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1/12 13:10:03
Name 눈시BBver.2
Subject [일반]  대몽항쟁 1부 지옥문이 열리다. - 0. 시작



"우린 과거의 역사를 믿지 않았다. 어리석게도 자신의 권력에만 집착했고, 오랜 세월 내분은 심해져 갔다."


몽고 경기병 만구다이

"하늘에서 화살의 비가 쏟아질 때까지. 그리고 새로운 적이 우리 앞에 나타났다."

"우린 결국 파멸의 끄트머리로 내몰렸고, 마침내 혼돈의 시대가 찾아 왔다."

워크 아니

대 몽 항 쟁

對 蒙 抗 爭

1부. 지옥문이 열리다

-----------------------------------------------------------

1. 요동의 혼란
"금나라 사람들이 재차 통첩하여 양곡을 빌려 줄 것을 요구하자, 국가에서는 변신을 시켜 거절하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1216년까지, 고려는 대륙의 격변하는 상황을 알지 못 하고 있었습니다. 금이 혼란 속에 고려에 식량 등의 지원을 요청할 때도 반응은 이랬죠.

"아나 황제라 불러줬으면 됐지 뭘 또 달라고 난리야?"

하다 하다 지친 금나라에서 직접 의주에 들어와서 곡식을 사 갔는데, 이 때 고려의 상인들이 폭리를 취해 큰 이득을 올렸죠. 열 받은 금나라 장수가 이들을 붙잡아 갔는데 다 도망쳐 버립니다. -_-; 1216년 7월 금나라의 동경 총관부에서 사신을 보냈을 때에야 고려는 금나라가 망해가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수도까지 함락됐던 금나라는 겨우 몽고와 강화를 맺고 돌려보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니, 금나라 내의 거란인들이었죠. 야율육가, 혹은 야율유가(엘루류게)가 요동에서 스스로를 요왕이라 하며 칭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나라를 세우자마자 곧바로 몽고에 항복했고, 이에 반발하여 야율사포(엘루시부)는 야율유가를 내쫓고 대요수국을 세웁니다. 그리고... 금에서 이들을 진압하기 위해 보낸 포선만노는 따로 자립, 대진국을 세웁니다. 이후 그들이 동쪽으로 쫓겨나서 백두산 근처에 세운 게 동진국이죠.

참으로 막장으로 흘러가던 요동의 상황, 이 중 야율유가와 포선만노는 몽고에 복속하고, 금나라는 이들을 제어하지 못 했으며, 이들은 대요수국을 공격합니다. 대요수국은 이를 막지 못 하고 내분가지 겹쳐 야율사포가 암살당했으며, 몽고에 흡수되지 않은 최후의 거란인들은 쫓기고 쫓기다 대부영, 위화도로 비정되는 압록강의 섬에 있던 금군을 격파하고 주둔합니다. 겨우 살았지만, 이들에게는 갈 데가 없었죠. 결국 그들은 대규모로 남하합니다. 하필이면 고려였죠. 그 수는 모두 9만이었습니다.

+) 이 시기 기록은 다들 혼란스러워 하는 모양입니다. -_-a 일단 이 쪽이 맞는 것 같네요.

8월 14일, 여요전쟁 이후 근 200여년만에 거란의 대규모 침략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을 이끄는 장수는 아아(鵝兒)와 걸노(乞奴).

2. 시작

당시 고려 행정구역

당시 북계 병마사 독고정은 참 황당한 서찰을 받게 됩니다.

"우리가 후일에 황기(黃旗)를 세울 것이니, 너희는 와서 황제의 명령을 들으라. 오지 않으면 군사로 쳐들어갈 것이다"

누런 깃발, 황제를 자칭한 것이죠. 그러면서 양식을 요구했고, 독고정은 거부합니다. 뭐 어차피 안 주면 뺏을 기세로 보낸 거겠죠. 그들은 삽시간에 의주, 정주, 삭주, 창주 등 압록강변을 휩쓸어 물자를 약탈해 갑니다. 단지 병력뿐만 아니라 노약자, 여자, 어린애 등 온 가족들을 데리고 아예 고려 땅을 빼앗아 눌러 살려고 온 것이었습니다.

한편 삭주 분도장군 노인유는 이 때 부처에 빌기만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병사가 알리자 하는 말이 이거였죠.

"거란 사람도 역시 사람인데 사람을 차마 죽이기야 하겠느냐?"

그러다 적이 들어오자 곧바로 달아나 버립니다. -_-;

조정에서는 이들을 맞아 삼군을 편성하니 그 병력이 13000이었습니다. 17일에 병력을 소집해 21일에 출발, 이 때 거란군은 청천강 북쪽을 완전히 휩쓸고 있었죠.

당시 거란은 양수척을 길잡이로 삼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후백제의 후예로 아무리 해도 복속하지 않아서 청북으로 이주시킨 이들이었죠. 식민지 개척 때 죄수들 보내는 거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구요. 이들은 세금도 내지 않고 자기들끼리 살았습니다. 헌데 이의민이 이들에게 가혹하게 공물을 징수했고, 이게 도화선이 돼 버렸죠. 이들 덕분에 거란군은 수월하게 진격했습니다.

+) 이 때 결론을 내리기 힘든 게 최충헌의 태도입니다. 당시 그는 변방에서 첩보가 오자 "어찌하여 이러한 사소한 일을 가지고 역기(驛騎)를 번거롭게 하고, 국가를 놀라게 하느냐"고 하고 그를 유배 보냈는데, 이에 변방의 장수들이 "적군이 두세 성을 함락시킨 뒤에 보고하자"고 해서 방비가 늦었다고 하거든요.

문제는 거란군이 쳐들어온 게 13일, 그런데 삼군이 편성된 건 17일로 꽤나 빠른 수준이죠. 뭘까요 이건 -_-a 그냥 최충헌을 까려고 덧붙인 건지, 아니면 요동의 분쟁이 압록강에까지 번진 상황에서 신경을 안 쓴 걸 말 한 건지... 압록강에 여럿 있는 섬들이 누구의 땅이었는지는 잘 모르겠으니까요. 고려사에는 13일로 돼 있지만 그 한참 전에 공격이 이미 시작된 것일 수도 있구요. 이렇게 볼 경우 제대로 된 보고가 들어온 게 13일이겠죠.

21일, 삼군의 병마사는 노원순, 오응부, 그리고 김취려였습니다. 그 때 거란군은 기세등등해서 항복하라는 글까지 보내게 됩니다. 그들은 청북 일대를 얼추 쓸었다 생각하자 남하를 시도했는데, 다행히 조양진에서 유성장과 이순로의 활약으로 청천강 도하는 막습니다. 이렇게 시간을 번 사이 삼군이 도착했죠.

전투는 순조롭게 진행됐습니다. 노원순은 우선 피아의 강약을 확인하기 위해 삼군에서 100명의 별초군(특공대죠 뭐)을 뽑았고, 여기에 신기군 (기억하시죠?) 40명을 뽑아 총 540명을 편성해 교전을 벌입니다. 처음에는 밀리던 고려군은 후군 낭장 정순우가 역공을 퍼부으면서 순식간에 승리합니다. 그는 홀로 적진에 뛰어들어 깃발을 든 적을 죽였고, 이로 인해 적이 혼란스러워졌던 것이죠. 이 전투에서 82명을 죽이고 10명의 포로를 얻습니다.

이렇게 고려의 주력군이 도착하자 숨 죽이고 있던 병력들도 반격을 가합니다. 삼군은 연주(개천) 동쪽에서 적 1백을 목 베었고, 서북 열읍의 김공석, 현장 등도 각기 수백 명을 목 베는 전과를 올렸으며, 서경의 병력도 조양(역시 개천)에서 1백 60여급을 목 벱니다. 이어 삼군은 귀주까지 진격, 200여 명을 참수하고 39명을 사로잡죠.

하지만 적은 아직도 많았기에 노원순은 원군을 청합니다. 그들은 창주부터 영변까지 흩어져서 약탈을 계속하고 있었죠. 삼군은 각개격파를 시도했고, 신리 싸움에서 190급, 조종수에서 760급 등의 전과를 올립니다. 흩어졌던 거란군은 다시 집결해야 했죠. 장소는 개평이었습니다.

3. 그저 시작일 뿐

김취려

삼군은 개평에서 거란군과 맞섭니다. 이 때 노원순과 김취려는 회의를 열죠.

노원순 : 저들이 우리보다 많고 우군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데다 양식도 다 떨어졌으니 후퇴하자.

김취려 : 우리 군사가 여러 번 이겨 투지가 왕성하니 지금 공격한 다음에 생각하자.

김취려는 노원순을 설득하고 진격, 세 번 싸워 세 번 다 이겼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전투로 그의 맏아들이 전사하죠. 이 전투로 적 2천 4백을 베고 강에 빠져 죽은 적도 1천여 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남은 적이 창주로 도망쳤는데 길가에 버려진 여자들과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1만 마리의 소가 울어대는 것 같았다"고 하죠. 낙오된 적은 이렇게 말 하며 빌었습니다.

"우리들이 귀국의 변방을 소란하게 한 것은 실로 죄가 있지만 부녀자가 무엇을 알겠습니까? 제발 다 죽이지는 마소서. 저희들은 날을 정하여 스스로 돌아가겠습니다"

김취려는 그 말을 듣고 그들을 보내준 후 삼군에서 2천명씩을 추려 추격하게 합니다. 여기서 많은 물자와 말과 소를 노획했는데, 그 가축들은 모두 허리와 엉덩이가 찔려 불구가 돼 있었다고 합니다. 고려에서 쓰지 못 하게 한 것이었죠. 고려군은 이들을 청새진까지 추적해 크게 승리합니다. 이 전투로 적장 아아, 걸노가 모두 죽었다고도 하구요.

크게 승리한 삼군은 연주까지 후퇴합니다. 시작은 생각보다 쉽게 막았죠. 하지만, 문제는 이건 시작일 뿐이었다는 것입니다. 적이 다시 창주로 침입해 들어온 것이었죠. 연주에 집결하러 이동하던 김취려의 후군도 박천에서 적의 기습을 받게 됩니다. 그는 노원순에게 구원을 청하지만 노원순은 거부, 하지만 그는 혼자서도 적을 막는데 성공합니
다. 이쯤 되면 거란을 막은 건 거의 김취려 뿐이었죠. 노원순도 직접 술을 따라 주며 축하해 주었고, 여러 성의 백성들도 김취려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감사했습니다.

"이번에 강적과 대치하여 싸울 적에 그 처지가 어려웠는데 개평ㆍ묵장ㆍ향산ㆍ원림의 싸움에서 후군이 매양 선봉이 되어 적은 군사로 많은 적을 무찔러서 우리 노약으로 하여금 생명을 보존하게 하니, 보답할 길이 없어 다만 축수할 뿐입니다"

여요전쟁을 얘기하며 한 영웅의 활약이 적을수록 그 전쟁은 바람직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시작부터 김취려 개인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심했죠. 거기다 그는 후군이었는데 앞뒤 안 가리고 모두 나서야 되는 상황이었죠. 아무리 적이 죽기살기로 밀고 들어온다고 해도 고려의 최고 요충지가 이 청북이었습니다. 200년 전과는 너무도 다른 상황이 계속되었습니다.

그 해 10월, 거란은 다시 대규모로 쳐들어 옵니다. 금시, 금산 왕자가 이끄는 본대였죠.

이번의 경우는 조금 달랐습니다. 큰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았고, 소규모 부대는 여러 차례 격퇴했죠. 전투는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습니다. 마침 겨울도 오고 있었죠. 하지만, 그건 모두 작전일 뿐이었습니다.

10월 말, 거란의 소규모 병력이 노원순을 기습합니다. 김공석이 이를 쉽게 막아내면서 노원순은 안심하고 성으로 들어가 휴식을 취하게 하죠. 하지만, 그 사이 거란군이 청천강을 도하합니다. 당황한 노원순이 이를 막으러 출진하지만 거란군 본대가 돌격해 오면서 큰 피해를 입고 말죠. 이 전투로 전사자만 1000명이 넘었고 장군 이양승 등이 전사합니다. 고려군의 주력을 대패시킨 거란군은 급히 진격합니다. 그들은 더 이상 병력을 분산하는 우를 범하지 않았고, 성을 공격하지도 않고 곳곳을 약탈하면서 진격해 왔습니다. 이 과정에 참화사, 묘덕사, 화원사 등이 불탔고, 노원순이 급히 저지했지만 두 차례나 패합니다. 그들은 어느새 얼어붙은 대동강을 건너 서해도(황해도)까지 들어가고 있었죠. 조정에서는 원군을 보내 이를 저지하려 하지만 맞설 수 없었습니다. 12월 18일, 거란군은 황주를 약탈했고, 백주(황해도 백천), 염주(연안군)까지 이르렀습니다.

다행히 이 때 조충이 염주에서 버티고 노원순의 군대 등 후방의 군대가 남하하면서 고립될 것을 우려한 거란군은 다시 후퇴합니다. 위험이 겨우 지나간 것이죠.

하지만 이것도 시작일 뿐이었습니다.

4. 최충헌
더 큰 문제는 최충헌의 태도였습니다. 10월부터 그는 정숙첨을 원수로, 조충을 부원수로 삼아 원군을 파견했습니다. 승려까지 모두 뽑은 대군이었지만 이 정숙첨이 낙하산이었죠. -_-; 거기다 최충헌은 정예병은 모두 자기 집을 지키게 하고 약한 병력만 정숙첨에게 딸려 주어습니다. 최충헌의 사병을 사열하니 몇 리에 이르렀다고 하고, 이 중에서 적을 치러 나가겠다고 한 자가 있으면 섬으로 유배시킵니다.

거기다 한 가지 어이 없는 짓을 벌이니, 사병을 늘여 세워놓고 연극을 한 것이죠. 그 부하들은 거란군으로 꾸며 그들을 생포한 것을 연극했고, 연기를 잘 하는 이에게는 큰 상을 주었습니다. 이 때 시어사 김주정이 제일 열심히 해서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죠. 피날레로 기생들을 시켜 봉래산에서 선녀가 내려와 하례하는 듯한 연기를 하게 했습니다.

이 쪽은 이미 딴 세상이었던 것이죠.

안 그래도 낙하산인데 이런 상황까지 닥치니 정숙첨이 열심히 할 거라 기대할 순 없었죠. 그는 적을 치지 못 하고 후퇴만 반복했고, 그나마 조충만이 군율을 똑바로 세워서 군대 다웠을 뿐이죠. 결국 정숙첨은 짤리고 조충이 원수가 됩니다.

다음 해 2월, 거란군이 개경을 칠 것이다는 소문이 파다한 가운데 최충헌은 백관들까지 성 밖으로 내보내 지키게 합니다. 그런 가운데 자기 사병들은 열심히 그의 집을 호위했죠. 이런 불만이 터져 나와 반역 사건이 벌어집니다. 흥왕, 경복, 왕륜 등의 여러 절의 승려들이 "거란군이 온다"고 하면서 혼란을 일으켰고, 문지기를 죽이고 최충헌의 집으로 쳐들어 갑니다. 하지만 그의 사병들을 이길 순 없었죠. 이 때 숙청된 중이 800명에 달합니다.

반란은 전주에서도 일어납니다. 처음에 개경으로 징집됐던 그들은 명령을 거부, 이에 따라 나주의 병력도 움직이지 못 하고 있었죠. 충청 안찰사가 겨우 이를 막아냈구요. 한편 현 평택인 진위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진압해야 했죠.

이쯤 되면 외부의 위협은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1170년 무신정변 이후로 나라의 주인은 네 번, 이고까지 치면 다섯 번이나 바뀌어 왔습니다. 최충헌은 그래도 문신들도 적극 기용하고 안정적으로 전권을 틀어쥐면서 조금 다른 면모를 보였지만, 국가를 통치할 철학이 없는 상황에서 기댈 건 자기 힘 뿐이었죠. 그에게는 외적보다 내부의 반란이 더 중요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거란과의 싸움에 모든 힘을 쏟아부을 순 없었죠.

위험한 상황을 몇 번 겪었지만, 확실히 나라가 망할 정도의 위기까지 가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이 때문에 최충헌이 더 안심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최후의 거란인들이 몰고 온 건 고려의 운명은 물론 이제 막 정체성이 확립돼 가던 한민족의 생존조차도 위협하는 것이었습니다.

1216년 12월, 동진국이 몽고에 복속됩니다. 쓰러지기 직전이었던 금나라는 이 동진국을 고려에 들이지 말라고 했지만, 그건 고려가 어찌 할 수 있는 게 아니었죠.

거란의 침략이 계속되는 동안, 변방에서 계속 싸우던 장수들은 또 다른 무리와 마주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뒤에 있던 것은 북방과 중원을 휩쓸고 있던 몽고였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12 13:27
수정 아이콘
마지막 한줄이 예고편을 기대하게 만드는 웅장함이 있네요 다음 스토리가 궁금해집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12/01/12 13:30
수정 아이콘
좋은 절단이네요!
12/01/12 13:30
수정 아이콘
망구다이.... 근데 참 이상한 것이, 원래 페르시아 기병들은 다 궁기병이었는데, 페르시아와 2천년 가까이 싸워왔던 유럽 군대가 망구다이한테는 전혀 힘을 못 썼단 말입니다.
나이트해머
12/01/12 13:55
수정 아이콘
몽골기병이 궁기병이여서 유럽군대가 힘 못쓴게 아닙니다.
그냥 몽골군대라서 힘 못쓴 겁니다. 몽골군은 병종상관없이 다 박살내고 다녔거든요.

아니, 상대전적 따져보면 유럽군대는 몽골군에게 '선전한 축' 에 속하는 군대에요.
사요강 전투에서 헝가리군은 몽골군보다 숫적 열세이면서도 바투군 사령부까지 공격해서 참모진들을 다수 전사시키기까지 했으니까요. 사실 바투가 그냥 삽질한거지만.(바투 이양반이 군사적 능력은 은근히(어쩌면, 상당히...) 부족합니다. 수부타이 아니었으면 사요강 전투는 몽골군의 첫 대패로 기록될 수도 있었지요.) 몽골 상대로 이정도 전과를 올린 군대도 별로 없습니다.
나이트해머
12/01/12 14:08
수정 아이콘
사요강 전투에 대한 김호동 교수님의 서술 가져옵니다.

-------------------------------------------------------------------------

(상략) 바투는 헝가리인들과 싸울때도 큰 실수를 저질렀다. 1241년 봄, 몽골의 분견대는 리그니츠에서 유명한 전투를 치뤘다. 그 무렵 본대는 바투, 오르다, 쉬반, 카단, 수베에테이가 이끄는 다섯 개의 부대로 나뉘어42 카르파티아 산맥을 지나 사요 강으로 향했다. 두 군세는 강을 앞두고 서로와 마주했다. 《원사》(元史)에 따르면, 바투와 다른 왕공들은 ‘적의 군세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그 이상 진격하기를 꺼렸다. 그러자 수베에테이는 5개의 부대가 나누어져 각각 강의 다른 지점에서 도하한다는 ‘기발한 술책’을 제안했다. 왕공들의 지휘를 받는 4개의 부대는 상류나 중류에서 도보로 또는 다리를 이용해 강을 건넌다. 수베에테이가 이끄는 마지막 부대는 강의 하류를 건넌다. 헝가리인들은 그 곳의 수심이 몽골인들이 말을 타고 강을 건너기에는 너무 깊다고 생각해 그 곳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몽골인들이 동물 가죽이나 나무를 이용해 뗏목을 만드는데 아주 능숙하다는 사실을 몰랐음이 틀림없다. 수베에테이의 생각은 뗏목을 통해 강을 건너 적의 후방을 급습하는 것이었다.

그의 ‘술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적에 대한 공격이 세심하게 조작될 필요가 있었고, 그중 시기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그러나 바투는 그의 군대에게 예상했던 것보다 빨리 진군을 명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수베에테이의 군대가 강을 건너기에는 이른 시점이었다. 심지어 몽골군이 강의 반대편에 모였을때도 바투는 “적의 수가 너무 많다”고 불평하며 후퇴하려했다. 그러자 수베에테이는 “만약 그렇다면 홀로 후퇴하시오! 나는 투나(= 도나우)강과 마차(= 마자르)성에 가보기 전까지 후퇴할 생각이 없으니 말이오”라 말하며 돌격했다. 《원사》에 따르면 이에 낙담한 바투는 공격에 가담했다.43

라쉬드 알·딘에 따르면, 몽골 장군들은 헝가리인들을 격파한 후인 그해 겨울, 티사강과 다뉴브강에서 휴식을 취했다.44 또, 《원사》는 그 해에 몽골군이 후닝(사요)강을 건너 큰 연회(dahui)를 열어 마유주와 포도주를 마셨다는 사실을 알려준다.45 이 사료들은 헝가리인들에게서 승리한 뒤인 1241년 여름에 사요강, 티사강 또는 다뉴브강, 셋 중 한 곳에서 대규모 집회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이 모임에서 바투는 후닝강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불평하고 수베에테이가 늦어 자신의 병사들이 많이 죽었다며 수베에테이를 비난했다. 수베에테이는 바투의 성급한 움직임 때문에 그가 늦었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바투는 그것이 그의 실수였노라고 인정했다.”46


42 《元史》에는 이 전역에 참가한 몽골 왕공들의 이름이 적혀있다. ‘Badu’, ‘Wuliwu’, ‘Xiban’, ‘Hadan’. 펠리옷에 의하면, ‘Wuliwu’는 오르다와 같은 사람이다(Notes sur l’Histoire de la Horde d’Or, pp. 30–32). 구육과 뭉케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데, 나는 그들이 그 시점에 어딘가에서 다른 작전을 행하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43 《元史》, 121/2978(수베에테이傳).
44 Rashīd al-Dīn, Successors, p. 70.
45 《元史》, 121/2978(수베에테이傳). cf. Vernadsky, The Mongols and Russia, pp. 55–56.
46 《元史》, 121/2977-8(수베에테이傳).


Hodong Kim. (2005). A Reappraisal of Güyüg Khan. In Reuven Amitai & Michal Biran (eds.), Mongols, Turks, and Others (pp. 309-28). Leiden, The Netherlands: Brill.의 318 ~ 19쪽에서 인용.

---------------------------------------------------------------------------

이걸 보고 제가 생각하던 바투에 대한 평가를 좀 깎았죠.
PoeticWolf
12/01/12 14:28
수정 아이콘
하아.. 오늘도 그냥 눈팅만 하다 갑니다. 댓글 참여는 엄두도 못내겠네요. 비비님도, 댓글 참여하시는 분들도 대단해 보입니다.
언젠가 써주실 6.25을 위해 프란체스카 비망록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땐 한두 마디 참여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lupin188
12/01/12 18:40
수정 아이콘
몽고는 중국측에서 몽골을 비하하기 위해서 쓰는 표현이라고 배웠는데...아닌가요?? 맞다면 몽골이라고 해주셨으면 합니다. 인류역사상 가장 광대한 영토를 가진 제국을 비하해 부를 수는 없잖아요...
눈시BBver.2
12/01/12 18:44
수정 아이콘
그 시대에는 자타칭 다 몽고였는데요 뭐. 비하야 지금 몽골인들이 듣기 싫으니까 그런 말 하는 거구요
예고편에서 방침 밝혔습니다. 몽골 전체를 말할 땐 몽골로 할 거고 저 때의 역사를 말할 땐 몽고로 할 예정입니다.
동이고 왜고 그냥 명칭인데 오랑캐니까 안 좋은 뜻으로 한 것일 뿐이고, 그런데도 다 부르잖아요.
영토가 넓다고 굳이 불러줄 생각도 없구요. 우리나라 괴롭히고 먹어줘서 고맙다 존경한다 이럴 것도 아니잖아요. 대일본제국도 그냥 일본 내지 일제라 하는데요 뭐. 대영제국도 마찬가지구요
12/01/12 20:38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1271년 국호를 大元으로 정하기 전까진 스스로도 한자표기론 蒙古라고 지칭했다고 합니다.
12/01/12 21:02
수정 아이콘
마지막 문장 무섭네요.. 잘 읽고 있습니다~!
Je ne sais quoi
12/01/12 23:16
수정 아이콘
기운이 무르익고 있군요. 폭풍을 예고하는 듯한 마지막 문장 멋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027 [일반] 정도전 30화 (수정 완료) [51] 해원맥11720 14/04/14 11720 11
50964 [일반] 진격의 이성계 [30] 신불해10329 14/04/09 10329 10
50915 [일반] 정도전 28화 [32] 해원맥10759 14/04/07 10759 13
50824 [일반] 고려 말 2차 요동 정벌 이전에 실제로 요동을 친 제 3의 사례 [13] 신불해10188 14/04/01 10188 5
50779 [일반] 정도전 26화 후기 - 2 [21] 해원맥12661 14/03/31 12661 3
50778 [일반] 정도전 26화 후기 - 1 [14] 해원맥9042 14/03/31 9042 2
50762 [일반] 정도전 25화 후기 [30] 해원맥13293 14/03/30 13293 3
50668 [일반] 아주 간략하게 살펴보는 위화도 회군 [59] 신불해10360 14/03/25 10360 8
50639 [일반] 정도전 24화 후기 [51] 해원맥13173 14/03/24 13173 6
50380 [일반]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 조정이 컨트롤 할 수 있는 병력은 어느정도 였을까? [36] 신불해11970 14/03/10 11970 11
50185 [일반] 드라마 '정도전'의 정도전vs정몽주 [18] 비연회상6220 14/03/02 6220 2
35956 [일반] 사과 드립니다. [2] 자이체프5404 12/03/15 5404 0
34670 [일반] 대몽항쟁 1부 - 1. 적은 또 다른 적을 부르고... [6] 눈시BBver.25670 12/01/13 5670 1
34632 [일반] 대몽항쟁 1부 지옥문이 열리다. - 0. 시작 [22] 눈시BBver.28072 12/01/12 8072 3
32885 [일반] 왕자의 난 - (2) 정도전의 적들 [11] 눈시BBver.26640 11/11/06 6640 3
32765 [일반] 왕자의 난 - (1) 조선의 장량 [10] 눈시BBver.28671 11/11/02 8671 4
32651 [일반] 고려의 마지막 명장 - (6) 정몽주 [16] 눈시BBver.29923 11/10/27 9923 1
32627 [일반] 고려의 마지막 명장 - (5) 폐가입진, 해가 이미 저물었구나 [5] 눈시BBver.25958 11/10/26 5958 1
32564 [일반] 고려의 마지막 명장 - (4) 위화도 회군 [12] 눈시BBver.28055 11/10/24 8055 1
30013 [일반] 남한산성 - 5. 이괄의 난 [10] 눈시BB6216 11/06/29 6216 5
29589 [일반] 역사에 대한 잡상 - (13) 대륙과 반도 [25] 눈시BB6907 11/06/06 6907 2
9284 [일반] 권력을 거스르지 말아야 하는 이유 - 오늘 두 사람 [39] 헐렁이4607 08/11/14 460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