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3/09 20:54:50
Name 유라
Subject [일반] 방송3사 (KBS,SBS,MBC) 저작권 자료 게시 금지, 잘 보내고 계십니까?
이번주 가장 핫이슈 가운데 하나가 바로 방송3사의 자사 프로그램의 공유에 대한 경고입니다.
많은 이슈들이 있지만 컴퓨터를 주구장창하는 세대에게는 좀 중요한 이슈겠죠.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별로 공개적으로 할 수 없는 이야기가 바로 공유문제입니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컴퓨터가 더 최신 가전제품이라면 TV보다 더 편하게
방송을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죠.

최근 사람들의 생활패턴을 생각하면 예전보다 더 바쁘고 복잡하게 살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시청률이 안나오는 여러 이유가운데 하나가 바로 본방사수가 안되는 생활패턴이죠.
그리고 꼭 그걸 집착 할 필요가 없는게 TV도 ip티비 같은 서비스는 꼭 그 시간을 맞출 필요가 없으며
컴퓨터를 잘쓰면 그냥 다운을 받아보고 아니면 밖에서라도 dmb가 가능하니까요.

지금까지는 소위 공개토렌트 사이트에서 모든 종류의 동영상을 쉽게 받을 수 있었습니다.
불과 얼마전까지는 웹하드에서 돈을 주고 받았지만 이제는 그것도 없이 그냥 받고 있죠.
그리고 드디어 이런 방송자료들에 대해서 방송3사가 공개적으로 저작권 자료 금지에 대한 경고를 했고
유명 공개 토렌트 사이트를 보면 케이블 방송만 눈에 띄고 있습니다.

이 글이 단지 요즘의 생활 속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시청에 대한 이야기만 한다면 개인적으로는
꼭 보는 공중파 프로그램이 무한도전 하나기 때문에 정말 오랜만에 본방사수를 했습니다.
그래도 집에는 컴퓨터 보다 큰 화면의  TV가 있으니까요.

그리고 요즘 가장 많이 보는게 롤이라.. 그것도 온겜 말고 나겜 중심으로 전 방송사의 이러한 조치에
별다른 영향이 없는 주말입니다.



사실 저작관 문제는 파이어 될만한 주제도 아니라는 생각을 합니다.
당연히 법을 지켜야 편하게 이 세상이고 법은.... 그냥 안걸릴만큼만 적당히 이용을 하니까요.
다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무엇인가 가격을 지불하는 것에 익숙해지고 있고 무엇인가 관심이 가게 된다면
그것에 기꺼히 가격을 지불하리라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중요한 문제인데, 적절한 가격에 제대로 방송 콘텐츠를 판매 했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모든 방송 콘텐츠를 막론하고 말이죠. 나겜 이플렉스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서비스질이 좋았으면 하구요. 애플의 그것처럼 우리나라도 좀 좋은 환경이 필요하겠죠.
처음부터 자리잡긴 힘들겠지만 분명 달라진 생활패턴으로 인해서 이미 그런 플랫폼이 필요한 것을
생각하면 금지만 하는게 아니라 비지니스 모델을 좀 제대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공유를 못하게 한다고 실질적인 시청률이 오를까요?
전 오르고 싶어도 못 오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그럼 그 소비층을 잡아야 할텐데
방송국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아마도 사업성이 떨어져서 따로 안파나요?

* 착각한 내용이 있어서 추가하면 : 제가 생각했던 화질적인 측면이 나겜의 이플렉스에서 보는 그런 수준을 생각했습니다. 스트리밍으로 보는 것보다 유료로 다운을 받아보면 더 화질이 좋기에 화질을 생각하면 큰 메리트가 있죠. 분명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 사과를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3/09 20:55
수정 아이콘
하고 있는데요...

http://www.pooq.co.kr 만 가도.. SBS, MBC, KBS 3사의 주요 프로는 전부 실시간 / 다시보기 다 지원합니다... 월정액으로..

안드로이드앱으로도 다시보기/라이브/다운로드 다 되고요.. 아이폰은 곧 나온다는듯..
13/03/09 20:59
수정 아이콘
아.. 그 질을 말한건데 제가 거기 이용을 안해봐서 그런데 1080p급인가요?
13/03/09 21:02
수정 아이콘
1080p 급이라던가 하는 화질에 대한 이야기는 없지 않나요?.. 본문에..

화질 자체는 480~720 정도 선입니다.

전 몇달째 쓰고 있는데.. 만족하고 있네요.. 일반적인 TV 수준의 화질은 넘습니다. HD 수준은 아니지만.
13/03/09 21:03
수정 아이콘
아뇨, 제가 빼먹은 내용입니다. 롤을 보면서;;

제가 머리 속에서 생각한건 진짜 고화질이구나 하고 만족할만한 콘텐츠를 판매하냐 머 그런 생각이었습니다.
타블로장생
13/03/09 20:59
수정 아이콘
사실 이것을 왜 돈내고 받아야 하는지가 의문입니다.
저작권이 중요하다고는 하나 분명 애초에 티비로는 공짜로 볼 수 있는 방송인데 본방시간이 끝나면 돈내고 봐야 한다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심지어 kbs에는 방송수신료를 지불을 하고 있고요
그렇다고 저 방송3사에서 따로 방송을 판다고 하여도 그것을 고화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그건 또 아닐거 같고 말이죠
13/03/09 21:01
수정 아이콘
티비로는 공짜가 아니라 '광고를 보고' 보는거죠.

그리고 KBS1TV의 경우엔 홈페이지에서 무료 다시보기는 지원합니다. (수신료를 받는 문제덕에)
13/03/09 21:05
수정 아이콘
티비는 수신료 내고 보는거 아니었나요?
따로 돈을 내지 않아도 채널이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
13/03/09 21:11
수정 아이콘
SBS, MBC, KBS, EBS는 '안테나 설치하면 나오는 무료 방송입니다'

그 중에서도 실제 수신료는 KBS 1TV에 적용되는 방식이고요.. KBS 2TV는 수신료 없이 운영되기때문에 광고가 있습니다.

1TV는 수신료가 적용되기 때문에 2TV처럼 광고를 안하고요.



뭐 저게 원칙이고.. 사실 보통은 다 유선방송이나 지역케이블, qook TV등 가입해서 보죠..
13/03/09 21:2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저는 기본적으로 내는 수신료가 공중파에 다 내는건줄 알고있었네요. 이때까지.
13/03/09 21:02
수정 아이콘
어디서드라 그런 이야기를 하긴 하더군요. 수신료를 내는 문제를 말이죠.

수신료를 방송국에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잘 모르겠는데 그걸 감안하면 영화나 게임 음악 같은 그런 콘텐츠와는 또 다르게 볼 수 있겠네요.
13/03/09 22:27
수정 아이콘
광고를 보고 보는거기때문에 공짜가 아닙니다. 전제가 틀리셨죠.

다운받아서 볼 경우 소비자가 광고를 보는지 안보는지 알 수 없지 않습니까. 그렇다면 돈을 내고 봐야겠죠.
13/03/09 21:00
수정 아이콘
내용을 쓰다가 빼먹었는데 ;; 뭔가 대기업 다운? 그런 수준의 고퀄(동영상 스펙상)의 서비스가 필요하다? 머 그런 내용을 추가합니다.
13/03/09 21:01
수정 아이콘
pooq에서도 볼수있고 콘팅(www.conting.co.kr)에서 3사의 프로를 다운로드 받아볼수 있습니다. 화질은 개인에 따라 원하는 수준이 다르겠지만 저는 만족하고 있는 편이구요.
13/03/09 21:06
수정 아이콘
참 화질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눈이 굉장히 올라간 것 같습니다. 역시 고화질은 방송사에서 부담이 되려나
Neuschwanstein
13/03/09 21:06
수정 아이콘
TV로 내보내는 방송에는 광고가 붙죠. 엄연히 권리주장을 할 수 있는 재산입니다. 애초에 재산권 자체를 부정하는건 어불성설이라 더 이야기할 것도 없고

합법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질과 종류가 나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너무 불법에 익숙해져 있어서 잘 몰랐던것 뿐이죠(전혀 필요를 못느끼니까요). 이것도 딱히 반발할 핑계거리가 안돼고...

공짜로 편하게 잘 즐기다가 갑자기 막히면 당혹스럽긴 하지만(저도 마찬가지;) 그거야 속으로 투덜댈 일이지 당당하게 방송사 손가락질 할 건 못돼죠. 그건 좀 낯뜨거운 일이 아닐지..
13/03/09 21:08
수정 아이콘
저는 무도만 보다보니 전혀 당혹스럽진 않더군요 크크크 그냥 생각에... 혼자 집에서..... 머 할 일도 없는데 본방사수하자 ㅠㅠ
자기 사랑 둘
13/03/09 21:06
수정 아이콘
다른 방송국은 이해하겠는데
KBS는 글쎄요....
수신료 받지 않나요?.....
13/03/09 21:09
수정 아이콘
KBS는 방송국에 무료 다운로드 서비스를 요구해야 할까요? 아니면 KBS자료는 공유해도 머라 하지 말라고 하면 들어줄라나?
13/03/09 21:12
수정 아이콘
KBS 1TV는 수신료를 받기 때문에..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가 무료입니다.. 예전부터 그래왔어요..
13/03/09 21:14
수정 아이콘
아뇨 다시보기 말고 공유나 다운로드 이야기였습니다.
13/03/09 21:17
수정 아이콘
저작물에 대한 공유나 다운로드는 수신료여부와 상관없이 불법이죠.
13/03/09 21:09
수정 아이콘
토렌트나 웹하드로 다운받던 시절이 잘못된 것이었죠.
다른나라는 스포츠 경기 보려해도 ppv구입해서 봐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인터넷에서 생방으로 쉽게 찾아볼수 있는 환경이라는 점에서
전 소비자에게 참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예능프로그램 모아놓는걸 좋아해서 저도 예전에는 불법다운로드를 하다가 콘팅이 나오면서 콘팅으로 받고 요새는 pooq로 보는게 편해서 그렇게 보고 있는 편이죠
13/03/09 21:09
수정 아이콘
좀 더 들어가자면

pooq는 공중파 3사(그중에서도 MBC가 주도하에) 에서 진행하는 부분인 만큼.. MBC 프로는 케이블까지 다 포함되어 나오며
SBS와 KBS는 공중파 프로들을 볼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모두 제공하고.. 모바일로도 손쉽게 볼수있다는 장점이 있고 정액제라 저렴합니다.

콘팅은 다운로드형 서비스로는 현재 가장 수준이 좋고.. 3사 모두 지원하며 정액제 가격은 pooq보단 좀 더 높습니다.

그 외에도 qook TV와 같은 곳에 나가는 무료 다시보기/최신 다시보기 등의 경우에도 전부 방송국과 계약되어서 보는거에 비례해서 수익을 챙기고
해외에 방송 계약해서 송출해서 부가 수입도 올리고 있고.. 한 만큼 이미 여러 면에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고 있다고 봐도 될듯 합니다..
13/03/09 21:12
수정 아이콘
콘팅 서비스가 좋군요. 상당히 저렴해서 문제?가 되는 음원이랑 비교하면 동영상에 대한 수익성이 어떤지 궁금하네요.
13/03/09 21:15
수정 아이콘
수익성이 어느정돈지는.. 배분 비율에 따라 다르겠지만..

음원의 경우엔 '기본적으로 음원으로 돈을 벌어야 되는게 정상' 인데 돈을 못버는 상태라면...


방송은 사실 동영상 수익성은.. DVD 판매와 같이.. '+@' 로 버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미 메인인 TV 방송에서 수익은 다 채우죠)
그냥 +@를 버는 정도라고 보시면 될거 같네요..

그리고 시청률이 낮은데 다시보기는 많은 경우는.... 특별한 사건이 있지 않는한 없기 때문에.. 시청률 높은 방송이 +@도 정직하게 높죠.......
13/03/09 21:13
수정 아이콘
공영방송의 수신료는 상업자본에 재정이 의지하게 되면 광고주에 영향을 받고 정부 예산에 의존하면 정치적 독립성이 파괴되기 때문에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된다고 하는군요.
그걸로 볼때 수신료를 냈다고 해서 그 프로그램들을 다 무료로 봐야해 라는 것과는 다른거 같네요.
13/03/09 21:15
수정 아이콘
아 정치적 독립성이라... 취지와는 다르게 제가 느끼는 느낌은 조금 서글프네요.
13/03/09 21:1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수신료의 경우 TV가 없는분들은 전화해서 빼달라고 하면 뺄수 있지요. 저도 원룸사는지라 TV가 필요없어서 전화하나 바로 빼주더군요.
위원장
13/03/09 21:16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콘팅에서 다운 받아서 보고 있었습니다. 화질이 낮다는 느낌 받아본 적 없는데...
절름발이이리
13/03/09 21:52
수정 아이콘
지금정도면, 방송국이 할 만큼 하고있다고 봐도 과언은 아닙니다.
거믄별
13/03/09 21:59
수정 아이콘
미드때문에 토렌트 사이트를 들어가니 공지로 올라왔더군요.
오래전부터 국내 컨텐츠는 본방사수가 먼저였고 본방을 놓치면 케이블 재방이 있어서 토렌트를 이용할 일이 없어서 불편함을 못 느끼고 있었습니다.
거기에 몇몇 인기 컨텐츠는 웹하드에서 반값이나 90%할인 등으로 싼 가격에 굿다운로드를 이용할 수 있죠.
프리템포
13/03/09 22:29
수정 아이콘
뒤에서 또 돌기야 하겠지만 많이 없어지겠네요..
달리자달리자
13/03/09 22:34
수정 아이콘
토렌트 막혀서 불편한 분들께는 개인적으로 IPTV 가입을 추천합니다. 방송국 3사 프로그램 같은경우는 거의 100% 다시보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어쩌다가 지원안하는 프로그램이 있긴 합니다만, 극히 드물고요.

1주일 지나면 무료로 HD방송도 볼 수 있으니 괜찮은 방법입니다.
엘롯기
13/03/09 22:36
수정 아이콘
완전히 다 막지는 못하겠죠.
찾을려면 찾을수 있습니다.
jjohny=Kuma
13/03/09 22:37
수정 아이콘
대신 그 이용자수가 현격히 줄어들겠죠. 잘 하는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토렌트의 특성상 이용자수가 줄어들수록 남아 있는 이용자들의 이용도 불편해질 스 있겠구요.)

아니 사실 아직도 놔두고 있었다는 사실이 더 놀랍습니다. 오히려 조치가 늦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ST_PartinG
13/03/09 22:41
수정 아이콘
유료로 다운받는게 합법인건 알지만 700원이 아깝다고 느껴지는건 어쩔수없네요
jjohny=Kuma
13/03/09 22:45
수정 아이콘
http://www.pooq.co.kr/Product/ProductMain.html
http://conting.conpia.com/buy/ticket_info.html
정액권 등을 이용하시면 훨씬 싼 값에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johny=Kuma
13/03/09 22:53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1080i급 화질을 제공하려면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의 부담이 어마어마할 겁니다.
매주 쏟아지는 방송의 양도 어마어마할텐데 그걸 다 1080i로 제공하려면 그 순간부터 지금의 몇 배가 되는 부담이 걸리는 거죠.
(그걸 저장해놓는 공간도 몇 배나 필요할 것이고 트래픽도 엄청나게 늘어날 거고)

그렇게 되려면 현재 편당 700원인 이용가격(과 이용권 가격)이 올라가거나 혹은 1080i만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모델이 나와야 하지 싶습니다.
Tristana
13/03/09 23:43
수정 아이콘
전 pooq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벤트 당첨되서 미스터피자도 먹었다는..
13/03/10 00:42
수정 아이콘
합법적 구매/다운 플랫폼이 구축된 마당에 당연한 조치라고 봅니다. 이런 플랫폼들이 홍보가 아직 덜된건 아쉽습니다만
13/03/10 07:36
수정 아이콘
KBS는 무료로 다시보기 하고 있고, MBC와 SBS는 다운을 받아서 보고 있습니다만, 가격이 쎄다고 느끼는 건 사실입니다.
과거에는 월정액 결제로 봤는데, 보는 프로그램이 점점 줄다보니 어느 순간 정액결제를 하는 게 더 비싸지는 순간이 오더군요.(지금은 다시 정액결제가 싸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작년 MBC 파업을 기점으로 이제 런닝맨과 무한도전, 1박2일과 해피투게더만 보고 있습니다. KBS는 뭐 2주안에만 보면 무료니까...

광고가 있고, 광고가 있으니 무료로 보는 거다라는 것은 어느정도 공감합니다만, 마냥 옳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KBS는 2주간 무료에 동영상을 다시보면 '광고'가 나오고, MBC와 SBS의 경우 교양프로그램들은 무료거든요. 교양프로그램들은 광고없이 제작되는 것도 아닐 것이구요.
결국 돈이 되는 걸 돈 받고 판다는 건데, 그러기에는 좀 과하게 비싼 느낌입니다. 게다가 지금까지도 품질과 상관없이 동일한 가격을 받고 있죠. 저작권 개념이 판매자가 물건을 파는 가격까지 결정하는 개념이라고는 보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저작권료는 원천징수하고, 거기에 더해서 품질에 따라 가격을 더 받는 형태가 되야죠.(예를들어서 1메가당 1원이라고 칠 경우, 저작권자는 500원을 원천징수하고, 여기에 1메가당 1원을 덧붙이는 형태로요.)
Love&Hate
13/03/11 00:19
수정 아이콘
SBS 다시보기 이용중입니다.
저는 짝만 보기때문에 매주 1000원 정도 결제해서 보는 중입니다.
화질은 과거 다운로드 받던것과 비슷합니다.
포켓토이
13/03/11 08:27
수정 아이콘
대충 원가를 계산해보면...
일단 다운로드 트래픽이 호스팅 업체 단가를 보면 대개 1기가당 70~150원으로 다양합니다.
그러나 이건 일반적인 웹호스팅일때의 얘기고.. 별도의 계약을 할테니 좀더 저렴할거라고 생각해야겠죠.
거기에 서버비용(서버가격+파킹비용)을 생각하면 으음...
게다가 회사 운영을 위한 기본 비용과 인건비, 그리고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료와 인코딩 비용등..
대충 1편당 250원 정도가 원가에 가깝지 않을까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613 [일반] 내가 듣는 팟캐스트 [21] 니누얼5887 13/09/23 5887 0
45740 [일반] 90년대. 그 아련한 추억의 단편들. [24] 유유히16157 13/08/09 16157 3
45442 [일반] 브라운아이드걸스 5집 - 킬빌 티져가 공개되었습니다. [12] Leeka4210 13/07/26 4210 0
45375 [일반] 성리학의 탄생(3)-주희 [6] 안동섭5025 13/07/22 5025 6
45348 [일반] [펌] 슬램덩크 작가가 밉상인 이유 [73] 순두부20666 13/07/21 20666 1
45272 [일반] 로이킴 봄봄봄 표절논란의 진행상황.... [66] 순두부10437 13/07/18 10437 1
45233 [일반] 로이킴 공식 입장, "'봄봄봄'은 순수 창작곡… '표절' 아니다" 일축 [80] 순두부11238 13/07/16 11238 2
45186 [일반] 로이킴의 봄봄봄, 과연 표절이 맞을까요?? [133] 이루이15029 13/07/14 15029 0
45179 [일반] 끝판왕들 왈 "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붕괴될 것" [29] Magnolia9311 13/07/13 9311 1
44209 [일반] 5월의 딸사진들. [23] 종이사진5407 13/06/02 5407 2
44027 [일반]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기타 솔로 [9] JimmyPage4379 13/05/26 4379 0
43939 [일반] [음반] 서태지와 아이들 3,4집 - 시대 유감 [16] DarkSide5884 13/05/22 5884 0
43286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신청한 국가 Top10 [5] 김치찌개5012 13/04/19 5012 0
43269 [일반] [여섯번째 소개] 13 계단 [9] par333k4882 13/04/18 4882 0
43190 [일반] 싸이. 시건방춤 저작권료 지급. [47] Leeka12160 13/04/14 12160 2
42628 [일반] 방송3사 (KBS,SBS,MBC) 저작권 자료 게시 금지, 잘 보내고 계십니까? [43] 유라6623 13/03/09 6623 0
42585 [일반] 넷상에서 퍼온 글들에 대한 이야기. [5] Love&Hate7461 13/03/06 7461 4
42566 [일반] 다음주에 책에 들어갈 사진을 촬영합니다. [14] 자이체프4645 13/03/05 4645 2
42544 댓글잠금 [일반] 녹색 인어 아가씨와 펌 일베저장소 (댓글 잠금) [422] 반대칭고양이12881 13/03/04 12881 68
42537 [일반] 노회찬 "안철수, 왜 집안 식구 먹는 걸 뺏으려 하나" [111] 순두부9215 13/03/04 9215 0
42434 [일반] 무한도전 ㅡ 기부가 계속되니 그게 당연한 줄 안다. [72] 순두부11911 13/02/25 11911 12
42419 [일반] 정상회의, 뻥카의 추억 [6] 어강됴리7971 13/02/24 7971 2
42292 [일반] 2012년에 가장 많이 부른 노래 순위 [10] Leeka8902 13/02/15 890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