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5/15 09:18:05
Name TAMBANG
Subject [일반] 왜 구글은 한국시장 공략에 실패했을까요?
피쟐을 눈팅하다가 구글에 대한 이야기가 없어 공론화 해볼까 합니다.

아시다시피 구글은 세계 검색엔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독 한국에서는 한자릿수 점유율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요,
이에대해 개인적인 생각들과 궁금한점을 정리 해볼까 합나다.    

왜 구글은 한국시장 공략에 실패했을까.

저는 가장 큰 원인이 자신만의 색을 어필하지 못한점 때문이라고 봅니다.

우리 나라의 소위 3대 검색포털 이라는 네이버,다음,네이트는 이름만 보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네이버는 지식검색 다음은 대형 까페 네이트는 여초사이트라는 이미지 등등

이러한 이미지들은 사이트 이용에 대한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생활밀착형 정보는 네이버 커뮤니티는 다음 같이요.

하지만 구글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라면 신의직장 같은 외부적인 이미지밖에 떠오르지 않아요(구글링은 논외로 하구요)

이러한 점이 구글의 성공을 가로막았던 원인이 아닐까요?

물론 가벼운 디자인이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선 별 힘을 못쓴것 같은 부수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거기에 앞서 구글을 사용해 볼려는 사람들은 밋밋한 구글의 이미지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구글은 미래에도 계속 이정도 점유율을 이어갈까하는 문제는,
아마 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이상 그러리라고 생각합니다.

이정도 까지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었는데, 피쟐러 분들께선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 From m.oolzo.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스희망봉사�
11/05/15 09:29
수정 아이콘
실제 사용자들이 검색을 많이 쓰는 경우는 어떤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했다가 궁금해서 하는 경우가 많지요
특히나 한국에서는 뉴스를 보다가 궁금해서 검색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좋은 위치에 두는 이유중 하나 입니다
뿐만 아니라 가입된 카페, 블로그등의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정보나 각 네트워크들도 쉽게 변경이 안되는 것들이죠 한때 28%의 검색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네이버가 50%대로 검색 점유율이 떨어지게 만들것 처럼 보여던 무서운 기세의 다음도 다시 20% 중반대에서 정체가 된건 사람들이 이런 기존에 가입된 서비스들을 쉽게 바꾸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생각 되어 집니다
네이트도 싸이월드 이용자들만으로도 5%의 점유율은 기록 할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시작이 검색 이였을런지 몰라도 다른 검색엔진들의 수준도 상당하고 특히 구글의 검색은 네이버 보다 더 뛰어 나다고 생각 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검색 할때 마다 이용하던 서비스창을 바꿔서 검색 하는건 상당히 귀찮은 작업이지요
구글이 국내 다른 포털들에게 밀리는건 이런 번거로움과 여런 콘텐츠를 생산하는 카페, 블로그등이 원천적으로 각 포털에서만 활용되기 때문으로 생각 합니다.
단 하나
11/05/15 09:31
수정 아이콘
색깔은 확실한거죠. 검색 기능이 더 뛰어나고 쓸데 없는 광고, 뉴스가 없는 깔끔함이죠.

네이버가 워낙 선점을 잘해 놔서 그런지 구글은 한국 시장 자체에 큰 미련이 없는 듯 해요.

이와는 별개로 구글이 전세계에서 먹힌 이유도 그 시기를 잘 맞춰서 일껍니다. 아마 지금 시작하는 후발주자 입장이라면
많이 힘들었을꺼예요.
Nautilus
11/05/15 09:33
수정 아이콘
한국시장자체가 구글이 현지화에 힘쓰면서 들어오기에는 작은거 아닐까생각합니다.
래토닝
11/05/15 09:33
수정 아이콘
구글을 종종 쓰기는 하는데

정말 방대한 자료를 찾고 싶을 땐 구글 검색이 최고더군요

+ 신상털기용 구글링으로도 유명하죠

그런데 일상 생활은 네이버를 가장 많이 쓰긴합니다

블로그와 지식인이 참 좋더라구요
모모리
11/05/15 09:34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지식인이 제일 큰 거 같습니다. 구글만이 아니라 난립하던 검색 사이트를 다 잠재운 게 지식인이니까요. 다음은 한메일이라는 국민 이메일 덕에 간신히 살아남은 거고 최근에 부상한 네이트는 싸이월드빨이잖아요.
swflying
11/05/15 09:35
수정 아이콘
구글링 자체가 논외로 할것이 아니라 구글의 색깔을 명확히 보여주는 단어이죠.
무엇이든 못찾을게 없다. 는 뜻이 되니까요.
다만 점유율이 낮은건, 검색기능 말고 머물 기능이 없기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메일은 네이버, 다음메일을 쓰는 사람이 대다수이고, gmail이 동기화등에 있어서
뛰어나다고 평가받지만 쭉 써오던걸 쉽게 바꿀 순 없겠죠.
그리고 신문기사를 무료로 읽고 댓글도 달수있고, 카페, 지식인, 블로그 등등
다른 포털사이트엔 그냥 시간때우기 좋고 오래 머물수있는 기능들이 너무많죠.
그에 비하면 구글은 너무 단순하고요.검색기능에 충실하다보니
짧은 검색이 끝나면 다시 사람들은 시간때우러 기사 클릭하고 카페글 보러 타사이트에 가겠죠.
그런점에서 점유율의 차이가 발생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11/05/15 09:45
수정 아이콘
구글은 네이버, 다음과 비교하기엔 종합포털로서의 기능도 부족하고, 순수한 검색엔진으로서의 기능도 일상적인 용도로는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검색해보면 웹페이지는 많이 뜨는데 내가 원하는 정보 찾기는 뭔가 불편한듯 하더군요.
네이버같은 경우 검색을 하면 맞춤형 정보가 메인페이지에 딱 뜨고, 블로그 지식인 등을 이용해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비교적 간단하게 찾을수 있는데 구글은 그냥 서류뭉치 던져주는 느낌이랄까요. 자료가 많이 뜨니 신상털기같은거 하기에는 좋은듯 하지만요.

그렇지만 저도 국내 자료 검색할때는 네이버 이용하고, 외국 웹페이지 검색할때는 구글이용합니다.
11/05/15 09:46
수정 아이콘
예전에 네이버,다음을 위시한 각종 포털이 한국 인터넷시장에서 굉장히 암적인 존재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 글에 공감했던 기억이 있네요.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포털사이트가 필요 이상의 폐쇄형 인터넷을 만들어버린게 문제라는 요지였던것 같습니다.

그 뒤로 개인적으로 구글을 많이 쓰는데, 한글로 검색하는 기능은 다음/네이버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건 사실인것 같습니다.
11/05/15 09:53
수정 아이콘
구글이 시간과 돈을 들여서 한국 시장 현지화 하지도 않고 있고, 한국 업체들은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 하나의 중심점이지만 구글은 광고와 검색 그리고 나머지는 다 개인선택이라... 구글도 iGoogle을 사용해서 꾸미고 하면 시작패이지 나름 쓸만합니다. 저는 시작할때 쓸대없는
광고랑 Flash가 없어서 너무 좋더군요.
몽정가
11/05/15 10:01
수정 아이콘
구글은 검색사이트고 네이버나 다음 네이트는 포털사이트니까요.
핸드폰+mp3+pmp+노트북+전자사전 들고다니는 것 보다 스마트폰 하나가 편하잖아요.
검색도 웬만큼 되고 각종 정보도 한 번에 볼 수 있고...
11/05/15 10:07
수정 아이콘
보통 일반적으로는 네이버 검색이 편리하죠. 생활에 더 밀착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플래쉬 광고 싫다는 이야기 많이 나오니 se도 만들줘서 저는 se를 자주 씁니다.
물론 자료 찾아야 겠다 싶으면 결국 google 들어가지만요.
Hibernate
11/05/15 10:30
수정 아이콘
만약에 우리나라에서 구글이 네이버, 다음, 네이트보다 인기가 많았다면 그게 더 이상했을것 같네요..
어쩌면 당연한거 아닌가요.. 네이버나 다음, 네이트 가면 뉴스도 나오고 검색도 되는데.. 재밌는 베플도 볼수 있고. -_-
네이트는 시사, 스포츠, 연예 등 관심가는 기사들을 한눈에 볼수 있게 제공도 해주던데..

외국이야 인터넷이 느린 시절, 구글같은 검색서비스만 필요했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처럼 인터넷 망 잘 깔린 곳에서는 플래쉬도 나오고 좀 볼만도 하고 뭐 그런 포털사이트가 인기있는건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근데 저는 개발자라서 그런지 개발할때 구글에 키워드 넣으면 검색이 잘 되긴 하더라고요.. -_-;
하지만 뉴스볼땐 네이트로 갑니다. 흐흐..
11/05/15 10:32
수정 아이콘
제가 볼때는 좀 불친절한 점(?) 때문이라 생각되네요.
과거에 월마트가 한국 친출에 실패한것 처럼 한국사람들은 정돈되어
예쁘고 편리하게 되어 있는걸 선호한다는 점이 작용한거라 생각합니다.
즉 효율성보단 편리함이겠네요
저의 경우 자잘한 것의 정확한 정보를 위해서는 구글을 많이 쓰지만 뉴스나 유행 등의 널리 알려진 것들은
네이버가 정리되어 보여주기때문에 용도를 달리해서 사용하게 되네요.
11/05/15 10:35
수정 아이콘
구글도 써보면 대단한 기능들이 많지만
확실한건 네이버도 정말 똑똑한 곳이라는 것이네요.
이것저것 많이 따라한다고 욕도 먹지만 네이버도 참 대단하다고 생각하네요.
벤카슬러
11/05/15 10:36
수정 아이콘
검색 성능은 구글이 세계 최고죠.
다만 검색 말고는 내놓을 서비스가 없다는 게 문제였는데,
그것도 안드로이드를 구글에서 지원하면서 많이 따라오게 된 듯 합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구글 캘린더 등...

그리고 네이버나 다음에서 자기들이 서비스하는
블로그나 까페, 지식in 자료를 구글 검색시 뜨지 못하게 막아놓은 것도
한국에서 구글이 크지 못한 이유라고 봅니다.
검색해보면 구글 검색해보면 대부분 네이트 유튜브 이글루스 이렇더군요... [m]
11/05/15 10:41
수정 아이콘
네이버는 정말 '대한민국' 에선 가장 최적화된 검색&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니까요..

회사에서 업무 관련된 검색할때는 다들 구글검색하지만..

일상적인걸 볼땐 네이버를 가면 다 해결되니... 당연한 결과겠지요.
하루빨리
11/05/15 10:46
수정 아이콘
구글은 지금 구글의 모습이 컨셉입니다. 자신이 시작페이지는 되어도 포털은 되지 않겠다는게 구글 검색창이 간단 명료한 이유죠. 대신 안보이는 곳에서 영향력을 쌓는다는 전략입니다. 구글애드로 수익을 창출하고, 지메일과 각종 편의 툴들을 제공하며, 구글링이라 표현하는 강력한 검색을 지원하고, 세계 최대의 비디오 공유 사이트인 youtube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모든게 최근에는 모바일로, 혹은 웹브라우저로, 혹은 OS로 영향을 확장하고 있죠.

구글은 자사의 포털에 그 어떤 커뮤니티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다만 커뮤니티를 찾아주고, 이에 대한 대가를 받을 뿐이죠. 커뮤니티를 형성하지 않으니 머물지 않을뿐, 사용자는 구글을 알게모르게 통하고 있습니다.
BLUE SKY
11/05/15 11:08
수정 아이콘
(운영진 수정, 벌점)
11/05/15 11:12
수정 아이콘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다만 몇몇 댓글들이 산으로 간거 같네요
이글은 취지는 한국에서의 구글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자는것이였지 소모적인 논쟁을 펼치자는것은 아니였으니 주제에서 벗어난 이야기는 조금 자제해 주시기바랍니다^^; [m]
FakePlasticTrees
11/05/15 11:17
수정 아이콘
BLUE SKY 님// 의견의 타당성은 배제 해두고 글 쓰시는게 너무 공격적이신거 같습니다. 인신공격은 자제 하시는게 좋으실 것 같습니다.
날아랏 용새
11/05/15 11:32
수정 아이콘
일단 검색 기능 자체가 다른 곳에 비해 월등히 앞선만큼 굳이 불필요한 현지화에 목매달지 않는다는 느낌이고,
몇몇 포탈 사이트에서 구글 엔진만을 빌려쓴 적도 몇 번 있었죠.
구글 입장에서 보면 네이버와 같이 현지 시장에 맞추는 서비스를 할 여력이 없는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의 검색 기능이 인위적인 면이 많다고 생각되는게, 타문화권을 검색해보면 정말 엉망이거든요.
다만 국내 관련 검색은 엄청난 정보를 제공하죠. 이는 검색 엔진 자체의 능력보다는 인위적인 능력이 들어갔다고 밖에 볼수 없는데 구글이 전세계 상대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네이버가 타겟을 잘 노린거죠..
실루엣게임
11/05/15 11:38
수정 아이콘
사실 구글 입장에서는 한국에 적극적인 투자를 할 이유도, 여력도 없는게 맞는 거라고 봅니다.
11/05/15 11:48
수정 아이콘
어제 영화를 보러갔더니 극장에서 구글 광고를 하더라구요. 구글도 예전보단 더 한국시장에 신경을 쓰나 봅니다.
11/05/15 12:03
수정 아이콘
은근히...네이버웹툰이나 스포츠때문에 시작페이지로 하시는분이 많을거같아요.
마이너리티
11/05/15 12:08
수정 아이콘
네이버나 다음은 검색도 되는 포탈이고 구글은 그냥 검색사이트라는 점에서 게임 끝이죠.
인터넷으로 검색만 하는게 아니니 일단 포탈이 압도적 우위에 있을 수 밖에 없고..
검색도 보통의 경우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해보고 안나오면 구글 가보지 않나 싶네요.
날아랏 용새
11/05/15 12:10
수정 아이콘
그런데 지금 찾아보니까 구글과 네이버의 순이익이 그리 차이나는 것도 아니네요...
2010기준으로 9조 1854억원과 4942억원입니다. 네이버가 열심히 해서 몇 개 주요국만 점령하면 따라 잡을 수도 있겠네요 흐흐
eblueboy
11/05/15 12:15
수정 아이콘
구글이 검색기능이 좋긴 하지만 단순히 연예뉴스나 이런면에서 포털이 압승이죠.
무언가 필요한 '정보'를 찾는 입장에선 구글이 앞서지만 다른면에서는 포털이 앞선다고 봅니다.
검색은 구글신이죠. 다른면은 포털

공대 다녀서 필요한 자료를 네이버에 찾으면 잘 안나오고 구글에 '잘' 찾으면 나올 때가 많습니다.
(영어가 많아서 그런가?)
11/05/15 12:17
수정 아이콘
이렇게 말씀 드리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제가 2004년 6월 경에 한국으로 들어왔습니다.
한국에 들어오기 전까지 제게 있어서 구글은 최적의 검색엔진이었죠. 한국에 와서 회사 생활을 하면서 그게 깨졌습니다.
필요한 자료들이 있어서 검색을 하면 구글은 필요없는 자료만 잔뜩 보여주고 맙니다. 그러나 네이버는 정확하게 필요한 자료가 있을 때가 많았습니다. 처음엔 한국에 와서도 구글을 사용했었는데 일을 하면서 점점 네이버 검색을 이용하게 되더군요. 다음이나 야후도 사용해봤지만 비교가 되질 않았습니다.

구글이 더 많은 자료가 검색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자료가 너무 많다 보니 필요한 자료를 정확하게 뽑아내기가 어렵습니다. 그에 비해서 네이버는 자료가 적어도 필요한 자료가 많은 편이죠.

한국화 되어 있다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닌가 합니다.
구글의 검색엔진이 아무리 좋아도 어지간한 사람은 그걸 가지고 뭘 할 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그 점이 한국에서 구글이 점유율면에서 그렇게 바닥을 치는게 아닌가 합니다.
11/05/15 12:24
수정 아이콘
네이버 블로그, 카페, 지식인 등에 쌓여있는 데이터가 정말 어마어마 합니다. 또 인물, 영화, 음악, 게임, 책 등등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에 대한 카테고리화가 잘 되어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의 핵심은 검색 엔진 자체의 능력보다 이 방대한 데이터죠. 거기에 통합 포탈로서의 다양한 기능... 구글이 지향하는 방향과는 정 반대입니다. 국내 검색 만큼은 구글이 네이버를 따라올 수가 없죠. 한국의 수많은 인터넷 사용자중에 해외 자료가 필요한 사람은 소수이고, 그나마도 전문적이거나 업무적인 자료를 필요로 할때만 해외권 검색을 하는 편이죠. 네이버는 이 부분을 아예 버리고 국내 자료에만 올인하여 성공한거죠. 현지에서 대부분의 현지인들이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는데 있어 가장 뛰어난데 망할 이유가 없습니다.

뭐 한국은 시장이 작으니 그렇다 쳐도, 미국에 미국형 네이버 (철저한 현지 위주 서비스, 포탈로써 다양한 기능 제공, 정보의 수집보다 정보의 보유 -지식인,블로그등- )가 있다면 과연 성공할까요? 만들기도 어렵겠지만..
11/05/15 12:30
수정 아이콘
혹시나 궁금해 하실분 있을까 싶어 국내 포털사이트 점유 순위 (2011년 5월 8일 기준) 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위 네이버 65%
2위 다음 25%
3위 구글 4.5%
4위 네이트 2.5%
5위 야후코리아 1.51%

순입니다. 레포트쓰느라 조사했었는데 구글의 한국시장 점령 실패요인은 포털로서의 기능을 안한다 등의 각종 이유도 있지만 가볍다라는 최대 강점이 힘을 못 발휘하기 때문이 가장 크죠. 우리나라 시장은 인구수는 적고 넷환경은 최강인 특이한 시장이니까요.
반대로 네이버가 해외에서 힘을 못쓰는 이유도 플래쉬 떡칠과 무거운 사이트 특성 때문이 가장 높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위주의 자료검색시스템을 해외지역에 맞게 각각 현지화 하는데 드는 노력과 비용도 상당할 것이구요. 설령 그렇게 만들어졌다고 해도 이렇게 무거워서는 성공하긴 힘들겁니다.
11/05/15 12:34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 실패라고 해도 대한민국에서도 검색의 최후 보루는 결국 구글입니다.
네이버에서 정보 못 찾는다고 포기 하진 않죠. 구글이 있으니까요 ...
11/05/15 12:43
수정 아이콘
구글은 뭐랄까 재미가 없어요.

다른나라야 뭐 인터넷 느리고 그래서 구글이 좋다지만

우리같이 잘되는곳에선 네이버나 다음 처럼 메인화면에 뉴스도 보여주고 그림도 보여주고 광고도 보여주고

이만한게 없는거 같아요. 구글은 뭐랄까 90년대 초기 인터넷 홈페이지 보는거같은 느낌이..
11/05/15 13:02
수정 아이콘
또 추가하자면 일본과 함께 인터넷 갈라파고스인 한국의 인터넷도 한목한다고 봅니다. 액티브 X등과 국제 규격과는 매우 다른 홈페이지 구조들이 폐쇠적인 DB를 만들게 되고 결국 검색엔진을 사용해도 검색이 안되는 웃긴 상황이 연출된거라 봅니다.
SCVgoodtogosir
11/05/15 13:13
수정 아이콘
구글 스칼라가 밥줄인 입장에서는 별로 와닿진 않습니다. 포털의 기능이 없을 뿐이지 검색엔진으로서는 충분히 잘나가고 있다고 봅니다. [m]
Lovepool
11/05/15 13:13
수정 아이콘
아마 현재는 구글이 굳이 한국에 신경을 쓰지 않을거 같습니다.
충분히 한국을 제외한 영어권에서는 최고 대접을 받고 있는데, 굳이 자신들의 색깔과 스타일을 바꿔가며
한국을 잡으려 하지않을 겁니다. 네이버가 성공한건 윗분들 댓글중에서도 보이는데...
한국 사람들 특성 맞게 만들었기 때문이겠죠.(어찌보면 당연한듯?;)
스포츠, 웹툰, 찌라시뉴스, 블로그, 지식인... 구글 색깔자체가 안맞는겁니다.
한군데 나라 정복하자고 구글이 고유색을 버리진않겠죠.

그니까 굳이 비교 가치도 없을뿐더러 네이버가 이겼다고 기뻐 해봤자 구글은 코웃음 신경도 안쓸듯해요.
우린 아직 공략을 시작하지도 않았다?! 식의 뉘앙스 정도...

근데, 재밌는게 '날아랏 용새'님 리플보면 >>>2010년기준으로 9조 1854억원과 4942억원입니다.
이걸보면 전세계를 타겟으로 하는 구글의 매출과 거의 내수위주인 네이버 매출을 비교하니 구글대비 네이버가 5.4%네요..
5.4란 숫자가 우스워 보이지만, 전세계 국가수가 몇갠데... 참 대단한거 같습니다.
네이버가 대단한게 아니고, 한국의 인터넷 보급이 무서운거 같습니다.

언젠가는 구글이 한국을 공략할듯 보이네요. 다만 메인을 좀 변경해서 한국 혹은 아시아 전용 웹을 만들면
그 자금력에 그 인력에 성공률이 후덜덜할듯해요.

덧붙여서, 네이버가 세계적인 브랜드로 거듭날 확률보단 구글이 맘먹고 도전해서 국내에 안착할 확률이 높을 듯합니다.
강아지
11/05/15 13:54
수정 아이콘
볼거리가 없어서요...
네이버 네이트 다음은 볼거리가 많잖아요
몽키.D.루피
11/05/15 13:59
수정 아이콘
네이버 검색은 거의 자체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지식인, 네이버지도, 네이버사전 등등... 네이버는 네이버자체의 페이지뷰가 중요한 포털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구글은 구글 자체의 페이지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전세계 웹에 퍼져있는 구글의 광고를 보는게 중요합니다. 구글을 괜히 광고회사라고 말하는 게 아니죠
우리나라 사람들이 구글 자체에 안 들어간다고 구글이 한국 시장에서 실패했다구요? 물론 메인 페이지뷰만 놓고 보면 실패 맞습니다. 하지만 블로그 옆에 흔히볼 수 있는 구글광고, 유투브 광고등 알게 모르게 구글광고와 검색엠진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게다 구글 돈줄이고 그게 전세계 인터넷 광고시장을 장악한 구글이라는 공룡회사의 위엄이죠... 네이버는 네이버만 빠져나가면 그만이지만 구글은 어딜다가 구글을 보지 않고는 웹서핑을 할 수가 없습니다.
Heavy_Gear
11/05/15 14:35
수정 아이콘
구글은 스스로 광고 회사라고 말하고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인터넷에 많이 들어가 광고를 더 볼까를 연구합니다. 무료로 뿌리는 안드로이드, 크롬 OS. 다 광고를 위해 페이지 뷰를 늘리기 위한 일환이죠. 이젠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클라우딩 기반을 위해 항시 인터넷으로 접속해야 하는 시대가 되면 광고 클릭수는 더 늘고 그만큼 구글은 이득이니까요. [m]
참소주
11/05/15 15:17
수정 아이콘
전공관련 검색을 할때는 무조건 구글링.. 다른 웹 사이트에서는 검색해봐야 나오지도 않습니다 -_-;;
아나이스
11/05/15 15:3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인터넷 환경이 너무 잘 구축되어 있어서 그렇죠. 네이버 블로그 온갖 거 떡칠되어서 한국 웹에서조차 답답하게 굴러가는거 보면 한국형 웹에 최적화된 게 뭔지 알 수 있겠던데요.
11/05/15 15:50
수정 아이콘
각국에 맞게 지역화 하기가 각국의 법률과 자신의 컨샙 때문에 매우 어려울겁니다.
유튜브의 전례가 있듯, 실명제 등등에서 상당한 걸림돌이 있지요..
또한 각국에 커스터마이즈에 신경 써버리면 지금처럼, 성별, 국가, 법과 세대?를 초월한 서칭이 힘들어질겁니다.
그래서 안하는 것이겠죠.. 저도 지금의 모습으로 이어가주길 바랍니다..
11/05/15 16:48
수정 아이콘
한국학생들이 구글을 쓰지 않는것도 큰 요인입니다.
미국의 중고등학생들은 리서치를 해야될게 많아서 구글을 애용하지요.

인터넷속도의 차이도 있는데요. 해외인터넷은 그다지 빠르지 않습니다. 가벼우면 가벼울수록 좋죠.
한국은 뭐 덕지덕지 붙여놔도 인터넷속도로 다 커버되니 사이트에 이것저것 붙여놓는 특징이 있죠.

현지화로는 구현될수 없는 한국의 특징적인 인터넷습관이 많이 있죠. 검색어라던가 지식인 등등..

구글 메인페이지가 절대 바뀔리 없을 겁니다. 아예 패러다임을 바꾸는 새로운 사이트를 하나 만들어 버릴듯해요.
11/05/15 18:17
수정 아이콘
학술관련, 전공관련 지식을 찾는데에 있어서 구글의 위상과 위력이 국내 포털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라;
네이버가 좋은 것은 관련 지식을 한글로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싶을때는 유용합니다.

그런데 네이버나 다음의 정보검색이라는 것이 사실 여가활동이나 오락활동에 가까운 면이 많기 때문에,
그런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라이트 유저가 많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당연히 그러한 포털쪽이 흥미롭겠죠.
덕분에 별 쓰잘데기 없는 정보 정보 정보 보느라고 제 시간은 한두시간씩 훌쩍;
11/05/15 20:30
수정 아이콘
근데 구글 검색기능도 좀...
뭔가 궁금한게 생겨 질문형식으로 검색해볼때
네이버 >>>>>>>>>> 구글 입니다.
구글은 영어로 치던가 토렌트 찾을때 말고는 크게 한국에서는 도움이 안되더군요.
11/05/15 21:08
수정 아이콘
그런데 구글은 어떻게 순이익을 창출하나요?
11/05/15 21:32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옛날에 구글과 비슷한 알타비스타인가도 있었는데 어떻게 되었을지...
11/05/15 22:44
수정 아이콘
알타비스타는 구글 이전에 야후에게 밀렸던걸로..
11/05/15 23:46
수정 아이콘
요즘도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예전엔 네이버는 구글정보를 다가져가 쓰지만 반대로 구글이 네이버의 정보를 가져다 쓸수는 없게해놨습니다.
좀 치사하기도 하지만 구글쪽에선 문제삼진 않았던거 같구요.
고로 한국어 검색이면 당근 네이버>>>>>>>>>>>구글인거죠.
그리고 블로그와 카페글 검색까지 너무좋죠.
차사마
11/05/16 05:03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구지 플랫폼을 고칠 이유가 없거든요.
근데 국내 IT업체들의 고민도 이거죠. 국내에서 성공한 플랫폼이 해외에 통하지 않는다.
결국 내수용이 될 수 밖에 없는 국내 IT업체들은 한계성이 큽니다.
11/05/16 11:21
수정 아이콘
간단히 말해서... 구글은 점유율에 연연하는 포탈사이트가 아니거든요;;
어차피 구글의 수익원은 기업들이지 개별 사용자가 아니잖아요...
11/05/16 13:07
수정 아이콘
시각적인 웹디자인적인 요소를 통해 CI 이미지 구축을 세련되고 깔끔하게 되있다는 점도 영향이 큰거 같아요...

윗분들이 색깔색깔 하시는데 특성뿐만 아니라 말 그대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서 얻어지는 클라이언트 간의 브랜드 인식 상황도

엄청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근데 기능 하나 만큼은 구글이 좋긴 좋더라구요;; 검색엔진 폭이 매우 글로벌하고 광고가 많지 않고...
단순하게 자료만 찾고 싶을 땐 구글에서 합니다 단순 검색하나만큼은 구글이 짱인 것 같아요...
검색 좀 원하는 만큼 안 된다 싶으면 영어로 검색해서 해외사이트도 둘러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261 [일반] [불판] MBC 일밤 <나는 가수다> 시즌 2 : 2차 경연 (4회) - #2 [249] 케빈제이11934 11/05/22 11934 0
29260 [일반]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5월 22일 중계불판(1) [474] 위원장3773 11/05/22 3773 0
29258 [일반] [불판] MBC 일밤 <나는 가수다> 시즌 2 : 2차 경연 (4회) - #1 [316] 케빈제이9358 11/05/22 9358 0
29257 [일반] 사람의 생명을 위해서 법(규범)을 어기는 것은 정당한 일인가? [32] 페르디안6822 11/05/22 6822 0
29254 [일반] 한국인으로써 다음중 가장 빨리 이룰수 있을만한 스포츠 기록은?? [83] 후푸풉10357 11/05/22 10357 0
29252 [일반] 제 얘기좀들어주세요 [18] 날으는씨즈6269 11/05/21 6269 0
29251 [일반] 카드 게임 좋아 하시나요?? -홍스(紅十)- [17] Darkmental12696 11/05/21 12696 0
29250 [일반] [프로야구] 2011년 5월 21일 토요일 불판 올립니다.. [615] k`5633 11/05/21 5633 0
29249 [일반] 스물 세살 남성입니다. 저만 이런건가요? [25] 비빔면9071 11/05/21 9071 0
29248 [일반] 중산층의 기준이 뭘까요? [117] 공안7858 11/05/21 7858 0
29247 [일반] 프랑스오픈 간단 프리뷰.. Invincible VS Invincible [5] wish burn3275 11/05/21 3275 0
29246 [일반] [연재] 영어 초보자를 위한글 7탄_관계사 분사편 [10] 졸린쿠키4316 11/05/21 4316 0
29244 [일반] [▶◀] 전 WWE 프로레슬러 마초맨 랜디 세비지 사망 [19] EZrock5458 11/05/21 5458 0
29243 [일반] 정유재란 - 9. 사로병진지계 [19] 눈시BB8397 11/05/21 8397 1
29242 [일반] 부활 숨은 명곡 - 소나기 [11] 마젤란8810 11/05/21 8810 0
29240 [일반] 소녀시대 일본 정규 1집의 메가 믹스 음원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7] kimbilly5011 11/05/21 5011 0
29238 [일반] [불판] MBC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 준결승전 [Top 3] / 박완규 멘토 특별출연 [336] 케빈제이7043 11/05/20 7043 0
29237 [일반] PGR 회원 분들이 원하시는 리메이크 게임은 무엇이 있나요? [144] 태연사랑7063 11/05/20 7063 0
29235 [일반] [프로야구] 2011년 5월 20일 금요일 불판 올립니다.. [419] k`4887 11/05/20 4887 0
29232 [일반] 오바마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에 영토 양보하라" [53] 레몬커피8254 11/05/20 8254 0
29231 [일반] 소비자 분쟁! 알고 대처합시다. [2] 마남4190 11/05/20 4190 0
29230 [일반] 결국 그는 엄살쟁이였던걸까요 [94] SCVgoodtogosir11386 11/05/20 11386 0
29229 [일반] [농구]서장훈 LG행, 강대협,이현민과 1:2 트레이드 [22] lotte_giants5515 11/05/20 55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