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5/17 14:35:13
Name 칭다오
Subject [일반] 외장하드가 죽었습니다.
저와같은 실수를 하지 마시라고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용어는 잘 생각이 안나 대충 적었으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트북 하드를 120기가 ssd로 바꾸고 부족한 공간을 외장하드로 보충해서 사용했습니다.
회사의 업무용 파일들을 외장하드에 저장하고 퇴근할 때는 외장하드만 가지고 퇴근해서 급할때 집에서도 업무를 봐서 아주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늘 사용하다보니 귀찮아서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막 뽑고 막 꽂아서 사용했습니다.

어제 오전에 갑자기 외장하드가 느려지더군요.
뽑아서 다시 끼워도 여전히 느렸습니다.
혹시 바이러스인가 싶어 바이러스 체크 하고 다시 꽂아 평소처럼 "그냥사용" 하지않고 "체크하고 사용"을 눌렀습니다.
"사라진 파일은 보관폴더에서 볼수 있어요" 라는 친절한 안내가 나오더니 다시 빨라졌습니다.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 자세히 살펴 봤더니 폴더 하나가 통채로 없어졌습니다.
부랴부랴 보안폴더안보기를 해제하고 봤더니 FOUND.000이라는 폴더가 하나 생겼더군요..
안에는 파일이 전부 "found.001.chk" 이런 식으로 바꼈습니다.
열리지 않아서 원래 어떤 파일인지 알 수도 없었죠..

일단 남아 있는 다른 자료를 전부 백업하고 바껴버린 회사파일들을 살릴 방법을 찾았지만 제힘으로는 무리라고 판단되더군요.
네이버에 많이 물어봤는데 의외로 이런 경우가 많더라구요..
부랴부랴 데이터 복구 전문가에게 들고 갔습니다. 하드에 베드섹터가 많이 생겼고 얼마나 살릴지 모르겠고 한 20만원 나올거라네요..
결국 오늘 아침에 외장 하드를 맡기고 울면서 돌아왔습니다.
부디 중요한 파일들은 살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여기서 팁들어갑니다.
중요한 자료는 꼭 백업하세요.. 저처럼 후회하지 마시고..
외장하드나 usb 메모리나 배드섹터가 생기면 파일이 이유없이 안열린다거나 실행이 느려집니다. 이때 당황하지 마시고 일단 백업부터 받으세요.
느려도 침착하게 백업 받으시면 저처럼 나중에 고생 안하십니다.

중국이라 더 대처라 어려웠습니다.
지금 맡긴 전문가가 얼마나 데이터를 잘 살려 줄지 걱정입니다.
하필 제일 자주 사용하는 업무폴더가 사라져서 지금도 맨붕중입니다.
여러분은 부디 저처럼 백업안하셔 고생 안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5/17 14:56
수정 아이콘
백업의 생활화는 필수고, 요즘엔 클라우드에다가도 많이들 백업 및 공유하시지 않나요? 물리적인 백업은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스테비아
13/05/17 15:05
수정 아이콘
저는 외장하드 두 개 다 무슨 바이러스를 먹었는지 폴더가 죄다 바로가기 파일이고 진짜 폴더는 안보여서 검색해서 써요 ㅠ.ㅠ
13/05/17 15:28
수정 아이콘
시작 실행 cmd 하셔서 콘솔 쉘 여시고
외장하드 드라이브 루트에 가셔서
attrib -r -s -h +a *.* /s 치시면 아마 파일 및 폴더가 보이실겁니다. 백신으로 꼭 바이러스 체크 해주시구요..
射殺巫女浅間
13/05/17 16:30
수정 아이콘
컴퓨터 완전히 꺼진 다음 외장하드 제거해도 괜찮나요? 안전하게 제거 누르면 사용중이라고 튕길때가 많아서 자주 그러는데
짱구 !!
13/05/17 16:42
수정 아이콘
저도 자주 그러는데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어디서 듣기로는 종료시 usb접속을 모두 해제하기때문에 상관없다고 하더라고요.
감자해커
13/05/17 18:46
수정 아이콘
컴퓨터 종료되면 외부 usb장치랑 소프트적인 연결은 종료가 되는데, 전원은 바이오스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컴퓨터 종료 시에도 usb전원 계속 공급하는 설정이 되어 있으면 외장하드에 계속 전원공급되서 제품에 따라 하드가 계속 돌아가는 상태일 수도 있어요.

설정은 보통 보드마다 다른데, s1, s3 옵션 건드리면 될겁니다.

참고로, 외장하드는 꼭 오른쪽 아래에 하드웨어 안전제거로 제거 한 후에 뽑으세요.
전 안전제거 하고 외장하드 전원 꺼질 때 까지 기다린 후에 뽑습니다. usb도 이렇게 하는게 좋습니다.
문재인
13/05/17 17:18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를 적극적으로 쓰세요. 하드 믿다 새 된 경우를 하도 많이봐서 ㅜㅜ
JimmyPage
13/05/17 18:02
수정 아이콘
전 썩었나 봅니다... 외장하드의 중요한 파일....
Epilogue
13/05/17 19:10
수정 아이콘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가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인 과정이라면 굳이 매번 윈도우에서 표시하지 않겠죠.
지니-_-V
13/05/17 20:37
수정 아이콘
저는 야구동영상이 주기 때문에..

외장하드가 죽어도 그냥 새로 받으면 됩니다 (응?)
골수KT팬
13/05/17 22:07
수정 아이콘
전 대략적으로 품번을 알고, 제 뇌에 저장을 하기때문에 다시 복원합니다(응?)
이즈리얼
13/05/17 22:58
수정 아이콘
클라우딩 서비스는 만약을 대비하라고 만든겁니다 여러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982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류현진 밀워키전 하이라이트) [6] 김치찌개6019 13/05/24 6019 0
43981 [일반] 영화 찍다 보면 그럴 수 있어...형은 다 이해해... [43] Neandertal9618 13/05/24 9618 1
43980 [일반] [열다섯번째 소개] 유령 인명구조대 [14] par333k5831 13/05/23 5831 0
43979 [일반] 불교에 관한 몇가지 오해.. [82] 글장8679 13/05/23 8679 9
43978 [일반] 타바코 [8] 선비5233 13/05/23 5233 1
43977 [일반] 오늘의 축구 소식 [7] ㈜스틸야드5921 13/05/23 5921 1
43976 [일반] 아, 돈만 줘바...못 만들긴 왜 못 만들어?... [43] Neandertal8652 13/05/23 8652 0
43975 [일반]  [야구] 최고가 아니었던 최고. 무관의 제왕, 한용덕 [15] 민머리요정7654 13/05/23 7654 13
43974 [일반] 탐욕과 오만(끝) 제리화 [13] 후추통8573 13/05/23 8573 3
43973 [일반] 박재범/빅스/이효리의 뮤직비디오와 투개월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4] 효연짱팬세우실6143 13/05/23 6143 0
43972 [일반] 외모 콤플렉스 때문에 너무 힘드네요. [51] 삭제됨9942 13/05/23 9942 0
43971 [일반] [오피셜] 말라가 마누엘 페예그리니 감독 사임 [13] 반니스텔루이5541 13/05/23 5541 0
43970 [일반] 오늘은 장례식 내일은 결혼식 [35] 떴다!럭키맨8341 13/05/23 8341 17
43969 [일반] 자유 의지와 영혼과 자아와 뇌. 우리는 기계인가? [123] OrBef16383 13/05/23 16383 12
43968 [일반] 연애학을 가르쳐준 누나 - 옷편 [18] 아와비아6827 13/05/23 6827 1
43967 [일반] 즐겨 들었던 미국 밴드의 앨범들을 몇개 소개합니다. [10] 애플보요4177 13/05/23 4177 1
43966 [일반] 이정도면 고백해도 괜찮을까요? 후기! [114] [god]휘우8429 13/05/23 8429 6
43963 [일반] 야구의 불문율과 위협구 [122] 삼먁삼보리8006 13/05/22 8006 4
43962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다르빗슈 6이닝 1실점 5안타 3볼넷) [5] 김치찌개5280 13/05/22 5280 0
43961 [일반] [해축] 수요일의 bbc 가십... [27] pioren4753 13/05/22 4753 0
43960 [일반] [KBS스페셜] 잘 늙는 법 - 아흔살 청춘의 비밀 [7] 김치찌개5697 13/05/22 5697 2
43959 [일반] 사진 100장으로 보는 격동의 한국 현대사 [15] 김치찌개5709 13/05/22 5709 0
43958 [일반] 올 여름 가장 기대하고 있는 영화는 무엇입니까? [37] Neandertal7247 13/05/22 72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