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6/07 23:34:14
Name 타테시
Subject [일반] 월드컵 최종예선이 터무니 없는 중계권료로 무산될 처지에 놓여있습니다.(추가 각종 스포츠 중계권료)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206072154363&sec_id=520101&pt=nv

당장 9일에 카타르에서 진행되는 브라질 월드컵 최종예선 중계가 무산될 처지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시아 축구연맹 AFC의 브라질 월드컵 최종예선 판매 대행사 월드 스포츠 그룹(WCG)의 횡포 때문입니다.

WSG가 처음에 최종예선을 포함해 4년간 A매치 20경기를 중계하는 조건으로 5200만달러 우리돈으로 608억원을 제시했습니다.
1경기당 무려 30억이 넘어가는 엄청난 금액입니다.
이게 얼마나 어마어마하다면 A매치 최고 시청률인 한일전으로 통해서 얻는 광고수익의 2배라고 합니다.
여기에 국내 방송3사에서는 1485만달러 우리돈으로 174억원을 제시했습니다.
당연히 무산이 되었죠.

이후 WSG가 케이블, 인터넷의 중계권을 빼고 4600만달러(538억원), 또 다시 3500만달러(401억원)를 제시했으나
공중파 3사가 정해놓은 마지노선은 1700만달러(199억원)였습니다. 결국 오늘 오전에 다시금 결렬이 선언되었습니다.


위의 표에서도 보시다시피 WSG가 제시한 가격은 너무나 터무니 없이 비싼 가격입니다.
IB스포츠에서 2006년부터 7년간 A매치 32경기 중계권료로 요구한게 2150만달러로 경기당 8억원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경기당 약 30억원을 요구하고 나서는 것이죠.

이 회사가 일본에는 경기당 4억엔 우리돈으로 59억원에 계약을 했다고 합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시장 자체는 규모가 다릅니다. 그래서 기존에도 일본의 1/5 수준으로 계약을 했다고 합니다.
그게 맞습니다. 인구수 차이, 경제규모 차이가 엄연히 나는데 일본의 절반수준의 가격을 요구하다니...
완전 글로벌 호구 취급입니다.
당장에 최후에 요구한 것도 공중파 중계만을 가지고 1경기당 20억원대를 요구했으니...
참 화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참고로 WSG는 일본의 미디어그룹 덴쓰(Dentsu)가 대주주라고 하네요.
종편에서 가져간다느니 하는 소리가 있다는데 정말 저런 돈놀이에는 넘어가지 않았으면 합니다.
한번 호구잡히면 계속 호구잡힐 수 밖에 없겠죠.

참고자료입니다.

각종 스포츠 중계권료입니다.
MLB가 연간 1천만달러
EPL이 연간 1400만달러
올림픽이 2010, 2012, 2014, 2016이 7250만달러
월드컵이 브라질 월드컵이 7500만달러
프로야구는 250억원, K-리그는 70억 정도라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6/07 23:35
수정 아이콘
그냥 대동단결해서 스타스포츠 한국지사를 만듭시다 흑흑
천재여우
12/06/07 23:37
수정 아이콘
왠지 종편에서 가져가든지 누군가가 뒤통수를 칠 것 같다는 불안감이 드는데요........
설마
사케행열차
12/06/07 23:37
수정 아이콘
비싸면 못보는거죠 뭐...
12/06/07 23:38
수정 아이콘
안보는게 낫겠네요. 너무 비싸네요.
12/06/07 23:39
수정 아이콘
TV조선 같은 곳에서 기세좋게 사들이고 파산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크크크크.
내일은
12/06/07 23:45
수정 아이콘
국대 축구 중계 시청률도 예전 같지 않은데... 케이블에서 최소 400억을 지를 수 있는 곳은 없다고 봐야겠죠? 무슨 현대중공업 케이블이라도 있으면 모를까...
12/06/07 23:46
수정 아이콘
이게 이번에 계약만료되서 이번에제시된가격이 30억인데
국내방송사쪽에서 월드컵예선국대경기8경기만사간다고했다가.. 빡쳐서부른값이라더군요
30억정도면될거같던데... 종편갑시다~ (찾아보니 카더라에 패키지로30억은말도안되는소리고 월드컵예선만인듯요?)
매콤한맛
12/06/07 23:48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이런기사 뜰때마다 방송사들이 좀 뭉쳐서 계약안했으면 했지만 항상 누군가가 뒤통수를 치더군요
바람은미래로
12/06/08 00:02
수정 아이콘
종편이 사면 좋겠네요

축구는 축구대로 보고, 종편은 종편대로 손해보고 ..?!
온푸님
12/06/08 00:15
수정 아이콘
어느 종편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 경기당 5억 정도로 두경기 사고(어차피 다음 경기는 꽤 뒤에 있으니요) 시청률 7~10% 정도만 찍는다면,
고점 찍었다는 선점효과로 의외로 수지맞는 장사일 수도 있습니다.
12/06/08 00:22
수정 아이콘
최종예선 X줄타면 20%도 나올듯요... 월드컵 올라가냐마냐인데 남자있는집에서 안보는사람이없겠지요
최소한 슈스케2보다는 더볼거같네요
빨간당근
12/06/08 00:24
수정 아이콘
그냥 평소대로 CCTV, 알자지라 스포츠 같은 곳에서 보면됩니다.
언제부터 축구 중계에 열을 올렸다고~ 크크

관련 게시물하나 링크걸어봅니다.
http://blog.daum.net/sabi29/15634443
가을의추억
12/06/08 00:25
수정 아이콘
큰 축구까페에선 경기당 18억 꼴이라고 하던데요,
그러면서 하는 말이 경기당 18억이면 방송사 무너진다라고 말했다라고 방송사가 까이고 있습니다.
이번에 유로 2012도 중계하던데 그건 경기당 얼마씩 할까요? 그리 싼 가격이 아닐텐데
12/06/08 00:27
수정 아이콘
모종편은 아마 요새 축구에 목메고있는 조선이겠죠.
12/06/08 00:41
수정 아이콘
그냥 안사는게 답입니다
방송국에서 안사면 지들이 손해인데요 뭘
싼값에라도 파는것이 낫다는걸 깨닫게 해줘야죠
가시눈
12/06/08 00:52
수정 아이콘
10년 가까이 축구 야구 본 적이 없네요.너무 비싸네요.후덜덜 [m]
에반스
12/06/08 00:54
수정 아이콘
대놓고 이거 사면 호갱님 인증하는거죠.
양정인
12/06/08 01:04
수정 아이콘
저 터무니없는 중계권료가 나온데에는... 방송3사가 단단히 한 몫했다는 겁니다.
이런 중계권을 구입하는 시기에 항상 겉으로는 저들의 호구노릇을 하지말자.
공동대응해 적절한 가격에 구입하자라고 말하고선 매번 뒤통수치는 방송사가 나왔죠.
그러니... 중계권을 판매하는 대행사가 저런 배짱을 부리는 겁니다.
잠잘까
12/06/08 01:15
수정 아이콘
대충 커뮤니티 돌고있는 카더라는 이렇습니다. (혹여나 해서 씁니다. 전 당근 되도록 중계되었으면 하는 입장이고, 방송국 or WSG측 옹호의견도 아닙니다. 다만 찾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 커뮤니티 몇몇 이야기를 씁니다. 다시한번..카더라이기때문에 믿고 말고는 알아서 판단을. 저도 여러 갈래 찾아봤는데 그래도 WSG가 죽일놈..ㅠㅠ)

=================================================================================
1) 이번 대행사를 맡은 WSG측은 여러나라에 패키지로 팔아왔다.([아챔]+최종예선+U리그 등등)
2-1) 현재 우리나라 방송사 간 타스포츠+올림픽+월드컵 중계권료가 꽤 높다.(K리그는 ...)

*위에 타케시님이 올려주신 표 참고. 참고로 EPL 1400만 달러는 현재 약 160억 수준.

3)분명 경기당 30억이라는 숫자는 매우 큰 숫자인데, 한국내 중계권료가 높으니 이정도 받으려고 생각하는 듯.(최종예선은 말할것도 없고 아챔의 경우 매년 열리는 것이라 경기수가 꽤 됨. 즉 최종예선에 아챔을 넣으면 대폭하락하긴 함.)
4) 문제는 저기서 매년 열리는 아챔이 한국내에 큰 메리트가 없다는 것 때문에 방송국간에 문제가 되는 모양.(일본이야 인기야 없든 말든 우리나라보다 잘사니 제외하고, 타나라는 아챔이 굉장히 인기가 좋다. 홈경기 아챔32강의 경우 선수의 실력이 아닌 팬들의 함성에 긴장을 탈 정도. 이건 개인적 의견인데 동아시아 축구 강국이 한중일인데 솔직히...한국이 모냥새가 빠지긴 합니다.)
5) 그래서 이번 계약시에 방송국에서 패키지 계약을 거절하고 최종예선만 사려 했다가 지금까지 계약을 하지 못함. + 터무니 없는 금액.
6) 문제는 부자나라 일본이 정말 미친 가격에 패키지를 사버림(이놈들아 ㅠㅠ)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실정을 전혀 모르는 WSG측은 돈벌어먹으려고 한다로 무지 까이고 있고, 방송국측은 억울하기도 하고, 욕도 먹고 있습니다.
WSG
1) 일본에게 덤태기를 씌운것 + 한국도? + 국내 실정을 너무 모르는 WSG 로 까임.
2) 당연히 상당수의 팬들이 이럴바에 안본다라는 팬들 대다수.

방송국
1) 이번 kbs가 유로에 200억 투자했다는 사실이 카더라로 돌아서 까임. -> 근데 최종예선 계약 전이라 좀 억울함.
2) 국대 경기 골라먹는 계약이 사실로 흐르다 보니 아챔(대부분 k-리그팬)팬들에게 욕을 먹고 있음.
3) 몇몇 팬들은 그간 아챔을 호구대회로 여긴 방송국들이 자초한 일이라고 여기고 있고, 반대로 국내축구+아챔은 인기가 적음에도 국대축구는 인기있는 현 우리나라 사태를 꼬집는 팬들도 있음.(중동, 중국, 일본과 우리나라는 좀 시스템이 다릅니다.)

현재 최종예선 진출국 중에 계약을 안한 나라는 한국과 이란이며, 사실 이란은 경제재재로 인한 피해 때문에 결국 한국만 계약 못한 상태.
곧 벌어질 카타르와의 최종예선은 우리의 친구 중동방송국 and 그 곳보다 화질이 조금 좋은 일본 방송국에서 중계 예정.

==================================================================================

그래서 전 아프리카로 갑니다. 부디 잘 해결 되었으면.
아스날
12/06/08 02:01
수정 아이콘
알싸에서는 야구얘기만 하더군요..야구라면 아무리비싸도 중계해준다고

이번에 방송국은 아무잘못 없는데 괜히 까이더군요.
솜사탕흰둥이
12/06/08 04:03
수정 아이콘
월드 스포츠 그룹(WCG)의 횡포 때문입니다.
윗쪽에 오타가;; 순간 읭? 했네요
12/06/08 07:29
수정 아이콘
wsg가 자신들의 상품에 대한 가치를 잘못 측정했다는 점에서 멍청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지언정 도덕적인 면에서는 문제가 없을 듯 하네요. 자신들의 상품을 잘 팔아보겠다고 가치를 높게 붙이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닌 것 같네요. 이 사람들이 모든 스포츠 상품을 독점하고 있다거나 (즉 방송국 입장에서 대체제가 없다거나) 끼워팔기만 강요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이번의 경우 그렇지 않으니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방송국에서 저 돈 주고 이득 못 본다고 생각했으면 안 사오면 되겠죠. 그러면 wsg가 가격 낮추거나 하겠죠. 아니면.. 뭐 안 보면 되죠. 축구를 TV에서 못 본 것이 하루이틀 일도 아니고.
12/06/08 07:4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스포츠 중계에 있어서 대행사가 끼어드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해요. 거금 지불한다고해서 그 스포츠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구요. 대체 왜 저걸 중계업자에게 넘겨서 그 사람들 돈 벌게하는 걸까요?

모쪼록 지역예선에 저런 말도 안되는 중계권료 내고서 사오는 방송국이 없기를 바랄 뿐입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12/06/08 09:25
수정 아이콘
제생각에도 저처럼 본선도 아니고 아시아 예선이야 틀어주면 보고 아니면 말고 한 사람이야.... 저렇게 비싼돈 주고 사오면 짜증나고,(특히 국민세금이 상당히 들어가는 공영방송사들은.. 그러면 안되죠..)

그렇다고 어차피 안틀면 인터넷으로 잘 챙겨보실 분들이야 안사와도 잘 찾아서 보실거고..

결론 : 비싼값에는 사올 이유없다.
결론2 : 저럼에도 불구하고 비싼값으로 뒤통수치고 사오는 방송사는 가열차게 까주자.
결론3 : 근데 그래도 사오는 방송사 있으면 올레! 하고 열심히 보겠지? 우리는 안될거야.. 아마 ..

애초에 시장규모도 다르고 특히 K리그나 아시아챔스는 시청률이나 인기가 바닥인데, 그걸 돈주고 왜 사오나요. 월드컵도 본선도 아니고 예선은 젊은 남성 계층 말고는 시청률도 높게 안나옵니다. 다만 축구 붐을 위해서 축구계쪽에서 협상을 잘해서 싸게 잘 물어오길 바랄뿐입니다. 축구가 국기도 아니고 인기끌어야할 당위성이 있는 스포츠도 아닌데, 축구계도 아닌 방송국쪽에서 이익 헤쳐가며 사올 이유가 없죠.
모카블렌디드
12/06/08 11:23
수정 아이콘
무슨 근거로 K리그 시청률과 인기가 바닥이라는거죠? 월드컵 예선 시청률이 젊은 남성층 말고는 안 나온다는건 또 무슨 근거로 하시는 말씀이신지?
12/06/08 12:42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는 월컵 지역예선만 생각하고 가격이 미쳤-_- 다고 생각했는데 잠잘까님 말씀처럼 4년간의 아챔을 끼면 가격이 비싼 게 아니네요.
물론 공중파에서야 아챔을 방영할 메리트도, 편성할 시간대도 없으니 왜 이런 말도 안되는 끼워팔기를 하냐고 반발할 수도 있겠지만
케이블이나 종편에서는 한꺼번에 사가도 충분히 이득일 거 같습니다. 괜히 한반도처럼 1%짜리 드라마에 150억을 쓰느니-_-;
12/06/08 15:36
수정 아이콘
종편이라... 협상금액도궁금하지만 진짜진짜 시청률이 더욱 궁금해지네요
새벽1시경기가 5%가 넘는다면 엄청난파장이있을거같네요
만약 그럼에도 2,3%나온다면... 종편 가능성없는거죠. 접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574 [일반] [아스날] 올시즌이 거의 끝나가네요. (스압) [51] pioren5637 14/05/06 5637 6
51306 [일반] 왜 정부에 대해 불만을 말할수 밖에 없는가. [78] Bergy106791 14/04/25 6791 15
50604 [일반] 패망 직전에서 기적적으로 승리한 왜구와의 일전, 해풍 전투 [10] 신불해7600 14/03/21 7600 16
50331 [일반] [영화토크] <숨바꼭질> - <살인의 추억>을 이긴 바로 그 영화! [44] 마스터충달8117 14/03/08 8117 2
50227 [일반] [펌] 대기업 인사팀 18년차의 조언 [225] 절름발이이리25520 14/03/04 25520 8
49022 [일반]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13] Cavatina4808 13/12/31 4808 5
48339 [일반] [해축] 올해 리버풀의 챔스존 안착은 정말 가능할것인가 [45] classic4481 13/12/09 4481 1
47688 [일반] 부정개표 논란, 연예계 물타기 논란.. 원인은 자업자득 '신뢰상실' [14] 베인티모마이5062 13/11/13 5062 16
47053 [일반] 시계 이야기: 저렴이, 패션시계 특집 [67] 오르골17200 13/10/14 17200 19
45833 [일반] 그녀를 유혹하는 스킨십. [45] Love&Hate30622 13/08/14 30622 15
45175 [일반] 여러분은 예외 사례를 얼마나 믿으시나요? [46] 라울리스타6754 13/07/13 6754 0
43218 [일반] 4월 기준, 한화와 NC의 성적 비교 [18] Leeka6124 13/04/15 6124 1
42160 [일반] 지고나서야 비로소 꽃인 줄을 알았다.-7 [26] 영혼5137 13/02/07 5137 8
41846 [일반] 펌 - (정보글) 지역드립과 관련된 총설 [144] 장어의심장7918 13/01/23 7918 5
41399 [일반] 좋은 선물. [8] Love&Hate9400 12/12/31 9400 0
40809 [일반] 휴전과 고지전 - 4. 필살기 없는 혈전 [10] 눈시BBbr6098 12/12/03 6098 0
39498 [일반] “새누리 의원들 개천절에 골프치다 줄행랑” [164] 김어준6946 12/10/04 6946 0
39429 [일반] [연애학개론] 착한 남자가 연애하는 법 [82] Eternity14507 12/09/30 14507 5
39421 [일반] [오늘의 리얼미터 여론조사] 안철수 다운계약서 영향은? [38] 어강됴리9505 12/09/29 9505 0
37903 [일반] [야구] 절반쯤 진행된 올해 프로야구 각팀에 대한 분석을 조금 해봤습니다. [99] 바람모리8305 12/06/28 8305 0
37590 [일반] 월드컵 최종예선이 터무니 없는 중계권료로 무산될 처지에 놓여있습니다.(추가 각종 스포츠 중계권료) [45] 타테시7180 12/06/07 7180 0
37011 [일반] 디씨에서 퍼왔습니다~<중국의 미래와 현실> [50] MeineLiebe11714 12/04/30 11714 0
31903 [일반] 진짜 물리의 대격변일까? [19] 김연아이유6719 11/09/23 67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