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3/09 19:53:03
Name maker_
Subject [일반] 따뜻한 음식? 차가운 음식?
저는 닭고기를 싫어합니다.

조류(비둘기...)를 워낙 싫어하는 탓도 있고,
돼지고기나 소고기와는 다른 닭고기의 식감도 싫어하구요.

대신에 저희 어머니께서는 닭고기 찬양론자십니다.
첫번째 이유는 아마도 가격이겠죠. 비싼 소고기에 한번씩 값이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돼지고기보단
닭이 싸니까요..
두번째 이유는, 어머니께서 영양사셔서 그런지 돼지고기에 있는 비계 부위를 좀 혐오..하십니다.
사실 모든 육류를 사오실때 기름기가 있는 부분을 다 떼오고 사오시는 경향이 있죠.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닭고기는 따뜻한 음식인데 돼지고기는 차가운 음식이라 우리 가족 체질과 안맞다'는 것입니다.

원래 식품영양학과를 나오신데다
언제부터인가 웰빙 열풍을 타고 공중파, 케이블 가리지 않고 많이 방송되는 건강프로그램에 커다란 영향을 받으셨는데요.
집에 사놓으신 책이나, 즐겨 보시는 프로그램을 보면
'음식을 통한 건강 유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십니다.

문제는... 그 관심이란 것이.. 사상의학 태음인 소음인 등등 이라던지
약간은 한방에 가까운 쪽으로 편중된것 같습니다.

...제가 조금 이해해드리는게 나을 것 같지만
이제는 거의 일상입니다. 닭고기를 요리해놓으시면 저는 반찬투정. ;;;
닭고기뿐만 아니라 다른 몇몇 음식들도 그렇구요..
스무살 넘은 지금까지도 그렇네요 하하...;;;;;;;;;;

지겹도록 이러다보니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氣를 기준으로 따뜻한/차가운 음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이론?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걸까요. 근거가 부족하더라도 실생활에서 믿고 따를 수 있는 개념인가요.

어쩌면 질문게시판이 적합할 지도 모르겠지만;
요즘들어 부쩍 주변에서 이런 말씀 하시는 어르신..들을 많이 뵙게 되어 궁금한 마음에 글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3/09 19:59
수정 아이콘
태음인이고 태양인이고 그런건 잘 모르겠고, 체질적으로 어떤 음식이 맞지 않는 사람은 있을 법 하다고 봅니다.
근데 어머니께서 영양사시면서도 돼지고기 비계 부분을 싫어하신다는 건 조금 의외네요. 물론 많이 먹으면 좋진 않지만 돼지고기의 지방 부분은 모든 육식을 통틀어서도 몸에 좋기로 유명한데 말이죠. 돼지고기의 불포화지방산은 오히려 혈관 안에 콜레스테롤이 쌓이지 않게 도와주기도 합니다. 쇠고기 구이집 수채구멍은 막혀도 돼지고기 구이집의 수채구멍은 막히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말이죠. 삶은 돼지고기는 장수의 식단 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그냥 살림 하시는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싼 닭고기를 애용하고 싶어 글쓴님게 그렇게 말씀하시는게 아닐까요? ^ ^
오후의산책
11/03/09 20:02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는 맞는거같아요
저는 특정한 음식을 많이 먹으면 꼭 탈이 나서
알아 봤는데 그게 차가운 음식류였어요

근데 저렇게 한쪽으로만 식단을 짜시는건 너무하군요
그런 책에보면 조화롭게 먹으라고 나올텐데
찬음식을 먹으면 뜨거운 음식도 먹어주고
체질에 따라 그비율을 다르게 해야하는거 아닐까요
코뿔소러쉬
11/03/09 20:28
수정 아이콘
과학적 근거는 없을지 모르지만 경험적 근거는 충분하다고 느낍니다...
허나 과학적 근거가 없으므로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댓글을 달거라 생각합니다.
11/03/09 22:09
수정 아이콘
저와 완전 같은 식성을 가지신분을 여기서 뵐줄은 몰랐습니다.
저희 가족중 저만 유일하게 조류고기를 못먹습니다. ( 닭볶음탕 냄새만 맡아도 구역질이 날정도며
먹으면 알러지 반응이 일어납니다.)
지금은 다 결혼해서 분가해살지만 그전에 치킨사서 맛있게 먹고있을때 전 손가락만 빨아야했죠
그럴때마다 왜 난 조류고기를 못먹지? 게란프라이는 잘먹으면서 왜.... 이런생각 할때가 한두번이
아니었으니까요 뭐 저희집은 못먹는거 억지로 먹이는분위긴 아닙니다만....
Dornfelder
11/03/09 22:10
수정 아이콘
체질적으로 맞는 음식이라는 것이 분명히 있기는 합니다. 예를 들자면 유당 분해가 잘 되지 않아서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죠. 그리고 특정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을 수도 있고요. 사상의학에 따라 음식을 조심하는 것도 어느 정도 경험적 근거는 있을테니 영양적으로 불균형을 일으킬 정도가 아니라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닭고기에도 영양은 충분하니 돼지고기 대신 닭고기만 먹는 것도 안 될 것은 없겠죠.
슬렁슬렁
11/03/10 11:29
수정 아이콘
음. 그런데 체질에 따라 음식을 가린다 해도, 머는 맞고 머는 안맞는다. 어느 체질에 머는 좋고 머는 안좋다.. 이걸 맹신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체질에 맞는 음식이라는게 너는 무슨 체질이니 어떤것만 먹어라.. 머는 절대 먹지 말아라.. 이렇게 편식조장하는건 아니고요. 그냥 이러이러한게 좀더 좋겟다.. 이러이러한건 너무 많이 먹으면 안좋겟다.. 정도로 가볍게 보시는게 맞지 않나 하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879 [일반] 나는 차였다.......... [6] awnim5412 11/03/20 5412 0
27874 [일반] 폐인생활...아련한 추억(?) [13] 착한스5831 11/03/20 5831 0
27873 [일반] 어장 속 물고기는 울고 싶다. [24] nickyo7022 11/03/20 7022 1
27872 [일반] [EPL] 맨유 Vs 볼튼 불판 [294] 반니스텔루이6819 11/03/19 6819 0
27870 [일반] 목동 야구장을 다녀왔습니다. (LG vs 넥센 시범경기 관람) [11] 델몬트콜드3965 11/03/19 3965 0
27869 [일반] 왜 페가수스는 선동렬을 까는 것인가? [141] 페가수스8521 11/03/19 8521 0
27868 [일반] 늙고 병든 이십대 후반의 유쾌한 悲歌 [7] 헥스밤5915 11/03/19 5915 1
27867 [일반] [펌]센다이 구난 - 관료주의의 문제. [19] V3_Giants6142 11/03/19 6142 0
27866 [일반] 선동렬의 포스트시즌 성적은 어떠했을까? [114] 페가수스10461 11/03/19 10461 0
27865 [일반] 청소년보호법·국가재정법·부담금관리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됐습니다. (일명 1%법) [15] AhnGoon4859 11/03/19 4859 0
27864 [일반] 670일간의... 기나긴 여정이 끝났습니다. [8] 마산갈매기5863 11/03/19 5863 0
27863 [일반] [F1이야기]2011시즌 몇가지 눈에 띄는 변화+주요 소식 몇가지 [13] lotte_giants4218 11/03/19 4218 0
27862 [일반] 에바사마의 일본 자전거 일주#19 (악플러와 경찰서) [28] Eva0105075 11/03/19 5075 0
27861 [일반] 그래도 미국밖에 없네요. [65] 미스터H12613 11/03/19 12613 0
27860 [일반] 원전사고초기 미국제안을 거절한 일본정부 결정이 나름 최선이었단 생각도 드네요 [93] muesli9998 11/03/18 9998 0
27859 [일반] 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16화 중계 불판 [중계 종료] [131] 케빈제이6789 11/03/18 6789 0
27858 [일반] 사형... 집행해야 할까요? [35] sisipipi5514 11/03/18 5514 0
27857 [일반] 한국시리즈 우승당시 해태 타이거즈의 타선은 어떠했을까? [19] 페가수스5767 11/03/18 5767 0
27856 [일반] 챔스 8강 대진 확정 ! 앞으로를 예상해봅시다 [41] 반니스텔루이6073 11/03/18 6073 0
27855 [일반] [야구] 올시즌 SK 전력이 그렇게 까지 떨어졌을까? [26] 옹겜엠겜5554 11/03/18 5554 0
27854 [일반] 이제 몇시간후면 시작합니다 [134] cs11460 11/03/18 11460 0
27853 [일반] 조재진선수 은퇴 [7] 삭제됨7166 11/03/18 7166 0
27852 [일반] [기사] 자살을 종용받았던 미네르바, 박대성씨 [107] 블레이드10971 11/03/18 109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