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9/01 08:12:49
Name 뜨거운눈물
Subject [일반] 8월 소비자물가 5.3↑..3년만에 최고(상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2487745

2008년 8월 이후 최고라고합니다
대충 이유를 분석해보면 8월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환율 급등으로 인한게 가장크다고 봅니다
그리고 6월 기준금리를 3.0%에서 3.25%로 올리고
7월 8월 다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더블딥의 우려로 동결했던게 가장 크다고 봅니다
설상가상으로 9월에도 기준금리를 인상하지못하고 동결할께 뻔해보이는데
계속해서 이런 소비자물가상승을 막을 방법은 없어보입니다
시중가계대출 연체율은 자꾸 올라가고 소비자물가까지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니
앞으로의 경제상황도 매우 암울하네요

추가기사
국내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2년4개월만에 최고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2530698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8살 2학년
11/09/01 09:14
수정 아이콘
금리동결, 신규 가계대출 중지는 경제의 건정성을 지키기 위한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실물경기가 너무 암울해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만은 없네요.
그런 의미에서 유럽, 미국 너 임마 화이팅 ㅠㅠ

그리고
'7월 8월 다시 더블딥의 우려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동결했던게 가장 크다고 봅니다'를
'7월 8월 다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더블딥의 우려로 동결했던게 가장 크다고 봅니다'로 수정하시면 글을 좀더 쉽게 이해할 것 같네요.
11/09/01 09:16
수정 아이콘
진심 이명박정부에게 감사하고 싶네요.
다시는 저런놈 안뽑히게 두손 두발 다 걷고서 다음 대선때 활동해야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네요.
진짜 월급은 도토리만큼 오르는데
물가는 장난없고...
전 개인적으로 요리를 해먹는데 장볼때마다 물가가 장난없죠.
PGR에서도 어머니 혹은 와이프가 장봐오시는 분들 오늘이라도 당장 나가서 그냥 대충 먹고싶은거 몇개 주섬주섬 주워와 보세요.
무서워서 다음부터는 덜덜떨게 됩니다.
이놈의 주택융자도 갚아야하고 아이고 정말 죽겠네요...
네오크로우
11/09/01 09:36
수정 아이콘
금융적인측면 제외하고 장보러 갔을때의 체감물가가 엄청 높은데 사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날씨가 지x맞으니...
담주에 벼 베야 하는데 죽겠습니다.

그나마 요 며칠 해떠줘서 고맙긴 하지만... 이미 많이 늦은터라...
절름발이이리
11/09/01 11:06
수정 아이콘
현 정권만의 탓은 아닙니다. 물론 그럼에도 안 좋은 결과에 대해서는 욕을 먹는 게 리더입니다만..
날아랏 용새
11/09/01 12:10
수정 아이콘
환률을조작해서(조작입니다!)
나라의 힘을 수출 대기업에만 몰아놨으니 나머지 사람들은더욱 고통스럽죠...
정권 초기에는 그렇게나 파이를 키우자던 양반들이 이제와 이지경이 되니 동반성장 위원회 따위나 만들면서 S기업 회장님께 빨갱이 소리나 듣고...
요즘은 대기업에 지갑 열라고 별 간섭을 다하더군요
이 정부의 정체를 모르겠습니다... [m]
the hive
11/09/01 12:26
수정 아이콘
환율하니까 문득 마XX가 생각나는군요...
본의든 아니든 돈벌이에는 능력이 있으신분같아요..
the hive
11/09/01 12:43
수정 아이콘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06&newsid=20110901101018086&p=Edaily

이와중에 8월 무역흑자가 대폭 감소했네요 물론 7월 흑자가 엄청나긴 했고 정황상 회복 할 거 같습니다만
IT종목의 하락세가 엄청나네요 진짜...
몽키.D.루피
11/09/01 12:51
수정 아이콘
세계경제영향이라고만 보기 힘든 물가상승률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물가 정책은 실패했어요.
김연우
11/09/01 12:59
수정 아이콘
사람 죽일듯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었기에 금리 상승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음에도 상식과는 너무나도 먼 금리 정책을 선택하는 점,
전 세계의 웃음거리로 전락한 바가 있는 환율 정책등을 봤을때, 현 정부가 물가 대책에 책임 없다는 말은 절대 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서 물가 대책이라고 하는 것들이라곤 기업에게 싹싹 빌어가며 가격 낮춰달라고 비는 일을 보고 있으면 여기가 북한인지, 정부의 정책이 공산주의식 계획경제는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11/09/01 13:03
수정 아이콘
뭐 100%가카 탓이다!는 오버인 것같긴 한데 물가정책에 가장 직접적 타격을 받는 서민층에서 정책입안자들 사정까지 헤아려줄 필요는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쿨럭
Siriuslee
11/09/01 13:52
수정 아이콘
경제만 살리면 되지!
왕은아발론섬에..
11/09/01 15:09
수정 아이콘
부자들이야 물가 좀 올라도 별 지장도 없으려니와 이 정권 들어서 받은 이익을 감안하면 정부의 정책들에 불만이 별로 없겠죠.
근데 서민들은 이 정권 들어서 받은 혜택은 없는 상황에서 물가는 물가대로 살인적으로 오르니 아주 죽는다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488 [일반] 침대에서 자기전 들으면 좋은 노래 [2] 뜨거운눈물3879 11/09/01 3879 0
31476 [일반] 8월 소비자물가 5.3↑..3년만에 최고(상보) [29] 뜨거운눈물4143 11/09/01 4143 0
31462 [일반] 괜찮은 가수를 찾았습니다 [1] 뜨거운눈물4902 11/08/31 4902 0
31377 [일반] 곽노현 "박명기 교수에 선의로 2억원 건네, 대가성은 없었다"(1보) [250] 뜨거운눈물10192 11/08/28 10192 0
31362 [일반] 슈퍼스타K 레전드 무대 [7] 뜨거운눈물7594 11/08/27 7594 0
31240 [일반] 오세훈 "투표율 33.3% 미달 땐 시장직 사퇴" [174] 뜨거운눈물9036 11/08/21 9036 0
31229 [일반] 약한 남자 [4] 뜨거운눈물4150 11/08/20 4150 0
31076 [일반] 광복절 [14] 뜨거운눈물4126 11/08/15 4126 2
31073 [일반] 오늘 골든벨.. 이걸 방송에 내보내다니.. [131] 뜨거운눈물22613 11/08/14 22613 0
31051 [일반] 이 노래에 빠지다 [3] 뜨거운눈물4470 11/08/13 4470 1
30828 [일반] 일본이 유사시 독도에 자위대를 파견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응징해야합니다 [49] 뜨거운눈물6239 11/08/03 6239 0
30800 [일반] 미국부채협상은 훼이크에 불과했다 [57] 뜨거운눈물6505 11/08/02 6505 0
30316 [일반] 애국자의 말들 [4] 뜨거운눈물4372 11/07/14 4372 3
30198 [일반] 각성하고 책상에 앚기 [6] 뜨거운눈물4910 11/07/09 4910 0
29988 [일반] 따뜻한 노래 [4] 뜨거운눈물3964 11/06/27 3964 0
29972 [일반] 빨리 멸치 내놔! [19] 뜨거운눈물5844 11/06/26 5844 0
29906 [일반] 그렇게 넌 갔다 [1] 뜨거운눈물3597 11/06/23 3597 0
29832 [일반] 나는 가수다에서 절대 떨어지질 않을가수 박정현 [70] 뜨거운눈물10925 11/06/19 10925 0
29664 [일반] 적반하장 [賊反荷杖] [35] 뜨거운눈물5185 11/06/10 5185 0
29577 [일반] 오늘은 현충일 입니다 [14] 뜨거운눈물4471 11/06/06 4471 2
29538 [일반] 하드코어 인생아! [8] 뜨거운눈물4706 11/06/03 4706 0
29535 [일반] [국가대표평가전]대한민국vs세르비아 [57] 뜨거운눈물5252 11/06/03 5252 0
29397 [일반] 니가 매일 다니던 골목 그곳만 그대로 있어주면 돼 [4] 뜨거운눈물4929 11/05/28 49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