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1/30 11:53:38
Name 사악군
Subject [일반] 신용카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막거나 축소해두세요!

우선 저는 법조 관련된 곳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주로 하는 업무중 하나가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을 위한
부당이득반환이나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하는 것인데요, 보이스피싱 범죄의 진화로
인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가장 흔한 보이스피싱은 본인 계좌에 있는 금액을 사기꾼들이 보유한 계좌로 이체하는 것인데,
이것도 큰 문제지만 일단 피해는 본인 계좌에 있던 금액에 한정됩니다.
그런데 요즈음은, 개인정보를 요구한 뒤 (검찰청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고 검찰청처럼 보이는 사이트로 유도하여
계좌비밀번호, 신용카드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경우가 많음)
이를 이용해서 신용카드 회사에서 대출한도까지 대출을 받아 그 돈을 모두 이체시키는 것입니다.

은행 계좌에 1백만원 정도밖에 없거나 잔액이 없어 상대적으로 '혹시 사기라도 잃어봐야 얼마 안되겠지' 또는
아무튼 주의를 덜 기울일 수도 있는데 그런 부주의를 통해 카드회사에 몇천만원의 빚을 지게 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대규모 해킹사태등으로 개인정보가 많이 유출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로 대출을 받고 이를 다시 자기들 계좌로 이체하여
편취하는 형태의 피해가, 전화 등 보이스피싱을 거치지 않고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의심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그래서 같이 일하는 분들은 카드회사에 그런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를 막아달라는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좀 귀찮긴 한것 같은데 아무튼 카드회사에 전화하시면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사용을 하셔야겠지요.
그러나  사용하지도 않는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등의 한도를 과다하게 유지하고 있으시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주거래 통장외에 통장의 1일 이체 한도액도 필요에 맞춰 축소해두시는 게
안전해 보입니다. (어떤 의뢰인 계좌로 1500만원을 대출받았는데 이체한도가 1천만원이라 500만원은 남은 사례등..)

언젠가 보이스피싱과 관련해서 글을 하나 잘 적어보려고 했는데, 급히 적느라 체계가 없네요.

결론-  불필요한 카드대출은 막아두시거나 한도액을 줄여두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erry Blossom
11/11/30 12:12
수정 아이콘
카드대출은 어떻게 막나요?
어디에서 신규 계좌가 생성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또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체크카드만 쓰고 있는데, 글을 읽고 나니 불안해서 질문드립니다.
11/11/30 12:20
수정 아이콘
어제 대검찰청이라면서 전화가 왔었습니다.
자기가 누군지도 안 밝히고 사건에 연류되었다고 나오라는데
말투도 어눌하고 뻔해서 뚝 끊어버리고 검색해보니 , 대검찰청 보이스피싱이 난리라더군요.

대검찰청인것처럼 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라고 해서 비밀번호 넣으라고 한다던데...
Mithinza
11/11/30 12:22
수정 아이콘
중국이랑 외교 관련해서 이런 보이스피싱 하는 사람들에 대한 대책같은 거 마련... 하기에는 너무 사안이 소규모인 걸까요.

하긴 전화하는 사람들이 조선족이지 사장님들은 다 한국인... 이라는 얘기도 듣긴 했습니다만.
No21.오승환
11/11/30 12:25
수정 아이콘
개인정보 다 해킹당하고 도용당해서 제 3자가 임의로 대출을 받아가도

카드회사나 은행권에서 돈 갚아라 라고 하면 갚아야 하나요?
비회원
11/11/30 13:27
수정 아이콘
2011. 7. 울산지방법원에서 보이스피싱 범죄가 사회적으로 많이 알려졌는데도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채 돈을 송금한 피해자에게 40%의 과실책임을 인정한적이 있었네요.
이제 수법도 알려질만큼 알려졌으니 알아서들 조심하라는거 같은데, 일단 전화로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기관은 거의 없다는 사실을 잊지 않으면 상당부분의 피해는 줄일 수있지 않을까요?
복타르
11/11/30 13:41
수정 아이콘
얼마전 TV에서보니 실제 경찰청이나 우체국에서 개인정보와 관련해서 물어보는게 딱 하나 있는데 '주소' 라더군요.
주소 외에 다른 개인정보를 요구하면 무조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도 괜찮을 것입니다.
swordfish
11/11/30 13:44
수정 아이콘
오늘 처음으로 피싱 당했는데, 경찰을 사칭하더군요. 어떤가 하고 그냥 듣는 척만 하면서 계속 통화 하던 중에 상대도 안듣는 걸 눈치 챘는지, 갑자기 욕을 하면서 지금까지 자기가 무슨 말 했는지 반말로 묻더군요. 아침에 욕듣는 것도 짜증나서 정말 경찰이면 영장 첨부해서 잡으러 오던가, 우편으로 소환 요청하라고 하고 끊어 버렸습니다.
괜히 제 이름과 전화 번호를 저쪽에 알고 있다는게 짜증나더군요.
정해찬
11/11/30 20:10
수정 아이콘
통장 거래내역을 매일 확인해야겠네요..
내가 개인정보를 알려주지 않았어도 돈을 대출받는게 가능하다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01 [일반] 맞벌이를 그만둘수밖에 없는 이유... 육아 전쟁 [51] 無의미7199 12/01/30 7199 10
34920 [일반] 실수로 계좌 이체를 잘못 했을때의 대처법(현직 금융권 변호사입니다) [53] 호가든28919 12/01/26 28919 45
34918 [일반] 노인과 공공 질서 [60] 로렌스5481 12/01/26 5481 0
34668 [일반] 아까운 내 돈~!! 세금 절약 어떻게 해야 할까요? [16] 고래밥4373 12/01/13 4373 0
34427 [일반] 오만원권 뒷면 잘 살펴보세요.. [11] linkage6908 12/01/04 6908 0
34424 [일반] 인내자본, 재클린 노보그라츠, 어큐먼 펀드 [17] Mithinza4436 12/01/04 4436 8
34265 [일반] 서기 2012년을 맞아하는 가벼운 미래 예측 [40] kimera5367 11/12/29 5367 1
34249 [일반] 중국 경제에 대한 잡다한 지식 모음. [42] OrBef6434 11/12/28 6434 4
33952 [일반] 음악이 영화의 흥행 여부를 결정한다 [50] Onviewer5322 11/12/18 5322 0
33500 [일반] 신용카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막거나 축소해두세요! [10] 사악군6575 11/11/30 6575 0
33307 [일반] 한미 FTA의 장미빛 환상은 거짓입니다. [49] 레닌7393 11/11/22 7393 0
33037 [일반] 다단계 피해 예방 혹은 ‘Anti’를 위한 글(+링크 모음) 本(본) 편 : 사업Ⅰ [5] 르웰린견습생9051 11/11/12 9051 2
32988 [일반] n-protect 미국 금융 보안 시장 진출 [31] 새로운삶5846 11/11/10 5846 0
32802 [일반] ETF 알고 지내기 1 [3] 임요환의DVD3951 11/11/03 3951 1
32544 [일반] 그냥 잡설(불후의 명곡 등) [17] 킬리5234 11/10/23 5234 1
32312 [일반] [펌글] 조세 무링요 감독이 포르투갈 국가대표에게 보내는 메세지 [18] Hibernate8720 11/10/13 8720 0
32239 [일반] 주진우 기자의 특종 - 대통령 장남의 내곡동 땅 구입 사건 [134] KARA8146 11/10/10 8146 0
32050 [일반] [축구]자비심 없는 펠레의 기록 [187] 아우구스투스8071 11/09/30 8071 0
31664 [일반] 닉 리슨의 겜블(Rogue Trader) [5] 낭천5799 11/09/10 5799 0
31216 [일반] 나는 잘 될 수 있을까... [4] sad_tears3662 11/08/20 3662 3
30943 [일반] 당신의 평화로운 마음은 얼마입니까? [6] 글곰3738 11/08/08 3738 0
30894 [일반] “내가 좌파”인가? [112] 사람사는세상6863 11/08/06 6863 0
30891 [일반] 얼치기 가치투자자입니다. [13] 퀘이샤5623 11/08/06 562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