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2/18 18:31:18
Name Onviewer
Subject [일반]  음악이 영화의 흥행 여부를 결정한다
영화 흥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으라면 무엇을 예로 들 수 있을까. 배우들의 연기 그리고 시나리오를 꼽을 수 있겠지만 영화에 삽입되는 음악의 중요도 역시 무시 할 수 없다. 음악이 중요하다는 건 진부한 이야기일 수 있겠으나 한국 영화가 영화에 삽입되는 음악적 요소의 중요성을 얼마나 빠르게 눈을 떴는가 짚어보면 그리 진부한 이야기도 아닐 듯싶다. 한국 영화가 `음악`, OST를 눈여겨 본 건 사실상 강제규 감독의 `은행나무침대`가 시초였다.

외국과 한국 영화의 `히트작과 대작`들을 찬찬히 바라보자. 외국 영화의`캐리비안의 해적`이나 `진주만` 혹은 `타이타닉`, 한국 영화의 충무로 역사를 바꿔놓은 `쉬리`등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그 영화들에 삽입되는 OST 곡이 영화에 못지않게 히트를 쳤다는 것이다. 음악은 영화의 스토리 몰입을 심화시켜주는 결정적 요소다. 스펙터클한 액션 장면에선 박진감과 숨 막히게 하는 긴박한 음악, 로맨스 장면에선 심금을 자극하는 음악을 얼마나 적재적소에 장면과 어우러지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한국 영화 음악의 시초가 `은행나무침대`이었다면 그 시초 단계를 더욱 더 승화시킨 건 `쉬리`다. 영화 쉬리는 제작 당시부터 많은 화젯거리를 몰고 왔다. 개봉 이후 한국 영화 최초의 블록버스터 액션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동시 개봉한 `타이타닉`을 일거에 무찌르며 한국 영화의 희망을 보여줬던 작품이다. 공교롭게도 은행나무침대와 쉬리 두 작품 모두 강제규 감독의 손을 거쳐 갔고, 이동준이라는 음악 아티스트가 참여했다.

외국 유수의 영화들 OST엔 거의 같은 사람의 이름이 등재되어있는데 그 사람의 이름은 바로 한스짐머다. 이동준은 일찍이 한스짐머의 음악적 스타일을 주의깊게 관찰했고 자신이 한스짐머 스타일을 가지고 있음을 일부 인정했다. 그랬기에 그가 한국 영화의 생소한 분야였던 `OST`에 주목했던 건 어쩌면 당연했을지도 모른다. 강제규 감독 역시 이동준의 음악적 재능을 인정, 그를 음악감독에 전격 기용했다. 강제규 감독과 이동준 음악감독이 결합한 영화는 흥행가도를 멈추지 않았다.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모두 이동준이 강제규 감독과 함께 일한 작품들이다.

강제규 감독도, 이동준 음악감독도 두 사람의 호흡과 박자가 잘 맞다는 걸 인정했다. 영화에서 어느 장면엔 이 음악이, 다른 장면엔 저 음악을 택해 삽입하려면 음악감독과 조율이 잘 맞아야한다. 그 조율의 결과가 탁월했기에 강제규 감독은 계속해서 이동준을 영화의 음악을 총책임지는 음악감독의 기용을 했던 것이다.




쉬리 장면 중 일부


일명 히트 영화라고 불리는, 흥행한 영화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이 영화하면 이 음악하고 저절로 뇌리에 스치게끔 하는 음악이 있다. `쉬리` 역시 `When I dream`곡이 엔딩 장면에 쓰여 많은 관객들의 잔잔한 감동을 주었고 앞에서 예를 들었던 마이클 베이 감독 작의 `진주만`도 한스짐머가 작곡한 `Tennessee`를 통해 깊은 여운을 주었다. 이처럼 흥행에 성공한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엔딩과 크레딧 장면에 관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음악을 넣었다는 것이다.

`이 영화하면 이 음악`하는 요소가 있어야 관객들의 뇌리에 영화가 각인되고 이는 그 관객이 두고두고 그 영화를 회자할 수 있는 꺼리를 생산해 내주는 것과 함께 흥행으로 직결될 수 있는 중요한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 영화도 이를 인지해서 소홀했던 영화 OST 제작에 손익 계산을 넘어 관심을 쏟고 있다.

우리가 영화를 놓고 영화 흥행 여부는 스토리와 배우의 연기가 결정한다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들어봤을 것이다. 그 말도 물론 맞다. 그러나 영화 음악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영화의 히트 장면을 놓고 감탄한다면 그 장면을 면밀히 분석해보라. 어떤 음악이 쓰였는지 말이다. 어쩌면 인기 가요를 뛰어넘는, 온몸에 전율을 일으키는 음악일 수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칼잡이발모제
11/12/18 18:51
수정 아이콘
영화에 있어 O.S.T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죠.
마치 국에 들어가는 다시다 같은 느낌이랄까요.
개인적으로 가장 뇌리에 깊이 박혀있는 영화, 그 영화의 O.S.T로는 접속의 'A Lover's Concerto - Sarah Vaughan' 입니다.
XellOsisM
11/12/18 18:58
수정 아이콘
당장 생각나는건 레옹의 Shape of my heart.
그리고 쇼생크탈출의 방송실 장면이네요.
Rorschach
11/12/18 19:12
수정 아이콘
전 한스 짐머의 음악들이 다 좋습니다.

다크 나이트와 인셉션, 캐리비안의 해적, 진주만, 곧 개봉을 앞둔 셜록홈즈 시리즈 등.
확실히 영화에 어울리고 기억에 남는 음악을 들려줍니다.

Watchful guardian (다크나이트 스코어, 단 이건 국내에 정식 발매가 안돼서 Like a dog chasing car...로 대신...) 과 160bpm (천사와 악마 OST)은 지금도 정말 자주 듣고 있지요.
거간 충달
11/12/18 19:14
수정 아이콘
주옥같은 ost가 정말 많지만(으아 하나 고르려니 너무 많다)
공각기동대 환생이 떠오르네요. 주제와 분위기가 그대로 살아난 곡이라고 생각됩니다.
(검색하다가 라이브를 발견!! 우오오오! (http://kino3364.blog.me/120072176325)


최근(2010년 전후)영화에서는 아무래도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들이 ost가 탁월했던 것 같네요.
인셉션ost의 비밀을 알았을때의 충격이란....덜덜덜
릴리러쉬.
11/12/18 19:16
수정 아이콘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그 웅장한 음악들은 지금 들어도 전율이 일더군요.
개미먹이
11/12/18 19:22
수정 아이콘
영화음악하면 전 존 윌리암스를 떠올립니다.
스타워즈 레이더스 수퍼맨 jfk ET등등..
물론 이 중 백미는 스타워즈입니다. [m]
BestOfBest
11/12/18 19:42
수정 아이콘
클로저 ost
Damien Rice - The blower's daughter
눈물이 그냥..ㅠㅠ
LionBlues
11/12/18 19:42
수정 아이콘
제가 살면서 처음 극장까지가서 애니메이션을 본것이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었는데, 이것을 보러가게된 계기가
TV에서 흘러나오는 "인생의 회전목마"때문이었죠, 이상하게 이 음악에 빠져서는 개봉하자마자 보러가게되었습니다.
물론 애니자체는.....
예쁘니까봐줘
11/12/18 19:47
수정 아이콘
ost하면 왕의남자와 장화홍련이 생각나네요
정말 좋은 곡이지요 ㅜㅜ
11/12/18 19:53
수정 아이콘
나쁜 녀석들 1편도 OST가 대박이죠. 'Shy Guy'에서 'Someone to Love' 까지..
그러고 보면 마일클 베이 감독 영화들이 죄다 OST가 좋습니다. 더불어 덤엔더머의 'New Age Girl '도 추천..
11/12/18 20:00
수정 아이콘
영화가 아닌 애니메이션이지만 ost는 정말 지브리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 마녀 배달부 키키, 토토로, 라퓨타 등등...이 주옥 같은 ost들이 모두 히사이시 조라는 한 명의 천재에 의해 만들어졌죠.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히사이시 조는 한국에서도 웰컴투 동막골, 태왕사신기 ost로도 유명하고요.

비록 그 뒤로 게드전기, 마루밑 아리에티, 코쿠리코 언덕에서 등등의 지브리 애니메이션에선 히사이시 조가 빠졌지만 여전히 ost는 좋은 편입니다. 정말 지브리 애니메이션은 내용보다 음악이 더 궁금해서 보러 갈 정도...
스타카토
11/12/18 20:01
수정 아이콘
저의 베스트 OST스코어는
러브 어페어 - piano solo...입니다..(그중 고모역으로 나오는 케서린 햅번의 허밍이 들어간 버전이 더더욱이요)
엔니오 모네꼬레의 전설적인 많은 곡들이 있지만...
이곡 하나로 이영화는 저의 베스트영화가 되었습니다....
자제해주세요
11/12/18 20:07
수정 아이콘
저도 영화를 볼 때 가장 눈여겨...가 아니고 귀 기울이는 것이 ost입니다.
한스짐머 정말 좋아하고~ 캐리비언 4는 망작이었지만 ost 만큼은 기가 막히더라구요. 인셉션, 천사와 악마 등등 말해서 무엇하오리까~

또 우리 영화 음악감독들도 참 좋습니다. 혈의누,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박수칠 때 떠나라, 장화홍련 등등 정말 좋은 음악감독님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자제해주세요
11/12/18 20:08
수정 아이콘
가장 최근에 인상깊었던 ost는 다름아닌 x맨 일등석 매그니토 테마!!!!

아 진짜 미치도록 들었는데 계속 듣고 있는 악마의 ost...
토어사이드
11/12/18 20:15
수정 아이콘
가장 기억에 남는 ost는 타이타닉의 My heart will go on이 기억에 남네요
마술사얀
11/12/18 20:16
수정 아이콘
국제영화제에 출품하는 박찬욱, 봉준호, 김지운 등은 아마 강제규가 즐겨 쓰는 이동준을 못쓸겁니다.
이동준은 워낙 한스짐머를 카피해서 국제영화제에서 비웃음거리되기 딱 좋죠
진혼가
11/12/18 20:23
수정 아이콘
지금만나러 갑니다 의 ost인 時を越えて(시간을 넘어서)가 생각납니다..
설레이면서 두근거리는 그러나 영화내용을 알면 조금 슬픈....
여지껏 본 영화중 꽤나 뇌리에 박힌 ost중 하나네요
11/12/18 20:32
수정 아이콘
영화음악 하면 한스 짐머, 반젤리스, 에니오 모리꼬네죠. 개인적으론 시네마 천국 OST 중 'Love Theme'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불의 전차 - 반젤리스
http://www.youtube.com/watch?v=9myoXFk-O4U

시네마 천국 - 에니오 모리꼬네
http://www.youtube.com/watch?v=1FzVWlOKeLs

"Love Theme" - from "Cinema Paradiso"
http://www.youtube.com/watch?v=RwDf2DCX_1A
Zakk WyldE
11/12/18 20:43
수정 아이콘
한스 짐머의 Tennessee 제일 좋아합니다.
진주만 스무번은 본 것 같아요^^ [m]
11/12/18 20:48
수정 아이콘
한스 짐머는 대체 어떤 사람이길래 그렇게 적재적소에 좋은 음악들을 잘 쓰는걸까요?
진정 천재라는 느낌이 듭니다.
11/12/18 21:19
수정 아이콘
놀란감독 영화의 음악을 좋아합니다. 웅장하고 심장 떨리게하는..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영화 ost는 '당신이 사랑하는 동안에'의 콜드플레이 노래였네요..
the scientis였나?
11/12/18 21:24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자마자 딱 떠오르는 게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인생의 회전목마' 입니다. 하하....
DrakeDog
11/12/18 21:42
수정 아이콘
전 본시리즈의 메인테마가 떠오르네요.
마지막시리즈에서 물속에서 헤엄쳐 나올때의 그 전율이란...
취한 나비
11/12/18 21:57
수정 아이콘
이번 미션임파서블4 미션이 시작할 때마다 음악이 나왔는데 상황과 참 잘 어울리더군요.
애니메이션 감독이 실사 영화를 이렇게나 나무랄 구석없이 잘 만들 줄은 생각도 못 했습니다.
11/12/18 23:03
수정 아이콘
뭐 그 감독이 만든 애니들도 거의 전부 애니계의 마스터피스에 들어가니니까요. 그 내공을 그대로 살린 듯 합니다
취한 나비
11/12/18 23:53
수정 아이콘
헌데 반대의 경우도 있거든요. 스티븐 스필버그가 내공이 없어서 이번 틴틴이 부족한 점이 있는게 아니죠.
영화와 애니는 분명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 점을 거장인 스티븐 스필버그가 간과 했기에 겉모습은 훌륭하게 표현되었지만 재미 자체는 별루 였던 것이고요. 개인적으로는 케릭터가 가장 맹점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래픽이나 연출은 완벽했고요, 스토리도 모험 애니로 무난했지만 케릭터는 사건이 일어나고 일관적으로 목표를 향해서만 달려가거든요. 아바타처럼 런닝 타임을 늘려서라도 케릭터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관객이 공감할 만한 장면이 있어야 했습니다. 애니는 실사영화보다 더 친절해야 돼요. 틴틴 원작이 유럽에선 제법 역사가 있는 만화라지만 대부분의 대중은 원작을 모르거든요. 그 점을 놓친게 크다고 봅니다.

반면에 미션 임파서블은 연작이라는 점이 케릭터에서 브래스 버드 감독이 쉽게 얻게된 잇점이긴 하지만 이단 헌트라는 주인공 외에 다른 새케릭터들도 딱히 나무랄 점이 없는데다가 애니 감독 다운 유머러스하고 센스 장면도 자주 나와서 지루할 틈이 없어요. 대놓고 말해 실사 영화로는 미션 임파서블이 첫 잇뽕작이에요. 그래서 더 대단한 것이죠. 걔다가 인트레더블이나 라따뚜이를 성공시키긴 했지만 다작을 한 감독도 아니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정말 뛰어난 재능있는 감독이라고는 생각했지만 내공이 있다고는 생각 안하거든요. 내공이라 건 작품을 하면서 쌓여가는 것인데, 거장도 실패한 것을...

그런면에서 제작자이자 주연 배우인 톰 크루즈도 칭찬해주고 싶습니다. 실패하면 거액이 그대로 날아가는데 영화 연출 경험도 없는 애니 감독을 쓰다니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고 연기, 작품, 감독을 보는 눈이며 스스로 아직 죽지 않았음을 증명했다고 봅니다.
샨티엔아메이
11/12/18 22:03
수정 아이콘
ost하면 록키가...
11/12/18 22:23
수정 아이콘
The Dark Knight OST는 영화에 견줄만큼 좋아하고 즐겨듣고 있네요. Why so serious? 도입부의 음산함, 탁월한 표현력이지 않은가 해요. [m]
서린언니
11/12/18 22:59
수정 아이콘
왜 이러시나요 E.T, 인디아나 존스, 스타워즈의 존윌리암스 끼워주시라능;
11/12/18 23:06
수정 아이콘
영화 음악하니까 지금 당장 떠오르는 건 왜인지 28일 후의 그 음악...
공안9과
11/12/18 23:50
수정 아이콘
쉬리 OST 전체를 마르고 닳도록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 그런데 타이타닉과 동시개봉해서 무찌른건 아니죠. 당시는 멀티플렉스 도입 초기라 지금처럼 전국 동시개봉이 어렵긴 했지만, 개봉일이 반년 가까이 차이가 났었습니다. 물론 타이타닉이 500만명이라는 경이적인 흥행기록을 세우고 쉬리가 곧 그 기록을 깰 줄은 아무도 예상 못했죠. 그야말로 한국 영화의 혁명이었으니까요.
미라이
11/12/19 00:20
수정 아이콘
흥행영화는 아니지만 음악을 정말 잘쓰는 감독중에 왕가위가 생각나네요. 해피투게더의 피아졸라음악은 정말 최고라고 봅니다. 중경삼림의 캘리포니아 드리밍은 한국에서도 꽤나 히트쳤었죠. [m]
김첼시
11/12/19 01:08
수정 아이콘
영화의 분위기를 살려주는 영화음악이라는 관점에서 봤을때 한국영화중에 개인적으로 올드보이를 최고로 꼽고싶습니다. 최근엔 아저씨도 극의 분위기를 잘살려주는 음악이었다고 생각.
R.Oswalt
11/12/19 02:26
수정 아이콘
저는 마지막 황제 OST가 생각이 나네요. 류이치 사카모토가 중국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영화에도 단역으로 출연하고 OST까지 참여했다고 하던데.....
초등학생 때 저보다 어렸던 황제 푸이와 청년 푸이 시절의 그 음악들, 그 중에서도 자금성에서 푸이가 뛰어다닐 때 나오던 음악과 문수(완용인가요?)와 갈등을 빚을 때 나오던 'Rain'은 요즘 들어도 소름이 돋아요.

그리고 역시 초등학생 때 봤던 포레스트 검프... 꼬맹이였을 때 달리면서 보조기구 풀리는 장면에서 나오던 그 사운드도 일품이었더랬죠 ㅠㅠ

반대로 OST가 아예 안들어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무서워 죽는 줄 알았습니다. 하비에르 바르뎀 영화는 그 이후로 무서워서 못보겠어요... 향수도 방심하고 있다가 나와서 괜히 소름돋고 그랬네요....
김치찌개
11/12/19 07:12
수정 아이콘
영화에서 OST 정말 중요한거 같아요~

딱 떠오르는게 타이타닉 OST인 My heart will Go On이 떠오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01 [일반] 맞벌이를 그만둘수밖에 없는 이유... 육아 전쟁 [51] 無의미7199 12/01/30 7199 10
34920 [일반] 실수로 계좌 이체를 잘못 했을때의 대처법(현직 금융권 변호사입니다) [53] 호가든28919 12/01/26 28919 45
34918 [일반] 노인과 공공 질서 [60] 로렌스5481 12/01/26 5481 0
34668 [일반] 아까운 내 돈~!! 세금 절약 어떻게 해야 할까요? [16] 고래밥4373 12/01/13 4373 0
34427 [일반] 오만원권 뒷면 잘 살펴보세요.. [11] linkage6908 12/01/04 6908 0
34424 [일반] 인내자본, 재클린 노보그라츠, 어큐먼 펀드 [17] Mithinza4437 12/01/04 4437 8
34265 [일반] 서기 2012년을 맞아하는 가벼운 미래 예측 [40] kimera5367 11/12/29 5367 1
34249 [일반] 중국 경제에 대한 잡다한 지식 모음. [42] OrBef6434 11/12/28 6434 4
33952 [일반] 음악이 영화의 흥행 여부를 결정한다 [50] Onviewer5323 11/12/18 5323 0
33500 [일반] 신용카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막거나 축소해두세요! [10] 사악군6575 11/11/30 6575 0
33307 [일반] 한미 FTA의 장미빛 환상은 거짓입니다. [49] 레닌7393 11/11/22 7393 0
33037 [일반] 다단계 피해 예방 혹은 ‘Anti’를 위한 글(+링크 모음) 本(본) 편 : 사업Ⅰ [5] 르웰린견습생9052 11/11/12 9052 2
32988 [일반] n-protect 미국 금융 보안 시장 진출 [31] 새로운삶5846 11/11/10 5846 0
32802 [일반] ETF 알고 지내기 1 [3] 임요환의DVD3951 11/11/03 3951 1
32544 [일반] 그냥 잡설(불후의 명곡 등) [17] 킬리5234 11/10/23 5234 1
32312 [일반] [펌글] 조세 무링요 감독이 포르투갈 국가대표에게 보내는 메세지 [18] Hibernate8720 11/10/13 8720 0
32239 [일반] 주진우 기자의 특종 - 대통령 장남의 내곡동 땅 구입 사건 [134] KARA8146 11/10/10 8146 0
32050 [일반] [축구]자비심 없는 펠레의 기록 [187] 아우구스투스8071 11/09/30 8071 0
31664 [일반] 닉 리슨의 겜블(Rogue Trader) [5] 낭천5800 11/09/10 5800 0
31216 [일반] 나는 잘 될 수 있을까... [4] sad_tears3662 11/08/20 3662 3
30943 [일반] 당신의 평화로운 마음은 얼마입니까? [6] 글곰3738 11/08/08 3738 0
30894 [일반] “내가 좌파”인가? [112] 사람사는세상6863 11/08/06 6863 0
30891 [일반] 얼치기 가치투자자입니다. [13] 퀘이샤5624 11/08/06 562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