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16 00:24:02
Name 타테시
File #1 01.jpg (135.6 KB), Download : 43
Subject [일반] 민주통합당이 대표대행-비대위-전당대회 수순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박지원 최고위원이 트위터에 최고위원회의의 결정사항을 올렸네요.
http://media.daum.net/politics/newsview?newsid=20120416001604395
정식 기사로도 나왔습니다.
원래 저 같은 경우에는 처음에는 비대위 구성을 원했으나 그 다음에는 좀 별로겠다라 해서 대행체제로 가는 것을 했는데
아무래도 양측의 입장에서 절충안이 나온 것 같습니다.

5월 4일 신임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출하고 6월 9일 임시 전당대회를 여는 체제입니다.

이제 관건은 새로운 원내대표가 누가 되느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끌고 전당대회를 구성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해졌기 때문입니다.
각 계파별로도 이해득실계산에 상당한 열을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4122209275&code=910402
경향신문에서 예측한 계파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친노 : 한명숙, 이해찬, 문재인, 문희상 등
전문가그룹 : 은수미, 김용익, 홍종학
친정세균계 : 정세균, 이미경, 전병헌 등
재야, 시민사회, 노동계 : 이목희, 송호창, 최규성 등
386 : 이인영, 우상호, 최재성 등
관료 : 김진표, 김성곤, 변재일 등
친정동영계 : 우윤근, 노웅래, 주숭용 등
친손학규계 : 양승조, 이춘식, 이찬열 등
구민주당계 : 박지원, 추미애, 이낙연 등

각 계파별로 원내대표 선출에 상당한 공을 들일 것 같습니다.
일단 기선잡기가 가능하다는 것에서 그런 것이겠죠.

상당히 복잡합니다. 민주통합당은 원내대표도 선출해야 하고, 국회부의장과 국회상임위원장 선출도 해야 합니다.
국회의원 당선자들이 해야 할 일이 엄청 많다는 것이죠. 그리고 원내대표는 비대위 구성에도 열을 올려야 하고
이후에는 전당대회, 이후에는 대선경선을 해야 합니다.

당 내 최대 계파라 볼 수 있는 친노계 입장에서는 원내대표 선출부터 강하게 나설 가능성이 높아보이구요.
비노계도 역시 친노계의 기를 죽이기 위해 노력을 하겠죠. 합종연횡이 상당히 이루어질 가능성도 보입니다.
향후 당권과 대권 모두 달려있는 원내대표가 되었으니까요.

과연 민주통합당은 어떤 길을 걷게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틸야드
12/04/16 00:27
수정 아이콘
일단 인원수로만 따지면 친노계열이 제일 많긴한데 총선 책임론때문에 쉽게 나서지는 못할것 같습니다. 강단 있는 분이 대표가 됐으면 좋겠군요. 한 전대표는 이도저도 아니게 하다가 주저앉은 걸로 보여서...
12/04/16 00:50
수정 아이콘
원내대표는 다시 박지원 의원이 했으면.. 대여 전투력과 야권을 폭넓게 품는 아량이 동시에 필요한 시기죠
타테시
12/04/16 00:54
수정 아이콘
박지원 최고위원이 원내대표가 되려면 중도성향에서 막강한 지지를 얻어야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중도성향에서도 자기네 후보를 밀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당권을 다툴 대표주자가 부족한 시민사회계나 486계에서 원내대표직을 노릴 가능성이 더 높은 편이죠.
이들을 포섭하지 않으면 힘들다고 보구요.
박지원 최고위원 자체가 원내대표 보다는 당권을 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른바 구민주계의 대표얼굴인데 대권주자까지는 못가더라도 당 대표직은 맡고 싶을 것입니다.
케이스트
12/04/16 02:53
수정 아이콘
딴 얘기지만..어릴 때라 잘 기억은 안 납니다만..박지원..예전에 큰 불법을 저질러서 감옥에도 가지 않았었나요?
정치인생 끝날 정도였던 거 같은데 아무렇지 않게 다시 국회의원하네요..
물론 이런 건 새누리당도 자유롭지 않지만요..
(Re)적울린네마리
12/04/16 03:20
수정 아이콘
일부 (보수)언론에서 말한 민통당의 저 계파 구분이 맞나요?
언제 부터 시민사회의 민변출신 송호창이나 참여연대 김기식사무총장이 친노로 갔는지...
친노 주도의 혁통에 참여했다고 시민사회그룹이 친노라 불리우긴 둘의 간격이 좀 크지않나 싶습니다.

참여정부시절 당시 386세력이 많이 현실정치에 입문했지만 그걸로 친노라 불리우긴 좀 멀죠.
현재 민주통합당의 주류는 그때 진출한(17대출신들) 현 수도권 486과 그들의 인적네트웍이 주류가 아닐까 합니다.

크게는 486중심의 수도권그룹과 (수도권일부가 포함된)호남그룹, 그리고 혁통과 참여정부 청와대출신들의 친노그룹 이런 구분이 맞지 않을까 싶네요.

보수언론들이 친노프레임을 자꾸 만드는 이유는 뻔하고... 내부적 구성은 많이 다르다 봅니다.
아우구스투스
12/04/16 13:30
수정 아이콘
범 친노
친노직계 : 한명숙, 이해찬, 문재인, 문희상 등
친정세균계 : 정세균, 이미경, 전병헌 등
재야, 시민사회, 노동계 : 이목희, 송호창, 최규성 등
386 : 이인영, 우상호, 최재성 등
관료 : 김진표, 김성곤, 변재일 등

중립
전문가그룹 : 은수미, 김용익, 홍종학

범 비노
친정동영계 : 우윤근, 노웅래, 주숭용 등
친손학규계 : 양승조, 이춘식, 이찬열 등
구민주당계 : 박지원, 추미애, 이낙연 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128 [일반] 민주당 주류가 물러나야 할까요? 비주류가 물러나야 할까요? [259] 4thrace8991 13/04/11 8991 0
40524 [일반] 마침내 야권단일화를 위한 TV 토론회가 내일 열립니다. [26] SkPJi4704 12/11/20 4704 0
40134 [일반] 박지원에 대하여 - 3 (끝) [16] snoopy4691 12/11/05 4691 3
40100 [일반] 안철수 후보가 친노계열을 날카롭게 비판했습니다. [182] Sviatoslav9261 12/11/03 9261 2
37467 [일반] 기억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39] 박동현11223 12/05/30 11223 3
36784 [일반] 오늘 100분토론 볼만하겠네요. [29] Tad5794 12/04/17 5794 0
36746 [일반] 민주통합당이 대표대행-비대위-전당대회 수순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10] 타테시5036 12/04/16 5036 0
36719 [일반] 살아남은 4개 정당의 차기 지도부는 누가 이끌게 될까요? [39] 타테시4382 12/04/14 4382 0
36697 [일반] [뉴스]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 사퇴 [99] 블루드래곤8236 12/04/13 8236 0
36692 [일반] 선거의 여왕 박근혜, 대선에서도 그 위력을 발휘할까요? [95] 김익호6132 12/04/13 6132 0
36678 [일반] 박근혜의 위엄+비례대표 투표수로 이야기 해보는 역대 선거 및 대선 이야기 [34] 아우구스투스4246 12/04/12 4246 2
36669 [일반] 아쉬운 결과, 그리고 안타까운 한명숙 [34] 박동현3842 12/04/12 3842 0
36662 [일반] 이번 총선 결과는 민주통합당의 계산된 결과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과거(?)에 있었군요 [43] 블레이드4475 12/04/12 4475 0
36646 [일반] 콘크리트층? 지역주의에 세뇌된 사람들? 정말 그런거 같나요? [32] 보라도리4160 12/04/12 4160 0
36640 [일반] 민통당 입장에서 본 패인분석 및 앞으로의 대책. [48] 율리우스 카이사르3641 12/04/12 3641 0
36638 [일반] 저만의 총선결과 분석입니다. [23] 닭엘3035 12/04/12 3035 1
36637 [일반] 민주통합당은 왜 완패했을까? [98] 성식이형5553 12/04/12 5553 0
36582 [일반] [4.11/투표합시다.]지금까지 나온 투표율 공약입니다. [101] 아우구스투스4823 12/04/10 4823 0
36579 [일반] 개표과정에서 미리 선거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엑셀 툴을 만들어봤습니다.(선거구 30개 버전으로 수정 완료) [24] ㅇㅇ/5674 12/04/10 5674 0
36543 [일반] 현명한 투표를 위한 개인적 조언 [15] 아르바는버럭3968 12/04/09 3968 0
36353 [일반] 19대 총선 D-10 원톱 VS 집단의 선거유세구도 [6] 타테시4589 12/04/01 4589 0
36125 [일반] [정치] Quo Vadis, 이정희. [39] 그림자군5530 12/03/22 5530 0
36101 [일반] 3월 21일 정치권 뉴스(여야 선대위) [22] 타테시3056 12/03/21 305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