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4/20 17:05:46
Name Cand
Subject [일반] 왜 게임업계는 이 와중에도 이렇게 쿨한가.
 



개인적인 셧다운의 찬반은 젖혀두고, 이번 일에 대한 뉴스에서 나온 한마디가 걸려서 써본 글입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업계의 수동적인. 혹은 별로 세련되지 못해보이는 처우에 관한 이야기구요.





이번 셧다운 통과로 많은 곳에서 아우성이 벌어졌는데 말이지요.

실제 지금 보이는 업계의 대응은 무책의 책 수준입니다.

물론 이 셧다운에 대해 업계에서 딱히 반격하기도 힘든게, 셧다운을 저지해야할 '명분'을 꺼내기가 힘들긴 할거에요.

게임의 순기능 중 가장 설득력있는게 '공부때문에 스트레스 받는데 다른 할게 없다' 정도거든요.

물론 저런 멘트로는 윗분들 설득하기가 척 보기에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나마 가장 있어보이는 "나쁜놈들! 왜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느냐!" 같은 멘트를 날릴곳은 게임 업계의 대표들이 아니라 인권단체인데

인권단체 또한 단체의 영리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에 괜히 얻을거 없는 이런데 끼어들리가 없지요.

(셧다운 반대 - 학부모 및 장년층에게 XXX 취급 / 셧다운 찬성 - 괜히 더 팔데도 없는 곳에 숟가락만 얹는 경우)

정치, 사회적 영향 등등을 초월한 공익과 사회복지, 평등 자유 평화 행복을 위한 단체같은건 세상에 없습니다. 그런건 똥이에요 똥.



그럼 좀 배우신 분들은 왜 자유와 권리를 무시하고 이걸 만장일치 쌔리느냐.

정작 온라인 게임 주 이용층인 10대, 20대는 정치적 힘이 없다는걸, 투표를 안(못)한다는걸 알거든요.

(전 기억합니다. 한창 인터넷만 키면 2MB 까던 [투표권이 있는] 10대 20대 용사들이 저번 지방선거때 보여준 아리따운 투표율을)

표랑 상관없으니 내칠 수 있고 표를 얻을 수 있으니 까는겁니다. 학부모는 투표하니까요. 우리 애가 게임을 드디어 덜하겠네요 호호호.

여튼 이건 사회적으로 그런거니깐 어쩔 수 없습니다. 다 죽어버려 하고 리셋 버튼 누르면 뭐 어떻게 되겠습니다만, 그런거 없죠?




그렇기에 게임 업계는 이걸 대처를 해줬어야합니다.

솔직히 개개인의 찬반 떠나서 셧다운과 청소년 보호 개정안을 막을 단체도, 명분도 거의 없었으니 통과가 확실했다고 보거든요.

그냥 뭐 허어 큰일이네. 저거 되면 망하는거 아닌가? 이런게 아니고,

최소한 무슨 연맹같은걸 발족해서 게임 업계의 자주권을 침해하지 말라. 등등 해서 한 목소리를 냈어야하는거에요.


애들이 업계를 실드 쳐주겠습니까 앞서 말한 인권단체가 실드 쳐주겠습니까.


그럼 또 처음으로 돌아가서 업계측에서 커버치기엔 명분이 없어서 손을 쓸 수가 없다는 건데.

사실 어떻게 보면 게임이란게 산업적, 경제적 측면을 제외하고 사회적 통념으로 보면 거의 뭐 유흥업이랑 다를게 없을겁니다.

시간과 돈은 나가는데 도움이라곤 쥐뿔도 안되는 일. 정도로요.

그래서 업계쪽에서도 이렇다 할만한 카드가 없었겠지요. "우리의 게임쨔응은 이러이러해서 그렇지 않음! 너희들의 오해라능!" 할만한.

지능개발? 차라리 클럽과 나이트가 저출산율을 극복할 수 있으니 군구별로 일정수를 확보시키자! 라는게 더 설득력이 있을겁니다.



그럼 어떻게해야하나.

원천봉쇄가 불가능했다면 뒷로비건 담합 투쟁이건 대응이라도 준비해둬야하는데 이번 기사 보니 저도 당혹스러웠습니다.

단지 말장난일 수도 있겠지만 첫 뉴스라는게 - "만장일치 셧다운제 통과…업계 '당혹'"

...아니 그쪽 표현을 빌자면 당장 밥줄이 걸린 문제인데 예측되는 안건에 있어서 이렇게 "당혹스럽다"라고 끝낼 일입니까 -_-;

당혹이란 표현이 무슨 기자의 어림짐작이 아니고 업계의 동정유발용 훼이크나 최악의 경우 본심이었다면. 착각하는겁니다.


인터넷에서 네티즌들이 개발새발으이이잌거려도 얘들은 뭐 그런가보다 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밖에 안되거든요. 현실을 물로 봤거나.

게임 업계가 그렇게 한 목소리를 내기 힘든가요?

멀리서 바라보는 입장일 뿐이라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걱정이건 반대건 찬성이건 우려건 하는데, 업계는 이 셧다운에 대해 어떤것들을 해왔고 준비하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혹시 걱정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많은 대책과 방법과 논의들이 행해졌는데 저만 모르고 있는겁니까?




그러니까 제발. 정식 통과되기 전, 혹은 그 후라도 좋은 선택과 방책이 있었으면 합니다. 저도 게임이랑 게임업계. 지독하게 좋아합니다.






물론 때린 놈이 잘못이지 우리가 잘못이냐 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 놈들(...)은 흉부에 한대 쥐어박으려 뛰어오고 있습니다.

가만히 있으면 멀리 갈지도 모르구요. 첫방은 막을 기회가 있었지만 보디가 빈 지금부턴 나의 공격을 막기에 애로사항이 꽃피



아. 그리고 전 업계인이 아니고 이 안건과 지금의 이야기에 대해 인용을 언급한 부분들 이외엔
딱히 상세 문건을 찾아보거나 하진 않았으므로 정확한 관련지식같은건 알바아닙들을 환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4/20 17:07
수정 아이콘
근데 이게 게임업계에 큰 타격이 가나요?
폐인같은애는 주민번호 뚫어서 다 할꺼고...
그렇지 않은애들은 보통 초중고생이면 안할것 같은데요.
11/04/20 17:07
수정 아이콘
부모님의 민번을 믿는 것인듯요..
Spiritual Message
11/04/20 17:07
수정 아이콘
뭐 쿨하다기보단 로비력이 없어서가 아닐까요..
shadowtaki
11/04/20 17:09
수정 아이콘
그냥 어차피 게임 할 사람은 어떤 방법을 통해서든 게임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11/04/20 17:12
수정 아이콘
게임업계 종사자입니다...
솔직히, 서버 프로그래머가 할 일이 하나 늘어서 귀찮아진거 말고는 여태까지와 달라질게 별로 없어요 -_-;;
오히려, 이번 기회로 여성부에서 돈내놓으라고 뻐팅길텐데, 게임업계에서 먼저 움직이면 여성부를 도와주는 꼴이 돼지요.
여성부는 뭔가... 게임 업계들이 불같이 일어나는걸 바라고 있을걸요? "로비좀 해바바~ 돈좀 찔러줘~" 라는거죠.

실제로, 통계를 뽑아봐도, 심야에 접속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매우 미비하고요... 매출에 영향을 줄 정도가 못됍니다.
게다가, 청소년들은 별로 돈을 쓰지도 않으니, 동접율 적어지면 서버 유지비용이 줄어들어 오히려 좋을지도...
여행의기술
11/04/20 17:13
수정 아이콘
법의 효율이 쓰레기입니다. 청소년 음주 흡연도 완벽하게 못막는판에 이걸 어떻게 막겠습니까 말이안되지 어디 인터넷에 성인인증해야 볼수있는게 한두개입니까 심지어 포털사이트 성인관련 검색어만해도 성인인증해서 봐야하죠 근데 그거 다 잘만봅니다.
11/04/20 17:16
수정 아이콘
문제는 미성년자 프로게이머들이군요... 어차피 무슨 방법으로든 다 연습 할테지만 난감하겠네요
메밀국수밑힌자와사비
11/04/20 17:31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이 법안은 청소년 비율이 높은 게임 대상으로 우선시행될 겁니다. 메이플스토리나... 넥슨 게임들 대상으로요.
11/04/20 17:33
수정 아이콘
만약이라도 이 법안으로 인해서 크게 타격을 입을만한 수익 감소가 나타난다면
해외로 눈돌리는 게임업체들이 더 늘어날것도 같네요.
이미 포화상태인 한국 시장에 정치인들 로비까지 해가며 살아남을려고 무리수를 두진 않을듯해요.
honnysun
11/04/20 17:41
수정 아이콘
미성년자 프로게이머들이 재재재재재재재재재재경기까지가서 12시 넘어가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갑자기 궁금해 지는군요.
SummerSnow
11/04/20 17:49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친구도 게임업체에서 게임 기획하는데 여성부에서 돈 가져간다고 해도 별로 개의치는 않더라고요..-_-;
마바라
11/04/20 19:08
수정 아이콘
스타1 배틀넷의 경우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이건 민번으로 가입한것도 아닌데 청소년을 어떻게 걸러내나요..
Crusader[SKY]
11/04/20 23:05
수정 아이콘
본회의 표결에서라도 부결되었음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045 [일반]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 속의 권력 구조와 고찰 [24] Dornfelder8719 11/05/11 8719 1
28551 [일반] 왜 게임업계는 이 와중에도 이렇게 쿨한가. [30] Cand6271 11/04/20 6271 0
27506 [일반] 일반 사람들이 성적이 높은 것과 머리가 좋은 것을 잘 구별하는 것이 가능한가? [48] 도형추리고수15447 11/02/27 15447 0
27309 [일반] 설치류(쥐과) 동물들 좋아하시나요? [18] andante_15087 11/02/16 15087 1
27089 [일반] [펌]맨유의 위대한 레전드 '폴 스콜스' 에 관한 어록들과 스페셜 영상(스압) [15] Alexandre10259 11/02/02 10259 1
26974 [일반] 수열추리 적성검사 [5] 도형추리고수16127 11/01/27 16127 1
26941 [일반] 한일전에 대한 잡담. 그리고 축구와 관련된 명언. [55] PlaceboEffect6332 11/01/26 6332 1
26884 [일반] 수능에 대한 잡설2 [16] 도형추리고수4972 11/01/22 4972 1
26883 [일반] 수능에 대한 잡설... [2] 도형추리고수4422 11/01/22 4422 1
26347 [일반] 곰과 인간의 대결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72] Typhoon7975 10/11/12 7975 0
24932 [일반] 먹튀를 잡다. [132] 녹용젤리10441 10/09/08 10441 1
24839 [일반] 몸도 그대로, 마음도 그대로, 뇌도 그대로... [조금 김] [3] 호타루3966 10/09/04 3966 0
24470 [일반] 오덕의 결정체, 그는 바로 세종 대왕. [24] sungsik11022 10/08/22 11022 0
23652 [일반] 인간 이외의 인간적인 종에 대한 가정 [12] Dornfelder4844 10/07/22 4844 0
23273 [일반] '김부장 나쁜놈!'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아픔. [19] nickyo6690 10/07/03 6690 0
23196 [일반] 아리마(arimaa)를 아십니까? [24] 츄츄다이어리7965 10/06/29 7965 2
22112 [일반] Adobe Photoshop CS5 새로운기능들 정리 (대박 덜덜;) [34] 창이9315 10/05/21 9315 0
20942 [일반]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두렵습니다 [57] 주먹이뜨거워6786 10/04/07 6786 0
20693 [일반] [스압] 주옥같은 동물관련 판님 댓글 모음 Part 3. [11] ThinkD4renT16239 10/03/30 16239 8
20421 [일반] 퍼기 경기후 인터뷰 [13] 반니스텔루이8056 10/03/22 8056 0
19968 [일반] 문어와 낙지, 그리고 영호남 [27] 굿바이레이캬7936 10/03/05 7936 1
19921 [일반] [링크수정] 연아의 경기는 왜 예술적인가? [33] ThinkD4renT8687 10/03/03 8687 14
19655 [일반] 간단하고 재미있는 반려동물 이야기 (4) - 동물원성 감염증과 예방접종 - 1 [8] Joker_4321 10/02/19 43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