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3/20 16:28:12
Name 왕은아발론섬에..
Subject [일반] 내수를 키우자!
음... 경제에 대해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서 이런 글을 쓰는 게 좀 많이 부족하지만,
그냥 “이런 식으로 바라 볼 수도 있구나“란 시각으로 봐주시면 좋겠네요.

먼저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a는 1년에 사과를 10개 생산하고 b는 배를 10개 생산합니다.
둘은 각각 백만 원의 돈을 가지고 있고 과일 하나당 가격은 십만 원입니다.
b가 사과를 10개 사서 백만 원을 지불해서 a의 수입이 백만 원이 됐습니다.
그리고 a도 배를 10개 사면서 백만 원을 지불해서 각각 수입이 백만 원이 되는 상황입니다.
만약 여기에서 끝이 난다면 각자의 소득은 백만 원이 되겠죠.

하지만 저기에 있는 경제 행동이 한 번 더 반복 된다면 각자의 소득은 두 배인 200만 원이 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손에 쥐게 되는 돈은 백만 원으로 똑 같지만, 상대방이 생산을 한 과일을 두 배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거죠.)
아무튼 이렇게 되면 두 사람은 각자가 생산하는 과일을 더 많이 생산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또한 상대방의 과일을 더 많이 먹을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한마디로 경제 규모가 더 커지게 되는 거죠.

조금 다른 상황을 들어보죠.

저 위에 A라는 사람이 배는 사주지 않고 사과만 팔리기만 바란다면 어떻게 될까요?
처음에 B가 사과를 10개 사먹고 나면 A는 2백만 원을 손에 쥐게 되지만 결국 거기서 끝나게 됩니다.
그러면 B는 배를 생산 할 필요가 없겠죠. 그렇다고 A도 절대 좋은 상황이 아닙니다. 사과를 사줄 사람이 없어져 버린 상황인거죠.
그렇기에 A도 사과를 더 생산 할 이유가 없어져 버린거죠.

물론 우리나라의 경제가 A와 B의 관계처럼 단순하지는 않지만, 저 두 상황만을 놓고 보면 절대적으로 첫번째의 경우가 좋은 상황인 게 맞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위의 예시가 잘 표현 됐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말하려는 의도는 돈은 한쪽에 쌓이지 않고 계속 순환을 해야 좋다는 겁니다.
저 위에 A라는 사람이 배는 사주지 않고 사과만 팔리기를 바라는 것처럼 특정인이나 특정 집단이 버는 것에 비례해서 소비를 하지 않으면 결국 다른 한쪽에선 문제가 생겨 버리게 되고, 그렇게 되면 결국 경제 규모는 줄어 들 수밖에 없다는 거죠.

그런데 지금 우리 나라가 딱 저 아래의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생산>소비 이런 형국이다 보니 연예계든 게임이든 사회 전반적으로 기업들이 살아 남기 위해선 수출에 주력을 하게 됩니다. 물론 연예인이나 게임이 한류 붐을 일으켜서 좋긴 하지만 국내 시장도 활성화가 되는 상황에서 수출이 돼야지, 국내 시장은 다 죽은 상태에서 아무리 좋은 기술로 수출에만 목 매달고 기업 활동을 한다면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이런 현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깔리다보니 소비는 더더욱 위축되고 언제 회사가 망할지, 언제 실업자가 될지 불안하니 더더욱 소비는 위축되고. 악순환의 반복인거죠.

이렇듯 우리는 지금까지 좋은 물건을 만들려고만 노력 했지, 그 물건을 사줄 사람들을 늘리는 데에는 소홀히 하지 않았는가 싶습니다.
그러다보니 소비에서 선호도가 높은 대기업들이나 수출형 기업들만 호황을 맞고, 그에 반해 중소기업이나 영세상인으로 대변되는 중서민 층은 항상 살기 힘들게 되지 않았나 싶네요. 그래서 이제부터라도 소비를 극대화 해서 경제 규모를 더 키워 중서민 계층들도 다 같이 풍요롭게 살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저 나름대로 소비를 극대화 하는 방법을 생각해 봤습니다.

먼저 돈을 많이 버는 사람에게 세금을  많이 걷는 방법이 있습니다.
연봉 100억 정도 되는 사람의 경우 그 돈 절반도 안 쓰죠. 다 쓰기도 힘들 겁니다. 이런 분 들 한테 세금 더 걷어서 사회에 재투자 하는 거죠.
증세를 하자는 건데, 증세의 경우 직접세와 간접세를 적당히 배분해서 다양한 계층이 공감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하면 될 듯싶긴 하지만 아직은 전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아서 중세를 한다면 불만이 많을 겁니다. 그렇기에 시기상조라 생각되지만 점차적으로는 증세로 가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단 증세는 보류하고 다른 방법을 생각해 봤습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정부나 지자체의 재정 지출에서 복지와 인건비에 비중을 높이자"입니다.
특히 정부나 지자체에서 건설 쪽에 쏟아 붇는 돈의 대다수를 복지로 돌려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왜냐면 지금 건설의 경우 8~90년대와는 달리 인건비가 낮죠. 그러다보니 대규모 건설의 경우 그냥 기계나 재료값이죠. 기계에 돈 써봐야 소비 안 늘어 납니다.

그리고 대규모 건설 사업의 경우 대체로 대기업들이 도맡아서 하는데, 그 사람들은 이미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돈이 더 가봐야 소비가 늘지 않고 부가 축적되어버리는 상황이 되겠죠.

하지만 복지나 인건비에 돈을 쓰게 되면 다릅니다.
무상급식을 하게 되면 중서민 들에겐 그만큼의 여윳돈이 생기게 되겠죠. 그렇게 되면 외식 한 번 더 하게 되고, 아이들 옷을 한 벌 더 사주겠죠. 무상 급식 뿐만 아니라 무상보육, 저소득 층이나 장애인들에 대한 지원 같은 것들도 같은 맥락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또하나 중서민 계층의 안정된 소비를 위해선 미래가 확실해야 합니다. 내가 직장을 잃더라도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쉽거나 실업급여의 수급이 쉬워서 실직 후에도 어느정도 안정된 수입이 보장된다면 사람들의 심리가 덜 불안해져서 소비에 망설이지 않겠죠.

그렇다고 대기업 건설사들 다 망하란 소리는 아닙니다. 거기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겠죠.
제가 생각한 방법은 이렇습니다.

간단히 예를 들면 4대강 건설의 경우 그 돈 전부 국가 재정으로 할 게 아니고 대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는 겁니다. 가령 4대강 건설 현장 중에 목 좋은 자리에 리조트 개발권을 준다던지, 호텔이나 관광 상품 개발권 같은 걸 내걸어서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거죠.

그리고 야구장 건설도 지자체의 재정으로만 할 게 아니라 외국처럼 경기장 이름을 몇 년간  쓸 수 있도록 하는 조건으로 민간 자본을 유치하는 방법도 있고요. 이런 식으로 건설에 쓰는 국가 재정을 줄이면서도 얼마든지 건설사들도 먹고 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음. 전체적으로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서 쓰는 것 같은데, 요지는 복지를 강화해서 소비를 늘려 내수를 키우자 로 받아 들여 주셨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빼미
11/03/20 16:32
수정 아이콘
내수를 키우려면 복지보다 건설업계에 투자하는게 옳은선택일수도 있습니다. 복지쪽 인건비보다 건설쪽 인건비가 비싸거든요.
메밀국수밑힌자와사비
11/03/20 16:43
수정 아이콘
건설업 위주의 정책은 늘 그렇듯 단순히 경제 살리기용은 아니라고 생각... 하면 음모론이라고 욕먹... 기 전에 일단 이번에 4대강에서만 발생한 비리만 보더라... 도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고 욕먹을지도 모르겠습니다(횡설수설;;).
올빼미
11/03/20 16:48
수정 아이콘
뭐 국민대다수인 서민들의 소비심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돈을 모아둘 필요성을 없애야지요. 일단 돈많이 들어가는게 병원비, 노후자금, 결혼자금, 애키우는거, 집장만정도인데 이걸 국가에서 책임져주면 소비는 살아나겟죠.
eblueboy
11/03/20 16:48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하게 제 생각입니다.

(기업에) 세금을 많이 걷는다 -> 징징 -> 고용줄임(& 기업 및 자금의 해외유출) -> 취업 어렵다고 난리침 -> 감세
그렇다고 세금을 걷게 적는다고 경제가 좋아지는것도 아니고... 참 나라 운영하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4대강이나 연말연시에 보도블럭 갈기 등 쓸데없이 날아가는 돈만 줄여도 복지가 엄청나게 증가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글쎄요.
쉽게 바꾸기가 어렵죠.

서민이 절약하는것보다는 나라가 쓸데없는 데 돈을 그만쓰고 다른곳으로 돌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바알키리
11/03/20 16:52
수정 아이콘
얼마전 게시판에서 봤던 브라질의 대통령이 생각나네요.
어진나라
11/03/20 16:55
수정 아이콘
건설업은 사람이 하긴 합니다만, 대부분의 일은 기계가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복지는 컴퓨터나 기계나 장치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사람 손을 거치는 곳이 아주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지 사업 같은 것을 하려면 사람이 많이 필요합니다. 즉, 복지가 활성화되면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이죠. 게다가 건설업처럼 경기를 타지도 않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어디에나 널려 있거든요.
루크레티아
11/03/20 17:03
수정 아이콘
내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가장 원초적인 방법이 중요합니다. 물건을 살 사람의 절대치를 늘리는 것입니다. 즉 인구증가죠.
아무리 돈을 돌리고 돌려서 방법을 짜내더라도 애초에 체급의 차이부터가 나면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물건을 사게 유도하는 것보다 물건을 살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한데 정부부처에서는 별로 흥미가 없나 봅니다. 특이나 '가족'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부에서 말이죠.
28살 2학년
11/03/20 17:14
수정 아이콘
글쓴분께서 말씀하신것과 비슷한 맥락의 페르손 스웨덴 전 총리의 인터뷰 기사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31749641

eblueboy님 말씀처럼 4대강 같은 건설사업에 쓸데없이 돈을 낭비하면 복지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라는 얘기는 좀 근거가 부족한것이
복지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내수를 부흥시키는것이 4대강보다 훨씬 많은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번에 글쓴분께서 복지관련 글을 올리셨을때도 제가 댓글을 달았던건 같은데 지금 말씀하시는 내용은 통화의 승수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중에 돈이 풀리면 결국 경제전체에 그 돈의 승수배만큼 돈이 돈다는 얘기인데 여기에 몇개의 딜레마가 있습니다.
일단 증세를 통해 내수를 부흥시키려면 실제로 효과는 있지만 그에 따른 투자나 소비활동의 감소가 이미 경제학적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쉽게 내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반대의 주장도 있지만 현시대의 경제사조가 증세로 인한 효과보다 감세로 인한 효과가 좀더 크다는 주장이 잘 먹히고 있습니다.
증세를 하지 않고도 내수를 부흥시키는 또다른 방법은 카드사용이나 대출한도를 높이는 등의 소비자신용을 늘리는것인데 이미 카드대란이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통해 부작용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결론은 한국은 산업자원이 부족하고 인구가 부족해 내수를 키우기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어 일본이나 북유럽처럼 국민소득이 높지 않은 이상
내수를 일정 수준이상 키우는건 구조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희망사항을 얘기하자면 한국에서 기름이 나오면 가능해집니다.....
그런 의미에서 울릉분지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사업이 대박이 난다면.....
juckmania
11/03/20 17:20
수정 아이콘
루크레티아 님 말씀처럼 내수를 늘리기 위한 원초적인 방법은 인구증가입니다.
기존 국민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킨다 등은 인구증가가 안되니까 어떻게든 만들어보려는 차선의 차선책이구요.
그리고 그 차선책들 중에 현실가능성 있는 것도 사실 별로 없습니다.
그럴거면 서유럽 국가에서 그 차선책들을 장려했지, 출산률 높이는 것에 그리 혈안이 되었을까요..
출산률 증가, 세금과 복지 등을 통한 정부정책으로 국민 구매력 강화.. 둘다 어려운데 인구증가가 저거보단 현실성있는 방법이란 겁니다.
좁아터진 한국 땅과 현재 한국사회에서 출산률 증가 자체가 얼마나 어려운지 얼핏 아신다면 후자의 것은 '뭐야..무서워'죠.
경제학에서 통상 인구가 7000~7500만 정도 되면 어느 정도 내수 중심의 성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통일의 또다른 목적이기도 하죠. 물론 통일된다고 당장 내수 중심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 쪽의 경제력이 북한 쪽으로 지원되어 어느 정도 동등해지는 시기부터 가능한거죠.
달과바다
11/03/20 17:26
수정 아이콘
내수를 늘리는 방법은 단기적으로 돈을 더 소비하게 만들거나, 장기적으로 인구수 자체를 늘리는 방법이 있겠네요.

그런데 사람들에게 돈을 좀 더주고 소비를 더 하게만드는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닙니다.
경제란게 조금 웃긴면이 있어서 모두가 잘될거라고 생각하면 실제로 경제가 잘 굴러갑니다. 반대도 마찬가지구요.
그만큼 국민들의 미래에 대한 전망, 기대가 중요합니다. 일본이나 대만에서 쿠폰, 현금으로 저소득층에 엄청난 돈을 뿌렸지만
소비는 정부의 생각만큼 늘어나지 않았습니다. 미래에 대한 기대가 그다지 밝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게 맞겠죠.

역시 인구수를 늘리는 방법이 오래걸리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이죠. 그런데 세계최저수준의 출산율....
이건 거의 포기 상태인것 같습니다. 아이키우는데 드는 경제적비용만 해도 어마어마하니 그걸 국가가 다 지원할 수 도 없는 노릇이고.
그럼에도 출산율 높이기 위해서 무슨짓이든 해야한다는 생각입니다. 저 역시 구체적인 플랜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만.....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미래에 우리나라가 선진국은 될 수 있어도 강대국이 되기는 힘들겠죠.

상황이 이러니 좁은 땅덩이에서 일본처럼 탄탄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것은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수출과 투자...가 답이 되겠네요.
11/03/20 17:33
수정 아이콘
내수를 늘리려면 인구가 늘어야하고 그 방법은 이민자를 많이 받거나 출산율이 증가해야합니다
그러나 외국인들이 정착할경우 어느정도 경제력이나 교육수준이 높은경우가 아니라면
그들이 정착하게 돕거나 그 2세들을 위한 장치들이 필요합니다.
거기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인종차별 사실 굉장히 심하다고 봅니다.

그럼 현실적인 내수증가는 출산율을 늘려야 합니다.
우리나라 처럼 교육수준이 좀 되는 나라에서는 단순히 출산시만을 생각하고 아이를 낳는게 아닙니다.
그 아이를 기를수 있을정도의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가족계획을 세움니다.(사고쳐서 아이가지는 경우 아니면 말이죠)

그런데 이 멍청한 나라의 고위층이나 나이 헛먹은 노인네들은 아이가 태어나면 아직도 지 먹을거 가지고 태어나는줄 압니다
아기들 예방접종 혜택 추가 예산 삭제했던거나
얼마전 초등학교 무상급식건에서 포퓰리즘이라고 헛소리하는거 보면
나무만 보고 숲은 못본다 정도가 아니라 나뭇가지에 있는 순을 따먹을 수준입니다.
그러고서는 열매가 맺히기를 기대하는 셈이죠

그렇다고 현재 소비층 구매능력을 늘려주느냐 그건 더욱 아니죠
최저임금 상승율이라던지 비정규직을 늘리는걸 보면 정말 어이상실 입니다.
게다가 경제만 살면된다는 식으로 물가는 오르던지 말던지 기업위주정책이나
무조건 대출내서 해결하라는 식의 정책운영은 정말....
글쓰다보니 한숨뿐이 안나오네요
진리는망내
11/03/20 17:33
수정 아이콘
저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루크레티아님과 juckmania님 의견과 같이 인구증가가 가장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현재 새계에서도 기록적인 속도로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이 추세가 계속되면 일본같이 젊은 층이 줄어들어 경제성장 자체에도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젊은 층에 비해서 노년층은 소비를 하려는 성향(MPC)도 작을 것이고
상속이나 예비적 동기에 의 저축도 젊은 층에 비해서 높고
소비도 상대적으로 적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내수가 딸리면 수출만으로는 한계가 있죠...
수출은 환율이나 국제정세에 따라서 너무 영향을 많이 받기때문에 내수가 바탕이 되는 가운데 수출도 잘 되는게 이상적이겠죠.

복지를 하기 위해서도 세원이 풍부해야되는데 젊은 층이 줄어들고 노년층이 늘어나면
젊은 층의 부담이 커지고 힘들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애 키우기는 힘들고 출산율은 낮고 나중이 되면 노년부양비가 높아져서 복지 부담도 늘어나고
애는 또 키우기 힘들고 악순환이 일어나고.. 일본이 현재 이상태 아닌가요?

일본은 이미 이에 대한 위기감이 높고 얼마 전에 KBS에서 시사 프로에서 촬영도 해오고 하더군요.
일본측 관련 부서의 어느 분이 한국도 일본과 같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출산율 증가에 반드시 힘써야 한다고 하는데
정말 동의합니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요.
전 아직 결혼도 안해서 잘은 모르지만 양육비가 정말 장난아닌거 같던데요.
그래도 2명은 키우고 싶은데... 현실은 여친도...


일본이 전후 기록적인 경제성장을 한 원동력 중에 하나는 많은 인구라는 분석도 있지요.
중국도 좀 더 발전해서 빈민층이 줄고 구매력을 갖춘 사람들이 늘어나면 내수가 정말 장난아니겠죠.

인구를 어떻게 하면 늘릴 수 있을까요 현실적인 방안이 어떤게 있을지...

위에 같이 전 교과서적인 답변밖에 못하겠네요...
내일은
11/03/20 17:35
수정 아이콘
건설에 투입하면 그 중 인건비 지출은 아파트 같으면 대략 10%, 토목은 5% 내외입니다.
복지는 50%가 인건비입니다.
건설이 선호되는건 돈이 많이 들지만 그래도 뭔가 (이른바 SOC, 건물) 만들어지기 때문이고
복지 쪽은 무형의 서비스라 (간호보조, 노인요양 등등) 돈이 들어간만큼 뭔가 나오는 것 같지 않아서 입니다.
그리고 건설 쪽은 대개 임시직이지만, 복지쪽은 정규직이던 계약직이던 지속적인 일자리가 생깁니다.
왕은아발론섬에..
11/03/20 17:47
수정 아이콘
음. 출산률 저하가 제가 생각하고 있던 것보다 더 큰 문제인거 같네요.
11/03/20 18:10
수정 아이콘
여러 미시 정책이 있겠지만, 여러 분께서 의견 다신대로 인구가 어찌 따라주지 않으면 소용 없습니다.

주머니에 돈이 많아져도 소비로 이어지는 데엔 한계가 있습니다. 작은 불안이나 변화만으로도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어 저축으로 이어지기 십상이지요. 하다못해 고정급 외에 덤으로 받던 수입이 줄기만 해도 당장 지출에 신경을 씁니다. 정부가 돈을 많이 풀었지만 기업이 불확실성을 이유로 돈을 천천히 풀자 물가만 올랐지 실제 소득은 오르질 못한 것도 한 예지요.

그래서 많은 나라가 내수 시장을 키우는 근간으로 최우선시 삼는 것이 인구입니다. 우리나라는 출산률 저하와 폐쇄적인 이민 정책으로 인해 상당히 위험한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제조업이 밑받침 되지 않은 채 금융과 서비스업만으로 경제를 일으킨 나라가 어떻게 되는지는 이번 미국발 경제 위기에서 잘 드러났는데,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조만간 젊은이 1명이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하며 경제 활동을 해야하는 시기에 도달합니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레 제조업 등 근간이 되는 산업이 무너질 수 밖에 없게 되지요. (2050년엔 전체 인구 중 40%가 65세 이상이라고 예측되고 있습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 경에는 우리나라에 노동 인구가 30% 가량 줄어든다고 하는데, 이럴 경우 2050~60년 경에는 각종 연금과 같은 사회 복지 예산도 버틸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거시 정책으로써 인구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복지에 투자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결혼해서 애낳고 살고 싶은 마음이 들어야 하는거죠.
Angel Di Maria
11/03/20 18:34
수정 아이콘
AS 곡선의 우측이동 이면 다 됩니다.
기술진보 인구증가 등으로 말이죠.
그치만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이룰 수 없고 쉽지 않은 경우라서,
AD 곡선을 이동시키는 경제 정책을 사용하죠.
그러면서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 문제가 발생하게 되서, 경제가 재미있는거죠.
the hive
11/03/20 20:14
수정 아이콘
내수를 키우려면.. 통일부터 해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93 [일반] [해외야구] MLB 구속 논쟁 [12] 왕은아발론섬에..7488 13/08/08 7488 1
45457 [일반] [야구] 라이트한 시청자가 본 류현진 선수. [18] 왕은아발론섬에..6126 13/07/26 6126 0
41232 [일반] [4대강] 대단합니다. [183] 왕은아발론섬에..11965 12/12/23 11965 1
40955 [일반] 내수를 살립시다. [10] 왕은아발론섬에..3970 12/12/10 3970 0
40368 [일반] [축구] 대표팀. 무엇이 문제인가? [36] 왕은아발론섬에..4641 12/11/14 4641 0
39687 [일반] [축구] 늦은 앨클라시코 후기 [12] 왕은아발론섬에..4556 12/10/14 4556 0
39661 [일반] 4대강 정비? 4대강 비리? [27] 왕은아발론섬에..5899 12/10/13 5899 1
38293 [일반] (스포조심!) 다크 나이트 라이즈 감상 [16] 왕은아발론섬에..6033 12/07/24 6033 0
38110 [일반] [축구]압박축구의 한계를 보다. [54] 왕은아발론섬에..8284 12/07/10 8284 1
36831 [일반] 민간인 사찰과 문대성의 표절. [15] 왕은아발론섬에..3820 12/04/20 3820 0
36685 [일반] 뒤늦게 살펴보는 보수와 진보의 공약 비교. [28] 왕은아발론섬에..4074 12/04/13 4074 0
36601 [일반] 진보와 보수 바라보기. [13] 왕은아발론섬에..3640 12/04/11 3640 0
32688 [일반] 내수를 키우자! [42] 왕은아발론섬에..5574 11/10/29 5574 0
31004 [일반] [축구] 아직은 시기 상조가 아닐까요? [13] 왕은아발론섬에..5384 11/08/11 5384 0
29571 [일반] 바르셀로나 축구의 비밀. [136] 왕은아발론섬에..9013 11/06/05 9013 0
29420 [일반] 박지성! 이제는 스타일 변화를 모색할 때가 아닐까요? [37] 왕은아발론섬에..6790 11/05/29 6790 0
29127 [일반] 슈스케 vs 위대한 탄생... 같은 듯 다른 느낌. [49] 왕은아발론섬에..5739 11/05/14 5739 0
28287 [일반] 마지막이라 더 아름다웠던 그녀. [8] 왕은아발론섬에..6181 11/04/09 6181 0
27951 [일반] 박지성 선수 복귀 기념글. [21] 왕은아발론섬에..7033 11/03/23 7033 0
27886 [일반] 내수를 키우자! [21] 왕은아발론섬에..4471 11/03/20 4471 0
27361 [일반] 쉽게 살기. [12] 왕은아발론섬에..4017 11/02/19 4017 1
27272 [일반] 증세를 해서 복지에 비중을 높이면 높을수록 좋은 거 아닌가요? [38] 왕은아발론섬에..4398 11/02/13 439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