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10/11 15:30:36
Name kikira
Subject [일반] [가벼운 책읽기] 남경태, 개념어 사전
.
.
.
.
.

  

[         창조론


   (...) 똑같은 모양의 조그만 타일이 가득 붙은 커다란 벽이 있다고 해보자. 공을 벽에 던지면
          그 타일 중, 어느 하나에 맞을 것은 분명하다. 즉 그것은 필연이다.
    
   (...)  특정한 힘과 특정한 방향으로 던졌기 때문에 그 공은 바로 그 타일을 맞힌 것이다.

   (...)  생명체를 이루는 세포는 대단히 복잡하고 환경에 절묘하게 적응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저절로(즉 진화를 통해) 형성된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것은 진화의 결과물(목적)인 현재의 세포를 보고 가지게 된 선입견에 불과하다.
          사실 공은 어느 타일을 맞을 수 밖에 없었는데 우연히 맞은 그 타일이 "왜 하필 나인가?
          이건 신의 뜻이다"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바로 창조론의 목적론적 맹점이다.        ]



                                                                                         남경태, 개념어 사전, 들녘, 2006


.
.
.
.
.






여기, 지금 내 눈앞에 있고 오늘 소개해야 할 책 제목엔 '사전'이라 씌여 있지만

그대로 읽으면 퍽 곤란하다.






저자 말대로 사전은 개인의 저술이 아닌 여러 사람의 '편찬'으로 가능한 저작물이다.
그러하기에 여기 있는 것은 저자 개인의 인문학적 개념들에 대한 주장에 가깝다.




가령 위에 써놓은 창조론편을 보자. 누군가는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를 표할 수도 있겠
으나 또다른 누군가에겐 입에 거품을 물만할 주장이 아닐수 없다.





이런 식으로 오늘의 책은 비록 사전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내용의 공인은
전혀 보장할 수 없다. '개인'의 생각은 기본적으로 편향이고 편견이자 왜곡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세상에 공인된 가치, 보편적인 것에 대한 믿음이 과연 존재하는가?
적어도 이 책이 담고 있는 인문학 쪽의 세계에선 그러한 생각은 히틀러의 연설마냥 흘러간
옛 이야기가 된지 오래다.  




자, 각설하고 내 생각에 이 책을 권하고 싶은 부류는 거칠게 다음 둘 정도다.





먼저, 인문학적 지식 확보, 혹은 최소한의 의사소통- 그러니까 당신이 여자친구와 데이트를 하다
여자친구의 "오빠 이게 무슨말이야?" 따위의 질문에 대비할 수 있다는 뜻이다 - 을 위한 '기본기'를
다지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은 훌륭한 입문서 역할을 할 것이다.



비록 편향이고 왜곡이며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뭐 어떤가. 데리다의 말대로 책읽기는 그렇게
완전무결한 전달과정이 아니다. 책읽기를 마친다면 당신은 그저 당신 자신만의 - 많이 불완전하겠지만 -
개념어 사전을 갖게 될 것이다.




마음대로 확장하고 변용하면서 재미있게 놀리도록, 물론 가끔 아는 척도 빠뜨리면 안 된다.  









이제 다시 고전적인 책읽기로 돌아와서. 두번째로, 이 책과 생산적 비평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하지만 그것이 그리 만만치 않다는 것을 먼저 말해두어야 하겠다.



물론 비평행위는 저자와 독자 간 승/패가 나뉘는 게임은 아니다. 만일 당신이 어떤 책을 깡그리 무시할 만할
논리를 발견했다고 하자. 그렇다고 책의 활자가 바뀌던가? 바뀌는 것은 오직 책을 수용하는 당신의 의식일 뿐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그리 호락호락하게 빈틈을 보이지 않는다. 사실 남경태씨는 이 쪽 분야에서 꽤 호평을 받고 있는
실력있고 구매력도 있는 출판계의 총아이다.

즉, 아예 허무맹랑한 소리가지고 지식의 상대성 운운하지는 않는다는 소리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다시 첫번째 경우로 수렴해야 하나?


아쉽게도 여기서부터는 나도 더이상 도와줄 수없다. 책읽기란 결국 자신의 오롯한 지적노동이며 경험이기 때문이다.




그럼 나는 어떠했느냐고?

글쎄? 아쉽지만 그건 비밀이다.




하지만 용기를 가져라, 어차피 모든 책읽기는 스파링일 뿐이니까.


근본주의, 근친상간, 디아스포라, 민족주의, 빅브라더, 소외, 원형, 종말론, 창조론,
코키토, 트라우마, 페르소나, 하이브리드, 해체


어떤가? 대충 가다가순으로 뽑아본 오늘의 스파링 라운드이다. 해볼만하지 않은가?


다시 말하지만, 결국 책읽기라는 것은 스파링에 지나지 않다.



스파링을 통해 맺집을 기르고 기술을 향상시키며 실력을 기른 후, 본게임으로 나가야 하지 않겠나?










세상이라는 진정한 게임 속으로 말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rwin4078
07/10/11 15:33
수정 아이콘
그냥저냥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개념충만..을 생각하시면 안되겠고, 저자의 관점을 즐기시면서 읽어야 화가 안나실겁니다. -_-;;
천개의달빛
07/10/11 15:43
수정 아이콘
이런 책소개글 참 좋아합니다. 감사합니다. 우선은 출판사가 신뢰가 가네요.
글쓰실때 엔터키 사용을 좀만 자제해주시면 더욱 보기 좋을것 같네요. 고맙습니다.
07/10/11 18:33
수정 아이콘
오래 기다렸습니다. 내공이 팍팍 느껴지는 소개글이네요.
어머니 꼬셔서 사게 만들어야 겠네요^^
07/10/11 19:42
수정 아이콘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류 책인가 보네요. 흥미롭습니다- 찾아서 읽어봐야겠네요^^
좋은 소개 고맙습니다~
07/10/11 20:11
수정 아이콘
저번 회의적인 환경주의자 때에도 굼금했는데 그 데리다가 자크 데리다를 말하는 건가요? 제가 무식해서 ^^;
첫번째 유형으로 저에게 필요한 책이군요. 찜~ 해 두겠습니다.
07/10/11 20:26
수정 아이콘
L.Bloom님// 헉, 기다리시면 안 됩니다;; 글 콘티 정도야 많이 있지만, 제가 꾸준히 컴퓨터를 할 형편이 아니라서ㅠ
꾸준한 관심 항상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부록님// 네 그 데리다입니다 ^^
07/10/11 21:27
수정 아이콘
저자의 관점이 다소간 들어가 있지만 그것을 고려하고 읽으면 재밌는 책이었던듯.
07/10/11 22:30
수정 아이콘
항상 느끼는 거지만 글을 참 맛깔스럽게 쓰시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remedios
07/10/11 22:35
수정 아이콘
저도 상당히 괜찮게 봤었던 책이였습니다. 책내용이랑은 거리가 멀어보입니다만
책 부피도 작아서 조그만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읽기도 편했던 기억이 나네요
청새치
07/10/12 01:21
수정 아이콘
한번 읽어보고 싶어지게끔 만드는 글이네요. 다음번에 서점에 갈때 찾아봐야 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21 [일반] 그 때 그 날 - 과거 (5) 궁 밖으로 [6] 눈시BB5348 11/09/29 5348 1
31935 [일반] 근친혼이 허용되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118] kkong11815 11/09/25 11815 0
29833 [일반] 인간과 동물의 구분 기준 [177] 유유히9054 11/06/20 9054 1
28709 [일반]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으로 본 한국의 대중문화(음악)분석 -아이돌을 중심으로 [6] 정우비셀스 규리하9744 11/04/27 9744 3
28445 [일반] 전자발찌의 효용성에 관한 고찰 [50] 수선화4753 11/04/15 4753 0
27340 [일반] 나만 몰랐던 이야기 뮤비... 방문자 인적사항의 비밀이 안풀립니다. [13] 산타9125 11/02/18 9125 1
26899 [일반] [잡담] 0% [3] 언뜻 유재석4032 11/01/24 4032 1
25726 [일반] 심야 데이트 후기4 - 철딱서니 없는 것 - [8] fd테란5390 10/10/13 5390 0
25610 [일반] 일본 10월 신작 애니메이션 간단하고 개인적인 리뷰 [22] 방과후티타임5960 10/10/08 5960 0
19505 [일반] [서양화 읽기] 그림이 당신에게 묻다 -2- [11] 불같은 강속구8180 10/02/12 8180 5
16391 [일반] 내 생에 최고의 영화 Best 5 [97] 엠피삼9052 09/10/02 9052 1
15674 [일반] 우리나라,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을까요? [18] SkPJi4101 09/09/02 4101 0
15661 [일반] 내 친구가 게이 [205] 유유히11868 09/09/02 11868 1
12102 [일반] [세상읽기]2009_0421 [29] [NC]...TesTER4603 09/04/21 4603 0
11062 [일반] 컴백 스페셜 - 한국 호랑이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 - [49] 9191 09/02/21 9191 9
10439 [일반] 헌애왕후(천추태후)를 포함한 고려 초기 왕실의 가계도(家系圖) [16] 양찬군주15042 09/01/19 15042 0
5609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그간 두달간의 행보~ [40] 글세다5913 08/05/02 5913 1
2948 [일반] [가벼운 책읽기] 남경태, 개념어 사전 [10] kikira4369 07/10/11 4369 0
2530 [일반] 생물학도로서 바라본 진화.... (그리고 창조론?) (수정) [50] whermit4597 07/09/01 45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