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8/12 03:49:26
Name 정우비셀스 규리하
Subject [일반] 게시판을보면서 이해가 안되는게 있어 한말씀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가끔 글올리는 정우 규리하입니다

이렇게 글을 올린것은 몇년전부터 궁금하기도 하고 이해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 입니다.
pgr의 자유게시판의 글쓰기는 매우 무겁습니다. 이 무거움은 논리적이건, 사회적 기조와 다르건 문법적으로 부족하건 간에 상당히 많은 지적과 논리적인 반론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이것이 pgr의 매력이고 이곳을 지탱하는 하나의 원동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습관적으로 또는 아무렇지도 않게 특이한 단어들을 보게 되었는데요. 제 글을 거기에 대한 의문이고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글을 씁니다. 개인적으로 야구를 보지 않고 pgr의 유게나 불판 또는 게시물에서 가끔보는데요. 야구관련 글을 보면 이상한 단어가 있었습니다. 르그, 스크, 므르브, 크보 등의 이니셜을 영어 발음대로 읽는다고 할까요?

처음에 봤을 때는 그게 무슨 팀인지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제가 야구를 안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불만을 일부러 표출할 필요도 못느꼈기 때문에 제가 모르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오늘 강호동씨에 대한 글을 보니 케사라는 말이 나오더군요. 그게 뭔지 한참을 생각한뒤에나 알게 되었는데요.
이런 공영방송에 대한 호칭에 대한 것도 이렇게 까지 쓸필요가 있나 싶더군요.
사실 프로게이머에게 선수란 말 붙이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어떤 글에서는 말의 맥락과 상관없이 맞춤법을 지적하던 분들이 많던 것을 생각했을 때 이것에 대한 지적은 아무도 없는 것을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습니다. 굳이 그렇게 써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많습니다. 물론 영자 키보드 누르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으나, 자신의 편의를 위해서, 또는 집단이 알고 있단 이유에서 그렇게 쓰는 것은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는 pgr의 무거운 자게 글쓰기와는 다른 것이 아닐까요.

물론 야구 불판에서 또는 게임 불판에서 선수 별명을 부르고 이러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 의구심이 없습니다만, 팀에 대한 글을 올리고, 독립적인 글을 써서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읽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


요약하면, 왜 영문이니셜을 발음대로 한국어로 쓰시는지? 그리고 그것에 대해서 아무도 지적을 안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큰 불만은 없으나 누구에게나 동일하고 함께 적용되는 잣대라는 측면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체실비치
11/08/12 03:53
수정 아이콘
다른 용어는 잘 모르겠지만,
스크 므르브 크보 이런 야구 관련 용어들은
워낙에 자주 쓰이는 용어들이라
이미 관용어구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보여져서요.
야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마 다 알고 계시지 않을까 싶고,
개인적으로는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물론 야구에 관한 독립적인 글을 작성할 경우엔 바로 사용하는 편이 더 바람직해 보이네요.
정우비셀스 규리하
11/08/12 03:59
수정 아이콘
체실비치 님// 너무 예민하게 군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체실비치 님이 말씀하신 단어들을 pgr에서 처음 봤네요. 사실 야구 불판에서 보이는거야 아무렇지도 않지만, 뭔가 독립적인 글에서도 보일때는 제게는 이해가 되지 않는 면이 있었습니다. pgr유저로서 궁금하기도하고, 이런 정도의 관용구를 이해할 수 있다면, 조금은 맞춤법에도 관용적인 pgr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일부러 막쓰거나, 정말로 몰라서 반복적으로 틀려서가 아니라면)
11/08/12 04:1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야구 불판글도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다는 점은 같지 않나요?
야구 팀에 관한 독립적인 글을 올려도 어짜피 야구에 기본적으로 관심있는 분들이 볼텐데요.
불판글도 마찬가지고요.
그리고 이건 맞춤법적인 측면이 아니라 위에서 말씀하신 관용어구 비슷하게 사용되는거라
딱히 문제될껀 없다고 봅니다. 제대로 표기해서 나쁠건 없지만요.
지니쏠
11/08/12 04:17
수정 아이콘
은어라는것이 사용자들끼리 동질감을 느끼게 하고 분위기를 약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야구불판같이 화기애애한 게시글에선 무턱대고 제한한 필요가 있진 않다고 봅니다. 르그 므르브 크보같은건 그냥 그대로 발음한 것인만큼 직관적이라 그렇게 큰 위화감을 조성하지도 않구요. 이런것을 일일이 금지하자면 콩 등의 유행어들도 다 금지해야 하는데,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요? 상대적으로 정치글이나 논설문투의 글에는 좀 더 엄격한 기준을 둔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이중잣대로 보이지는 않네요. [m]
처음그때로
11/08/12 04:34
수정 아이콘
저는 오직 인터넷 사이트라곤 이곳만 다니기 때문에..
줄임말이 많은 글이나 덧글은 그냥 넘기게 되더군요. 하나하나 찾아볼만큼의 노력은 들이기 싫고..
이미 아는 것도 익숙치 않은건 읽다가 잠깐씩 끊기게 되니 오히려 줄임말을 쓴 글이 읽는 시간을 지연시킨다고 할까요.
포포리
11/08/12 04:54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에 동감합니다.
진리탐구자
11/08/12 06:54
수정 아이콘
사실상, 거의 애칭이나 줄임말 같은 것과 다를 게 없다고 봅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맨유로 표기하는 것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 같네요.
나이로비블랙라벨
11/08/12 07:19
수정 아이콘
야구 자주보는데 르브 므르브는 저도 처음 듣네요 야구 좀 아는 사람이라면 아는게 아니라 야구 관련 사이트 자주 가는 사람이 은어를 안다고 하는게 맞는것 같네요 [m]
Lovephobia
11/08/12 07:39
수정 아이콘
스크 르크 므르브 크보 느바 크블 브금... 개인적으로는 볼 때마다 거슬리지만 그냥 개인적인 느낌일 뿐이죠...
약자가 EVA 같이 발음이 되는 것도 아닌데 억지로 저렇게 읽어야 하는 것인가! 라는 느낌이 들지만 관용어구처럼 되어 버렸으니 크크
샤이니온유
11/08/12 07:49
수정 아이콘
유게에 다른사이트에서 무분별하게 퍼오는것도 관련있지않을까요...
방과후티타임
11/08/12 07:51
수정 아이콘
넷상에서 워낙 빠르게 빠르게 치는게 많아지다보니
SK, MLB처럼 한/영 키를 눌러야 하는것에 대해 못참는거죠......bgm을 브금이라고 하기도 하고.....
Nowitzki
11/08/12 08:54
수정 아이콘
특정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끼리 쓰는 관용어구에 불과하지 않나요.. 맞춤법을 언급할 부분은 아닌것 같은데요
하지만 케사 같이 좀 억지스러운 것들은 종종 거슬리는 것은 사실입니다
리플에서는 몰라도 글 본문에서는 제대로 된 명칭을 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큐리스
11/08/12 09:22
수정 아이콘
대체로 동감합니다.
pgr에서는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게시물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요.
특정 부류의 사람들만 해독할 수 있는 은어를 사용해서 게시물이나 댓글을 작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pgr이 프로게이머 관련 사이트인 만큼 프로게이머 관련 은어는 사이트 특성상 허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몽키.D.루피
11/08/12 09:30
수정 아이콘
원래는 진짜 철저하게 지켜졌었고 운영진들도 그런 은어나 통신어 사용에 대해 가차없는 철퇴를 내리곤 했었는데(퍼청천 말고) 몇년전부터 조금씩 쓰기 시작하다가 이제는 위트있는 은어들은 그대로 다 쓰기 시작하는 거 같습니다. 그 흐름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못 알아들을 사람들도 있으니까 만약 설명이 필요하다면 설명을 하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댓글로 질문을 달면 피지알 특유의 패배정신에 의해서 친절하고 자세히 설명하고 장렬히 전사할 사람들이 많이 있으니까 마음껏 질문하셔도 됩니다.
매콤한맛
11/08/12 09:48
수정 아이콘
일부러 쓰고싶어서 쓰는거도 아니고 그냥 글쓰는 중간에 알바펫으르 바꾸는게 귀찮으니 그렇게 많이 쓰는거같습니다.
별로 문제될건 없을거같네요
11/08/12 10:12
수정 아이콘
저는 별로 문제될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pgr도 시대가 바뀌면서 트렌드에 맞게 조금씩 변화하는것이구요

물론 케사..는 저도 오늘 처음들어본 말이지만 보자마자 이해가 되더군요..;;
야구 용어같은것이야 어차피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쓰는것이기에 상관없다고 생각하구요
11/08/12 10:2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도 야구관련글을 쓸 때 위 표현들을 피하기는 하는데요, 무의식중에 썼을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많이 퍼진 언어라는 것에는 동의를 하는게, 제가 야구를 올해부터 봤는데, 므르브, 크보, 스크 등의 표현들을 전부 알았습니다. 다른 사이트를 가느냐면 그건아니고, 전부 피지알을 통해 알게 된 단어죠. 스브스도 마찬가지구요. 솔직히, 야구만이 아니라 정치, 방송관련 은어들도 대부분 피지알을 통해 접했습니다.

처음에는 피지알이 자음단독사용을 허용하지 않다보니까, 자음으로만 쓰던 걸 피지알이다보니 그렇게 쓰나 싶었는데, 다른곳에서도 그렇게 많이 쓰더군요. MB도 알파벳 변환안 자음단독사용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DJ니 YS니 전부요.

제 결론은, 다른 분들이 쓰는 것에 있어서는 불만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되도록이면 안쓰고싶어요.(이렇게 생각해도 무의식중에 나오는게 은어긴 하지만요.) 은어는 결국 읽는 사람의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쓰는 사람이 그걸 감수하면서 쓴다는 것까지는 관여할만한 문제는 아닌 듯 하구요. 되도록 상대방이 이해하도록 쓰기위해서는 줄이는 것이 맞겠습니다만, 글쓴 사람의 선택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Siriuslee
11/08/12 10:29
수정 아이콘
캐백수면 몰라도 캐사는 처음 보는듯 합니다.
나야돌돌이
11/08/12 10:42
수정 아이콘
아 그래요? 차라리 쪽지를 주시지, 제가 자주 가는 곳에서는 에스사, 엠사, 케사라고 흔히 불러서 무심코 썼는데 피지알의 많은분들이 그게 불편하시면 앞으로는 자중하도록 할게요, 사이트마다 부르는 방식이 너무 달라서 적응하기가 생각보다 쉽지는 않군요, 상당히 오랫동안 피지알을 이용했는데도말입니다
11/08/12 11:02
수정 아이콘
한글로 잘 치고 있다가 sk를 쓰려면 한/영키를 누르고 sk쓰고 다시 한/영키 눌러야되는 불편함이 있지요
그래서 그냥 바꿀 필요 없이 스크 라고 표현하게 된거죠..므르브 느바 크보 등등 다 그런 단어
11/08/12 11:45
수정 아이콘
안좋은 현상인건 맞죠.
단어의 뜻을 모를 경우, 그 단어가 핵심 부분이라면 글 자체를 이해 못할수도 있으니까요.
11/08/12 13:04
수정 아이콘
야구를 안보는 저도 스크같은 표현은 우연히라도 알게 되서 별 어려움이 없었는데
이 글을 읽고나니 음 그럴수도 있겠구나 싶네요.
버디홀리
11/08/12 18:21
수정 아이콘
전 선수들 이름을 빼고 단순 별명으로만 부르는 것도 참 어렵더군요.
다른 야구 커뮤니티들 발 뗀지가 꽤 되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선수들을 별명으로 부르는게 너무 불편해요.
유명한 선수들 별명이야 많이 알려졌으니 대충 알아듣기는 하겠는데 조금은 덜 유명한 선수들마저 모두 별명으로 부르니까
이건 누구를 말하는건지 정말 헷갈리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926 [일반] [공지] 게시판 기능추가 [19] Toby4368 12/12/08 4368 3
40692 [일반] 어느덧 게임 게시판을 들어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48] 후란시느6863 12/11/27 6863 0
40683 [일반] [공지] 선거 게시판이 열렸습니다 [26] Toby5827 12/11/24 5827 1
40404 [일반] 인터넷 게시판의 담론 퇴조 현상에 대하여 [87] snoopy5341 12/11/16 5341 3
38847 [일반] [공지] 건의 게시판 신설 안내 [23] Toby3368 12/08/26 3368 1
38260 [일반] 올림픽 게시판이 열렸습니다. [15] kimbilly4654 12/07/21 4654 0
37598 [일반] [공지] 토론 게시판 활성화 작업 알림 [24] 항즐이4346 12/05/31 4346 0
36317 [일반] [큰 사진 있어요]다른 사이트 게시판에 불을 지르고 왔네요. [60] 김판타7842 12/03/30 7842 0
34800 [일반] [펌] 진보신당 게시판에 올라온 글 [31] 학몽4920 12/01/20 4920 0
33883 [일반] [공지] PgR 게시판 운영진 모집 안내(OrBef님 은퇴). [69] Timeless6609 11/12/13 6609 0
32582 [일반] 질문게시판.... 자주 가시나요? [36] 몽유도원5028 11/10/24 5028 0
32117 [일반] 게시판이란 무엇일까? [12] 김연우3891 11/10/05 3891 3
31124 [일반] 추천게시판 2.0 - '피지알답다' [8] Noam Chomsky4184 11/08/16 4184 2
31028 [일반] 게시판을보면서 이해가 안되는게 있어 한말씀올립니다. [28] 정우비셀스 규리하6226 11/08/12 6226 4
30685 [일반] 게시판 시스템에 대한... (운영진 수정) [146] 엘푸아빠11431 11/07/30 11431 4
29778 [일반] 게시판 개편 공지입니다. [12] 항즐이4322 11/06/16 4322 0
29758 [일반] 스타2 게시판이 없어졌다? [35] 조아세6996 11/06/15 6996 0
28073 [일반] 유머 게시판에 개신교 망언 게시물들 퍼오지 말아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155] jjohny8570 11/03/30 8570 0
26130 [일반] 에이스 게시판에 있는 허클베리핀님의 만화 <남김> 공모전 대상 수상! [16] 아이유4782 10/11/02 4782 0
22570 [일반] 선거열기로 가득한 게시판 좀 식히자는 의미로.. 휴가 계획은 세우고 계신지요? [10] 힙합아부지6187 10/06/03 6187 0
22499 [일반] 게시판을 보다 보니, '이긴다', '진다'라는 표현이 많이 보입니다. [201] jjohny4840 10/06/02 4840 4
20219 [일반] 게시판 글쓸때 도움이 될만한 html태그들... [28] ThinkD4renT5617 10/03/15 5617 25
17993 [일반] 어제 질문게시판에 고백한다고 했던 사람입니다 ;ㅅ; [50] 얍얍6185 09/12/03 61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