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0/14 21:05:14
Name 왕은아발론섬에..
File #1 5454.jpg (82.1 KB), Download : 52
Subject [일반] [축구] 늦은 앨클라시코 후기


레알 - 슈퍼 컴팩트 사커를 선보이다


이번 앨 클라시코에서 레알의 전술중에서 수비적으로 2가지의 모습이 눈에 띠었습니다.

첫째. 극단적인 콤팩트 사커를 통해 압박의 강도를 높혀서 바르샤 미드필드진의 날카로움을 약화시켰다.

이날 레알은 공격과 수비의 간격을 극단적으로 좁혀서 바르샤가 공을 점유했을 때 그들의 뜻대로 공을 오랫동안 소유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일명 슈퍼 컴팩트를 구사했죠.

이로 인해 공간이 부족해진 바르샤의 미드필드진은 정교함과 패스의 날카로움이 이전 같지 않았습니다.
특히 전반에 레알이 집중력이 아주 좋을 때에는 10m 남짓 한 공간에 10명의 선수가 옹기종기 뭉쳐 있는 모습을 봤을 때는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더군요.



이렇게 극단적인 콤팩트 사커를 하면 위험하지 않나 싶긴한데 그로인한 위기 상황은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둘째. 바르샤의 공격 패턴에 잘 대응했다.

바르샤의 경우 미드필드진이 현란한 패스웍으로 공을 돌려서 상대팀을 현혹시키는 동안 공격수는 수비진의 배후를 침투하는데 이 때 날카로운 침투 패스를 넣어서 득점찬스를 만듭니다. 하지만 이날 레알의 수비는 돌아가는 공격수들에 대한 마크를 거의 놓치지 않더군요.

여기에는 전방 압박이 잘 되어서 바르샤 미드필드의 날카로움을 1차로 잘 차단한 영향도 있었겠지만 거듭 된 앨 클라시코로 인해 레알 수비수들이 면역이 생긴 부분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아무튼 수비적으로 레알은 이제 바르샤의 공격을 어떻게 막는지에 대한 해답은 찾지 않았나 싶네요.

그런 와중에도 득점을 해낸 메시는 참...


바르샤 - 순발력의 괴물들


바르샤 경기를 앨 클라시코나 챔스를 통해서 간간히 보면서 그때마다 바르샤의 특징들을 파악하려고 눈여겨 봤는데 이번 경기를 통해선 바르샤 선수들의 순발력이 장난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레알 선수들이 발재간을 부리기 무섭게 커트를 해내는 모습은 마치 전성기 박지성 선수가 여기에도 있고 저기에도 있는 것처럼 상대가 공만 잡으면 뺏는 느낌이었습니다.

감탄을 하면서도 과연 저 괴물스런 인터셉트 능력은 어디서 오는 것이란 말인가?
하고 의문을 품다가 제 나름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바르샤의 미들과 공격을 구성하는 선수들의 신장을 보면 거의 다 170대 초반이죠.
아무래도 180대의 동급 실력의 선수들과 비교했을때 순발력에서 비교우위를 나타내지 않나 싶습니다.
그러다보니 180대 선수들의 발재간이 바르샤를 상대론 잘 통하지 않는게 아닐까 싶은거죠.

하나의 예를 들자면 호날두가 epl시절엔 발재간도 꽤나 잘 부렸고 발재간으론 어디가서 꿀릴 실력이 아니었는데 그 발재간이 바르샤를 상대론 거의 먹히지 않더군요. 최근 들어서 호날두가 하는 드리블을 보면 거의다 치달식이었습니다. 다른 이유도 작용했겠지만 아마 바르샤의 귀신 같은 커트 능력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네요.

그리고 제가 일전에 우리 대표팀이 유럽 팀을 상대론 압박이 장 통했는데 남미 팀들을 상대로는 압박이 잘 통하지 않아서 남미 선수들이 개인기가 좋아서 압박이 통하지 않는다고 표현했는데 이렇게 보니 개인기란 단어보다는 순발력으로 표현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아무튼 순발력이 괴물인 바르샤 선수들이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바로 공중볼이지요.

미드필드와 공격수가 다들 숏다리 들이라서 공중볼을 따내기가 힘들죠.
그렇다보니 수비가 공을 가졌을 때 상대의 강한 압박이 들어와도 여간해서는 “뻥~“하고 걷어차지를 않습니다.

물론 수비에서부터 차근차근 패스 연결로 빌드업을 하는게 팀 특징이긴 하지만 최후방 수비의 경우 실책 한번이 결정적인 실점의 위기거든요. 그러함에도 타이트한 마크를 받고 있는 수비수가 걷어 내질 않고 연계를 하려고 공을 끈다는 건 상당한 위험요소가 아닐까 싶습니다.

레알도 그점을 잘 노려서 최근 재미를 좀 봤죠.

이번 경기에서도 바르샤 수비수들이 공을 돌릴때 레알 공격수들이 기습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던군요.
보면서 너무 헛 힘을 빼는 건 아닌가 싶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바르샤를 상대로는 굉장히 효과적인 공격방식이었네요.
물론 체력적 안배도 잘 해야겠죠.

그리고 이건 순전히 개인적인 추측이지만, 바르샤의 또 하나의 단점은 키가 작다보니 순수 주력에서 딸리지 않나 싶네요.
순발력의 영역인 가속이 붙기 전 까지는 비교적 우위에 있겠지만 그 선을 넘어서서 부터는 속도에서 바르샤 선수들이 우위를 점하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예전에 바르샤 관련글에 바르샤가 체력적인 부담 때문에 역습을 자제한다고 했는데 이렇게 생각이 진행되어 보니 주력 문제도 어느정도 작용하지 안나 싶네요.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레알이 극단적인 컴팩트 사커를 취할수 있었던 이유가 바르샤 한테 역습을 맞거나 중앙선 부근에서 바르샤의 공격수 한테 뚫리더라도 주력면에서 어느정도 막을만 하다는 판단하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바르샤나 그와 비슷한 스타일의 일본이 역습에 취약한 모습을 드러내는 모습을 보이는거 같기두 하구요.

  
바르샤 대응법

바르샤 공격진은 순발력은 뛰어나지만 주력이 약하니 수비라인을 올렸을 때의 위험이 적다
고로 바르샤를 상대로는 수비라인을 최대한 끌어올려 압박을 강화해서  바르샤 미드필드진에게 공간을 적게 줘서 바르샤의 패스게임을 약화시킨다. 그래도 위험은 존재하기에 센터백들이 몸싸움 보다는 주력과 순발력이 좋은 선수를 배치한다.

그리고 바르샤 미드필드가 공을 돌리면서 현혹시킬 때 공격수가 배후 침투를 하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끝으로 메시 마크는 필수!
공격은?

바르샤 수비수들은 위험한 상황에서도 쉽사리 공을 “뻥~“ 하고 걷어차지 않기에 공격수들이 기습적으로 조직적인 압박을 해서 수비수들의 실수를 유발하면 아주 좋은 찬스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바르샤 미드필드진이 숏다리라 순발력이 뛰어나지만 주력은 약해보이니 단신 공격수를 제외하곤 치달식의 드리블을 사용한다.

뭔가 결론이 좀 이상하지만 축구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지라 여기까지가 저의 한계네요.
아무튼 두 팀의 화려한 패스웍과 결정력은 보는이로 하여금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o_TheMarine
12/10/14 21:11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글 읽다 보니 패싱플레이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베일,로벤, 월콧같이 스피드가 뛰어난 선수가 한명이라도 바르샤에 있다면 어떨까도
생각이 드네요~
운수좋은놈
12/10/14 21:21
수정 아이콘
전 인제는 레알이 많이 따라갔고 역전할거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얼마전에 기사 나오기도 했지만 레알이 이미 따라잡은거 같습니다. 레알은 카시야스,카카,알론소 정도 빼고는 나이들이 다 전성기도 오지 않은 나이입니다. 그에비해 바르샤는 위험요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입해도 적응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포도나무
12/10/14 21:23
수정 아이콘
좋은 리뷰 잘봤습니다~
그런데 신장과 주력의 상관관계 부분은 살짝 고개를 갸웃하게 되네요. 예를 들어 바르샤가 공중볼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단신인 아드리아누를 센터백으로 기용한 건 그가 발이 빨라 레알의 빠른 역습과 침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것이라고 생각한 판단때문이죠. 바르샤에서 장신에 속하는 피케나 부스케츠 모두 주력이 빠른 선수들은 아니에요.
공격진인 메시,페드로,산체스,테요등도 모두 주력과 순속이 좋은 선수들입니다. (테요는 단신은 아니지만)
12/10/14 21:40
수정 아이콘
워낙 털리다 보니 레알이 이골이 난 것 같긴 해요. 선수는 변화가 없는데 내용은 점점 좋아지고 있단 말이죠 크크

모드리치가 제대로 자리잡으면 레알이 넘어설 수 있을 것 같기도 해요
SigurRos
12/10/14 21:41
수정 아이콘
바르샤의 약점은 수비죠. 수비수 영입이 절실하다고 봅니다.

파브레가스는 개인적으로 바르샤하고 잘 안맞는거같아요. 아스날로 다시 보내는게 나을듯싶습니다
포도나무
12/10/14 21:48
수정 아이콘
파브레가스가 이번 엘클에서도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긴 했는데 그 엄청난 재능때문에라도 바르샤가 내보내진 않을거 같아요.
빌라노바 감독 부임후 바르샤도 어느정도 과도기에 있다고 봅니다. 특유의 높은 점유율은 유지하고 있지만 예전 과르디올라 감독 시절에 비해 템포를 올리고 좀 더 오픈게임에 가까운 형태의 경기를 지향하고 있죠. 어떤 식으로 활용을 하든 파브레가스에겐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기에 긍정적인 변화가 될겁니다.
DragonAttack
12/10/15 09:0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키와 순발력 부분에선 좀 의아한 구석이 있지만요. 그리고 바르샤의 전술 자체가 예전과 기본 베이스는 비슷하지만 수비를 좀 더 끌어내린 듯 하네요. 뭔가 역습이 조금 더 매끄러워진 부분도 보이고.. 대신 미들과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진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93 [일반] [해외야구] MLB 구속 논쟁 [12] 왕은아발론섬에..7488 13/08/08 7488 1
45457 [일반] [야구] 라이트한 시청자가 본 류현진 선수. [18] 왕은아발론섬에..6126 13/07/26 6126 0
41232 [일반] [4대강] 대단합니다. [183] 왕은아발론섬에..11965 12/12/23 11965 1
40955 [일반] 내수를 살립시다. [10] 왕은아발론섬에..3971 12/12/10 3971 0
40368 [일반] [축구] 대표팀. 무엇이 문제인가? [36] 왕은아발론섬에..4641 12/11/14 4641 0
39687 [일반] [축구] 늦은 앨클라시코 후기 [12] 왕은아발론섬에..4557 12/10/14 4557 0
39661 [일반] 4대강 정비? 4대강 비리? [27] 왕은아발론섬에..5899 12/10/13 5899 1
38293 [일반] (스포조심!) 다크 나이트 라이즈 감상 [16] 왕은아발론섬에..6033 12/07/24 6033 0
38110 [일반] [축구]압박축구의 한계를 보다. [54] 왕은아발론섬에..8285 12/07/10 8285 1
36831 [일반] 민간인 사찰과 문대성의 표절. [15] 왕은아발론섬에..3820 12/04/20 3820 0
36685 [일반] 뒤늦게 살펴보는 보수와 진보의 공약 비교. [28] 왕은아발론섬에..4074 12/04/13 4074 0
36601 [일반] 진보와 보수 바라보기. [13] 왕은아발론섬에..3640 12/04/11 3640 0
32688 [일반] 내수를 키우자! [42] 왕은아발론섬에..5574 11/10/29 5574 0
31004 [일반] [축구] 아직은 시기 상조가 아닐까요? [13] 왕은아발론섬에..5385 11/08/11 5385 0
29571 [일반] 바르셀로나 축구의 비밀. [136] 왕은아발론섬에..9013 11/06/05 9013 0
29420 [일반] 박지성! 이제는 스타일 변화를 모색할 때가 아닐까요? [37] 왕은아발론섬에..6790 11/05/29 6790 0
29127 [일반] 슈스케 vs 위대한 탄생... 같은 듯 다른 느낌. [49] 왕은아발론섬에..5739 11/05/14 5739 0
28287 [일반] 마지막이라 더 아름다웠던 그녀. [8] 왕은아발론섬에..6181 11/04/09 6181 0
27951 [일반] 박지성 선수 복귀 기념글. [21] 왕은아발론섬에..7033 11/03/23 7033 0
27886 [일반] 내수를 키우자! [21] 왕은아발론섬에..4471 11/03/20 4471 0
27361 [일반] 쉽게 살기. [12] 왕은아발론섬에..4017 11/02/19 4017 1
27272 [일반] 증세를 해서 복지에 비중을 높이면 높을수록 좋은 거 아닌가요? [38] 왕은아발론섬에..4398 11/02/13 439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