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4/05 03:08:26
Name
Subject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http://media.daum.net/politics/president/view.html?cateid=100012&newsid=20110404165317781&p=khan

하락해서 35%라는 소식입니다. 뭐 이번 신공항철회의 영향도 있긴 하겠지만 35%면 그리 낮은 수치는 아닙니다.

부정적이라는 평가가 52%입니다. 개인적인 감상으로는 70% 이상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만 52%면 어느 정도 민심의 반영이라 생

각합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건 대선주자의 지지율입니다.

얼마 전 온라인 투표에서 '박근혜 44.3%, 유시민 41.7%'로 결과가 나왔었으나

이번 전화(일반전화, 휴대전화)조사에서는 박근혜 30.4%, 유시민 15.7%의 수치입니다.

정당 지지율 역시 한나라당의 37% 정도의 지지율로 민주당을 12% 이상 앞서고 있습니다.

37%의 사람들을 일일이 만나 고견(?)을 듣고 싶은 생각이 간절합니다.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 이 기사에서는 응답률이 없는데 원래 없는 게 맞는 건가요?

다른 기사도 다를 바 없더군요...

고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그러하였지만, 정치관련 설문조사들이 납득이 안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네티즌과 트친(트위터 친구)들과의 교류만을 하던 저에게 이런 설문 조사 결과물은 딴 나라 이야기 같습니다.

다음 대선이 두려워지는 요즘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이크
11/04/05 03:47
수정 아이콘
박근혜씨 지지율이 저렇게 높다니, 개인적으로 상당히 의외네요 -_-
엄마,아빠 사랑해요
11/04/05 03:55
수정 아이콘
?
11/04/05 03:56
수정 아이콘
마지막 줄에 공감합니다.
프리머스
11/04/05 04:25
수정 아이콘
아마 저 지지율이 맞을겁니다.. 박근혜 전대표를 이길만한 새로운 인물이 나오기 전까지는 현재까지는 절대 안바뀔것 같습니다..
황태자상무
11/04/05 04:34
수정 아이콘
(삭제, 벌점)
Crescent
11/04/05 04:35
수정 아이콘
정말 박근혜씨는 이미지 메이킹을 기가 막히게 한듯.

심지어 반한나라당 지역인 전남, 광주에서도 차기대권순위 조사에서 일등을 할정도니 말이죠.
하루빨리
11/04/05 05:13
수정 아이콘
지난 지방선거의 교훈으로 더이상 가정전화나 휴대전화 리서치를 믿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제 이런 조사는 비용이 들겠지만 기간 정해서 메일로 설문지 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늘하늘
11/04/05 05:33
수정 아이콘
유시민씨가 티비토론에서 박근혜씨에게
'당신은 왜 대통령이 되려고 하십니까? 대통령이 되면 무엇을 하고 싶습니까?' 라는 질문을 할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봅니다.
모모리
11/04/05 07:58
수정 아이콘
게시판이나 트위터는 편향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자기랑 생각이 맞지 않는 사이트면 자주 방문할 리가 없고 팔로우할 리도 없으니까요.
11/04/05 08:20
수정 아이콘
97.02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한 과정을 보면, 내년 대선은 기대가 안되죠
게다가 정권교체후 첫 대선에서는 대통령이 크게 국정을 말아먹지 않는한 여당후보가 그대로 당선이 되고
그다음 두번째 대선에선 왠만큼 잘하지 않는 이상 집권여당이 패배하는 경향은 전세계 공통이고요
몽키.D.루피
11/04/05 08: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전화 여론조사의 신뢰성은 지난 지방선거를 통해 0으로 수렴한다고 봅니다.
안철희
11/04/05 08:48
수정 아이콘
저게 일반국민 생각이고요
인터넷에서만 놀면 결과가 의외일순 있죠
일단 젊은층이 반한나라당이 대부분이라는건 사실이아닙니다 [m]
LucidDream
11/04/05 09:09
수정 아이콘
뭐, 전 이제 여론 조사는 믿지 않기로 했습니다. 적어도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는 신뢰성이 60% 정도밖에 안된다고 보거든요.
11/04/05 09:19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는 어느정도 정화갛고 정치색깔은 띄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지난 지방선거를 보고난 후에는 혹시..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번 여론조사 자체는 여론자체에서 특별히 엇나가지는 않은것 같습니다만..
11/04/05 09:23
수정 아이콘
박근혜의 높은 지지율은 박근혜를 진짜 지지해서라기보다는 다른 믿을 만한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으니 그냥 익숙한 사람이 낫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을 보여주는 거 같아서 안타까울 뿐입니다.
불리한 위치의 다른 대선주자들이 좀 더 국민들에게 공격적이고 설득력있게 다가와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키스도사
11/04/05 09:40
수정 아이콘
넷상에서의 여론과 실제여론은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넷 사용자와 실제투표참여 계층사이엔 갭이존재하죠. 개인적으론 인터넷 댓글이나 트위터에서의 여론이 현정부에디해 부정적인 시각이라고해도 그중 실제 투표귄을 가진사람이 차지하는비율은 그렇게 크지앉다고 보고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인터넷상에서 아무리 조중동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않더라도 우리나라 일간지중 차지하는비율이 나머지 신문들에 비해 높죠.
저도 지난 서울시장선거 와 부산시장선거 개표때 느꼈습니다. 이러니저러니해도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고 말이죠
타테이시아
11/04/05 09:41
수정 아이콘
지금은 박근혜씨가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는 있으나
정작 대선으로 들어가다보면 그 지지율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시됩니다.
너무 공격당할게 많기 때문에 그렇거든요.
대표적으로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에 대한 입장표명이 중요하고
또 여성이기 때문에 가뜩이나 군 문제가 많이 언급되는 시점에서 군 통수권자로서의 능력 또한 평가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저는 박근혜씨의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고 있습니다.
11/04/05 09:41
수정 아이콘
반 한나라당 정서를 가진 제가 보기에도 이정도가 맞지 않나 싶습니다.

오히려 인터넷 투표에서의 유시민 씨의 지지율이 이상하다면 이상했죠.
11/04/05 10:35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 신뢰가 안간다지만 온라인 투표나 인터넷 여론보다는 훨씬 실제결과와 가깝죠.
지난대선때도 인터넷에선 문국현씨가 1등이었죠.
11/04/05 10:35
수정 아이콘
기사가 삭제되어서 볼 수가 없네요.

여론조사결과가 30.4 vs 15.7 인데, 이게 1:1의 결과라면 절반이상이 부동표라는 건데,
총 부동표가 56%인데, 부동표는 여야가 1:2 비율로 가져가는게 일반적이라 하더군요.
현재 여론조사정도로 보면, 투표율이 90%를 넘어야 유시민대표가 이긴다는 거네요.

그래도 대선 투표율을 70%로 가정해보면, 39% vs 33%가 되니, 향후 충분히 해볼만 한듯합니다.
박빙이 되면 투표율도 증가할 것이구요.
the hive
11/04/05 10:47
수정 아이콘
뭐 실제로도 영남표의 위엄으로 한나라당에 민주당이 밀리기는 합니다만(라고 하지만 수도권 자체에서도 거의 1:1비율로 다이뜹니다 Orz), 여론조사 수십번 보시다보면 여론조사는 야권에 숨은표가 있다는것 정도는 아시게 될겁니다. 실제로 지난 지방선거때도 한나라당이 여론조사에서 전 지역에서 압도했었습니다만, 결과는 야권의 지지도가 +5~10%더 나왔죠
재보선때도 이재오 의원과 장상씨가 여론조사에서는 30%의 격차가 났었읍니다만 뚜껑을 여니 10%정도였던것도 있고요

그리고 트위터의 경우 민주당의 지지율이 제일 높고, 야권에 훨씬 우호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노회찬씨
현재 분위기대로 가더라도 총선은 범야권에서 압도하겠습니만,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를 이길 수 있을거라는 생각은 별로 하고있지 않습니다...
11/04/05 11:20
수정 아이콘
인터넷 설문조사보다는 그나마 더 사실과 가깝지 않나.. 생각됩니다. (여태까지 결과를 봐왔을때말이죠..)
벤카슬러
11/04/05 11:29
수정 아이콘
1. 일단 여론조사, 특히 전화여론조사는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로 믿지 않을려고 합니다... 설문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표본부터 믿을 수 없거든요.
2. 그리고 최근 3번의 대선 공통점이 뭔 줄 아십니까???
바로 대세론으로 당선된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대세론으로 따지면 이회창 씨가 대통령 한 번은 해먹었겠죠. –_–;;;
지금의 박근혜 대세론이 이회창 대세론보다 특별히 세 보이지는 않네요. [m]
수환™
11/04/05 11:34
수정 아이콘
기사를 가보니 가구전화조사와 핸드폰여론조사를 병행했다고 나와 있네요

양자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최근의 여론조사들을 보면 가구전화조사에서는 한나라당-이명박-박근혜-보수 라고 묶일 수 있는 집단의 지지율이 실제 결과(가령 선거라든가..)보다 10%-20% 정도 높게 나오는 건 흔한일인 것 같더군요. 만약 가구전화의 비율이 크게 높다면 저 집단의 지지율을 최소 5% 이상 낮게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1/04/05 11:53
수정 아이콘
전화 조사의 신뢰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긴 하지만, 문제는 저런 수치를 일종의 대세론으로 악용(?)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점에서 정말 답답한 현실입니다.

전화 조사에 응한 세대는 대세론을 보고 더 확고히 투표에 참여하고, 응하지 않은 사람은 포기해버리고..
11/04/05 12:28
수정 아이콘
박근혜 유시민보다는 친이계쪽에서 대통령이 나올거라고봅니다
일단 박근혜전대표는 한나라당내경선을 뚫을지 의문입니다.
야당쪽은 너무 흩어져있고...

이상득의원의 간택을 받는 누군가가 되리라고 봅니다....
코뿔소러쉬
11/04/05 13:57
수정 아이콘
박근혜씨를 저도 예전에는 꽤 무시했었지만 엄청나게 신중하고 판세를 꼼꼼히 읽는 타입같습니다.
저는 반한나라당이지만 박근혜씨가 된다면 적어도 이번 한나라당 정권보다는 훨씬 나은 정권이 되리라 기대합니다만
과연 '다수의' 국민을 위한 정권이 될지는 의문입니다.
그렇다고 유시민씨가 리더가 될만한 인물인지도 아직 잘 모르겠구요.
리더로는 안희정씨나 이광재씨가 더 낫지 싶네요. 유시민씨는 참모역이 더 잘맞지 싶어요.
11/04/05 18:43
수정 아이콘
이 리얼미터 여론조사가 아직도 이해가 안 가는게
홈페이지 직접 가봤습니다만 이번에도 응답률을 표기해놓지 않았더군요 (아님 제가 능력이 안 되어서 못찾았거나)
통계쪽에선 기본 중에 기본 아닌가요?
염나미。
11/04/05 18:44
수정 아이콘
개인적 생각인데,

이번정권은 이게 문제야, 이렇게해야지 왜 그딴 정책을 내는거지?
서민들을 위한 정책은 대체 어디로 간거야? 미칠노릇이군..

이렇게 문제만 보이는 사람은 누가 정권을 잡든 이번 정권은 문제가 많아 다음 정권에는 xx가 되야하는데 말이지..
라고 할 것 같아요.

다수가 꼭 옳은 결정을 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21세기 대한민국의 국민수준을 지닌 다수가 옳지 않은 결정을 내리진 않을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후보를 뽑을 생각이지만,
누가 대통령이되든 아주 열린 마음으로 지지해 줄 생각입니다.
말코비치
11/04/05 21:45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가 정확하지 않다기보다는, 현실과 인터넷 공간의 괴리가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여론조사가 아무리 부정확하다고는 하나, 인터넷 여론보다는 정확합니다. 게다가 홍준표 의원 등이 추진하는 휴대폰 여론조사가 활성화되면 여론조사의 결과가 좀더 현실과 가까워지겠죠. 예전에도 기사가 나온 적이 있는데, 네이버나 아고라에 주도적으로 글, 댓글을 올리는 사람들은 전체 네티즌의 10%도 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말코비치
11/04/05 21:46
수정 아이콘
개인적 생각입니다만 다음 대선 때 야당이 승리하는 방법은 노무현이 당선됐을 때와 비슷하게 극적인 단일화(유시민-손학규?) 및 상대의 쿨한 승복 + 박근혜가 아닌 한나라당 심판 분위기(BBK 사건 등 치명타가 다시 부상한다던가..)가 모두 어우러지는 것이겠죠. 또한, 현재로서는 유시민이 유력한 야당 주자입니다만, 노무현이 그랬듯, 전혀 생각지 못한 인사(문재인?)가 치고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죠.
11/04/05 22:01
수정 아이콘
나라를 말아먹어도 38%를 유지했었는데~
그 38%가 무너졌다는게 ..
모난구슬
11/04/05 23:10
수정 아이콘
이명박이 찾아갔던 욕쟁이 할머니가, 지금 몇개월째 월세를 못 낼 정도로 어려워졌는데 하시는 말씀이
"그사람이 이렇게 어려운데 얼마나 열심히 노력했겠나, 난 이해한다'라는 것을 보면 (제 기억에 의존한 것이고 문장은 다를겁니다)
35%지지율이 나오는것이 이해는 갑니다. 단지 그 35%의 사람들을 이해 못하는것이죠.
아싸가올리
11/04/06 01:10
수정 아이콘
생각이 다른것이지 비난 받을 필요는 없죠 어차피 민주주의 국가인데.....어차피 생각이 달라도 한표만 행사할수있는것이 민주주의이고...
뭐가 정답인지는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전대통령이나 현대통령이나 임기때 인터넷에서 원색적으로 욕먹는건 비슷해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982 [일반] 이명박 - 박근혜 청와대 독대, 100일간 범국민특별안전확립기간 공감? [66] 타테시5352 12/09/02 5352 0
38931 [일반] 경실련이 이명박 대통령을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5] 어강됴리5265 12/08/31 5265 0
38805 [일반] 이명박의 독도방문은 정말 옳지 않았다고 생각하네요. [83] 케이스트6401 12/08/24 6401 0
38657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일왕 사죄요구 발언 [124] 케이스트9606 12/08/16 9606 0
38603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을 둘러싼 몇가지 이슈 [53] KARA5507 12/08/13 5507 0
37969 [일반] 이명박 대통령이 신기록 하나 세우셨네요. 최초로 국회 개원 연설 도중 박수 없음 [39] 타테시8111 12/07/03 8111 0
37673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위안부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네요. [47] 타테시8763 12/06/13 8763 0
36551 [일반] 나는 꼼수다 봉주11회 - 김용민 대 이명박//현재 나꼼수 서버 공격 中 ☞ 우회경로 안내 [68] 르웰린견습생7385 12/04/09 7385 0
36320 [일반] 대선 이후 이명박에 관한 특검은 이제 피할수 없습니다.(이 글도 사찰 대상일까요???) [42] 워3팬..7592 12/03/30 7592 0
33634 [일반] 이명박 대통령 내외가 내곡동 사저 관련하여 고발 당했습니다. [40] 강동원5656 11/12/06 5656 0
32807 [일반] 참여정부의 FTA가 어떤면에서 이명박 정부와 다른가요? [91] 은하수군단5541 11/11/03 5541 0
32670 [일반] [펌] 경찰 ‘방패’ ‘물대포’, 국회는 포위됐다...[현장] 한미 FTA 반대 시민의 목소리…이명박 정부 ‘강행’ 우려 [41] 삭제됨5196 11/10/28 5196 0
32465 [일반] 이명박 대통령 이후로 이정도로 털린 분이 있었나요? [62] Kristiano Honaldo9998 11/10/19 9998 0
32403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가 백지화 되는듯합니다. [120] 설탕가루인형형8424 11/10/17 8424 0
31755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속화되는 느낌입니다. [100] 부끄러운줄알아야지9675 11/09/16 9675 0
30539 [일반] 노르웨이 테러용의자, “이명박 만나고 싶다” [219] kurt12425 11/07/26 12425 1
28175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47] 7990 11/04/05 7990 0
27220 [일반] 음주중 뺑소니 사고로 사람 죽여놓고..기상청장이라니..ㅡ.ㅡ;;; 이명박정부는..정말.. [237] 마르키아르9169 11/02/11 9169 3
27079 [일반] 안희정충남도지사 '이명박 대통령의 신의없는 국정운영 막아야한다' [30] V.serum5566 11/02/01 5566 1
25704 [일반]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문제에 대한 대응차이 [77] 아유7921 10/10/12 7921 3
25037 [일반] 이명박은 과연 악인가? [56] 구국강철대오8656 10/09/13 8656 5
24370 [일반] 뉴스위크에서 세계에서 존경받는 지도자 10인에 이명박대통령을 뽑았다는군요. [40] 강가딘6761 10/08/17 6761 0
22971 [일반] 이명박, 노무현, 김대중 대통령의 외교. [61] 이적집단초전6061 10/06/16 606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