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9/04 00:39:37
Name bachistar
Subject [일반] 협동조합은 희망이 될 수 있을까
원문 : http://unnplugged.tistory.com/26


2012년은 UN이 지정한 협동조합의 해이다. 한국에겐 생소하지만 유럽엔 이미 협동조합 개념이 깊숙이 박혀있다. 경제주체의 하나로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협동조합은 생소한 개념이다. 협동조합은 노동가치의 재평가와 영세업자들의 부활을 바라고 있는 2012년 대한민국에게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협동조합에 대해 알아보자.

협동조합(協同組合, 영어: cooperative (coop), co-operative (co-op), coöperative (coöp))은 경제적으로 약한 지위에 있는 소생산자나 소비자가 서로 협력,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켜 상호복리를 도모할 목적으로 공동출자에 의해 형성된 기업이다.(출처 : 위키백과)

한 마디로, 협동조합은 영세업자들의 모임이다. 협동조합은 많은 분야에 존재하고 있다. 한국을 예로 들자면 농협, 수협 등이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다. 유럽 같은 경우는 앰뷸런스협동조합, 택시협동조합, 등산용품 협동조합 등 다양한 분야에 협동조합이 존재한다.

협동조합의 운영원리는 간단하다. 조합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동업'을 하는 개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얻는 메리트는


1. 공동구매를 통한 경제성
2. 1인 1투표제를 통한 민주적 회사 운영
3. 경제적 안정성
4. 지역사회 이바지

등이 있다. 일단 조합원들이 조합의 이름으로 공동구매를 하는 만큼 '규모의 경제'를 실천하여 싸게 물품을 구입할 수가 있다. 더불어 주식회사와 달리 협동조합은 1조합원 1투표제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협동조합은 '사람' 중심의 사회적 기업을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개인이 자영업을 할 때와 달리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채무적으로 안정성을 띤다. 더불어 협동조합은 지역적 특색을 띠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크게 이바지할 수가 있다. 한국의 '두레, 계'가 자본주의 개념을 만나면서 발전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쉽겠다.



협동조합에 대해 글을 쓰는 이유는 앞에서 말했다시피 협동조합이 우리나라 영세자영업자들의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자영업자 비율이 2007년 oecd기준으로 25.8%나 된다. 이는 oecd 평균 13.8%의 약 2배나 되는 수치다. 한국보다 자영업비율이 높은 나라는 멕시코, 터키, 그리스 정도이다. 자영업비율이 높다는 것은 여러 가지를 암시한다.
1. 안정적 정규 근로자 비율이 낮다는 것
2. 실패한 자영업자들은 갈 곳이 없다는 것(정규직 근로자들이 퇴직하면 자영업을 하는 것에 비해 자영업자는 막다른 길에 다다른 것)

일반적으로 자영업자들은 퇴직한 정규직 근로자들이 주를 이룬다. 1997년 IMF 때와 2008년 경제불황 때 닥친 정리해고는 자영업자를 다량 배출했다. 여기서 문제는 자영업자들이 정규직 근로자들에 비해 경제 위기에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영업자들은 은행에 대출을 받아 사업을 꾸리는데, 경제 불황이 닥치면 대출 상환은 둘째치고 사업 자체의 유지가 힘들다.  이는 새로운 대출을 부르고 중산층의 몰락을 의미한다. 현재와 같은 불황 속에서는 자영업자들은 그야말로 죽어날 수밖에 없다.



앞에서 말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은 단순 경제 불황에만 있지 않다. 문어발 확장에 힘입은 대기업들이 영세 자영업자들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는 것도 또 하나의 어려움이다. SSM은 물론이고 대기업의 프랜차이즈들이(이들도 자영업자지만) 지역상권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심지어 교통이 발전한 도시 같은 경우는 소비자의 지역이 아닌 타지역까지 가서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맞서 영세상인들은 협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시장과 자영업 가게들은 대기업과 대형마트에 비해 가격적 메리트와 편의시설 메리트 등이 확연히 떨어진다. 특히나 시장 같은 경우 한 큐에 모든 쇼핑을 다 할 수 있는 이마트 등에 비해 복잡하고 카드도 받지 않는 등의 단점이 뚜렷하다. 이에 맞서 협동조합으로서의 체계를 갖춘다면 좀 더 거대해진 자본력을 바탕으로 주차장 등의 편의시설도 갖출 수 있고 공동구매를 통한 가격적 메리트 역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대형마트가 지역에 쥐꼬리만큼 환원하는 것에 비해 협동조합은 그 지역의 조합원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캐나다 퀘벡 등의 지역은 민관협동모델로서 민의 협동조합을 관이 사회적연대기금 등의 형태로 지원하여 지역경제에 큰 이바지를 하였다. 최근 박원순 시장이 언급한 '마을 기업' 등의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 말고도 협동조합의 장점은 더 있다. 종업원이 기업의 주인이 되는 만큼 책임감을 높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더불어 무조건적 이윤 추구가 목표가 아닌 만큼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사회환원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협동조합의 현실적 한계도 매우 크다.

협동조합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만큼 기업적으로서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수평적 의사체계를 지향하는 만큼 결정에 있어서 신속하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것은 사실이다. 더불어 협동조합을 만들어서도 대기업 상권과의 '맞짱'에서 승산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대기업 프랜차이즈와 대형 마트는 시장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협동조합에서 필요한 자본금 대출에서도 의문이 든다. 정부에서의 보조금 없이 일반은행에서의 자본대출 가능성에는 의문이 든다. 결정적으로 협동조합에서는 프로경영인이 부재한다. 협동조합이 사회적 기업일지라도 기업으로서의 경영이 필요하다. 영세상인들이  모인다하더라도 그들이 프로경영인만큼의 능력을 발휘할지에는 회의감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에는 무조건적으로 프로경영인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서 협동조합은 하나의 희망이 될 수 있다. 동업, 협업에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여기에 협동조합이 하나의 큰 파문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본다. 협동조합의 의미는 단순 영세업자들의 협동이 아닌 사회적으로 '99%도 할 수 있다'라는 것에 있다고 본다. 사람들이 힘을 합쳐 사람 중심의 경제를 추구한다면 이것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영향력을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본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지역 상권의 부활이고 장기적으로는 '서울'공화국을 넘어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올해 12월 1일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발효된다. 조합원 5명 이상만 있으면 어떤 협동조합도 만들 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협동조합이 2013년 체제에 큰 영향력을 끼쳤으면 한다.


참고자료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82015005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614015006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59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61
Haight, Glenn., Crow, Andrew. and Geier, Hans. "Developing Cooperatives for the Alaska Seafood Industry". Alaska Sea Grant College Progra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04 00:59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대표적인 협동조합하면 서울우유협동조합이죠. 각 지역명이 들어가는 ~우유는 다 협동조합입니다.
서울 시민중에 2%가 한살림 조합원 이기도 하고요.
12/09/04 01:11
수정 아이콘
1. 결론 부분 연결이 이상하네요. 앞뒤의 말이 서로 안 이어져요.
2. 도입부도 좀 더 주목을 끌면서 매끄럽게 들어가게 바꾸면 좋겠네요.
3. 글의 의도나 전하고자 하는 바는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4. 글을 잘 아는 사람에게 조언을 구하면서 퇴고를 계속 하시면 앞으로 더 좋은 글을 쓰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아르바는버럭
12/09/04 01:40
수정 아이콘
몬드라곤의 기적/몬드라곤에서 배우자
이 두 책을 읽으면, 협동조합의 신세계를 발견하실 겁니다.
해봤자, 축협이니 신협이니, 크면 바르셀로나 정도를 생각하시겠지만,
몬드라곤의 규모는 협동조합으로서 현기차와 동급 ;;
12/09/04 02:04
수정 아이콘
요즘 국내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있는 협동조합은
생협 아닐까요?

생협에 대한 내용이 조금 들어가면
더 괜찮을 것 같습니다.

너무 먼나라 이야기처럼만 들려요.
12/09/04 23:05
수정 아이콘
FC 바르셀로나, 썬키스트, 웰치스 도 협동조합이죠...

"협동조합으로 기업하라"라는 책도 있습니다...

협동조합의 기본 정신이 참 마음에 들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543 [일반] 시사기획 창, 전력공화국의 명암 [25] 낭천6898 13/07/31 6898 2
44412 [일반] 최저임금 동결 vs 최저임금 5910원 [36] kurt7452 13/06/11 7452 0
44171 [일반] [책 소개] 경제 민주화를 말하다 & 불평등의 대가 DarkSide5959 13/06/01 5959 1
43893 [일반] 수도권 매립지 문제에 대해 [10] jagddoga4505 13/05/20 4505 0
43538 [일반] 또다시 일어난 불산사건.. 과연 삼성만 잘못한걸까요? [11] 응답하라19986580 13/05/03 6580 1
43436 [일반] 한국은 선진국이 맞는가 [308] kurt9867 13/04/26 9867 1
42580 [일반] 새누리당 김재원의원이 담배값 인상안을 발의했습니다. [189] Fim8596 13/03/06 8596 3
42501 [일반] 헤어진 다음 날 [8] 해피아이6591 13/03/02 6591 1
42326 [일반] 우리나라 oecd통계를 보고...... [68] 소문의벽7167 13/02/18 7167 5
42195 [일반] 기후변화와 UNFCCC [5] 김피곤씨5286 13/02/08 5286 0
41772 [일반] 4대강 부역세력 명단 [113] 어강됴리11162 13/01/18 11162 4
41578 [일반] 한국의 자살률이 높은 이유 [52] 절름발이이리10757 13/01/09 10757 2
40480 [일반] 박근혜 후보 비전 선포 - 준비된 여성대통령 [52] 타테시6143 12/11/18 6143 0
40324 [일반] 안철수 후보 정책공약 : 안철수의 약속 (2) 교육, 복지 [27] 타테시5788 12/11/12 5788 0
40303 [일반] 안철수 후보 정책공약 : 안철수의 약속 (1) 정치, 사법, 경제분야 [25] 타테시6229 12/11/11 6229 0
39905 [일반] 제18대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 (2) 무소속 안철수 후보 [11] 타테시5995 12/10/25 5995 0
39902 [일반] 제18대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 (1)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12] 타테시5749 12/10/25 5749 1
39857 [일반] 경향신문 대선 쟁점인터뷰 (1) 경제민주화 : 김종인, 이정우, 장하성 [4] 타테시3952 12/10/23 3952 0
39817 [일반] 0교시 수업 문제를 SBS 8시 뉴스에서 다루었네요. [63] 타테시5487 12/10/21 5487 0
39569 [일반] 제발 12시 전에만 퇴근하자 [30] 까망탱이5343 12/10/09 5343 0
39344 [일반] [담배관련] 담배, 과연 피운자 만의 잘못일까? [30] 눈송이7718 12/09/25 7718 5
39151 [일반] 늦깎이 청년의 취업 일기 [33] 노란곰돌이푸5131 12/09/16 5131 0
38993 [일반] 협동조합은 희망이 될 수 있을까 [7] bachistar4099 12/09/04 40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