등에서 대중과 싸우는 과정의 현란한 말놀림과 야비한 논리력으로 영향력을 얻었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그와 싸운 대중들의 다수가 오딧세이를 읽어본 사람들이라고 볼수도 없고 오딧세이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도 보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대중에게 진중권의 지적(?) 권위라면 차라리 서울대 출신이라는 학벌이 더 크지 않았을까 합니다.

진중권이 지금 위기라는 건 동의합니다.
포프의대모험
13/10/18 01:59
수정 아이콘
키보드력과 멘탈이 튼튼하다는 의미라면 저도 생각이 같은데, 솔직히 진중권이 [진거사(40세, 무직)] 같은 직함을 걸고 활동했으면 서울대 학생증을 인증하고 '나 똑똑하거든'을 아무리 외쳐도 디씨 xx갤 키배러 누구누구 이상 가기는 힘들었을거라고 봅니다
Judas Pain
13/10/18 02:08
수정 아이콘
서울대 출신처럼 단체나 직함이 주는 권위지 지식인 고유의 지적 권위는 아닌 것 같고 그 자체로 설득력을 갖기는 어렵다고 보지만
강사-교수라는 타이틀도 좋은 방패기는 했을 것 같습니다.
구밀복검
13/10/18 01:06
수정 아이콘
비국민에 대한 일본사회의 폭력을 다룬 만화로 마츠오 시오리의 <하늘과 바다 사이>와 <에덴의 벚꽂>이 있죠. 비국민이 나오는 건 아니지만 <반딧불의 묘>도 같은 궤의 작품이고요.
비참한하늘이빛나
13/10/18 01:31
수정 아이콘
초기 건담 감독님이군요.
어강됴리
13/10/18 01:52
수정 아이콘
약발 떨어질때마다 등장인물 하나씩 골로보낸다던 감독님..
영원한초보
13/10/18 01:53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는 도쿄 올림픽 반대하면 비국민 되나요?
현재 후쿠시마와 경제 상황때문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꽤 높지 않나요?
한국의 경우 평창올림픽이 있을텐데 여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많이하죠.
물론 강원도민들이 그런 말하는 사람 싫어할 수도 있고요.
비내리는숲
13/10/18 02:16
수정 아이콘
저는 축구를 싫어합니다. 다른 사람이 즐기는 것은 즐기는 것이고 그걸 저한테 강요한다는건 분명 다른 문제니까요.
이런 제가 가장 충격이었던 경험이 2002년 월드컵이었습니다. 그때 단지 축구를 보지 않고 박수를 치지 않고 응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애국심'부터 시작해서 '오노같은 xx'란 표현까지 들어야 했으니까요.
저한테 애국심 운운했던 친구와는 지금도 사이가 안좋습니다. 제가 화가 나서
'난 투쟁판에서 애국을 부르짖었다. 그렇다고 다른 사람의 애국심을 의심한 적은 한 번도 없는데 축구 안본다고 애국심을 의심받아야 하느냐.'
라고 쏘아붙이고 자리가 끝나고 나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네요.
윗 글을 보니 문득 생각이 나는군요. 모두가 들뜨고 모두가 즐거운데 단지 들떠하지 않고 즐거워하지 않았다고 역적 취급을 받았던 그 기억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91 [일반] [연재] 빼앗긴 자들 - 27 [5] 가브리엘대천사1368 15/03/27 1368 0
55046 [일반] [스포주의] WWE 서바이버 시리즈 2014 최종 확정 대진표 [17] SHIELD5787 14/11/23 5787 1
54600 [일반] 내가 영원히 기억할 신해철 노래 Best 20 [29] 리콜한방18025 14/10/30 18025 9
54179 [일반] 삼국지 뒷이야기 - 비수대전 [13] Love&Hate15797 14/10/07 15797 10
53910 [일반] 여야 대권주자 22인 한줄평 화제 "유승민은 여권의 히든카드" "안희정, 영민한 정치 아이돌" [32] 새강이7878 14/09/21 7878 0
53346 [일반] 지니어스 시즌3에서 바라는점 [23] 모리모5401 14/08/22 5401 1
51428 [일반] 정부대책 정말로 괜찮은걸까? [23] 분수4686 14/04/30 4686 0
48806 [일반] 더 지니어스 3화의 1등공신 노홍철.... [34] Duvet8502 13/12/23 8502 4
48786 [일반] 지니어스 게임. 2~3화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 [93] Leeka6325 13/12/23 6325 1
48785 [일반] 지극히 주관적인 포지션별 역대 한화이글스 올스타 [53] 민머리요정5909 13/12/23 5909 1
48762 [일반] 더 지니어스 게임 3화 리뷰 [97] Leeka8170 13/12/22 8170 2
48127 [일반] [정모후기] I had a gay time. Did you? [7] 王天君4020 13/12/01 4020 1
47133 [일반] 애니메이션 감독 토미노 옹의 글 [17] 요정 칼괴기4567 13/10/17 4567 3
46827 [일반] 산케이신문 사설 [151] 드롭박스8342 13/10/04 8342 2
46786 [일반] 운명을 지배하는 인간, 운명 앞에 쓰러지다 - 워털루 1815 (1) [9] 신불해8404 13/10/01 8404 12
46266 [일반] 한겨레의 이중성? [81] 절름발이이리8304 13/09/02 8304 5
45198 [일반] 전지적 시청자 시점에서 찾아본 지니어스 게임의 전략들 [9] Smirnoff6343 13/07/14 6343 0
44841 [일반] 잉글랜드에서 가장 쪽 팔렸던 왕 – 헨리 6세 [6] Neandertal7439 13/06/27 7439 2
44704 [일반] 강희제 이야기(10) ─ 바다의 사람들 [5] 신불해5446 13/06/23 5446 12
44516 [일반] 더 지니어스 게임 좀 이야기 해봅시다. (아 답답하다) [144] 王天君10645 13/06/15 10645 1
44439 [일반] 지니어스 게임 프로그램의 문제점, 캐릭터 평가. [135] 사악군10211 13/06/12 10211 0
43555 [일반] 더 지니어스 : 게임의 법칙 3회 게임 내용 [33] 한국화약주식회사6071 13/05/04 6071 0
42960 [일반] 우리 역사의 숨겨진 진실 [49] 눈시BBbr12190 13/04/01 121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