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4/25 16:48:51
Name 영원이란
Subject [일반] 금융앱스토어를 아십니까? (추가)
저는 피지알에서 거의 활동하지 않는 눈팅족이오나, 최근에 재미있는 일이 있어서 글쓰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다음 링크를 봐주세요.

http://finance.daum.net/rich/news/finance/main/MD20130422104411268.daum

최근에 각종 악성코드 및 피싱앱이 문제가 되자 금융감독원에서 통합앱스토어를 만들어서 금융앱을 안전하게 관리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얼핏 보면 좋아보이죠, 그런데 이 방식이 오히려 더 안전하지 않을 수 않다고 오픈웹 김기창 교수님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다음 링크를 봐주세요.

http://opennet.or.kr/2007

내용을 보시면 알겠지만 은행앱을 안전하게 받고 자, 스마트폰의 보안 설정을 낮추라는 아이러니를 지적하고 있죠. 또한 최근의 은행 보안카드 사고처럼 피싱사이트가 등장하지 말라는 법도 없습니다. 저 포스팅의 리플을 보시면 알겠지만 실제로 피싱사이트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http://www.flneapps.co.kr/ 라는 예제(?) 피싱 사이트가 이미 등장했죠. 저 피싱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http://www.flneapps.co.kr/download.html 페이지로 연결 됩니다. (실제로 다운로드는 하지 않고 정부 당국의 보안 정책을 비꼬는 내용의 페이지입니다.)

그러자, 금감원에서도 위험성을 인지하고 대책을 내어놓겠다고 합니다.

http://www.etnews.com/news/computing/security/2755567_1477.html

그런데 대책이라는 내용이.. 스마트폰 출시시 금용앱스토어를 내장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모든 스마트폰에 앱을 내장할 수는 없는 만큼, 저런 대책은 언 발의 오줌 누기식 대처죠.

사실 김기창 교수님의 지적처럼 공인인증서나 기타 여러가지 보안 수단이라고 내어놓는 것들이 사실 '보안쇼' 라고 하는 내용에 많이 공감이 갑니다.
피지알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추가 금융위원회에서 해명(?) 을 내어 놓았습니다.

http://blog.naver.com/blogfsc/50170148261

해명 내용도 가관이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4/25 16:54
수정 아이콘
공무원 마인드에서 나오는 개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절름발이이리
13/04/25 16:56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독점을 막아 시장 건정성을 증진시키려는 정부의 깊은 의지입니다 존중해주시죠
허저비
13/04/25 17:02
수정 아이콘
이렇게 좀비 어플 하나 또 추가요
하루빨리
13/04/25 17:11
수정 아이콘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아이폰 점유율을 걱정하신 금감원 수뇌부들의 고심어린 결정입니다. 존중해주시죠.
KalStyner
13/04/25 17:14
수정 아이콘
저 서버가 털리느냐 vs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털리느냐.
13/04/25 17:16
수정 아이콘
문제가 많죠, 금융 앱스토어 훼이크인 fLneapps.co.kr 을 통해 상황의 심각성을 알렸더니.. 주소 확인하라는 뻘 멘트나 달아놓고..

마켓을 통해 앱이 공급되는건, 구글이 책임지고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필요한 악용의 권한활용을 거의 막아두는 상태인건데, KB만 해도 자체 사이트를 통한 다운로드 배포를 합니다. 구글을 거쳐서 검수받고 하기에 찜찜한 뭔가가 있는거라고밖에 말을 할수가 없는거죠..

항상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은 공인인증서 자체가 갈라파고스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https를 활용하면서 인증을 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플러그인이 없어도 되는 상황인데, ActiveX를 이용해서 혹은 윈도우용 특정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시켜서 플러그인을 작동시켜 공인인증서를 강제로 돌아가게 한다는 점입니다.

거기다 NPKI폴더만 접근해서 빼낼수 있으면 공인인증서는 언제나 빼갈 수 있다는 취약점도 존재하죠, 뭐 백업이나 다중으로 사용할때 편리하기도 하지만..

당국의 법규, 보안쪽 상황에서 진두지휘를 하는 학교에서 자기들 밥줄 챙기기(교수가 학생들 취업내보내는데 있어...), 그 법규를 통해 이득을 챙기는(대표적으로 I사의 n....)의 삼위일체가 아주 그냥 안드로메다로 보내고 있습니다.

그렇게 불안한 보안이면, 애플과 구글에서 앱스토어 결제는 어떻게 하고 있는건지.. 해외에서 그렇게 잘 되는 페이팔은 인증서 없이도 굴러가는지.. 여전히 답이 없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한국의 공인인증서는 속칭 족보가 없습니다.... 해외에서 이 인증서를 발급해준 기관이 인증서를 발급하는 기관이다라고 인증을 못해줍니다. ...
13/04/25 17:21
수정 아이콘
코미디가 따로없죠 크크크크크
우리은행은 그런면에서 참 모범적인 기업이에요...
영원이란
13/04/25 17:2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우리은행도 은행앱 마켓에 안 안 올리고 자체적으로 다운 받아서 apk로 설치한다는건 함정..
13/04/25 17:25
수정 아이콘
헉 진짜에요? 구글플레이에 있길래 안심했는데...
영원이란
13/04/25 17:27
수정 아이콘
아 바꼈나 보네요. 1년전 정도까지만 해도 apk로 설치했거든요. 이제는 플레이 스토어에 올라오네요.
13/04/25 17:24
수정 아이콘
하지만 새롭게 태어난 우리은행 인터넷 뱅킹은 새로운 ActiveX를 또 깔게 했습니다.. 크크크..
13/04/25 17:26
수정 아이콘
전 표준 브라우저 지원해주는것만 해도 감지덕지라서 크크
13/04/25 17:29
수정 아이콘
크롬으로 KB쓰고 있는데, 여기도 플러그인 결국엔 다 있더라구요..

chrome://plugins 쳐보면.. 어휴.. ㅠ.ㅠ
13/04/25 17:29
수정 아이콘
전 은행가서 하는게 편하고 인증서 어떻게 만드는지도 모르고요.
그래서 30만원이상 물건을 살 수 없어서 과소비를 안합니다. 응?
13/04/25 17:30
수정 아이콘
30만원 이하도 인증서 먹인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마당입니다.. 크크크..
13/04/25 17:31
수정 아이콘
허걱!! 정말요???? 진심으로 카드 쓸일이 기름 넣는거 빼고 없어지는군요;;;
영원이란
13/04/25 17:36
수정 아이콘
글 내용과는 약간 동떨어지지만 또 하나 웃긴 정책중 하나가 루팅폰에서 금융거래를 막는건데, 보안 위협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루팅폰에서 금융거래를 막기 때문에 루팅폰 사용자는 루팅 상태에서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여러가지 우회 방법을 찾아다니게 되죠. 실제로 찾아보면 변형앱도 많이 돌아다닙니다. 문제는 이게 루팅 자체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것이죠.
저러한 정책이 일관성을 가질려면, 윈도우 비스타 이상에서 UAC가 해제되어 있으면 금융 거래도 되지 않아야 하고 리눅스에서도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 되어 있으면 금융 거래가 불가능 해야죠. 그런데 금융권에서는 소위 '보안 프로그램' 때문에 PC환경에서는 오히려 UAC 해제를 권장하고 있죠. 한쪽은 보안 장치를 해제해야 하라 하고, 한쪽은 보안 장치 풀었으니 보안 문제 때문에 거래 막는다고 하고, 일관성이 전혀 없는 정책이죠.
참 UAC가 뭐냐면, 사용자 계정 컨트롤이라고 하고 윈도우 비스타 이상에서 실행되는 보안 장치입니다. UAC가 실행되어 있으면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무조건 사용자에게 묻게 되어 있습니다. UAC 활성화 만으로도 윈도우의 보안 위협은 대폭 줄어드는 아주 강력한 보안 장치죠. 조금 과장하자면 이걸 풀라는 건 스마트폰에서 루팅을 권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행위입니다.
13/04/25 17:40
수정 아이콘
근데 더 웃기는 사실은 저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게 되면 APK파일 이기때문에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APK를 설치하도록 보안옵션을 변경하게 됩니다. 이것 부터가 악의 시작이 되는거죠.. 이게 무슨 -_-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정작 PC에서는 루팅과 같이 모든 권한을 쓸 수 있도록 풀어야 잘 돌아가게 해놨습니다 이건 또 무슨...
영원이란
13/04/25 17:43
수정 아이콘
사실 PC가 스마트폰과는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보안 위험성이 높은데 정작 PC는 잠금장치를 풀어라고 하니까.. 개그인거죠. 스마트폰은 루팅폰이라도 폰에 비밀번호를 저장해놓지 않는 이상 비밀번호까지 탈취하는건 쉽지 않은데 말이죠...
13/04/25 18:05
수정 아이콘
그와중에 금융 앱스토어 관련해서 또 하나 올라온게 있네요...
http://opennet.or.kr/2200

피싱은 모든 인터넷 사이트들이 당하고 있다, 구글에 등록하려 했으나 거부당했다..... 도대체 뭘 심으면 거부를 당하나 -_-
영원이란
13/04/25 18:14
수정 아이콘
스토어 형식 앱이기 때문이죠. 이런 앱들은 구글 정책상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그나저나 해명도 가관이군요.. 특히 이부분.

앱 설치시 "알 수 없는 출처" 체크 관련해서는 안드로이드 OS는 "구글Play" 이외에서도 다른 경로(알수 없는 출처)를 통하여 앱 다운로드를 허용하고 있으며 보안이 강화된 스토어를 만들어 금융앱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사용고객이 환경설정 메뉴에서 "알 수 없는 출처" 다운로드 허용을 체크 하여야만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이에 금융앱스토어 앱 설치완료 후에 고객에게 "알 수 없는 출처" 허용체크를 해제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13/04/25 18:22
수정 아이콘
개발자의 테스트용이기도 한 부분인데.. 저걸 열어둔다는건 그냥 지옥이죠... 그나마 루팅 풀지 않고 쓰는 상태면 뭐.. 설치할때 권한 잘 체크하고 보는수밖에..
13/04/25 23:11
수정 아이콘
집에 도둑이 드는걸 막으려면 집 문을 열어두셔야합니다.. 이런 내용이네요 크크
KalStyner
13/04/25 18:42
수정 아이콘
각 은행사가 플레이스토어에 뱅킹앱 등록해 놓고, 금융앱 스토어는 해당 스토어 링크해주는 정도면 구글에서 거절하지도 않을 텐데 말이죠.
24시간 감시를 한다는 http://www.flneapps.co.kr 에서는 APK 제공이 아니라 스토어로 가는 링크 하나 넣으면 되는데..
아니면 알 수 없는 앱 체크 하지 말고 ADB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865 [일반] 조선 [34] 머스크9438 13/08/15 9438 40
45736 [일반] 신용등급 사이트 관련정보 공유합니다 [14] BRco7847 13/08/09 7847 8
45717 [일반] 여러분의 신용등급은 안녕 하십니까? (8등급 -> 1등급 후기) [27] Pray4u7684 13/08/08 7684 10
45611 [일반] 십일조 때문에 생긴 일 [89] 호가든10314 13/08/03 10314 1
45597 [일반] 커플/가족 사이의 프라이버시, 어디까지가 '선'일까. [45] 마네5915 13/08/02 5915 0
45478 [일반] 키코(KIKO)사태가 마무리 되어 갑니다. [18] 루치에10312 13/07/28 10312 5
45283 [일반] IT업계의 최하바닥... 유지보수 및 AS 업계 [20] 웅즈7442 13/07/18 7442 3
45158 [일반] [야구] 두산 외국인선수 교체 [18] giants6754 13/07/12 6754 0
44986 [일반] 주제 무리뉴의 편지 [36] 폴토마스앤더슨8649 13/07/04 8649 9
44815 [일반] 중국 역사의 공금 횡령 스케일 [14] 신불해9247 13/06/27 9247 5
44705 [일반] [역사] 조선후기 주막 네트워크, 그리고 1903년의 대한제국. [14] sungsik17965 13/06/23 17965 5
44678 [일반] 늦은밤 심란해서 잠이 안오네요...-_ㅠ [89] Eva01011543 13/06/22 11543 4
44594 [일반] 투덜투덜 거리는 여자를 좋아하시는 분 있나요? [41] Eva0109180 13/06/19 9180 0
44411 [일반] 청나라 건륭제, 사람들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제국을 쇠퇴시키다 [15] 신불해9594 13/06/11 9594 11
44335 [일반] 결혼이후, 원래 꿈을 찾는것에 대해 [13] 흰둥6184 13/06/07 6184 0
44317 [일반] 장어를 팔아서 일년에 2억을 벌어보자. [37] 헥스밤12564 13/06/06 12564 74
44171 [일반] [책 소개] 경제 민주화를 말하다 & 불평등의 대가 DarkSide5965 13/06/01 5965 1
44029 [일반] [책 소개] 박정희의 맨 얼굴 [29] DarkSide8617 13/05/26 8617 2
43997 [일반] 중국인에 대한 오해? 선입견들 [33] 드롭박스7269 13/05/25 7269 1
43944 [일반] 패스트치킨 전략에 대해. [54] Hypnosis7234 13/05/22 7234 5
43886 [일반] Dark Knight ( 2008 ) Review - Joker 를 중심으로 한 견해 [3] DarkSide8990 13/05/20 8990 2
43485 [일반] 1박2일 나홀로 서울 여행기 [24] 자판6426 13/04/30 6426 3
43409 [일반] 금융앱스토어를 아십니까? (추가) [24] 영원이란4973 13/04/25 49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